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종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D시의 위탁가정에 입양된 16세 남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60분씩 주 1회 총 23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을 위한 도구로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면접지(Complex PTSD Interview: CPTSD-Ⅰ)와 외상 후 성장 척도(Korean version of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사후⋅추후검사를 원점수와 백분율로 하였고, 프로그램의 단계별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초기에는 대상자와 연구자 간의 신뢰감을 형성하고 안전 기지를 확립하며, 중기에는 드로잉-명상을 통하여 몸을 알아차리고 몸에게 물어 보는 등 몸에 남아 있는 기억을 회생시켜 학대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애도하기를 경험한다. 종결단계에서는 드로잉-명상을 통하여 몸을 알아차리고 몸을 통하여 자신의 긍정적인 부분과 에너지를 찾아 일상과 연결하는 것으로 단계별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성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adolescents with complex traum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year old 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dmitted to foster home in D city. The program consists of 23 sessions per a week for 60 minutes each. For the data analysis, Complex PTSD Interview (CPTSD-I) and K-PTGI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were used. Data analysis was done with pre-, post-, and post- test scores and the changes of the program step by step.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the trust between the subject and the researcher was formed, the safety base was established. In the mid-term, the subject experienced mourning based on memories of abuse by recalling the body's memories, such as Drawing-Meditation and asking the body. In the closing phase, we noticed the body through Drawing-Meditation, analyzed the positive aspect and energy of body through the body, and connected with dail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alleviating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adolescents experiencing complex trauma. Second, Art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osttraumatic adolescents experiencing complex trauma.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심리적 문제

        장문선,손의정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4

        This study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PTSD symptoms displayed by North Korean refugees, including the explanation of the adaptive factors depicting complex PTDS symptoms and depression, anxiety, and development of PTSD with time flow. South Koreans were presented as a comparison group. The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n 8 North Korean refugees who live in Kyeongbuk. Below are the conclusions. First, the factors contributing to PTSD, depression, and anxiety were shown a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ir settlement funds, assistance given on immigration, period since the escape, and difficulties in language. The PTSD tends to increase just after their escape from North Korea and then decrease, and there is a peak at 8~10 years after the escape. Among them, mental instabilization and somatization tend to develop into chronic status, and personality is particularly affected. Second, compared to South Koreans, North Korean refugees without PTSD have notable differences in re-experience, avoidance-numbing, and somatiz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that the research had been done on the development of PTSD with regard to the period elapsed since the escape, with that the North Korean refugees' experience was analyzed by PTSD aspec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potential requirement/need for a treatment plan that considers the chronic symptom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time elapsed since the escape.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 이후 보이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우울, 불안을 설명하는 적응 관련 요인, 탈북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비교집단으로 남한 주민을 포함시켰다. 본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8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우울, 불안을 설명하는 적응관련 요인은 정착금액만족도, 입국도움, 탈북이후 기간, 언어생활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탈북 직후에 상승한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6~8년 사이에 다시 정점을 이루는 양상을 보였고 그 중 정서의 불안정성, 신체화 증상은 만성화되는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며, 성격적인 측면의 변화가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남한 주민과의 비교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보이지 않는 북한이탈주민은 외상경험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재경험, 회피․마비, 신체화 증상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을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으로 접근하여 탈북이후 기간에 의한 증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는 점이며, 이후 현장에서 개입 시, 북한이탈주민의 만성화된 증상과 탈북 이후 기간을 고려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데이트폭력 피해가 경계선 성격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를 통한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기은,이종현,김도연 한국임상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데이트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를 경유하여 경계선 성격 경향성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인관계적 외상의 한 형태인 데이트폭력 경험이 경계선 성격 경향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개인의 회복 자원이 되는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참가자들은 데이트폭력 경험이 있는 전국의 만 20~39세 미혼 여성 436명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데이트폭력 피해 경험,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수준, 경계선 성격 경향성,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문항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데이트폭력 유형별 영향력을 검증하였고, Process Macro 3.1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인들 중 데이트폭력 피해 경험과 경계선 성격 경향성,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수준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이들은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데이트폭력의 유형 중 정서적 폭력만이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및 경계선 성격 경향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데이트폭력 피해와 경계선 성격 경향성의 관계에서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데이트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로 이어지는 경로에서는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데이트폭력 피해를 완전매개한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수준이 경계선 성격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데이트폭력과 경계선 성격 경향의 관계에서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의 간접효과가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변화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데이트폭력 피해자들의 상담 및 심리치료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해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복합외상질문지(CTI)의 타당화 연구

