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복합외상질문지(CTI)의 타당화 연구

        김소희(KIM, Sohee),유금란(Yu, Kumla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외상질문지(Complex Trauma Inventory: CTI, Litvin, Kaminski, & Riggs, 2017)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CTI의 요인구조를 확인, 타당화하는데 있다. CTI는 새로 개정된 ICD-11(WHO, 2018)의 복합외상후 스트레스 장애(CPTSD) 진단준거를 바탕으로 개발된 질문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 210명 중 외상사건 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16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복합외상증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성의 복합외상증상이 남성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복합외상증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외상유형에 따라 복합외상증상의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20문항으로 구성된 2요인 위계모형을 확인하였다. CTI의 하위요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요인(PTSD)과 자기조직화 곤란 요인(DSO), 모든 하위요인들 간 상관관계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척도의 추가적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복합외상후 스트레스 척도(SIDES- SR), 핵심신념 붕괴 척도(CBI)와 CTI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증 결과, CTI의 모든 하위요인이 SIDES-SR, CBI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수렴타당도에서 타당한 결과를 보였다. 증분타당도 검증 결과, SIDES-SR에 대해 CTI가 추가적인 설명량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ICD-11의 새로운 진단명인 CPTSD를 바탕으로 하는 복합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측정하는 척도를 번안, 타당화하여 국내 복합외상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Complex Trauma Inventory(CTI) originally developed by Litvin, Kaminski & Riggs(2017) in the Korean context with factor analysis. The CTI was developed based on the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finition and a new disorder CPTS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newly revise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ICD-11). This study analyzed 160 copies of 210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 having traumatic incidents. Results of this study, CTI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also among different types of trauma, but not across different age group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wo factors second-order model, each measured by 3 first-order factors and all factors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for PTSD and DSO(disturbances in self -organization). Convergent and incremental validity of the CTI were good with other CPTSD scale (SIDES-SR) and the core belief scale(CBI).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were valid to use for Korean sampl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종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D시의 위탁가정에 입양된 16세 남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60분씩 주 1회 총 23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을 위한 도구로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면접지(Complex PTSD Interview: CPTSD-Ⅰ)와 외상 후 성장 척도(Korean version of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사후⋅추후검사를 원점수와 백분율로 하였고, 프로그램의 단계별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초기에는 대상자와 연구자 간의 신뢰감을 형성하고 안전 기지를 확립하며, 중기에는 드로잉-명상을 통하여 몸을 알아차리고 몸에게 물어 보는 등 몸에 남아 있는 기억을 회생시켜 학대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애도하기를 경험한다. 종결단계에서는 드로잉-명상을 통하여 몸을 알아차리고 몸을 통하여 자신의 긍정적인 부분과 에너지를 찾아 일상과 연결하는 것으로 단계별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성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adolescents with complex traum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year old 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dmitted to foster home in D city. The program consists of 23 sessions per a week for 60 minutes each. For the data analysis, Complex PTSD Interview (CPTSD-I) and K-PTGI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were used. Data analysis was done with pre-, post-, and post- test scores and the changes of the program step by step.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the trust between the subject and the researcher was formed, the safety base was established. In the mid-term, the subject experienced mourning based on memories of abuse by recalling the body's memories, such as Drawing-Meditation and asking the body. In the closing phase, we noticed the body through Drawing-Meditation, analyzed the positive aspect and energy of body through the body, and connected with dail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alleviating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adolescents experiencing complex trauma. Second, Art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osttraumatic adolescents experiencing complex trauma.

