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역사와 미래

        장훈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5 No.-

        Now, 135 years after the gospel was introduced to Korean society, the Korean church is assigned the task of this age to deviate from the Western church and fulfill the responsibilities of world missions. However, today’s Korean church is in the situation of serious criticism to the church called new Christian persecution, and also is facing with situation to have to prepare for a variety of international issues, including the new Cold war and the dynamic structure, the strategic policies of nationalism(native priority principle), the global recession, and issues of immigrants and refugees. The Korean Evangelical Missiological Society(KEMS) was founded in 1984 and developed by missionaries with the perception that it is a critical time to establish theology at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Church, and with the need to re-recognize ‘what the gospel is, and what mission is.’ In addition, it published the first issue of Evangelical Mission in 1985, and re-launched 13 years later in 1998 under the name of Theology of Mission, so that it is suggesting the correct missiological recognition a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to Korean Missiological academia. The first principle of evangelical church and Theology of Mission is to start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This is to know the importance of the establishment of Biblical Theology of Mission by perceiving that life cannot be expected in mission without the church, just as there is no life in the church without mission. The second principle is the insight to read today’s world through the Bible. We need to generally observe ‘what missions and the role of church ar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and to examine churches and mission fields based on Bible. The third principle is that missionaries should study the gospel for own whole life. From now on, KEMS must be able to carry out the Great Commission(to proclaim the gospel to the ends of the earth) of Jesus Christ through union and cooperation between religious bodies and theological colleges in order to look ahead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to not fail missional policies, and also to fulfill future missions. In other words, while the church needs to strengthen its support for more missional capabilities and innovation in the study of missionary theologians, missionary theologians need to come up with various tasks to apply the results of research to the church’s growth and mission fields. 한국 사회에 복음이 전파된 지 135년이 지난 지금, 서구 교회에서 벗어나 세계선교의 책임을 다해야 하는 시대적 과제를 안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 한국 교회는 신 기독교박해라 불리는 교회에 대한 비판이 심해지는 상황 가운데 신 냉전과 역학구도, 자국우선주의 전략 정책, 글로벌 경기침체, 이주민과 난민 문제 등 다양한 국제적 문제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는 1984년 한국 교회 100주년을 맞는 시점에 이르러 ‘신학을 정립해야 할 결정적인 시점’이라는 인식과 함께 ‘복음이 무엇이며 또 선교가 무엇인가’를 재인식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 선교학자들에 의해 설립되고 발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또한 1985년 「복음선교」 창간호가 발행되었고, 13년 후인 1998년 「선교신학」 이란 명칭으로 재창간되면서 올바른 선교 신학적 인식과 함께 한국 선교신학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복음주의 교회와 선교신학의 첫째 원리는 성경적 관점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그리고 선교 없는 교회에 생명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회 없는 선교에서는 생명력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성경적 선교신학의 확립이 중요함을 아는 것이다. 두 번째 원리는 성경을 통해 오늘의 세계를 읽는 통찰력이다. 우리에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교사역과 교회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통섭적(統攝的)으로 관찰하는 일과 성경을 척도(尺度)로 하여 교회와 선교현장을 진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셋째 원리는 사역자는 평생 복음을 위해 복음에 대한 공부를 해야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교회의 미래를 내다보고 선교정책이 실패하지 않도록 지금부터 우리 학회는 미래 선교를 위한 대비정책과 수립을 위하여 교단과 각 신학대학이 연합과 협력을 통한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땅 끝까지 복음 선포)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교회는 선교학자들의 연구를 위하여 보다 더 많은 선교역량 강화와 혁신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선교학자들은 연구 결과물이 교회성장과 선교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과제들을 내놓아야 한다.

