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영국 복음주의자 F. R. 하버갈의 찬송시 연구

        이선령(Sunryoung Lee)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9 No.-

        19세기 영국 복음주의를 대표하는 여류 찬송 작가 중 한 명인 프란시스 리들리 하버갈(Francis Ridley Havergal, 1836–1879)의 찬송시는 한국의 『통일 찬송가』와 『새찬송가』를 통틀어 8편이나 실려 있을 만큼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 찬송가에 실린 하버갈의 찬송시의 신학적 모티프의 분석을 통한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 복음주의 찬송시의 특징과 하버갈의 찬송시의 신학적, 문학적 가치와 업적에 대한 고찰이다. 영국 저교회(Low Church)의 전통에서 성장한 하버갈의 찬송시에서 발견되는 주요 신학적 모티프는 존재론적 위기에 빠진 인간의 구원을 위한 필연적인 예수의 대속적 희생이라는 기독론 속에서의 복음 강조, 성경에 입각한 경험적 신앙고백, 그리고 개인의 성화(sanctification)와 타인을 향한 봉사라는 실천적 가르침을 포함한다. 이 모든 요소들이 18세기 존 웨슬리( John Wesley, 1703–1791)의 영적 부흥운동으로 시작하여 이어진 19세기 영국 복음주의 운동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1인칭 단수 대명사를 사용하여 기도문 형식을 취하는 하버갈의 문학적인 양식도 기도 생활을 강조한 당시 영국 복음주의 운동의 모토를 나타내는 데 기여한다. 아울러, 여성 작가로서의 하버갈의 신앙관과 감성은 그리스도에 대한 전적인 의지, 그리고 헌신과 복종을 고백하며 다짐하는 모습으로 비친다. 일생동안 헌신과 성결의 삶을 몸소 실천하며 참 그리스도인의 모습을 보여준 하버갈과 그 모습을 그대로 투영하며 성경을 토대로 하여 신학적, 문학적 가치를 담아 그녀만의 독창적인 찬송가의 영역을 구축한 하버갈의 찬송시는 앞으로도 한국의 공예배(corporate worship)에서 예배 찬송시와 더불어 예배의 기능음악으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리라 확신한다. Francis Ridley Havergal(1836–1879) is one of the most widely–known woman writers in the 19th–century English Evangelical hymnody. Besides, her hymns have been continuously sung at the Korean worship services until today. This study is about the 19th–century English evangelical hymnody focusing on the theological motifs in Havergal’s hymns found in the Korean hymnals. She was borne to an Anglican pastor’s family and wrote more than 100 hymns, of which eight hymns are included in the Korean hymn books. She spent her entire life as a faithful Christian, serving as a Christian solo singer, Sunday School teacher, evangelist, active supporter of several Christian societies as well as a hymn writer. Moreover, she always cared for the relief of the needy. Therefore, her life is characterized by authentic evangelicalism, total consecration, and altruistic activity, consequently standing as a model for a true Christian, which are clearly reflected in her hymns. The theological motifs found in her hymns are Christ’s redemptive death on the Cross, recognition of the authority of Bible, and confession of the individual experiential faith. Moreover, she emphasizes on personal piety, related to the Keswick Movement, and activism toward others. She prefers to use fist singular pronouns and a written prayer–form, in which the subjective and sentimental voices are prominent. These stylistic traits demonstrate her sensitivity as a woman writer. All of these elements reflect the essence of English evangeli-calism in the Victorian hymnody, through which she built her own field, exerting great influence on many Christians of her day. Not only that, Havergal’s simple and heartful hymns combined with highly spiritual alertness and biblical and theological foundation would continuously find the places in the Korean hymnals, inspiring the Christian way of thinking and living.

