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와 식민지 조선 문화 -전시 유물을 중심으로-

        김인덕 서울역사편찬원 2010 서울과 역사 Vol.- No.76

        근대 역사학에서 식민지 경험은 각종 현재적 문제를 풀어내는 요소를 제공하며 동시에 발전지상주의적 근대성론이 갖고 있는 정치적 목적지향론에 대한 객관적 시점을 제공한다. 동시에 지역의 다양성에 대한 역사적 경험에 대한 객관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시는 미학, 흥미위주의 전시와 정보를 제공하는 전시 그리고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전시 등이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정치적인 의도가 전제된 조직된 왜곡의 현장이었다. 특히 시종일관 관장을 겸임한 藤田亮策과 같이 철저하게 관변학자의 조직적인 지도와 지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전시학적인 차원에서의 합리적인 전시는 오브제들 사이의 유사성과 유전학적 관계 보편성에 기초한 전시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는 본질을 흐리는 전시로밖에 설명이 불가능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위치상으로 볼 때 국가 조선과 조선 황실의 권위를 의도적으로 축소하는 데서 출발했다. 황실을 전시공간으로 만들고 역사성이 일탈된 공예품적 관점의 전시를 의도한 것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이었다. 실제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공진회의 미술관을 계승하면서 출발하여 의도된 공간이었다. 조선총독부라는 지배자의 의도가 반영된 전시는 왜곡된 고대사와 축소된 조선시대를 핵심적인 공간으로 했다. 이러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본관의 상설전시는 불교, 대외관계, 왜곡된 상징성에 주목하여 한민족 문화의 본질, 시민적 요구, 인간중심주의에 벗어난 식민지적 왜곡을 진행한 ‘식민지 근대’를 보여주는 공간이었다. 핵심적인 전시품은 역사, 문예, 종교, 미술, 공예품과 선사시대의 유물이었는데 비교 전시의 방법을 통해 중국과 인도 및 일본의 유물을 동시에 보여주면서 왜곡된 역사상을 만들어 냈다. 결국 조선총독부박물관의 건립으로 경복궁은 ‘12만여 평의 대박물관’이 되었다. 특히 용도가 바뀐 공진회 미술관을 활용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는 전시 기법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적은 공간에 대량의 유물이 무매개적으로 전시되면서 시대별, 종류별, 나열식 비교전시를 했다. 아울러 전시실 구조와 채광, 조명 등의 시설도 절대 문제를 갖고 있었다. 특히 부수적인 전시 공간으로 경복궁 내의 근정전, 사정전, 수정전 등을 사용한 것은 박물관의 조건으로서는 왜곡된 시설의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그 내용을 ‘식민 통치 정치’가 장악하여 타율성과 정체성, 일본 문화 중심적 관점의 심미안에 따른 불교 중심의 조선 문화를 강조하는 공간으로 전락했다. Colonial experiences in modern history provide elements solve present problems also provides objectification about political purposeful process that modern doctrine theory’s development for development’ sake included. At the same time, it requests objectification about diversity and historical experiences in region. Exhibitions are displaying esthetics, interests, information, and exhibition that shows ideas.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s the place where involved political purpose and manipulated distorted museum. In particular, this museum was supported and advised by thorough official scholar such as Fujida Ryosaku who had been director for a long time. Rational exhibition in academic could be explained as exhibition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similarities and genetics among objects. Exhibitions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an only be expressed as losing essence. When seeing the loca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started with intention reduce throne and royal authority. Japanese remodeled imperial rooms as exhibition space where displayed relics which lost historical meaning. Indeed, main building exhibi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the intended museum that inherit exhibition art gallery. Exhibition in the museum clearly presented ruler’s purpos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mainly about distorted ancient history and scaled chosun history down. Permanent exhibition in main building of museum took notice of Buddhism,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istorted symbols so that this was the place for showing distorted colonial era essence of Korean culture, demand as a citizen, anthropocentricism. Essential exhibits were the time of the prehistoric age such as history, religious, fine art, literature, handicrafts. Throughout compare with Chinese, Indian artifacts, Japanese made distorted history. To conclude, since the establishment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Kyung-bok palace became giant museum that involves 98 acre. Especially, there is an exhibit problem that permanent exhibition of main building untilized from art gallery. While many of relics displayed in limited space, they categorized with era, species. Also, structure of exhibition and lightning, skylight had problem as museum. In particular, using Keunjeong-jun, Sajeong-jun, and Sujeong-jun in Kyong-bok palace as displaying space was example of distorting facility and places. Followed exhibition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ventually determined that Chosun culture as Buddhist in terms of Japanese aesthetic view by colonial ruling in Korea.

