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유물반환청구권과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경합 여부와 과실반환문제

        이근영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6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19 No.2

        재화가 정당한 권리자에게 귀속되지 않는 경우에 그 부당성을 시정하기 위한 제도는 일반적인 제도는 부당이득제도이다. 그러나 이외에도 민법이 개별적으로 규정하는 제도 중의 하나가 점유자와 회복자 사이의 법률관계에 관한 민법 제201조 내지 제203조 규정이다. 통설은 제201조 내지 제203조를 소유물반환청구권(제213조)의 부수적 청구권으로 이해한다. 이와 관련하여 소유물반환청구권과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경합하는지 여부와 경합하는 경우 소유물반환청구권의 부수청구권인 제201조 내지 제203조와 관련하여 과실반환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해석론의 전개하면서 필요한 부분에서는 사견을 제시하였다. 부당이득반환청구시의 반환범위에 관한 기존의 학설은 제748조에 의한다고 한다. 사견으로는 악의수익자의 경우에는 선의수익자의 경우 제748조 제1항은 선의수익자의 가액반환시의 반환범위이며, 원물반환의 경우에는 선의수익자의 경우는 제741조가 규정하고 있다고 본다. 악의수익자의 경우에는 원물반환·가액반환 모두 제748조 제2항에 의한다. 제201조와 제748조의 선의·악의의 개념은 서로 차이가 있다. 점유법상 선의·악의는 부당이득법상 선의·악의에 비하여 범위가 매우 좁은 개념이다. 계약관계의 급부부당이득에서 원물반환이 가능한 경우, 반환하여야 할 대상이 계약에 근거하여 이행된 것이므로 계약을 통해 형성된 구속의 내용은 당연히 그 계약의 청산과정까지도 책임지도록 하거나 부당이득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213조와 제741조의 경합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201조가 적용되지 않고 부당이득반환에 의하여야 하며, 그 반환범위는 선의수익자의 경우 제741조, 악의수익자의 경우 제748조 제2항에 의할 것이다. 다만 원물반환이 가능한 계약관계가 아닌 사무관리와 같은 법정채권관계에서는 제213조와 제741조의 경합은 인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13조의 부수청구권인 제201조와 제741조(선의수익자) 내지 제748조 제2항(악의수익자)의 경합할 수 있으며, 이들 청구권은 별도의 청구권이므로 당연히 개별적인 청구권의 발생요건을 갖추어야 하고, 그에 따른 법적 효력이 달리 규정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법적 효과는 당연히 다를 수 있다고 본다. 침해부당이득의 경우에는 원물반환이 가능한 경우에는 제213조와 제741조가 경합하며, 이 경우 제201조와 제741조(선의수익자), 제748조 제2항(악의수익자)이 경합한다.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may be brought against a person illegally acquiring any goods. Civil law also prescribes a legal relationship between a possessor and a person claiming recovery as §§201-203 of the Korean Code of Civil Procedure are viewed as an incidental right of claim for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the articles owned(§213). With respect to this, it has been controversial weather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the articles owned conflicts with the right to claim of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nd if so, weather the return of the fruits can be claimed as provided in §§201-203, the incidental right of claim. In this regard, this article seeks to introduce legal theories and opinions regarding the dispute. Previous literatures claim that the scope of unjust enrichment to be returned by the illegal occupant of goods is based on §748. With respect to this, what I believe is that a possessor in good faith applies to §748① in terms of the scope of the return of value while the possessor applies to Article 741 in terms of the return of the original object. In contrast, a possessor in bad faith applies to §748② in terms of both the return of the original object and value. In fact, there is a disparity in the concept of good faith and bad ones under §201 and §748. The definition of both good and bad faiths is much narrower in the law of occupation than in the law of unjust enrichment. When the return of the original object is likely to be claimed when it comes to the unjust enrichment by performance in contractual relationship, the return of the object is under contract that stipulates the responsibilities of both parties until the termination of contract. In that case, no conflict arises between §213 and §741 but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prevails. More specifically, a person enriched in good faith applies to Article 741 while a person enriched in bad faith applies to §748②. In contrast to the contract relationship that imposes the responsibility for the return of the original object, however, legal claims may beget a conflict between §213 and §741. In this case,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201, the incidental right of claim of §213 and §741(a person enriched in good faith) or §748② a person enriched in bad faith. Under this circumstance, the right of claim should be implemented, which may result in varied legal forces for each claim. With respect to the unjust enrichment not by performance in which a person is entitled to the return of the original object, §213 is in conflict with §741, and §201 and §741(person enriched in good faith) and §748②(a person enriched in bad faith).

