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읍줄풍류 본영산과 국립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의 대금선율 비교연구

        서경숙 ( Seo¸ Kyoung Suk ) 전북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23 예술과 문화 Vol.4 No.0

        정읍줄풍류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하고 있는 이리줄풍류나 구례줄풍류보다 더 오래된 연원을 지니고 있으며, 각 지방 줄풍류의 형성에 초석이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지방 줄풍류의 본산이라 할 수 있는 정읍줄풍류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는 국립국악원줄풍류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밝혀보고자 했다. 악곡으로는 정읍줄풍류 본영산과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을, 대금곡을 중심으로 악곡 구조 및 선율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정읍줄풍류의 본영산은 1장 3각, 2장 4각, 3장 4각, 4장 3각, 5장 3각의 총 5장 17각으로 구성되었고, 국악원줄풍류의 상영산은 1장 3각, 2장 4각, 3장 4각, 4장 6각의 총 4장 17각으로 구성되었다. 장의 구분은 정읍줄풍류의 5장과 국악원줄풍류의 4장으로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 각 수는 모두 17각으로 동일하였다. 1각의 구성은 정읍줄풍류 본영산과 국악원줄풍류 상영산 모두 4대강 20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읍줄풍류 본영산 장단은 각 대강의 나눔이 6·4·6·4박으로 나누어져 있고, 국악원줄풍류 상영산 장단은 각 대강의 나눔이 6·4·4·6의 형태로 나누어져 있다. 정읍줄풍류 본영산은 E=황종이 기본음인데 비해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은 Eb=황종으로 정읍줄풍류가 국악원줄풍류보다 반음 높다. 시작음과 종지음은 두 곡 모두 임으로 시작해서 완전 4도 위의 음인황으로 종지하는 형태이다. 정읍줄풍류 본영산은 출현하는 음을 기준으로 임(B)·남(C#)·황(E)·태(F#)·중(A)이고, 국악원줄 풍류 상영산은 출현하는 음을 기준으로 임(Bb)·무(Db)·황(Eb)·태(F)·중(Ab)이다. 본영산에서는 상영산에 출현한 무역 대신 남려가 출현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골격음을 기준으로 두 악곡 간의 선율 비교는 두 악곡 모두 전체 68대강에서 거문고 솔로 부분을 제외한 66대강 중 동일 선율이 23회(34.8%), 유사 선율이 26회(39.4%), 다른 선율이 17회(25.8%)로 나타났다. 즉 동일하거나 유사한 선율이 74%로, 두 곡이 전체적으로 비슷한 흐름의 선율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율은 비슷하지만 악보상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읍줄풍류 본영산은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에 비해 리듬이 간결하여 담백한 느낌을 주고,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은 골격음에서 리듬이 확장되어 잔가락이 많아 화려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정읍줄풍류 본영산과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은 A선율과 B선율이 반복되는 구조이다. 반복되는 위치로 통일된 구조를 지니는데, A선율은 각 장의 마지막 각의 1·2대강에서 반복되고(상령산은 본령산과 다르게 5장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5장 3각이 아닌 4장 6각의 1, 2대강에서 반복), B선율은 1, 2, 3, 5장의 마지막각 3·4대강에서 반복된다. 즉, 매 장의 마지막 부분은 동일한 가락이 반복되는 통일감을 보인다. 이로써 정읍줄풍류 본영산과 국악원줄풍류 상영산의 차이를 알 수 있었고, 이후 나머지 악곡들도 순차적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 같다.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Bonyeongsan tunes of Jeongeup Julpungryu and Sangyeongsan tunes of Gukakwon Julpungryu in tune structure and melody differences around Daegeum pieces.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consists of five chapters and 17 gaks in total including three gaks in Chapter 1, four in Chapter 2, four in Chapter 3, three in Chapter 4, and three in Chapter 5.