      • KCI등재

        복합외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사건, 가해자, 보호자 영역 중심으로

        최보윤,한주옥 가정과삶의질학회 2024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성인의 복합외상 정도를 사건, 가해자, 보호자 영역 중심으로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복합외상을 경험한 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사건, 가해자, 보호자 영역에서 지각한 복합외상경험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40개로 구성된 복합외상 척도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고 개발된문항은 전문가 2인의 검토로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2에서는 14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건12문항, 가해자 8문항, 보호자 14문항으로 3요인, 총 34문항을 확인하였다. 연구 3에서는 21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선정된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부하량과 요인간 상관 등으로 복합외상 척도가 타당하게 개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상과 관련된 다른 척도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준거관련 타당도인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추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복합외상척도가 복합외상을 겪는 사람들을 적절히 구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외상 체크리스트로 외상의 종류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평균을비교하였다. 그 결과, 복합외상을 경험한 집단에서 사건, 가해자. 보호자에 대한 평균이 높게 나타나 이 척도가 복합외상의 정도를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hat measures the complex trauma based on the constructive concept of the incident, perpetrator, and guardian. To develop items, fiv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complex trauma were interviewed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s, we generated three factors and 40 items which were verified by two experts. Nex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148 people and 34 items under three factors were identified. The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218 people for the items select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ing that the complex trauma scale was properly developed due to factor load and correlation between factor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other scales related to trauma to confirm the reference validity and the average was compared by classifying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trauma with a trauma checklist to confirm whether the developed complex trauma scale properly distinguishes those suffering from complex trauma. As a result, in the group that experienced complex trauma, the average for the incident, the perpetrator, and the guardian were found to be high, confirming that this scale reflects the degree of complex trauma.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복합외상경험자에게 미치는 트라우마 치유요가의 효과

        윤온감(Yun, Ongam) 한국요가학회 2019 요가학연구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외상경험자들을 대상으로 트라우마 치유요가를 실시함으로써 현재 신체적·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복합외상경험자들에게 미치는 치유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트라우마의 대중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국 현실에서 트라우마 치유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치유적인 지원사업이 병행이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다. 따라서 스스로 자기 치유력을 높이고 치유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트라우마 치유요가의 유용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복합외상의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남녀 성인들로서 각각 17명이었으며, 실험집단에는 요가자세와 호흡,이완이 결합된 요가 프로그램을 주 1회 1시간 30분씩 총 8회기 실시하였다. 연구의 조사도구로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 한국판내부감각자각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치유요가프로그램에 참여한 복합외상경험자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증상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내부감각자각이 증진되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트라우마 치유요가 프로그램이 복합외상경험자에게 미치는 치유적 효과에 대한 첫 경험적 연구라는 점과 요가 자세와 호흡, 이완으로 구성된 트라우마 치유요가 프로그램이 복합외상경험자들의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트라우마 치유 현장에서 트라우마 치유요가를 일반프로그램과 함께 병행하는 정책적 접근이 이루어진다면 복합외상경험의 치유지원 사업은 상당한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 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ing effect of trauma experiencer who hav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by conducting Trauma - Sensitive Yoga for Complex PTSD experiencer. In Korea, where trauma is becoming more popular, there is a widespread awareness that healing support projects should be combined to achieve trauma heal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to help self-healing and succeed in healing.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usefulness of Trauma- Sensitive Yoga.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17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had experience of complex trauma,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yoga the program combined with yoga asana, breathing and relaxation for 1 hour and 30 minutes a week, totaling 8 sessions.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Scale, Korea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K-DERS), and Korean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Interoceptive Awareness(K-MAI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mbined trauma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f the experienced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Trauma-Sensitive Yoga program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ternal sensed awareness was impro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on the healing effect of trauma healing yoga program on the complex trauma experienced person and that the Trauma - Sensitive Yoga program composed of yoga shape, breathing and relax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ing of the complex trauma experienced person. Therefore, if a policy approach is made to combine Trauma - Sensitive Yoga with general programs in trauma healing sites, the healing support project of complex trauma experience will be able to achieve considerable effectiveness.