      • KCI등재

        公法上 不當利得返還請求權의 獨自性

        정하중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0 행정판례연구 Vol.15 No.1

        Die Rechtsprechung hat den öffentlichrechtlichen Erstattungsanspuch als den zivilrechtlichen Bereichungsanspruch angesehen und ihn im Zivilprozeß behandelt. Aber der öffentlich-rechtliche Erstattungsanspuch hat den Zweck, die rechtsgrudlosen Vermögensverschiebungen zwischen dem Verwaltungsträger und dem Bürger rückgängig zu machen, während der zivilrechtliche Bereichungsanspruch dient nur der Rückabwicklung der rechtsgrundlosen Vermögensverschiebungen zwischen Privatpersonen. Daraus resultieren nicht nur unterschiedliche Anspruchvoraussetzungen, der Haftungsumfang, die Verjährung. Der öffentlich- rechtliche Erstattungsandpruch stellt vielmehr ein eigengeartes, originäres Institut des allgemeinen Verwaltungsrechts. Die Anspruchsvoraussetzunen und der Haftungsumfang der Erstattungsandprüche des Verwaltungsträger und der Bürger sind unterschiedlich beurteilt. § 748 Zivilrecht ist nicht direkt oder analog anwendbar im Erstattungsanspruch des Verwaltungsträger gegen den Bürger. Der Vertrauen des Verwalungsträger ist nicht schützwürdig und verpflichtet zum Rückerstattung einschließlich der Zinsen. Demgegenüber wendet der Vertrauensschutzprinzip an Stelle des § 748 Zivilrecht im Erstattungsanspruch des Büger gegen den Verwaltungsträger an. Wenn der begünstigende Verwaltungsakt der Rechtsgrund der Vermögensverschiebungen ist, spielt der Vertrauen des Bürgers entscheidend über die Möglichkeit der Rücknahme des Verwaltungsaktes und gegebenfalls verhindert die Entstehung des Anspruches. Wenn die Vermögensverschiebungen sclicht-hoheitlich geschehen ist, bildet der Vertrauen des Bürgers den anderen Anspruchverhindernden Tatbestand. Neurdings hat das oberste Gericht § 748 Zivilrecht im Fall der Zinsen der Rückforderung zuviel gezahlter Steuer nicht angewendet, weil die Vorschriften des Steuerrechts Spezialgesetze sind. Ferner hat das oberste Gericht den Fall der Rückforderung der Verzugszinsen der Ersatzleisungen als öffentlichrechtlichen Pateistreitigkeit ohne ausdrückliche Änderung der bisherigen Rechtsprechung behandelt. Im Rücksicht des Änderungsgesetz des Verwaltungsprozeßrechts, das den öffentlichrechtlichen Erstattungsanspuch als die Parteistreitigkeit vorsieht, kann man erwarten, daß das oberste Gericht seine bisherige Rechtsprechung ausdrücklich ändern wird. 종래 판례는 행정법관계에서 발생되는 공법상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민법상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과 동일하게 보아 민사소송으로 다루어 왔다. 그러나 사인 상호간의 재산적 이익을 조정하는 민법상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과는 달리 공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정주체와 사인 간의 재산적 이익을 조정하는 독자적 제도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법상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그 요건과 반환범위 및 그 소멸시효에 있어서 민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과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공법상 부당이득반환관계에 있어서 행정주체가 이득자가 되는 경우와 개인이 부당이득자가 되는 경우에 각각 그 이익평가는 다르며, 그 재산적 이동의 조정은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행정주체가 부당이득자가 되는 경우에는 민법 748조가 직접 또는 유추적용되지 않으며 그 이득에 대하여는 어떠한 신뢰보호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득이 발생되는 시점부터 이자를 포함하여 반환할 의무가 있다. 반면 개인이 부당이득자인 경우에는 민법 제748조 대신에 신뢰보호의 원칙이 적용된다. 개인이 수익적 행정처분에 의하여 부당이득자가 되는 경우에 신뢰보호의 원칙은 직권취소의 허용여부에 대하여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위법한 수익적 행정행위의 적법성과 존속에 대한 개인의 신뢰가 보호가치가 있는 경우에는, 위법한 수익적 처분의 직권취소는 제한되며, 이에 따라 행정처분은 계속 재산적 이동에 대한 법률상 원인이 되기 때문에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성립하지 않는다. 개인이 행정주체의 사실행위를 통하여 이득자가 되는 경우에는 신뢰보호의 원칙은 “법률상 원인이 없음”의 요건과 별도로 독자적인 권리장애적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대법원은 2009. 9. 10. 선고 2009다11808 판결에서 환급가산금의 내용에 관한 세법상의 규정은 부당이득에 관한 특칙으로서의 성질을 갖기 때문에, 환급가산금은 수익자인 국가의 선의·악의를 불문하고 그 가산금에 관한 각 세법규정에서 정한 기산일과 비율에 의하여 확정된다고 판시 하여, 공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독자성에 대한 재고의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2009. 10. 29. 선고 2007두26285 판결에서는 비록 명시적인 판례변경은 없었으나 변상금연체료 반환사건을 공법상 당사자소송으로 다루고 있다. 공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민법상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과 그 요건, 반환범위, 소멸시효 등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하며, 법무부 행정소송법개정안(제3조 2호) 및 대법원 행정소송법 개정안(제3조 2호)에서는 공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당사자소송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이를 당사자소송으로 다루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 KCI등재