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is comprised of four chapters and 17 gaks in total including three gaks in Chapter 1, four in Chapter 2, four in Chapter 3, and six in Chapter 4. Even though they had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hapters with the former and latter having five and four chapters, respectively, they were the same in the number of gaks at 17. Each gak consists of four daegangs and 20 beats both in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and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In the beats of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each daegang is divided into 6·4·6·4 times. In those of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each daegang is divided into 6·4·4·6 times. While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uses E=Hwangjong as its basic note,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does E<sup>b</sup>=Hwangjong as its basic note, which means that the former is higher than the latter by a semitone. As for starting and cadence notes, both the pieces begin with Im and end in Hwang, which is a perfect 4th Wieum. As for scale,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is in a re scale of Im(B)·Nam(C<sup>#</sup>)·Hwang(E)·Tae(F<sup>#</sup>)·Jung(A) based on its notes.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is in a re scale of Im(B<sup>b</sup>)·Mu(D<sup>b</sup>)·Hwang(E<sup>b</sup>)·Tae(F)·(A<sup>b</sup>) based on its notes. In Bonyeongsan, the difference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Namryeo appears instead of the trade that appeared in Sangyeongsan. The study compared the two pieces in melodies based on structure notes and found that the two pieces had the same melodies 23 times(34.8%), similar ones 26 times(39.4%), and different ones 17 times(25.8%) in 66 of the entire 68 daegangs except for the Geomungo solo part. That is, the same or similar melodies accounted for 74%, which suggests that the two pieces shared melodies in similar flows overall. Despite their similar melodies, however, they have different feelings on scores. Bonyeongsan of Jeongeup Julpungryu has light feelings based on their more precise rhythms than Sangyeongsan of Gukakwon Julpungryu, which has splendid feelings based on abundant smaller melodies from the expanded rhythms of structure tones. The Jeongeupjulup-pungryū Bonyeongsan and the Gugakwonjulūpungryūsangs an are structures in which the A and B melodies are repeated. It has a unified structure with repeated positions, and the A melody is repeated in the 1st and 2nd major rivers of the last angle of each chapter (unlike the main song, the Sangyeongsan is not composed of 5 chapters, so it is repeated in the 1st and 2nd rivers of the 4th chapter and 6 angles instead of the 5th chapter and 3 angles), and the B melody is repeated in the last angles of the 1st, 2nd, 3rd, and 5th chapters. In other words, the end of each chapter shows a sense of unity in which the same rhythm is repeated.