      • KCI등재

        고려 전․중기 外官의 京官 兼帶

        손영득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0

        This study considered how the Gyeonggwan Gyeomdae(京官兼帶) system that Local Administrators appointed as Capital Officials was operated and what wa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such a system in the Early and the Middle periods of Goryeo.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unlike the existing understanding, Bonpum(本品) and Bancha(班次) were different. Bonpum had particular Pumgye. But Bancha included concurrent posts which didn’t have Pumgye(品階). In Goryeo, Bonpum played a role of Gwangye(官階). This role was played by Jiksagwan(職事官). On the other hand, Bancha represented a pecking order in relation to the job and an appropriate stipend was given. To sum it up as the Gyeonggwan Gyeomdae system, Capital Officials were linked to Bonpum and Local Administrators were linked to Bancha. Second, Bonpum wasn't connected to a stipend. Instead, Jeonsigwa(田柴科) correctly indicated Bonpum. The reason is that Jeonsigwa includes Geomgyo(檢校) and Dongjeong(同正) and accurately reflects the official uniform system. Thir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Gyeonggwan Gyeomdae system related the acceptance of the Bongwangye(本官階) system in Song Dynasty. In particular, Bonpum and Bancha of Goryeo accepted Bonpum and Habban(合班) system of the Song Dynasty, respectively. Like this, The background of the Gyeonggwan Gyeomdae system’s acceptance of the Bongwangye system was related to having a silmilar experience between Goryeo and Song Dynasty. Along with this, the trend of accepting the Chinese system appeared during the Gwangjong-Seongjong period, and the Gyeonggwan Gyeomdae system was established between 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 and the 1st year of King Mokjong. 본 연구는 고려 전․중기 外官의 京官 兼帶 제도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며, 이것이 어떤 배경에서 성립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외관의 경관 겸대 제도의 운영에 관해 선행 연구에서는 외관의 겸대 경관으로 나타내던 本品이 班次를 알려주었으며, 반차에 걸맞은 녹봉액이 부여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두 용어를 검토해본 결과, 반차는 품계가 없는 외관ㆍ겸직까지 포괄하고 있어 품계를 갖고 있는 본품과 의미가 달랐다. 즉 본품은 관료의 질서체계를 나타내는 官階의 역할을 했는데, 고려에서는 이를 직사관함이 맡고 있었다. 반면 반차의 경우는 관료의 실제 직무와 관련한 서열을 나타내었으며, 그에 걸맞은 녹봉액이 부여되어 있었다. 외관의 경관 겸대 제도를 가지고 이를 정리하자면, 겸대 경관은 본품과 연결되었으며 외관은 반차와 연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품이 녹봉과 연결되었다는 기존의 이해와 달리 전시과가 본품을 정확히 나타내었다. 그 근거로는 전시과가 겸대 경관으로 사용되었던 檢校ㆍ同正까지 포괄하였던 점, 겸대 경관의 사례들은 대부분 전시과에 포함되었다는 점, 전시과가 복색 규정을 정확하게 반영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편 고려에서 외관의 경관 겸대 제도가 성립된 배경은 송의 本官階를 수용한 것과 관련이 있다. 특히 고려의 본품과 반차는 각각 송의 본품과 合班之制를 수용하여 만든 것이었다. 이처럼 고려가 송의 본관계를 수용한 배경은 지방에 대한 집권력의 강화 과정에서 서로 유사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던 것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한 경험과 함께 광종~성종 대에 중국제도를 수용하려는 흐름이 나타나면서 성종 14년(995)~목종 원년(998) 사이의 시기에 외관의 경관 겸대 제도가 성립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