        보험계약 무효로 인한 보험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적용되는 소멸시효기간

        황재호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8

        In a case where the restitution of payment fulfilled based thereon is demanded as a contract, corresponding to a commercial activity, becomes null and void, whether the statute of limitations of ten years for civil claims or that of five years for commercial claims may apply to the right to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s such comes into question. Under the text and language of Article 64 of the Commercial Act,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commercial claims applies to “a claim arising out of a commercial activity”, and when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system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commercial claims which stipulates the statute of limitations as a short term to promptly resolve commercial relationships, “a claim arising out of a commercial activity” includes “that equivalent to a claim arising out of a commercial activity” as well as “that arising out of a direct commercial activity”. As above, the right to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demanding the return of benefits granted as a result of the fulfillment of a contract, corresponding to a commercial activity, is not “a claim arising out of a direct commercial activity” but can be seen to correspond to “a claim equivalent to a claim arising out of a commercial activity”. Discussions thereon may be understood in terms of a collision between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intending to embody the principle of fairness, and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commercial claims, pursuing the prompt termination of the commercial legal relation. In other words, that a claim for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is barred by expiration of statute of limitations therefor means that any circumstance contrary to fairness continues to exist without correction, the resolution of such collision can be seen to depend on a value judgment about the resolution of an individual case to some degree unless either of the aforementioned two systems, such as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nd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commercial claims, can be always seen to be legally superior. The Supreme Court has previously determined the cases as above depending on individual cases, not based on the general legal doctrine, in relation to whether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civil claims or that for commercial claims may apply to the right to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which is called the theory of individual judgment. In such a case, the two standards of judgment considered by Supreme Court are ⓐ whether the right to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is created as payment is performed based on a contract, corresponding to a commercial activity, and ⓑ whether there is a need to promptly resolve the legal relation in a typical way as in a commercial relationship in the light of the details and cause of occurrence of a claim, the status of, and relationship with, the relevant party, etc. As above, the reason why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determined cases depending on individual cases, not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legal doctrine, is because the Supreme Court considered the circumstances where the cases related to unjust enrichment are very diverse and either of unjust enrichment and statute of limitations cannot be seen as legally superior in all cases. Such attitude of the precedents may be criticized on the grounds that the standards of judgment are unclear or the conclusion is unlikely to be easily predicted. These problems seem to have no choice but to be resolve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precedents. However, applying the same statute of limitations is desirable in respect of legal stability in a case where unjust enrichment is repetitively caused for the same cause in a contract typically concluded in relation to a certain business. The subject case deals with a case where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the right to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relevant to insurance... 상행위인 계약이 무효가 되는 등의 사정이 생겨서 그 계약에 기초하여 이행된 급부의 반환을 구하는 사안에서 그러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10년의 민사시효가 적용되는지 5년의 상사시효가 적용되는지가 문제 된다. 상법 제64조의 문언상 상사시효는 ‘상행위로 인하여 생긴 채권’에 적용되는데, 상거래 관계의 신속한 해결을 위하여 시효기간을 단기로 정한 상사시효 제도의 취지를 고려하면 ‘상행위로 생긴 채권’에는 ‘직접 상행위로 인해 생긴 채권’뿐만 아니라 ‘상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채권에 준하는 채권’도 포함된다. 위와 같이 상행위인 계약의 이행으로 교부된 급부의 반환을 구하는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직접 상행위로 인해 생긴 채권’은 아니지만 ‘상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채권에 준하는 채권’에 해당한다고 볼 여지가 있는 것이다. 이에 관한 논의는 공평의 원칙을 구현하고자 하는 부당이득반환 제도와 상사법률관계의 조속한 종결을 추구하는 상사시효 제도가 충돌하는 지점의 문제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도 있다. 즉 부당이득반환채권이 시효완성으로 소멸한다는 것은 곧 공평에 반하는 현상이 시정되지 않고 존속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법리상 부당이득반환 제도와 상사시효 제도 중 어느 한쪽이 항상 우월하다고 볼 수 없는 이상 이러한 충돌의 해결은 어느 정도는 개별 사안의 해결에 대한 가치판단에 달려 있다고 볼 여지가 있다. 종래 대법원은 위와 같은 사안에서 그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민사시효가 적용되는지 상사시효가 적용되는지에 관하여 일반적인 법리를 판시한 바 없고 사안별로 달리 판단하고 있다(이른바 개별판단설). 이때 대법원이 판단 기준으로 삼는 것은 2가지, 즉 ⓐ 상행위에 해당하는 계약에 기초하여 급부가 이루어짐에 따라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발생하였는지 여부, ⓑ 채권의 발생 경위나 원인, 당사자의 지위와 관계 등에 비추어 그 법률관계를 상거래 관계와 같은 정도로 정형적으로 신속하게 해결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이다. 이처럼 대법원 판례가 일반적인 법리를 판시하지 않고 사안 해결형 판단을 하는 것은, 부당이득이 발생하는 사안이 매우 다양한 반면 법리상 모든 사안에서 부당이득 제도와 소멸시효 제도 중 한쪽이 우월하다고 볼 수는 없는 점 등의 사정을 고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판례의 입장에 대해서는 판단 기준이 모호하다거나 결론에 대한 예측가능성이 낮다는 비판이 가능하다. 이 문제는 결국 판례의 축적을 통해 해결될 수밖에 없어 보인다. 다만 일정한 영업과 관련하여 정형적으로 체결되는 계약에서 부당이득이 동일한 원인에 의해 반복하여 발생하는 사안에서는 법적 안정성 측면에서 가급적 동일한 시효기간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대상판결은 상사계약 중 보험계약과 관련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시효기간이 쟁점이 된 사안에 대한 것이다. 즉 보험자가 보험금을 지급한 후 보험계약이 민법 제103조에 위반되어 무효라고 주장하면서 보험금의 반환을 청구하는 사안에서 그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10년의 민사시효기간, 5년의 상사시효기간, 3년의 보험시효기간 중 어떤 것이 적용되는지가 문제 되었다. 보험계약 사안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통상적인 상사계약 사안에서의 논의와 달리 3년의 보험시효기간이 적용될 여지가 있는지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보험계 ...