        김소희(KIM, Sohee),유금란(Yu, Kumla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외상질문지(Complex Trauma Inventory: CTI, Litvin, Kaminski, & Riggs, 2017)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CTI의 요인구조를 확인, 타당화하는데 있다. CTI는 새로 개정된 ICD-11(WHO, 2018)의 복합외상후 스트레스 장애(CPTSD) 진단준거를 바탕으로 개발된 질문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 210명 중 외상사건 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16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복합외상증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성의 복합외상증상이 남성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복합외상증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외상유형에 따라 복합외상증상의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20문항으로 구성된 2요인 위계모형을 확인하였다. CTI의 하위요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요인(PTSD)과 자기조직화 곤란 요인(DSO), 모든 하위요인들 간 상관관계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척도의 추가적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복합외상후 스트레스 척도(SIDES- SR), 핵심신념 붕괴 척도(CBI)와 CTI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증 결과, CTI의 모든 하위요인이 SIDES-SR, CBI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수렴타당도에서 타당한 결과를 보였다. 증분타당도 검증 결과, SIDES-SR에 대해 CTI가 추가적인 설명량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ICD-11의 새로운 진단명인 CPTSD를 바탕으로 하는 복합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측정하는 척도를 번안, 타당화하여 국내 복합외상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Complex Trauma Inventory(CTI) originally developed by Litvin, Kaminski & Riggs(2017) in the Korean context with factor analysis. The CTI was developed based on the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finition and a new disorder CPTS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newly revise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ICD-11). This study analyzed 160 copies of 210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 having traumatic incidents. Results of this study, CTI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also among different types of trauma, but not across different age group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wo factors second-order model, each measured by 3 first-order factors and all factors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for PTSD and DSO(disturbances in self -organization). Convergent and incremental validity of the CTI were good with other CPTSD scale (SIDES-SR) and the core belief scale(CBI).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were valid to use for Korean sampl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애착외상과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간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상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최샛별,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2 인지행동치료 Vol.22 No.1

        본 연구는 주 양육자에 의한 애착외상이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관계에서 구 체적인 기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기체계손상과 자기자비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들과 문헌 리뷰에 기초하여 이러한 관계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기제로서 자기체계손상과 자기자비의 매개역할을 가정 하는 두 가지 매개모형들, 즉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이 상정되었다. 이 두 가지 매개모형들과 대안모형으 로 상정된 단순효과모형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대학생 393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질문지 단축형 척도, 복 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 외상화된 자기체계손상 척도, 그리고 단축형 자기자비 척도를 실시하여 구조방정 식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애착외상과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 상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자기체계손상 하나만을 부분 매개변인으로 한 수정모형, 완전매개모형 및 단순효과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였고, 그 결과 수정모형의 적 합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애착외상이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과 동시에 자기체계손상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나아가, 주 양육자에 의한 애착외상 경험자들이 호소하는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자기체계 손상을 개선하는 것에 중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trauma by primary caregivers to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and shed light on its mechanism of ac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we proposed full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in which traumatized self-system and self-compass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Furthermore, as an alternative model, we proposed a simple effect model in which the three predictors would each be related to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independent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a sample of 393 university students. SEM results indicate that full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fit the data well, but simple effect model does not fit the data. Also, the path from self-compassion to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was not significant in the full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Then, as the best-fitting model, we suggested a modified par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traumatized self system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or treat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it is important to focus on mitigating the impact of attachment trauma by primary caregivers as well as improving the traumatized self-system. Last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its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조성희(Sunghui Cho),김혜선(Hyes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9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자아존중감은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하여 같은 수준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더라도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dolescents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on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cPTS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data surveyed on 291 adolescents was used in the study,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rough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PTSD.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had moderated an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cPTSD. Even if the level of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was the same, high self-esteem could reduce the cPTS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methods to reduce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among adolescents and the cPTSD caused by it were suggested.

