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욕구조사 및 노인복지정책 과제 - 평택시를 중심으로 -

        신승연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0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5 No.-

        지방자치의 활성화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지방분권화에 따라 지역특성에 맞는 노인복지정책 수립이 요구되고있다. 지역실정에 맞는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의 노인복지 욕구를 포괄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과학적인 방법론에 기반을 둔 욕구조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차원의 정보원과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하여 지역사회의 욕구를 정확하고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조사모델인 욕구조사 피라미드모형을 적용하여 4단계에 걸쳐 평택시 노인복지와 관련된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1단계에서는 지역현황에 대한 조사를, 2단계에서는 자원조사를, 3단계에서는 노인복지서비스 이해당사자인 복지위원,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노인복지기관 실무자, 평택시 행정실무단 조사를, 4단계에서는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욕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욕구조사의 결과와 현행 노인복지 공급체계를 감안하고, 국가와 경기도의 정책을 바탕으로 평택시 노인복지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인복지서비스의 확충’, ‘통합적인 요양예방관리체계 구축’, ‘노인의 사회참여 활성화‘, ‘권리옹호 시스템 구축’ 등을 중심으로 노인복지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According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governance and decentraliz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the formulation of welfare policy for the aged, which reflects the differences of the elderly's characteristics and the elderly's need, is required. This study draws the tasks of Pyung Taek City's social welfare policy for the aged from the welfare need assessment based on the Pyramid Model collecting data from multidimensional informants and from analyzing the present welfare supply system and from reviewi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olicy for the aged. To solve the tasks, the policy of the elderly is suggested, which include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 of the elderly',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and preventive long-term care system', 'the activ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nd 'the establishment of right advocacy system'.

      • 화성시 동부권역 장애인 복지욕구 조사

        구자연(Koo, Ja Yeon)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19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2

        본 연구는 화성시 장애인 복지욕구에 조사가 부족하여 장애인 당사자 및 가족의 욕구를 반영한 중장기적인 정책수립에 한계가 있다고 전제하였다. 화성시 동부권역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 당사자 및 가족의 욕구를 파악하여 향후 화성시 장애인 복지 정책과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면, 장애인 복지 서비스 욕구에 대한 기존 통계 및 논문자료를 토대로 화성시 동부권역 장애인의 현황과 복지 서비스 욕구를 면접조사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화성시 동부권역 장애인이 일상생활, 보건의료, 양육교육, 직업, 여가, 차별금지, 복지환경, 복지서비스, 가족지원, 주거, 평생교육에 따른 다양한 복지 서비스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장애인 복지 정책 및 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었다. 조사결과 장애인의 일상생활, 보건의료, 양육교육, 직업, 여가, 차별금지, 복지환경, 복지서비스, 가족지원, 주거, 평생교육 영역에서 다양한 욕구가 나타났고, 이에 따른 복지 정책 및 서비스를 고민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첫째, 장애인의 일상생활 영역에서의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재활치료 인프라 확충해야 한다. 셋째, 성인장애인의 직업지원서비스 확대와 평생교육 지원서비스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장애 가족을 위한 지원서비스가 확대되어야 한다. 나아가 정부 및 화성시의 장애인 복지 정책을 토대로 첫째, 화성시 장애인복지서비스의 확대를 위한 성인 발달장애인 낮활동 및 문화여가활동과 장애유형을 고려한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의 안정적인 중‧장년 맞이를 위해 청소년기 장애인과 보호자의 성인기 및 중고령 준비, 성인기 장애인의 건강권 보장 및 중‧고령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의 보통의 삶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중심 실천 전략으로 권익옹호 사업 확대와 장애인식개선사업의 활성화를 통한 통합사회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presuppose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mid- and long-term policy establishment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disabled persons and their families due to insufficient investigation into the welfare needs of the disabled in Hwaseong city. Based on the needs of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living in the eastern part of Hwaseong City, we proposed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This study, based on existing statistics and papers on the needs of welf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we conducted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eastern area of Hwaseong city.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sabled in the eastern part of Hwaseong city had various welfare needs according to daily life, health care, childcare education, occupation, leisure, discrimination ban, welfare environment, welfare service, family support, housing, and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could propose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support in the daily life area should be expanded. Second, we need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Third, among the needs for services for the adult disabled, an expansion of vocational support services and a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service should be prepared. Fourth, support services for disabled families need to be expanded. Furthermore, based on the welfare policy for the disabled in the government and Hwaseong city,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services considering day activities, cultural leisure activities, and types of disabiliti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lifelong planning for the disabled is necessary. Third, community-centered action strategies are needed to support the normal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ights advocacy business and to promote awareness of the disabled.