      • KCI등재

        본산대놀이의 음악에 관한 추론 -1930년대 채록본을 중심으로-

        임혜정(Im Hye-j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4 No.-

        본고에서는 1930년대의 양주별산대놀이, 봉산탈춤 채록본 비교 검토를 통해 현재는 단절되어 버린 본산대놀이의 음악을 추론해 보고자 했다. 그 결과 〈영산회상〉 계열음악, 〈십이가사〉, 〈세마치〉, 경기무속음악 등을 본산대놀이의 음악으로 짐작해 볼 수 있겠으며 근거는 다음과 같다. 상좌가 춤을 추는 장면의 경우 1930년대 채록본을 살펴보면 봉산탈춤에서는 〈긴영산〉, 양주별산대놀이에서는 〈염불〉이 연주되었다. 그 중에서도 봉산탈춤의 〈긴영산〉이 더 이전의 형태로 판단된다. 그리고 노승이 등장하는 장면에 나오는 십이가사는 19세기 후반 이후 서울 및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했던 음악으로, 같은 시점 서울에서 연행했던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에서 이를 포함시켰을 것이다. 즉, 십이가사의 삽입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서 연행되었던 본산대놀이의 특징적인 요소였다. 또한 양주별산대놀이의 중소무당(小巫堂) 두 명이 추는 춤의 반주음악으로 1930년대의 채록본에서는 〈중령산〉이 기록되어 있다. 〈중령산〉은 궁중 및 풍류방에서 연주되었던 기악모음곡 영산회상 중 한 곡으로 궁중 및 지방관아의 연회에서 추는 춤의 반주음악으로 사용되던 음악이다. 이러한 〈중령산〉의 연주 역시 본산대놀이 음악의 흔적이라고 짐작해 보는 바이다. 그리고 양반이 연주하는 장면에서는 〈굿거리〉, 〈세마치〉와 같이 양반을 특정 짓는 음악을 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봉산탈춤에서 판소리라는 음악 장르를 차용한 노래들의 사설을 확인해보면 주로 20세기 이후 유행한 곡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미 본산대놀이의 전승이 단절된 이후, 판소리의 유행에 영향을 받아 봉산탈춤 연희자들이 판소리풍의 노래를 삽입하게 된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양주별산대놀이의 유사한 장면에서 연주되는 음악은 가망청배의 무가, 〈노랫가락〉 장단 등이었다. 즉, 지역적인 당위성, 시대적 흐름 등을 고려해 보았을 때 서울 및 경기지역에서 유행했던 본산대놀이의 해당 장면에서는 판소리풍의 음악보다는 서울 및 경기도의 무속 음악이 주로 연주되었다고 보아할 것이다. Bonsandaenori style mask play is no longer performed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fer the Bonsandanori style mask play music by examining the scripts of Yangjubyeolsandae(양주별산대) and Bongsan mask play(봉산탈춤) from the 1930s. The first part of the mask play begin with sangjwa dance. In this part,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play the old style Ginyeongsan(긴영산) like Bongsan Mask Play. Unlike the Bongsan mask play, in Yangjubyeolsandae ‘old monk’ scene, Sipiigasa(十二歌詞) played more often. Sipiigasa was the most popular vocal music around the Seoul boundary in early 20th. In ‘Somudang(小巫堂) dance’ part, Jungryungsan(중령산) was played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 Somudang characters changed from the local district office’ related woman to female shaman character. The music of this Somudang dance part reflects the originality of the character’s identity. In ‘Yangban(양반)’ scene, Gutgeori(굿거리) or Semachi(세마치) was played in both Bongsan and Yangju style Mask Play. This kind of music piece was known as the music of the Yangban class music. On the other hand, the ‘old couple dance’ scene, Pansori(판소리) was played in 1930’s Bongsan Mask Play, but Seoul boundary shamanistic music was played in Yangju style. The Pansori songs played in mask play are mainly from the early 20th popular repertory. After reviewing the Yangjubyeolsandae and Bongsan Mask Play script from the 1930’s,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music played in Bonsandaenori Mask Play was mainly performed in Seoul boundary shamanistic music style.