      • KCI등재

        상사계약 무효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고찰 -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

        노미리 한국기업법학회 2022 企業法硏究 Vol.36 No.1

        In principle, the 5-year extinctive prescription applies to claims arising from commercial activities(Article 64 of Commercial Act). The precedent applies the extinctive prescription to bonds that are substantially identical as a modification of bonds arising from commercial activities. Commercial extinctive prescription applies to the right to claim damages due to non-performance of a commercial contract, and to the right to claim restoration due to revocation of a commercial contract. However, the position of precedents o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right to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upon the invalidity of commercial contract is inconsistent. In case of a claim for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rising from the cancellation or invalidation of a commercial contract, the precedent applies the 5-year extinctive prescription if it is necessary to settle it quickly. In this paper, among the precedents which are adjudicated up to January 2022, cases involving the extinction prescription period of the right to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due to the invalidity of the commercial contract are classified into 4 types such as (1) If it does not fall under commercial activity, (2) In case of requesting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upon insurance money, (3) If the commercial contract is invalid, (4) when a merchant enters into a standardized contract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each type was analyzed. The Supreme Court seems to take the 10-year extinctive prescription theory when requesting the restitution of infringement unjust enrichment, but in other cases, which request the restitution of benefit unjust enrichment upon invalidity of a commercial contract, it seems to take 5-year extinctive prescription theory. Occasionally, the Supreme Court has taken the theory of 10-year extinctive prescription in case of requesting the restitution of benefits. However, the right to claim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upon the invalidation of commercial contract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right to claim restoration upon the revocation of commercial contracts in that it liquidates the legal relationship arising from the commercial activities. In other words, it is reasonable to apply the 5-year extinctive prescription, because the right to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upon the invalidity of commercial contract is recognized the same as the original bonds arising from the commercial activities. 상행위로 인한 채권은 원칙적으로 상사소멸시효가 적용된다(상법 제64조). 판례는 상행위로 생긴 채권의 변형으로서 실질적으로 동일성이 인정되는 채권에도 상사소멸시효를 적용한다. 상행위인 계약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 상행위 계약의 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청구권 등에는 상사소멸시효가 적용된다. 그런데, 상사계약 무효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판례의 입장은 일관되어 있지 않다. 판례는 상사계약이 취소되거나 무효가 되어 발생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경우 상거래와 같이 신속하게 종결할 필요성이 있는지를 판단기준으로 하여 신속하게 종결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사소멸시효를 적용한다. 이 글에서는 2022년 1월까지 선고된 판례 중에서 상사계약 무효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이 쟁점이 된 판례를 (1) 상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2) 보험금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하는 경우, (3) 상사계약이 무효인 경우, (4) 상인이 다수의 사람과 정형화된 계약을 체결한 경우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판례는 침해부당이득의 반환을 구하는 경우에 민사소멸시효설을 취하고 있고, 그 외 상사계약의 무효로 인한 급부부당이득의 반환을 구하는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상사소멸시효설의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간혹 대법원이 급부부당이득의 반환을 구하는 사례에서 민사소멸시효설을 취한 경우가 있는데, 상사계약 무효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상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법률관계를 청산한다는 점에서 상행위 계약 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청구권과 크게 다르지 않다. 즉, 상사계약 무효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도 상행위로 생긴 원래 채권과 동일성이 인정되는 채권으로 상사소멸시효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契約名義信託에 있어서의 不當利得返還請求權과 消滅時效 ―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시행 전에 성립된 契約名義信託을 중심으로 ―