      • KCI등재

        포커스 집단을 통한 아동복지 욕구 조사

        송주미 ( Ju Mi So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8 아동복지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아동복지에 대한 어머니들의 욕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포커스집단 연구방법을 활용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8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집단을 통해 일반 어머니들이 생각하고 경험한 아동복지에 관한 욕구를 조사하여 스트라우스(Strauss)와 코빈(Corbin)의 지속적 비교연구방법(개방코딩)을 통해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주제 즉 연구문제는 요보호아동이 아닌 일반 어머니들의 아동복지에 관한 욕구는 무엇인가? 이며, 연구대상 선정 방법은 convenience sampling(snowball sampling 포함)을 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4개의 상위범주와 1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35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4개의 상위범주는 자녀에 관한 욕구, 부모에 관한 욕구, 가족에 관한 욕구, 환경에 관한 욕구로 분류되었으며, 자녀에 관한 욕구에는 자녀의 건강, 안전, 양육, 교육에 관한 하위범주로, 부모에 대한 욕구로는 임신과 출산, 보육과 교육, 직장, 아버지라는 하위개념이, 가족에 관한 욕구로는 조부모 양육, 경제적 지원, 가족 여가, 가족 건강으로, 환경에 대한 욕구로는 대중매체, 아동시설, 정부의 의지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일반 어머니들의 아동복지 욕구는 자녀는 물론 부모와 가족 그리고 사회환경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며, 이는 아동복지의 생태체계적인 맥락과도 연관되어 있어, 아동복지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보편주의적 시각에 입각하여 아동복지의 일반클라이언트(client)의 목소리에도 좀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child welfare needs among general mothers. In this study, researcher used focus group method and analyzed the outcome with constant comparison method(open coding). This study classified 4 major categories of child welfare needs such as the needs on the children, parent, family, environment. And this study found out 15 minor categories and 35 concepts under the major categories. 15 minor categories included children health, children safety, educare, education, pregnancy and childbirth, educare and education(parent), work place, father, grandparents, economic supports, family leisure, family health, children institutions, government will. The results from the study revealed that 4 needs categories were associated with eco-systemic approach and environment(social) welfare as well as family welfare. Findings suggest the more researches about child welfare using qualitative method and welfare policy for the general clients such as mother, father(universalism). 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qualitative approach is an excellent method to evaluate needs.