      • KCI등재

        전주 농삼현에 대한 악곡분석

        송상혁 ( Sang Hyeok Song ) 남도민속학회 2007 남도민속연구 Vol.14 No.-

        전주지역 관아에서 전승된 농삼현의 악곡 분석 결과를 1985년 녹음 자료를 통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속도를 보면 본영산-느린도드리-굿거리는 ..=50이며, 타령-자진타령-승전곡은 ..=60으로 큰 차이를 두지 않는다. 장단은 장고장단 없이 호흡으로 연주하는 본영산, 3분박 6박자로 연주하는 느린도드리, 승전곡, 마지막으로 3분박 4박자인 굿거리, 타령, 자진타령으로 구분된다. 형식은 대개 A를 반복하거나 새로운 선율인 B를 제시한다. 이러한 A나 B선율은 다시 A``, A```` 혹은 B``, B````로 변주되어 반복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음역은 악곡에 따라 1옥타브+장6도, 완전4도, 완전5도, 단3도, 1옥타브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었다. 골격음은 본영산, 느린도드리, 승전곡은 sol-do``-re``(4도+2도)이고, 굿거리, 타령, 자진타령은 re-sol-la(4도+2도)이다. 이에 따라 주변음들의 지향점이 되는 지배음은 sol-do``, re-sol이라 할 수 있다. 시김새를 보면 본영산에서 요성은 sol.la.do``.re``.mi``.sol``이며, 퇴성은 re.la, 퇴성했다가 추성하는 음은 re이다. 느린도드리의 요성은 sol.do``.re``.mi``이며, 퇴성은 la, 퇴성했다 추성하는 음은 re``이다. 승전곡의 요성은 sol.re``이며, re는 퇴성한다. 본영산, 느린도드리, 승전곡의 시김새에서 공통적인 요성음은 sol, re``이다. 굿거리의 요성은 re.mi.la.mi``이며, 퇴성은 La이고, 추성하는 음은 la이다. 타령의 요성은 re.sol.la이며, 퇴성은 La이고, 추성하는 음은 la이다. 자진타령의 요성은 re.la이며, La를 퇴성한다. 굿거리, 타령, 자진타령에서 공통적인 시김새는 re, la의 요성이며, La를 퇴성한다는 점이다. 종지음을 보면 본영산, 승전곡은 do``, 느린도드리와 굿거리는 sol, 타령과 자진타령은 re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농삼현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농삼현의 특징이 좀 더 구체적으로 드러나기 위해 서는 같은 지역에 뿌리를 두고 있는 전주 민삼현과의 비교를 비롯하여, 각 지역의 삼현육각 음악을 연계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 삼현육각은 오래 전부터 관아와 민간에서 전승되어온 소중한 우리의 문화자산으로, 각 지역마다 독창적인 음악문화를 형성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여러 가지 어려운 여건으로 인하여 점차 그 전승이 어려워지고 명맥이 끊길 위기에 처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전주 농삼현의 전통을 잇고자 노력하는 분들이 있다는 것은 참으로 의미있는 일이 아닐 수 없으며, 본 연구가 각 지역의 삼현육각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데 자그마한 보탬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Nongsamhyeon that was performed in governme nt office in Jeonju can be concluded as follows. The sound sources used for the musical analysis are the recordings made in 1985. The tempo of Bonyeongsan-Ne urindodeuri-Gutgeori is ..=50, and that of Taryeong-Jajintaryeong-Seungjeongok is ..=60. The rhythmic cycles used for this music are divided into three kinds. Bonyeongsan is performed according to breathing without rhythmic cycles. The rh ythmic cycle of Neurindodeuri and Seungjeongok is composed of six beats with tri pple subdivisions and that of Gutgeori, Taryeong and Jajintaryeong is four-beat ja ngdan with tripple subdivisions. In the musical form, A is generally repeated or B, a new melody, is presented. These A and B melodies are varied into A′, A″ or B′, B′. Musical range of the music varies from one octave to one octave and major sixth. The main tones of Bonyeongsan, Neurindodeuri, and Seungjeongok are soldo′- re′(4th+2nd) and those of Gutgeori, Taryeong, and Jajintaryeong are re-sol-la (4th+2nd). The ruling tones to which surrounding tones point are sol-do′, re-sol. In Bonyeongsan, sol, la, do′, re′, mi′, and sol′ are vibrated and re and la often slide down. Re that is slided down sometimes slides up again. Sol, do, re, and mi in Neurindodeuri vibrate, la slides down and the tone that slides down and up again is re. Sol and re are vibrated in Seungjeongok and re slides down. Sol and re are vibrated in all the three pieces. In Gutgeori, re, mi, la, mi′ are vibrated, La slides down and la is fast pushed up. In Jajintaryeong, re and la is vibrated and La slides down. The common embellishments of Gutgeori, Taryeong, and Jajintaryeong are the vibration of re and la and sliding La down. The cadence tone of Bonyeongsan and Seungjeongok is do, that of Neurindodeuri is sol (sol-d o′-re′). The cadence tone of Gutgeori is sol (re-sol-la), and that of Taryeong and Jajintaryeong is 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with Jeonju Minsamhyeon that is rooted in the same region and with other Samhyeonyukkak of each region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Nongsamhyeon better. Samhyeonyukkak is a Korean important cultural asset that has been performed at government offices and among folks for long. It has formed unique musical culture in each region. It is frustrating that it becomes more and more difficult to hand down the culture. Fortunately, there are some people who make great efforts to keep the tradition of Nongsamhyeon. I wish this research would be of some help to succeed and develop the tradition of Samhyeonyukkak.