        신원일 민사판례연구회 2011 民事判例硏究 Vol.- No.33

        In case of a contract title trust prior to effectuation of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the "Act"), a proprietary remedy is available to the truster in an unjust enrichment claim. In this connection, there is controversy as to whether the statute of limitation applies to said remedy. While some commentators affirm such application by categorizing said claim as general contractual claim, others deny it based on allegedly exceptional characteristic of said claim. That being said, I believe the first theory is in line with the purport of the Act and the legislative intent, while the second theory is inadmissible due to lack of substantiation. 대법원 판례는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이하 ‘부동산실명법’) 시행 전에 이루어진 계약명의신탁의 경우에 있어서, 수탁자가 부동산실명법의 시행에 따라 부동산에 관한 완전한 소유권을 취득함으로써 그 부동산 자체를 부당이득하였다는 이유로, 신탁자가 원물자체를 부당이득반환으로 구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실명법의 시행으로 인해 명의수탁자가 취득하는 것은 완전한 소유권이 아니라 특수 채권채무관계인 내부적 소유권에 불과하다는 점 등에서 원물반환을 인정한 위 판례는 찬성하기 어렵다. 다만, 확립된 위 판례에 따라 부동산실명법 시행 전의 계약명의신탁에 있어서는 원물반환 형태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인정된다고 할 때, 과연 그 부당이득반환청구권도 소멸시효가 진행되는지가 문제되는데 이에 관하여는 소멸시효의 진행을 긍정하는 견해와 부정하는 견해가 나뉘어 있다. 긍정설이 원물반환 형태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하나의 법정 채권으로 보아 소멸시효의 진행을 인정함에 대하여, 부정설은 위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물권적청구권으로 보거나, 목적물을 인도받은 부동산매수인의 등기이전청구권은 소멸시효에 걸리지 않는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을 적용하거나, 명의수탁자의 승인을 인정하거나, 소멸시효의 원용이 신의칙 위반에 해당된다는 등의 이유로 그 소멸시효가 진행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원물반환 형태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이를 물권적청구권으로 볼 근거가 없고 목적물을 인도받은 부동산매수인의 등기이전청구권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으며, 또한 명의신탁자의 점유의 법적 성격상 수탁자의 승인을 인정하기도 어렵고, 신의칙 위반의 요건이 충족되는 사안도 아니라는 점에서 그 소멸시효의 진행을 부정할 이유가 없고 오히려 소멸시효의 진행을 인정하는 것이 부동산실명법의 법리 및 입법취지에도 부합한다. 대상 판결은 위 긍정설의 입장에서 원물반환 형태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도 10년의 소멸시효가 진행된다고 판시하였고, 아울러 목적물을 인도받은 부동산매수인의 등기이전청구권에 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은 부동산실명법의 취지 등에 비추어 위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대해서는 적용될 수 없다고 하였는바, 위 결론은 법리적으로 매우 타당하다.