      • KCI등재

        청소년의 복합 및 다중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이현정,장희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외상의 유형에 따라 초기부적응도식 및 대인관계문제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복합외상을 경험한 경우 어떠한 심리내적 과정을 거쳐 대인관계 문제가 유발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복합외상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3개 도시의 고등학교 7곳, 청소년 상담센터 4곳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생활사건 질문지, 복합외상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 초기부적응도식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총 77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외상경험에 따라 외상이 없는 집단, 단순외상 집단, 대인간외상 집단, 복합외상 집단, 다중외상 집단으로 구분한 후 외상유형에 따른 초기부적응도식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중외상 및 복합외상 집단으로 분류된 청소년이 외상이 없음, 단순외상, 대인간외상 집단보다 거절이나 단절과 관련된 초기부적응도식이 더 많이 나타나고 대인관계문제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외상 경험의 유형에 따라 초기부적응도식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다음으로, 복합외상 및 다중외상 집단만을 대상으로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론적 경로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초기부적응도식이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두 변인사이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has tried to clarify what influence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in adolescence have o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what this study has tried to verify are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 it has clarified what differences adolescents show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Second, in order to clarify the path of the causation of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some psychologically internal course, this study has verified mediation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between complex trau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For this,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life event questions, a complex trauma scale, interpersonal relation scale, and an early maladaptive schema scale on adolescents from 7 high schools and 4 youth consulting centers in three cities, and then a total of 776 adolescents’data were used for the study. First of all,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ir traumatic experiences into the trauma-less group, the simple traumatic group, the interpersonal traumatic group, the complex traumatic group, and multiple traumatic group. Then,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hown among the group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That is to say, it turned out that groups with multiple or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showed more and greater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than groups with simple or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Next, in order to verify mediation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traumatic experience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only in groups with complex or multiple traumatic experiences, this study established some theoretical models of path structure influencing them directly or indirectly, and verified them against the data.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it turned out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partially mediated the two variables, complex trau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 따른 복합 PTSD와 PTSD 증상의 차이

        김희경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4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ymptoms of Complex PTSD, PTSD and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of 531 North Korean refugees on their different types of traumatic events. The refugees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at least over one were 432(81.4%), and the refugees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over four showed more Complex PTSD and PTSD, and depressive symptoms than never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or experienced below three. In the case of types of traumatic events, the group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nd disease had higher scores on Complex PTSD, PTSD, and depressive symptoms than no experience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 on symptoms of Complex PTSD, PTSD, and depression level depend on their simple traumatic events. Among refugees with traumatic events, the proportions of diagnosis of Complex PTSD was 11.3%, PTSD 14.6%, and Dual diagnosis was 26.2%, respectively. Dual diagnosis group showed more depressive symptoms than single diagnosis groups.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mpared with the no diagnosis group, the odds ratio for diagnosis of Complex PTSD in the refugees with interpersonal trauma were 2.11. And, the odds ratio for Dual diagnosis in the refugees with interpersonal trauma were 2.39, with disease were 2.85, respectively. There was no traumatic events' types differentiated PTSD group from no diagnosis group.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s of traumatic events more important than simple frequency of traumatic events in diagnosis Complex PTSD and PTSD of North Korean Refugees. Based on these result, diagnosis and therapeutic approach of PTSD in North Korean Refuge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 따른 복합 PTSD와 PTSD 증상, 우울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하나원에서 사회적응교육을 받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531명(남 170명, 여 361명)이었다. 연구 대상자 중 하나 이상의 외상 사건을 경험한 사람은 432명(81.4%)이었으며, 4개 이상의 외상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은 외상 경험이 없거나 1개에서 3개의 외상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에 비해 복합 PTSD와 PTSD 증상들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우울 수준도 높았다. 외상 사건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대인 외상과 질병 외상을 경험한 집단은 비경험 집단에 비해 복합 PTSD 및 PTSD 증상, 우울 수준이 높았다. 사건 외상 경험 여부에 따라서는 모든 증상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외상 경험자들 중 복합 PTSD로 진단된 비율은 11.3%, PTSD 진단은 14.6%, 이중 진단은 26.2%였으며, 대인 외상과 질병 외상을 경험한 집단에서 이중 진단 비율이 높았다. 이중 진단군은 복합 PTSD나 PTSD 단일 진단군에 비해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대인 외상을 경험한 사람이 복합 PTSD로 진단될 가능성은 진단 비해당 집단으로 분류될 가능성에 비해 2.11배 높았으며, 대인 외상과 질병 외상을 경험한 사람이 이중 진단군으로 분류될 가능성은 각각 2.39배와 2.85배였다. PTSD 진단군과 진단 비해당 집단을 변별해주는 외상 유형은 없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한 외상 사건의 빈도나 양보다는 외상 사건의 유형이 복합 PTSD와 PTSD의 진단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PTSD 진단 및 치료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복합외상경험자의 자기의 회복과정