      • KCI등재

        존 웨슬리의 두 가지 예배음악적 속성 연구

        김용화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4 No.-

        John Wesley was a liturgist who thoroughly defended the liturgy of Thomas Cranmer’s HThe Book of Common PrayerH(1662), updated in the tradition and heritage of the Church of England. This can be clearly seen through HThe Sunday ServiceH (1784), which he revised and edited based on HThe Book of Common PrayerH(1662) and sent to North American Methodists. At the same time, he is an evangelist who, while maintaining his priesthood in the Church of England, quenched the religious and social thirst that the Church of England could not satisfy the marginalized and poor through the Methodist movement. In particular, the empirical and practical evangel- ical congregational hymns about the words of Jesus Christ used in Methodist worship and gatherings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revival movement.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that Wesley maintained a good balance between doctrinal and formal liturgical music as a liturgical advo- cate and personal and confessional evangelical congregational singing as an evangelist. It is as if Martin Luther removed the superstitious element of the Roman Catholic liturgy, the Missa, and maintained its framework and introduced the chorale. The most important musical methods in liturgical music are responsory and antiphon. If you are looking for a biblical source for this, it is the ‘Song of Moses and Miriam’ in Exodus 15. This tradition of responsory and anti- phon continued into the 18th-century Church of England, but it did nothing to improve their faith and spirituality. On the other hand, Methodists could easily sing along to the evangelical congregational hymns through the ‘lining out’ method. However, some congregations who were fascinated by gospel hymns sometimes showed disorderly attitudes toward singing, so in the end, Wesley standardized singing style and music by including 7 prac- tical ‘Directions for Singing’ in the appendix of HSelect HymnsH(1761). 존 웨슬리는 영국교회의 전통과 유산 속에서 갱신된 토마스 크랜머의 H공동 기도서, The Book of Common PrayerH(1662)의 예전을 철저하게 옹호하는 예 전주의자였다. 이것은 그가 H공동기도서H를 기반으로 개정하고 편집하여 북 미 감리교인들에게 보낸 H주일예배서, The Sunday ServiceH(1784)를 통해 우리 는확실히알수있다. 동시에그는영국국교회사제신분을유지하며국교 회가 미처 소외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채워줄 수 없었던 신앙적 갈증들을 메소디스트 운동을 통해 해소해 주었던 복음 전도자이기도 하다. 특별히 메 소디스트의 예배와 집회에서 활용된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에 대한 경험적이 고 실천적인 복음주의 회중찬송들은 부흥 운동의 원동력이 되었다. 결국, 존 웨슬리는 예전옹호자로서의 교리적이고 형식적인 예전음악과 복음전도자로 서의 주관적이고 고백적인 복음주의 회중찬송 사이에서의 균형을 잘 유지했 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은 마치 마틴 루터가 로마 가톨릭 예전인 미사 (Missa)의 미신적 요소를 제거하고 그 틀을 유지하며 회중찬송(Chorale)을 도 입한 것과 마찬가지다. 예전음악에서 중요한 노래방식은 응창(Responsory)과 교창(Antiphon)이다. 이 것의 성서적 출처를 찾는다면 출애굽기 15장에 나오는 ‘모세와 미리암의 노래’이다. 이러한 응창과 교창의 전통이 18세기 영국교회에서도 이어졌지만, 그것은 그들의 신앙과 영성을 향상시키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 반 면 메소디스트들은 ‘Lining out’ 방식을 통해 웨슬리 형제의 복음주의 회중찬 송을누구나쉽게따라부를수있었다. 그러나일부복음주의찬송의매력 을 느낀 메소디스트들은 때때로 무질서한 찬송 태도를 보임으로 인해, 결국 존 웨슬리는 H찬송선집, Select HymnsH(1761) 부록에 실제적인 7가지 찬송지 침을 수록하여 노래방식과 음악을 표준화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한인 교회의 역사와 찬양대의 현황

        공기태(Gong, Gi-tae),문숙희(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0 한국문학과 예술 Vol.5 No.-

        미국 한인 교회에서 영어 예배와 함께 추수감사절, 부활절, 송구 영신예배나 크리스마스 등의 특별한 절기 때 함께 연합 예배를 드리는 경우가 있다. 이때 함께 공유하고 있는 찬송가로 예배를 인도하고, 찬양대를 함께 하기도 한다. 예배 시 사용되는 하나의 찬양은 서로 은혜 받고 감정적 치유를 경험하며 한인 2세와 1세가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예배 설교에서 오는 언어와 문화적 차이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미국 한인 교회는 여러 가지 특유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미국사회 속에 살면서 한국보다 더욱 한국적인 교회이기도 하고, 세계화의 물결이 교회 내외적으로 맞부딪치고 있는 현실 속에 생활하고 있다. 미국의 교회 음악 또한 교세의 약화와 함께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복음주의 교회를 중심의 음악 전임 사역자를 두어 여전히 발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많은 교회 음악들이 작곡되고, 크고 작은 교회 음악회들이 교회들과 교회 음악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발전하고 있다. 물론 미국한인 교회들도 찬양의 전문성을 가지고 음악 전임 사역자를 고용하는 교회들이 늘어나고 있다. 미국 한인 교회들이 교회의 분립과 문화의 고립에서 벗어나 찬양의 전문성을 회복하여 미국 안에서 미국 교회와 대등한 위치에서 설 수 있고 나아가 한국과 전 세계의 찬양의 모델이 되는 교회와 교회 음악인들이 많이 나올 수 있기를 바란다. Korean churches in America gather and attend Worship services together at some holidays like Thanksgiving day, Easter days, a New Year’s Eve and Christmas holidays. At these times,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also gather together and praise with common English hymns for the second generation who can speak better than Korean. With these worship services, they can experience merciful God and emotional healing together. But there are still left many problems like linguistic and cultural gaps among them. Nevertheless, there are many special possibilities among Korean churches in America. Because they keep Korean culture in American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meet many other World-wide cultures. Church Music of the Korean church in America encounters many difficulties by decrease of the number of Christians. But by employing full-time praise specialists, some evangelical churches have got through these difficulties and resulted even more advanced state. The specialists have composed many kinds of church music and held large and small concerts. All these things make the churches and the church music develop. These days many other Korean churches in America began to hire full-time praise specialists. I think that these things can solve many problems of Korean churches in America like separation and isolation among themselves. By gaining more hymnal professionalism, I think that they can upgrade themselves unto American churches and raise many good church musici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