      • KCI등재

        부당이득에 있어서 이득토출책임의 법리와 그 시사점

        이계정(Kye Joung Lee) 한국법학원 2018 저스티스 Vol.- No.169

        본 논문에서는 영미 부당이득법을 개관하면서 그 중에서 특히 영미 부당이득법의 초석으로 평가되는 이득토출책임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득토출책임은 위법행위를 억제하기 위하여 피해자의 손실 여부와 관계없이 이득자로 하여금 위법행위로 얻은 이익을 반환하게 하는 법리이다. 이득토출책임은 피고의 위법행위로 원고의 손실을 초과하는 이득이 발생한 경우 또는 원고의 손실을 입증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한 구제수단으로 영미 부당이득법에서 일반적 구제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영국의 경우 이득토출책임이 판례를 통해 그 적용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제3차 부당이득법 리스테이트먼트는 영국보다 이득토출책임의 적용범위를 확장하였으며 그 효과에 관하여도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다. 이득토출책임을 비롯한 영미 부당이득법은 이득반환의 범위를 획정함에 있어 손실자의 손실중심에서 수익자가 취득한 이득중심으로 사고를 전환할 것을 요구한다. 부당이득이 손해배상과 구별되는 독자성, 즉 손실전보 제도라기보다는 정당하지 못한 이득을 반환시키기 위한 제도라는 점에서 영미 부당이득법의 태도는 설득력이 있고 우리 부당이득법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우선 ‘손실한도 반환설’에 대한 재검토가 요청된다. 부당이득반환범위를 정함에 있어 손실자의 손실 한도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상론하였듯이 이론적 근거가 약하다. ‘손실한도 반환설’을 폐기하고 이득중심으로 부당이득반환범위를 재편하는 것이 요청된다. 무엇보다 이득토출책임의 도입 여부에 관하여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리 신탁법에 규정된 이득반환 청구권, 상법에 규정된 이득양도청구권, 지식재산권법에 규정된 침해자 이익액을 손해액으로 추정하는 규정 등은 이득토출책임과 친화적인 규정으로 이득토출책임은 우리 법과 이질적이라기보다는 조화롭게 수용가능하다. 다만, 우리 법상 수익자로 하여금 그 이익의 객관적 가치를 넘어서서 받은 이익 전부를 반환시키기 위해서는 이론적 정당화가 필요한데, 위법행위에 대한 억제의 필요성, 고도의 권리보호 필요성을 근거로 이득토출책임을 정당화할 수 있다. 나아가 우리 법상 준사무관리 개념이 인정되지 않고, 손해배상액수가 과소하여 손해배상제도가 위법행위에 대한 억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한 점, 법관이 개별화된 정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부당이득범위와 관련하여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 등에서 이득토출책임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gives an overview of the Anglo-American unjust enrichment and makes a deep research on the theory of disgorgement considered as the cornerstone of the Anglo-American unjust enrichment theory. When the disgorgement applies to the case, the recipient should give up the benefit attributable to the underlying wrongs regardless of whether the claimant actually suffered any loss. The aim of the disgorgement is said to be the deterrence of wrongs. The disgorgement has been evaluated as an effective remedy in the case where the defendant acquired the benefit exceeding the loss of the victim through wrongs or the claimant found it difficult to establish his/her actual loss. In U. K, the legal theory of disgorgement has been developed by the case law and its application to the case has been on the increase. Likewise, the disgorgement has been an established remedy for unjust enrichment cases in U. S. and the Restatement (Third) of restitution and unjust enrichment stipulates it in a detailed manner. The Anglo-American unjust enrichment theory including the disgorgement provides an insightful idea that in assessing the scope of the obligation of the recipient, the changeover from loss-based assessment to gain-based assessment can be more appropriate. Since unjust enrichment is so designed that the recipient should return his gain unlike torts which renders the tortfeasor compensate the victim"s loss, such changeover can correspond to the intent of unjust enrichment and the disgorgement can offer significant implications on our theory of unjust enrichment. First of all, la règle du double plafond(the rule of double ceiling) should be abolished. Under la règle du double plafond, the amount of victim"s loss can play a role in setting the ceiling to the scope of obligation of the recipient. However, this rule has turned out to be based upon the unreliable legal ground and the French civil law, the origin of this rule, officially abolished the rule. In assessing the scope of obligation of the recipient, it is desirable to be based upon the profit of the recipient rather than the loss of the claimant as the theory of disgorgement elucidates it. Secondly,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remedy of disgorgement can be considered affirmatively. Given that the Korean trust code stipulates the Korean version of restitution for equitable wrongs and other codes stipulate the remedies friendly with the idea of disgorgement, it can be submitted that the disgorgement is acceptable rather than conflicting with our legal system. Legal justifications for adopting the disgorgement to our system can be made in two ways: the necessity of deterrence of wrongs and high-level protections of particular legal interests. Considering Korean legal realities where the torts have not been a successful remedy to deter the wrongs due to the fact that the amount of compensation has been relatively low, the disgorgement can be an effective remedy for realizing individually tailored justice in the field of unjust enrichment.

      • KCI등재

        일본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증명책임론에 대한 고찰

        이승현 ( Seung-hyun Lee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集 Vol.23 No.1

        우리나라에서는 부당이득의 본질에 대한 학설의 입장에 따라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증명책임의 소재가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무에도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증명책임론에 대해서 그다지 활발하지도 심도 있는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런데 우리민법의 제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상당히 유사한 부당이득 규정 체계를 취하고 있는 일본에서는 부당이득의 본질에 대한 학설과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증명책임에 대한 해석론을 결부시키고, 이를 전제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증명책임론에 대한 고찰 및 분석이 상세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를 기초로 최고재판소 판례의 입장을 정리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판례에 대한 비판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 내용을 보다 자세하게 들여다보면 우리민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증명책임에 대한 해석론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축함에 있어서 참고로 삼아야 할 부분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일본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증명책임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고는 우리민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증명책임론에 대한 해석론 구축에 참고가 되는 시사점 및 이와 관련된 장래의 연구과제를 도출하고, 나아가 우리민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증명책임론에 대한 보다 심도 있고 체계적인 해석론 구축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In Korea,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nature of the unjust enrichment, the responsibility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ight to request a return of unjust enrichment gained by the infringer may be changed, which may cause confusion in practice, so far, there has been neither active nor inexplicable study on the theory of the right to request a return of unjust enrichment gained by the infringer. However, in Japan which has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enactment of the Civil Code and has a system of the regulation of unjust enrichment which is quite similar to that of Korea, they consider the theory of the nature of the unjust enrichment in connection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verification responsibility for the right to request a return of unjust enrichment gained by the infringer and the study and analysis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verification of unjust enrichment gained by the infringer is being carried out in detail. An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are summarized, and in some cases criticism of judicial precedents is made. If we look at the contents in more detail, it seems that there are quite a few things to refer to in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interpretation theory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ight to request a return of unjust enrichment gained by the infringer under our Civil Code. Therefore, the theory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ight to request a return of unjust enrichment gained by the infringer was reviewed in this paper. Through this, this paper aimed to draw a referable implication in building interpretation theory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verification of unjust enrichment gained by the infringer in our Civil Code, furthermore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 more in-depth and systematic interpretation theory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verification of unjust enrichment gained by the infringer in our Civil Code.