      • KCI우수등재

        한국 복지국가의 사회경제적 기초 : 자산 불평등, 보험욕구, 복지 선호도, 2007-2016

        이철승,황인혜,임현지 한국정치학회 2018 한국정치학회보 Vol.52 No.5

        This study explores the socio-economic foundations of citizens’ preferences toward social policies in South Korea. Do lower-class Korean citizens support the expansion of the welfare state? Are middle- or upper-class citizens opposed to a bigger welfare state?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assumes pre-existing insurance motives with which citizens are incentivized to prepare for the potential risk of income loss in the labor market. In other words, we consider the ‘social insurance motive’ and the ‘hedging motive through private asset accumulation’ of the middle class as the social foundations of citizens’ welfare preferences. Based on this theory, we build an ‘asset-income interaction model’ and test the following hypotheses using four waves of Korean Welfare Panel Data (2007-2016). First of all, this study assumes that a considerable share of citizens may have high levels of ‘insurance motives’ in a socio-economic environment exposed to international competition but lacking in a strong social safety net. We hypothesize that high-income citizens with low-level of assets may have stronger social insurance motives, and therefore support the expansion of redistributive social policies. Specifically, we also hypothesize that this insurance motive will be ‘restrained’ by the level of assets: citizens who have succeeded in accumulating high-level of assets will support targeted social policies, while being opposed to redistributive-universal social polic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not only underscor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of the ‘class-based political economy,’ but also highlights the possibility of a broader social base of the welfare state that embraces both the middle-class and upper-level income earners who have not accumulated assets enough to hedge against social risk. In particular, the explanatory power of our asset-income interaction model regarding citizens’ preferences of targeted vs. universal social policies also provides ample credence to our argument that the critical foundation of the Korean welfare state may be the middle class, rather than the lower-class. 본 논문은 한국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대중적 선호의 사회경제적 기초를 탐구한다. 한국의 하층시민들은 복지국가의 확대를 지지하는가? 한국의 중산층 혹은 상층 시민들은 복지국가의 확장에 반대하는가? 이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의 소득 상실의 위험에 대처하고자 하는‘보험 욕구’의 존재를 가정한다. 우리는 기존의 계급ㆍ계층론에 기반한 정치경제학적 설명 – 빈자의복지선호와 부자의 복지반대라는 – 과 대비되는, ‘보편적 위험에 대비하려는 중산층의 사회적 보험욕구’와 ‘사적 자산 축적에 의한 헷징 욕구’를 복지국가에 대한 대중적 선호의 기초로 상정한다. 이 이론에 기반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은 ‘자산-소득 상호작용 모델’을 수립, 4차에 걸쳐 조사된2007-2016년 한국 복지패널을 통해 검증한다. 먼저, 본 논문은 사회적 안전망이 저발달 되어 노동시장에서의 소득상실의 위험이 높은 한국과같은 사회에서 사회보험에 대한 욕구는 높을 것이고, 현재 소득이 높을수록 오히려 이 ‘보험 욕구’는더 강할 것이라 가정한다. 따라서 (자산이 낮은 층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복지국가를 통한 보편복지 확대와 소득 재분배를 더 강하게 지지할 것이라 주장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 소득에 비례하는보험 욕구가 자산이 축적될수록 제약되어, 고자산층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오히려 선별복지를 선호하고, 소득재분배에 반대할 것이라 주장한다. 이러한 발견들의 의미는 계급 기반 정치경제학의 한계를 밝힐 뿐만 아니라, 한국의 복지국가의 대중적 기반이 (알려진 것보다) 훨씬 광범위하며, 중산층과(자산이 축적되지 않은) 상위 소득층까지도 포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보편-선별복지 선호에대한 자산-소득 상호작용 모델의 적실한 설명력은, 보편적 복지국가의 근간이 (사적 자산이 축적되지 않은) 중산층 심지어는 중상층의 지지와 선호에 기반한 것임을 실증한다.

      • 화성시 서남부권역 장애인 복지욕구 조사

        이지혜(Lee, Ji Hye)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19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2

        본 연구는 화성시 장애인 복지욕구에 조사가 부족하여 장애인 당사자 및 가족의 욕구를 반영한 중장기적인 정책수립에 한계가 있다고 전제하였다. 화성시 서남부권역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 당사자 및 가족의 욕구를 파악하여 향후 화성시 장애인 복지 정책과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면, 장애인 복지 서비스 욕구에 대한 기존 통계 및 논문자료를 토대로 화성시 서남부권역 장애인의 현황과 복지 서비스 욕구를 면접조사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화성시 서남부권역 장애인이 일상생활, 보건의료, 양육교육, 직업, 여가, 차별금지, 복지환경, 복지서비스, 가족지원, 주거, 평생교육에 따른 다양한 복지 서비스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장애인 복지 정책 및 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었다. 조사결과 장애인의 일상생활, 보건의료, 양육교육, 직업, 여가, 차별금지, 복지환경, 복지서비스, 가족지원, 주거, 평생교육 영역에서 다양한 욕구가 나타났고, 이에 따른 복지 정책 및 서비스를 고민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첫째, 장애인의 일상생활 영역에서의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재활치료 인프라 확충해야 한다. 셋째, 성인장애인의 직업지원서비스 확대와 평생교육 지원서비스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장애 가족을 위한 지원서비스가 확대되어야 한다. 나아가 정부 및 화성시의 장애인 복지 정책을 토대로 첫째, 화성시 장애인복지서비스의 확대를 위한 성인 발달장애인 낮활동 및 문화여가활동과 장애유형을 고려한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의 안정적인 중‧장년 맞이를 위해 청소년기 장애인과 보호자의 성인기 및 중고령 준비, 성인기 장애인의 건강권 보장 및 중‧고령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의 보통의 삶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중심 실천 전략으로 권익옹호 사업 확대와 장애인식개선사업의 활성화를 통한 통합사회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presuppose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mid- and long-term policy establishment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disabled persons and their families due to insufficient investigation into the welfare needs of the disabled in Hwaseong city. Based on the needs of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living in the sothwestern part of Hwaseong City, we proposed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This study, based on existing statistics and papers on the needs of welf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we conducted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southwestern area of Hwaseong city.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sabl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Hwaseong city had various welfare needs according to daily life, health care, childcare education, occupation, leisure, discrimination ban, welfare environment, welfare service, family support, housing, and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could propose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support in the daily life area should be expanded. Second, we need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Third, among the needs for services for the adult disabled, an expansion of vocational support services and a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service should be prepared. Fourth, support services for disabled families need to be expanded. Furthermore, based on the welfare policy for the disabled in the government and Hwaseong city,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services considering day activities, cultural leisure activities, and types of disabiliti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lifelong planning for the disabled is necessary. Third, community-centered action strategies are needed to support the normal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ights advocacy business and to promote awareness of the disabled.