        박철옥,안현의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e in complex trauma survivors’ experience of self through psychotherap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adult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that significantly disrupted their self-system. Grounded theory was used in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ata analysis from open coding resulted in 94 concepts, 38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was ‘facing one’s self and working through the painful feelings associated with traumatic events'. Results showed that two casual conditions for the change process of the complex trauma patients through psychotherapy were ‘being stuck in a traumatized self-system’ and ‘being disconnected from the world’. The contextual condition that affected the central phenomenon was ‘having the will and courage to change’. Mediating conditions were ‘having a social support network’ and ‘getting support from the therapist'. Six action or interaction strategies they used to deal with the central phenomenon were ‘maintaining daily life functions’, ‘learning emotion regulation skills’, ‘developing self-compassion’, ‘appreciating and enjoying life’, ‘developing interpersonal skills’, and ‘making meaning out of the trauma experience’. And the results followed were ‘accepting oneself’, ‘being connected to the world’, ‘rebuilding one’s sense of self’, and ‘remaining unrecovered from the trauma’. The study participants also identified five stages of the change processes of complex trauma patients through psychotherapy were 1) awareness of one’s self, 2) understanding oneself with compassion, 3) confronting one’s self, 4) self-acceptance, and 5) rebuilding one’s self. And two stages of the change processes of complex trauma patients through psychotherapy were 1) awareness of one’s self, 2) avoidance of one’s self.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core category for complex trauma patients in psychotherapy was to ‘rebuild one’s self through creating self-narrative of trauma memories'. Based on this result, we provide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bout the process of change in complex trauma survivors’ experience of self through psychotherapy.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외상경험자들이 상담과정에서 어떤 요소들을 치료적으로 경험하여 자기가 회복되어 가는지, 어떤 전략들을 사용하여 스스로가 회복되어 가는가를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외상경험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94개의 개념, 38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복합외상경험자들이 자기의 회복과정에서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자기를 마주하는 힘겨운 여정을 견딤’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조건과 맥락적 조건은 ‘트라우마에 갇힌 자기’, ‘세상과 단절된 자기’, ‘회복하려는 용기가 있음’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상담자의 지지’,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다. 복합외상경험자의 자기의 회복과정에 중재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활용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일상을 잘 유지하기’, ‘감정을 알아차리고 조절하는 방법을 익히기’, ‘자기를 스스로 위로하기’, ‘삶을 향유하기’, ‘대인관계 기술을 터득하기’, ‘트라우마를 통해 얻은 의미를 만들기’이었다. 이러한 전략을 활용한 자기의 회복과정의 결과는 ‘자기를 수용함’, ‘세상과 연결됨’, ‘자기를 재형성함’, ‘회복되지 않은 자기로 머무름’으로 나타났다. 복합외상경험자들의 자기회복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명한 과정은 자기인식 단계, 자기에 대한 공감적 인식 단계, 자기 직면 단계, 자기 수용 단계, 자기 재형성 단계로 5단계와 자기 인식 단계, 자기 외면 단계의 2단계로 설명된다. 복합외상경험자들이 자기의 회복을 위해 사회․심리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가에 대한 핵심범주는 ‘트라우마 기억을 자기의 이야기를 통해 재형성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복합외상경험자들의 자기의 회복과정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외상경험자들이 자기를 회복시키기 위해 트라우마 기억을 자기의 이야기를 통해 재형성해가는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복합외상경험자들의 자기의 회복과정을 위한 상담심리치료와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애착외상과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간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상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최샛별,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2 인지행동치료 Vol.22 No.1