      • KCI등재

        과오배당과 부당이득 반환청구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정태윤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5 法學論集 Vol.20 No.2

        배당절차에서 실제로 배당을 받아야 할 채권자가 배당을 받지 못하고 배당을 받지 못할 자가 배당을 받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배당을 받지 못한 채권자는 배당을 받지 못할 자이면서도 배당을 받은 자를 상대로 배당이의를 하고 나아가 배당이의의 소를 제기하여 구제를 받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그 채권자가 법정의 절차를 준수하지 못하여 배당이의의 소를 통하여 구제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배당을 받지 못한 채권자가 배당을 받지 못할 자이면서도 배당을 받았던 자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에 관하여 종래 학설의 다툼이 활발하게 있었으며, 현재는 ‘적법하게 배당요구를 한 채권자’에 한하여 부당이득반환청구를 인정하는 것이 다수설과 판례의 입장이다. 이 문제에 대한 학설과 판례에 관해서는 그동안 여러 문헌들에 의하여 활발하게 소개 및 검토되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들 학설과 판례에 대하여서는 더 이상 자세하게 논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비교법적 관점에서 이 문제에 관한 외국의 법제를 소개함으로써 이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의 폭을 넓히고, 나아가 이 문제에 대한 해석론적·입법론적 해결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 하에 먼저, 2006년의 법개정을 통하여 부동산압류절차와 그 경락대금의 배당절차를 대폭 개정한 프랑스의 입법례를 소개·검토하였다. 그런 다음 우리와 유사한 법규정을 가지고 있는 일본의 학설·판례를 소개하였다. 본 문제에 관한 일본의 학설·판례는 그동안 몇몇 문헌에 의하여 단편적으로만 소개되어 왔었는데, 本稿에서는 먼저 일본의 학설·판례의 전반적인 개요를 살펴 본 다음, 특히 배당이의소송에서 승소확정판결에 기하여 배당을 받은 채권자가 패소확정판결을 받은 자 아닌 다른 배당요구채권자가 받을 몫까지도 배당받은 결과가 되는 경우, 그 다른 배당요구채권자가 위 배당받은 채권자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초점을 맞추어서, 이와 관련된 문제에 관한 학설을 소개·검토하였다. 그리고, 독일의 입법례에 관하여서는 그동안 여러 문헌에서 충분히 언급되었으므로, 本稿에서는 따로 언급하지는 않았고, 다만 결론 부분에서 프랑스의 입법례와 비교하면서 독일에서의 통설적 견해를 인용하였다. 그리고 논의를 정리하면서 비교법적 검토를 기초로 하여 특히 두 가지 중요한 문제에 관하여 본인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Es ist die herrschend Lehre und Judikatur in der Republik Korea, daß ein Gläubiger, falls er den Widerspruch zum Teilungsplan nur unterlassen hat, zwar die Möglichkeit verloren hat, nachträglich Widersptuchsklage zu erheben, aber daß er sein besseres oder sonstiges Recht immer noch in der Weise weiterverfolgen kann, daß er den im Teilungsplan zu Unrecht als vorrangig bezeichneten Gläubiger aus Bereicherungsrechte auf Zahlung des Betrages verklagt. Nun ist es nicht notwendig, darüber zu detaillieren. Aber halte ich es nützlich, die Fälle der fremden Gesetze zu präsentieren und überprüfen. Also, zuerst habe ich berichtet das französisches Verteilungsverfahren. Im Gegensatz zum koreanschen oder deutschen Gesetzbuch, hat ein Gläubiger, falls er den Widerspruch zum Teilungsplan selbst unterlassen hat, sowohl die Möglichkeit verloren, nachträglich Widerspruchsklage zu erheben, als auch die Möglichkeit verloren, sein angebliches Recht mit einer auf das Bereicherungsrecht gestützten Klage doch noch geltend zu machen. Am nächsten, habe ich berichtet das japanischen Verteilungsverfahren. Das japanisches Verteilungsverfahren ist dem der Korea oder Deutschland sehr ähnlich. Letztens, habe ich ein Verteilungsverfahren mit den anderen vergleichten und die Lösung der zwei Probleme über das Bereicherungsrechts vorgezeigt.