      • 안산시 부곡동 매입임대주택 거주자 복지욕구 조사

        김지선(Kim Ji Seon),용명학(Yong Myung Hak),이은주(Lee Eun Joo),강진이(Kang Ji Ny),윤민주(Yun Min Ju),유상미(Yoo Sang Mi),성언경(Seong Eon Kyeong),안주희(An Ju Hee),홍서현(Hong Seo Hyeon),오명림(Oh Myeong Rim),손경진(Son Gyeong Jin),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19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2

        본 연구는 안산시 부곡동 지역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 및 욕구를 사정하여 향후 부곡종합사회복지관의 신규 프로그램 및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부곡종합사회복지관이 지역사회 문제 및 욕구를 주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마을공동체 허브로 변신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아동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면, 1순위로 아동발달지원센터 참여할 의향이 44.4%, 피아노교실 참여 55.6%, 아동난타 44.4%로 나타나, 본 복지관에서는 아동발달지원센터 이용 확대를 위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고, 피아노 교실 및 아동난타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면, 1순위로 청소년 자원봉사학교 66.7%, 명문대학 탐방 참여 44.4%, 청소년 진로체험 55.6%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복지관에서는 청소년 자원봉사를 위한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면, 1순위로 동그라미 빨래방 25.7%, 취업훈련 20.0%, 2순위로 김장지원서비스 14.7%, 무료 점심 나누기 11.4%로 나타나, 본 복지관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취업훈련에 대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면, 1순위로 무료진료 48.8%, 김장지원서비스 47.6%로 나타나, 본 복지관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무료 진료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고, 김장지원서비스도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new programs and developments of the Bugok Social Welfare Center in the future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Bugok-dong area in Ansan-si and assessing the problems and needs, and the Bugok Social Welfare Center will be able to share community problems and needs with residents. The purpose is to transform into a village community hub.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looking at the needs of children s programs,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Children s Development Support Center was 44.4%, 55.6% participating in the piano classroom, and 44.4% child hitting.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support to expand the use of support centers, and to expand piano classrooms and children s hitting programs and services. Looking at the needs of the program for young people, 66.7% of youth volunteer schools, 44.4% of participating in prestigious university visits, and 55.6% of youth career experiences were ranked first. Therefore, the welfare center needs to carry out various and specialized programs for youth volunteering. Looking at the desire for the program for adults, the first rank was circled laundry 25.7%, job training 20.0%, second rank kimjang support service 14.7%, free lunch break 11.4%.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raining programs and services. Looking at the needs for programs targeted at the elderly, the number of free medical treatment was 48.8% and Kimjang support service 47.6% as the first priority. It turned out to be necessary to enlarge.

      • KCI등재

        군인복지기본계획에 관한 실증 연구 - 장병 욕구조사 및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김용궁,김정은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군사회복지학 Vol.9 No.2

        군인복지기본계획에 대한 정책적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장병의 계층별 욕구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한정된 복지예산의 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맞춤형 복지정책 구현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본 연구에서는 해군․해병대 간부의 욕구조사와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실증연구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병사복지, 전직지원, 주거복지, 가족복지, 의료보장, 복지인프라, 보수처우 등 7가지 영역을통해 군인복지기본계획의 정책 수립과 집행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 군인복지정책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군의 사기진작과 국방정책의 홍보에 효과적이었다는 결과와 함께, 군장병과 전문가의 참여는 군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t is need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needs of military personnel according to their ranks and make efforts to implement custom welfare policie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limited welfare budgets so that the basic plan for soldier welfare will generate policy outcomes. As part of such effort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by surveying senior members in the navy and marine for their needs and applying the delphi technique for an expert panel. The study tested the applicability of basic plan for soldier welfare to policy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and proposed ways to maximize the results of soldier welfare policies in seven areas including soldier welfare, supports for former soldiers, housing welfare, family welfare, medical security, welfare infrastructure, and wages and treatments. The findings show that it was effective for boosting the military morale and promoting the national defense policies and imply that the participation of military personnel and experts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national consensus to improve the military social welfare.