      • KCI등재

        지영희 해금 줄풍류의 시김새 연구

        김현희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40 No.-

        지영희 해금 줄풍류는 현전하는 유일한 민간 풍류 해금가락으로 국악예술학교에서 펴낸 『해금교본』에 남아있는 악보를 통해 전승되어 왔으나 악보만으로는 음악의 실체를 알기 어려웠다.1969년 김호성이 지영희 자택에서 직접 녹음한 지영희 해금 줄풍류 연주 음원은 그동안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으나 지영희가 직접 연주한 최초이자 유일한 음원으로 충분한 연구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악보만으로는 알지 못했던 지영희 줄풍류의 시김새를 고찰하였다. 지영희 줄풍류 본영산의 출현음은 B♭, -c, +d, f, -g, (a,) b♭, -c', +d', f‘이며 중려 기준 b♭으로 연주한다. 본영산에 사용되는 시김새는 크게 골격음 사이를 채우며 잔가락을 붙이는 선율적 시김새와 골격음을 꾸미는 장식적 시김새로 나눌 수 있다. 선율적 시김새는 ㉠ 하행선율을 시작으로 상행과 하행을 번갈아 반복하는 형태, ㉡ 장식음을 삽입하여 리듬을 분할하는 형태, ㉢ 상행선율을 시작으로 하행과 상행을 번갈아 반복하는 형태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각 음 별 시김새 적용 빈도수를 살펴보면 ㉠은 -c'에 30회가 나타나고, ㉡은 b♭에 25회, ㉢은 f에 57회로 각 유형이 특정 음에 압도적인 횟수를 보여 각 음별로 적용되는 특정한 시김새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선율적 시김새는 몇 박에 걸쳐 사용되느냐에 따라 동일한 시김새를 쓰더라도 리듬 변주를 통해 변화를 주며, 음정의 폭을 넓히며 변주하기도 한다. 장식적 시김새는 ㉣ 골격음에 근접한 아래위 음으로 장식하는 앞꾸밈음, ㉤ 4도 도약하는 앞꾸밈음, ㉥ 하행하는 두 개의 장식음 중 두 번째 장식음에서 활 방향을 바꾸어 강세에 변화를 주는 앞꾸밈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음 별 시김새 적용 빈도수를 살펴보면 ㉣은 -c'에 19회 나타나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으며, ㉤과 ㉥은 b♭에만 각각 7회와 14회 사용되었고 다른 음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장식적 시김새와 선율적 시김새는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관용구를 형성하기도 한다. ㉣은 ㉠과 주로 결합하여 사용되고, ㉥은 모든 경우에 ㉠과 결합함으로써 관용구를 형성한다. 농현은 f와 -c(-c')에만 나타나 농현을 하는 음과 하지 않는 음의 구분이 확실했다. 농현의 양상은 한 박 이하일 경우 처음부터 농현하고 두 박일 경우 두 번째 박부터 떠는 것이 다수로 나타나 규칙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영희 해금 줄풍류에 쓰이는 다양한 시김새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으며 특히 각 음에 부여되는 특징적인 시김새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줄풍류가 동일한 구조 위에서 자신의 가락을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는 음악인만큼, 지영희의 줄풍류는 다양성의 한 예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줄풍류의 본질을 다시 한 번 상기하고, 나아가 실제 연주에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Ji Younghee’s Haegeum Julpungnyu is the only remaining melody in Mingan-pungnyu (pungnyu music enjoyed by folk musicians). The music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a score in Haegeum Gyobon (a haegeum textbook) published by Ji Younghee himself, but it was difficult to know the substance of music by the score alone. Ji’s Julpungnyu performance recording from 1969 was not known until recently, but it is the first and only sound source played by him and thus worth studying. This study examines the sigimsae (musical ornaments or embellishing gestures) of Bon-yeongsan, the first piece of Julpungnyu. The sigimsae used in Bon-yeongsan can be divided into melodic sigimsae that fills between main notes and decorative sigimsae that embellishes the main notes. There are three types of melodic sigimsae, each of which appear around particular pitches; such tendency shows that particular sigimsae is applied for certain notes. Three types of decorative sigimsae are used as well in the piece. Melodic sigimsae and decorative sigimsae can together form an idiomatic phrase. The vibrato mostly starts at the beginning of the assigned note when the note is less than one beat long, and starts from the second beat when the note duration is more than two beats. As discussed above, there are certain rules for using various sigimsae types in Ji Younghee’s Haegeum Julpungnyu, and in particular, certain characteristic sigimsae are assigned to certain notes. Ji presents a meaningful approach to create a flexible performance over the underlying structure of Julpungnyu.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e essence of Julpungnyu and help musicians prepare for actual performances.