      • KCI등재

        민법상 부당이득 반환범위에 관한 소고 – 민법 제747조, 제748조 해석론을 중심으로 -

        이근영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4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17 No.2

        최근 부당이득법에 관한 학설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부당이득의 기초에 관하여 통일설 그 가운데서도 공 평설에서 독일의 논의를 받아들인 비통일설인 유형론에 기한 논의들이 전개되면서 다른 어떠한 분야보다도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부당이득의 반환범위에 대하여는 점유자의 과실귀속권과 관련하여 민법 제201조-제203조와의 관계에 관한 논의가 주종을 이루고 있거나, 유형론에 입각한 판례검토 등이 되고 있다. 그러나 부당이득의 반환범위와 관련하여 민법 제747조·제748조의 해석론을 전개한 논문은 그렇게 많은 것 같지는 않다. 본 논문은 민법 제747조·제748조를 중심으로 부당이득의 반환범위를 검토하였다. 민법 제748조가 부당이득반환범위의 일반조항이라고 보는 것이 통설이지만, 사견으로는 선의수익자의 경우 원물반환의 경우에는 제741조에 의하고, 가액반환의 경우에는 제748조 제1항에 의하여야 한다는 점과 악의수 익자의 경우에는 원물과 가액반환 모두 제748조 제2항에 의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선의수익자의 반환범위와 관련하여, 원물반환이 가능한 때의 원물반환과 원물반환이 불가능한 경우의 현존이 익반환을 살펴보면서 문제되는 부분(선의수익자의 선의의 개념, 운용이익, 현존이익의 문제 등)을 검토하였다 . 반면, 악의수익자의 반환범위와 관해서는, 제748조 제2항의 이자반환의 성격과 손해배상의 성격 등을 검토 하면서 이들의 성격이 부당이득반환 또는 부당이득반환의 특별규정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is mainly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the provisions concerning a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under Civil Act §§ 747-748. According to § 747 (1), it is defined as “if the person enriched is unable to return the Object itself which he has received, he shall return the vlaue of the object.” And according to § 748, it is defined as ‘a person enriched in good faith shall be liable to act as set forth in Article 747 to the amount that he still possesses of such benefits(paragraph 1),’ and ‘a person enriched in bad faith shall return the benefits received by him together with interest, and if there has been any damage, he shall be bound also make compensation (paragraph 2).’According to these provisions, the return of the original is a principle, the return of the vlaue of the object is the exception. Well, it is conflict that whether Article 748 is the general provisions appling to not only a return of a value of a object, but a return of the object itself. In my opinion, § 748 (1), is not the general rule, and a person enriched in good faith shall return the object itself by § 741, and a value of a object by § 748 (1). But a person enriched in bad faith return both a object itself and a value of a object by § 748 (2). And I exp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scope of the return of the beneficiaries of the malicious and range of the return of the beneficiary of good faith.

      • KCI등재

        보험금청구권과 보험금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에 관한 연구

        이훈종 ( Hun Jong Lee ) 한국법정책학회 2014 법과 정책연구 Vol.14 No.1

        대법원은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담보특약에 의하여 보험금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2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판결하였다. 상법에 의하여 피해자가 보험회사에게 직접적으로 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대법원은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많은 대법원판결의 법리에 따르면 3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 대법원은 보험회사가 보증보험계약의 무효를 이유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5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판결하였다. 그러나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을 위탁 받은 보험사업자가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10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판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법원처럼 소멸시효기간을 정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담보특약에 의하여 보험금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와 상법에 의하여 피해자가 보험회사에게 직접적으로 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보험회사가 보증보험계약의 무효를 이유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와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을 위탁 받은 보험사업자가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역시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다. 사정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면 소멸시효기간을 각각 다르게 판단하고 있는 대법원판결이 타당하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본 모든 사건들에서는 보험회사가 우연한 사고의 발생을 이유로 금전을 지급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각에서 보험금청구권과 보험금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에 관한 법률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two years when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benefits is exercised according to an uninsured motorist insurance. Although the Supreme Court is showing mixed views on cases when the victim, in accordance with the Commercial Law, exercises his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ance company, according to the legal principle of many the Supreme Court rulings, the prescription period is three year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an prescription period is five years when the insurance company exercises its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on the grounds that the surety insurance contract is invalid. However, when an insurer who has been commissioned with the guarantee of automobile compensation business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the prescription period is ten years. Thu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in various ways on the prescription period. In this paper, we discuss if it is reasonable to determine the starting point and the prescription period in a complex way. There are common features,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the case where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benefits is exercised according to the uninsured motorist insurance and the case where the victim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ance company. Similarly, there are also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ase where the insurance company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on the grounds that the surety insurance contract is invalid and the case where the insurer who is commissioned with the guarantee of automobile compensation business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The rulings of the Supreme Court are reasonable if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fact that circumstances are different. But all previously discussed cases have in common that insurance companies make payments due to accidents. Considering tha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t is more reasonable to determine the prescription period in a simple manner than to complicate the matter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m. Simplifying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benefits and the prescription period of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insurance benefits solves the legal problem in a simple and clear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