      • 학부모들의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주석진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9 임상사회사업연구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학부모들의 서비스 욕구를 면밀히 파악하여 효과적인 사업운영을 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부모의 서비스 욕구를 18가지로 범주화하였고 서울 E지역 초․중등학교 935명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부모들은 심리․정서적 영역에 대해 높은 서비스 욕구를 가지고 있었고, 둘째, 학부모들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상이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차후 학부모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욕구차이를 고려하여 서비스 계획을 수립할 것과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 현장 실무자들이 이러한 차이점에 적절히 반응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농촌노인의 복지서비스 경험과 욕구에 대한 연구

        최종산,양영란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9 No.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lfare service experience and needs in rural elderly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19 elderly in Heongsung and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transcribed data. A variety of experience, problems, and suggestions were evolv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Improving information delivery system for elderly job and support for village cooperative business were requested. The participant living alone were satisfied the caring service such as calling service via phone to ask “safety” at home and delivery service that they needed from market but wanted solutions to improve access to the hospital and market. Village leaders mentioned about equipping exercise facilities and Jjimjilbang(Korean stream room) in the community center to promote health in winter. Some proposed the language course of the Korean for the illiteracy in the village as a type of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quality of life. Participants wanted increase of the elderly financial assistance and different amount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proper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the information in making individualized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in the rural area. 본 연구는 농촌노인 복지욕구실태와 관련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시행된 대다수의 연구결과가 구조화된 설문내용에 제한되어 있는 점을 보완하고 수혜자의 생생한 복지서비스경험과 욕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강원도 횡성군에 거주하는 노인 19명을 대상으로 개인면담을 실시하여 자료수집 후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이 원하는 복지와 수혜경험, 복지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등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였다. 일자리에 대한 정보전달체계개선, 마을공동사업 창출 및 운영지원의 개선, 가사(돌봄)서비스 수혜자인 독거노인은 안부확인과 장보기 서비스에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수혜자 형평성 제고와 농촌현실을 감안한 노인영양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보건소의 공공의료 복지서비스 역할의 미비함과 보건소 이용에 대한 농촌노인의 선호도가 낮음이 발견되었고 경로당에 물리치료, 운동기구, 찜질방 등의 건강관리를 위한 환경조성과 권역별 보건소 설치를 건의하였다. 평생교육프로그램인 노인대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한글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도 제안하였다. 소득보장형 복지 서비스에 대해서는 노령임금액 인상과 소득에 따른 차등지원이 거론되었다. 그 외, 버스운행횟수증가, 방문을 통한 수요조사, 귀농노인을 위한 지원, 복지서비스 차원에서의 영농활동지원 등에 대한 대책을 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해한 농촌노인의 복지서비스 경험, 복지욕구 및 개선방안은 맞춤형 농촌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농촌 노인의 복지욕구 유형과 관련요인

        김은정(Eun Jeong Kim)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2

        본 연구는 전국단위로 실시된 "2008년 노인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농촌노인의 복지욕구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복지욕구유형이 농촌노인의 인구사회학적, 경제적, 건강관련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농촌노인은 기초소득보장형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일자리지원형, 예방및건강증진형, 돌봄지원형 순이었다. 기초소득보장형에 속한 노인들의 2차 복지욕구를 조사한 결과 돌봄지원, 일자리지원, 예방및건강증진 순으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상황과 건강상태가 1차적 복지욕구유형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초소득보장형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2차적 복지욕구유형에는 연령이나 성별과 같은 인구학적 특성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초소득보장형 노인과 그 밖에 다른 유형의 노인에 대해 차별적인 정책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지만, 기초소득보장형 노인들에 대해서도 2차 욕구에 있어서 집단별 차이를 감안하여 보다 정밀한 정책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jor need of welfare services among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and tries to find out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ir types of welfare policy priority. In order to achieve these study objectives, this study utilizes the data from "2008 National Survey on the Elderly", which have representative samples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numbers of the elderly requiring basic income assistance are the biggest and the second largest group is requiring jobs. The elderly needing preventing services, caring services, and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services are not so many compared to above-mentioned groups. Since more than 70%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are requiring basic income assistance at the first thing, this study further analyses the second policy priorities of these people. Findings show that they need caring services, jobs, and preventing services in order of importance. Furthermore, this study finds that economic situations(the level of income and the satisfaction of economic circumstance) and health status(the objective and subjective assessment on health)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on the first welfare need. Meanwhil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are the most critical factors on the second welfare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