      • KCI등재

        아동기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와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용서의 관계

        라영선,현명호,차성이,윤선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9 No.1

        본 연구는 아동학대 중에서도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가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예측하는지와 정서적 학대와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용서는 특질용서와 상황용서로 구분하여 각각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 특질용서, 상황용서, 그리고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학대는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정서적 학대와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를 상황용서와 특질용서가 조절하였고 특질용서보다 상황용서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기에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정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이 심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정서적 학대가 심각하더라도 상황용서와 특질용서 수준이 높으면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상경험 강도와 복합외상후 증상의 관계: 감각기억 활성화, 내러티브 파편화의 매개효과

        김소희,유금란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raumatic experience fragm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of traumatic experience and complex posttraumatic symptom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raumatic experience fragmentation was conceptualized in two dimensions: sensation-based memory, and narrative. Participants were 277 college students, and 180 reporting having had a traumatic experi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tivation of sensation-based memory and narrative fragment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and CPTSD. A multi-group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ath difference between the simple trauma group (n=82) and the complex trauma group (n=98).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th of trauma impact to the activation of sensation-based memor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경험의 강도와 복합외상후 증상의 관계에서 외상경험 파편화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상경험 파편화(통합실패)는 감각기억과 내러티브, 두 가지 차원에서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외상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180부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외상경험 강도와 복합외상후 증상의 관계에서 감각기억 활성화와 내러티브 파편화가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감각기억 활성화와 내러티브 파편화의 순차적인 경로가 외상경험 강도와 복합외상후 증상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모형이 부분매개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경험의 유형에 따라 경로에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단순외상 경험 집단과 복합외상 경험 집단으로 나누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순외상(n=82)과 복합외상(n=98) 집단의 경로 중 외상경험 강도와 감각기억 활성화의 경로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강한 복합외상 경험일수록 외상관련 감각기억이 더 활성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면서, 연구 결과가 상담 및 심리치료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 언급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간호사의 근로환경,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과 자아탄력성과의 융복합적 관계

        오수미,권영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working conditions,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and the self-resilience of nurses, and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and the self-resilienc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method among 220 General Hospital nurses at Gyeongnam G and J cit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program WIN. The results of working conditions of the nurses majority were shift work 70.5%, currently working in the ward 54.6%. Scores were shown as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28.20) and self resilience (39.98).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r =.226, p=.001) between the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and the self-resilience. Based on the result, since working conditions of nurses caused psychological stress and nurses with high self-resilience eased the degree of post-traumatic stress, in terms of the personnel management of hospitals,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y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간호사의 근로환경,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과 자아탄력성을 확인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과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경남 G시와 J시에 소재한 종합병원 간호사 22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근무형태는 교대 근무가 70.5%, 현재 근무 중인 곳은 병동이 54.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은 28.20점, 자아탄력성은 39.98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과 자아탄력성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26,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근로환경은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을 초래하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의 정도가 낮아지므로 병원인력 관리차원에서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간호사를 위해 심리적 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탈북여성의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목회상담학적 고찰

        김경숙(Kim, Kyung Suk) 연세대학교 상담코칭지원센터 2015 연세상담코칭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어린 시절부터 현재 남한 생활에 이르기까지 영속적인 외상경험가운데 있는 탈북여성들의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유하며 전인적인 성장을 위한 기독교 영성적 심리적 자원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연구자의 경험, 교회에서 간단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탈북여성들의 복합적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래 전부터, 훨씬 더 오래 동안, 훨씬 더 심각하게 이들의 정신적 정서적 기능을 방해하고 생리학적으로 영향을 줌으로서 이들의 삶을 힘들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차별주의 계급주의 전체주의 속박 속에서 과도한 성역할에 시달리며 어린 시절부터 신체적, 정신적 폭력에 지속적으로 반복적으로 노출되며 외상사건을 경험하는 여성들의 모성행동은 병리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기에 이러한 외상은 시대를 통해 전수되는 것이며, 이것은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우뇌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들의 자기체계를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탈북여성들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유와 성장을 위한 한국 교회와 사회적 차원에서의 지지와 노력이 필요하며, CPTSD에 대한 목회상담적 관리가 절실하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Many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experience Complex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CPTSD). They experience CPTSD during early childhood in North Korea and it persists through their life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help understand CPTSD experiences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lso, this study searches for their spiritu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to decrease Complex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to promote holistic growth. This study examines related literatures, the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 as a North Korean female defector, and short interviews with defectors from a church.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PTSD inhibit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physiological functioning. Also, according to this study, CPTSD influence their lives at much earlier age and have more severe effects than past study results showed. In North Korea, a totalitarian country, sexism is pervasive. They suffer from restricted gender role and are exposed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violences. These traumatic experiences have negative impacts on their children. As a result, CPTSD symptoms are passed on to a next generation. CPTSD influence their autonomic nervous system, damage their right brain, impair their self system. Therefore,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need support from the Korean society including the Korean church community to decrease Complex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to promote holistic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