        본 연구는 주 양육자에 의한 애착외상이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관계에서 구 체적인 기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기체계손상과 자기자비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들과 문헌 리뷰에 기초하여 이러한 관계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기제로서 자기체계손상과 자기자비의 매개역할을 가정 하는 두 가지 매개모형들, 즉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이 상정되었다. 이 두 가지 매개모형들과 대안모형으 로 상정된 단순효과모형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대학생 393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질문지 단축형 척도, 복 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 외상화된 자기체계손상 척도, 그리고 단축형 자기자비 척도를 실시하여 구조방정 식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애착외상과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 상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자기체계손상 하나만을 부분 매개변인으로 한 수정모형, 완전매개모형 및 단순효과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였고, 그 결과 수정모형의 적 합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애착외상이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과 동시에 자기체계손상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나아가, 주 양육자에 의한 애착외상 경험자들이 호소하는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자기체계 손상을 개선하는 것에 중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trauma by primary caregivers to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and shed light on its mechanism of ac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we proposed full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in which traumatized self-system and self-compass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Furthermore, as an alternative model, we proposed a simple effect model in which the three predictors would each be related to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independent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a sample of 393 university students. SEM results indicate that full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fit the data well, but simple effect model does not fit the data. Also, the path from self-compassion to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was not significant in the full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Then, as the best-fitting model, we suggested a modified par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traumatized self system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or treat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it is important to focus on mitigating the impact of attachment trauma by primary caregivers as well as improving the traumatized self-system. Last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its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복합외상 경험자들의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의 관계-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김인경,홍혜영 한국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2 No.2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on the between Trauma related emotions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e participants were 135 adults(to me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Complex PTSD) aged over 18. Collected data from the adults were analyzed with various types of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rauma related emotions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t the same tim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lacked any relation with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except self-blame)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e result from multiple analyses suggested that adaptive emotion regulation refocuses on planning and acceptance moderated between trauma related emotions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In addition, acceptance moderated between betrayal (fear, alienation)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refocuses on planning, acceptance and self-blame moderated between anger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lso, adaptive emotion regulation creates positive refocusing and positive reappraisal moderated between shame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is study was demonstrated as a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a moderator against trauma related emotions leading forgiveness, which implies that the intervention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uld be changes according to trauma related emotions level in counseling sessions.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as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8세 이상 서울, 경기, 인천, 충북, 충남, 대전, 대구, 경북, 경남, 광주, 부산, 전남 지역의 남녀 성인 중 복합 PTSD 진단 준거에 부합하는 1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외상 경험자들이 경험하는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그 하위요인들과 용서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자기비난을 제외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은 용서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복합외상 경험자들이 경험하는 외상관련 정서는 용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인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외상관련 정서를 경험하는 경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외상관련 정서의 하위요인인 배신감, 공포, 소외감과 용서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요인인 수용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배신감, 공포, 소외감을 경험하는 경우, 수용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분노와 용서의 관계에서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인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 그리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요인인 자기비난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분노를 경험하는 경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 자기비난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치심과 용서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인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수용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수치심을 경험하는 경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수용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복합외상 경험자들이 경험하는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와의 관계에서 있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밝혀, 높은 수준의 외상관련 정서로 용서에 어려움을 느끼며, 이 때문에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복합외상 경험자들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 외상관련 정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복합외상 경험자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현진,김명찬 한국질적탐구학회 2017 질적탐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 emotional issue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a complex-trauma experiencer during child rearing process and to understand what it mea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research method of autoethnogaphy,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scribe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depth from an insider point of view.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focused on emotional aspects and collected records of recollection, self-analysis journal, and conversation. The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o define three topics: 'Repetition of complex-trauma experience: living in helplessness', 'Experience of complex-trauma: surviving from the sense of incapability', and 'Beginning of recovery: living with the touch of warmth'.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lex-trauma experiencer continue to replay the traumatic experience when he / she forms a new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 Second, the study showed emotional difficulties and psychological problems experienced by a complextrauma experiencer. Third, the researcher’s relationship with the child can be restored through reflection on emotional experiences and experiences of calming down the emo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nowledge on complex-trauma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of counseling, based on in-depth analysis on the emotion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a complex-trauma experiencer during child rearing process and understanding their meaning. 이 연구는 복합외상 경험자가 자녀양육 과정에서 경험한 정서적인 어려움을 성찰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리 내적인 경험을 내부자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기술 할 수 있는 질적연구 방법 중 하나인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서에 초점을 두고 회상자료, 자기분석일지, 대화 등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는 순환적으로 분석되고 해석되어 ‘복합외상 경험의 재연: 무기력함으로 살아가기’ ‘복합외상 경험: 막막함에서 살아남기’, ‘회복의 시작: 따뜻함으로 살아가기’라는 주요한 세 가지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복합외상 경험자는 자녀와 새로운 관계를 맺을 때 외상 경험을 재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복합외상 경험자가 경험한 정서적인 어려움과 심리적인 문제를 알 수 있었다. 셋째, 정서적인 경험의 성찰과 정서의 진정되는 경험을 통해 자녀와의 관계가 회복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복합외상 경험자가 자녀양육 과정에서 경험한 정서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상담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복합외상 지식을 제공한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