      • KCI등재

        나주 삼현육각의 전승 양상과 특징

        김미영 한국국악학회 2019 한국음악연구 Vol.66 No.-

        This paper examines the tra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Naju samhyeon-yuggag based on the sound source data obtained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s focusing on those who can testify about the tradition patterns of Naju samhyeon-yuggag. Naju samhyeon-yuggag started from Park Pan-seok, a member of Naju’s coalition of shamans and 1st Piri runner. His musical were handed to Naju’s Lim Sam-bong and his son Lim Dong-sun. Naju samhyeon-yuggag, owned by LIm Dong-sun, was designated as the Jeonnam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3 in 1986, and Lim Dong-sun was recognized as the holder. Later, Kim Ki-jong, the founder of the Naju City Samhyeon-yuggag Concert Group, restored three of Naju samhyeon-yuggag’s music pieces, but among them, <Bornyeongsan> was found to be incomplete. Lim Dong-seon left Naju samhyeon-yuggag’s Piri melody as a sound source when he could not play an instrument in his old age. Among the Naju samhyeon-yuggag sound sources left by Lim Dong-sun, the following results were examined. Samhyeon-yuggag is derived from Seoul, Gyeonggi area, but the number of movements is the same as that of Honam samhyeon-yuggag passed down in Jeonju and Goheung area. Can b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Naju samhyeon-yuggag are as follows. First, it is used in the form of cyclic repetition of the melody and A-B-Aˊ. Secondly, It is the point that there are three scale configurations, namely, <Bornyeongsan>․<Gusgeoli> scale (sol­la­doˊ­reˊ­faˊ), <Junglyeongsan>․<Jan-yeongsan>․<Yeombul>․<Talyeong> scale (sol­la­doˊ­reˊ­miˊ), <Heoteuntalyeong> scale (mi­sol­la­doˊ­reˊ). Third, it is the progress of the various melodies that appear in the fast-paced music <Talyeong> and <Heoteuntalyeong>. <Talyeong> is a convex melody, a taegeuk melody, and a water melody. He uses various rhythmic forms of Earthy, and Heoteuntalyeong is a Daegu melodic type that brings the melody to life. The sound source data used in this paper is not reported to the academic community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research and restoration of Naju samhyeon-yuggag. 본고는 나주 삼현육각 전승자 및 전승에 관하여 증언이 가능한 이들을 중심으로 인터뷰 한 내용과 조사를 통하여 확보한 음원자료를 토대로 나주 삼현육각의 전승 양상과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나주 삼현육각은 나주 신청소속의 대방이자 목피리 주자 박판석으로부터 시작되며, 그의 피리가락은 나주출신의 악사 임삼봉과 그의 아들 임동선에게 전해졌다. 임동선이 보유한 나주 삼현육각은 1986년 전남 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고 임동선은 보유자로 인정받았지만, 이듬해 노환으로 별세하면서 문화재 지정이 해제되며 전승은 끊어졌다. 이후 전승자 김기종은 나주시립삼현육각연주단을 창립하며 나주 삼현육각 중 3곡을 복원했지만 그 중 <본령산>은 임동선의 가락과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임동선은 노년에 악기를 부를 수 없게 되자 나주 삼현육각의 피리가락 구음을 음원으로 남겨두었다. 임동선이 남긴 나주 삼현육각 음원 중 <본령산>․<중영산>․<잔영산>․<염불>․<타령>․<군악>․<굿거리> 등을 고찰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주 삼현육각은 서울․경기 삼현육각에서 유래하였으나 악장의 수가 전주․고흥지역에서 전승하는 호남 삼현육각의 구성과 같은 점과 장단의 박이 유동적이며 변형 된 것으로 보아 호남에서 행하는 의식에 맞도록 재배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나주 삼현육각의 음악적 특징은 첫째, 선율을 반복하는 환두환입형식과 A-B-Aˊ형식으로 구사한 점이며, 둘째 <본령산>․<굿거리> 음계(e♭­f­a♭­b♭­d♭ˊ), <중령산>․<잔영산>․<염불>․<타령> 음계(e♭­f­a♭­b♭­cˊ), <군악> 음계(c­e♭­f­a♭­b♭)의 세 가지 음계 구성이 나타나는 점이다. 그 중 <굿거리> 구성음 중 최고음을 반음 올려서 연주하는 것은 호남 삼현육각의 특징이라 하겠다. 셋째 속도가 빠른 악곡인 <타령>과 <군악>에서 나타나는 다채로운 선율 진행이다. <타령>은 ‘볼록선율형’, ‘태극선율형’, ‘물결선율형’ 등으로 선율선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소박의 리듬형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으며, <군악>은 ‘댓구 선율형’으로 선율에 생동감을 불어 넣는 특징을 갖는다. 본고에 활용된 음원 자료는 학계에 보고되지 않는 자료로 나주 삼현육각의 연구와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