      • KCI등재

        통전적 관점에서 본 두 선교신학의 합치성 모색

        신경규(Kyung Kyu Shi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2 선교와 신학 Vol.29 No.-

        본고에서는 그동안 한국교회 선교신학 내에서 불일치를 이루어온 복음 주의와 에큐메니칼 선교신학 내 중요 이슈들의 공통분모를 모색함으로써 두 신학의 공유부분인 합치성과 그를 통한 한국적 선교신학의 탐색해 보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한국교회에 있어서 신학의 불일치는 교파분열을 초래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어왔다. 한신측의 분열과 합동-통합의 분열은 WCC 신학과 그 용공성과 연결된 신학적인 문제가 교단분열의 주원인이었다는 점에서 신학적 입장 차이는 한국교회 분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동안 두 선교신학을 서로 배타적인 관점으로만 보아왔기에 분열과 차이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으나 두 신학의 견해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지닌다는 관점으로 보면 두 견해를 종합하여 성경적으로 균형 잡힌 선교신학을 구성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우선, 선교신학의 두 조류를 형성하고 있는 복음주의 선교신학과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은 선교의 주체와 본질은 하나님의 선교라는 동일 개념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합치성을 모색할 가능성을 지닌다. 둘째, 로잔대회 이후 두 신학의 선교의 내용이 공히 복음전도와 사회참여를 포함하는 것이어서 의견의 조정이 가능한 공유부분을 지니고 있다. 셋째, 두 선교신학은 세상 속에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방식을 각각 구속사적 선교신학과 약속사적 선교신학을 기조로 하고 있으나 양 신학의 견해를 포괄하는 통전적인 역사관을 지니는 것이 성경적으로 더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선교의 목표에 있어서 두 선교신학에서 복음주의는 영혼구원을, 에큐메니칼 진영은 샬롬을 더 강조하고는 있으나 이것은 강조점의 차이일 뿐 성경적으로는 영혼구원과 샬롬을 포함하는 것이며 실제로 두 선교신학은 두 내용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수렴되어 가고 있어서 그 합치점을 모색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따라서 두 선교신학의 논제가 상호배타적인 내용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다. 신학함의 자세에 있어서 정직성과 성실성이 요청된다고 할 때 복음주의 진영에서는 본문에는 정직하나 상황에는 성실하지 못하였고, 에큐메니칼 진영은 본문에는 성실하지 못하였고 상황에는 정직했다는 각각의 장점과 결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두 선교신학이 서로의 견해에서 합치점을 기준으로 양자를 보완적으로 종합한다면 보다 통전적이고 성경적인 견해로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두 선교신학은 서로의 장점이 자신들의 결점을 보완할 계기로 삼아 연합의 본을 보일 경우 반목된 두 신학의 협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교회와 선교를 하나되게 하고 활성화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광순의 선교신학

        이신형 ( Shin Hyung Lee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2 No.-

        본 논문이 논의하는 것은 1세대 선교신학자인 이광순의 선교신학이다. 이광순의 선교신학에는 한국의 선교신학을 구성하는 중요한 전거점이 들어 있다. 이광순이 기초한 ‘우리의 선교신학’에는 한국 신학의 방향과 과제가 담겨있다. 따라서 이 글이 집중하는 것은 ‘우리의 선교신학’의 선언 뒤에 있는 이광순의 선교신학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광순의 선교신학에 의하면 우리의 선교신학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신학이다. ‘하나님의 선교’는 선교신학사에서 쟁점이 되는 용어이다. 에큐메니칼과 복음주의의 이해가 대립하고 있다. 이광순에 의하면 ‘우리의 선교신학’은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칼이다. 교회가 하나님의 구원의 활동에서 중심적인 위치에 있다. ‘하나님의 선교’는 교회를 갱신해서 선교하는 교회로 만들며 선교하는 교회는 구원의 수직적 차원의 바탕위에 수평적 차원을 지향한다. 이광순에 의하면 ‘우리의 선교신학’은 통전적이다. 예수의 선교에 기초한 선교신학이기에 통전적이다. 예수의 선교는 구원의 수직적인 범주가 수평적인 범주보다 우선한다. 따라서 인간화, 해방화, 자유 및 인권에 대한 관심은 교회선교에서 목적이 아니라 구원의 결과가 된다. 하나님 선교의 통전성에 대한 인식은 교회선교의 실천적 과제를 안내한다.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주권 세움을 교회의 갱신과 설립보다 우선시하는 에큐메니칼과는 다르게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칼인 ‘우리의 선교신학’은 교회에 대한 그리스도의 주권 세움을 통해서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주권확립을 지향한다. 따라서 이광순은 교회가 당면한 여성지도자 문제, 도시빈민교회 문제, 여성군종장교제도의 문제, 통일과 북한선교의 문제 등 실천적 과제에 대해서 관심을 둔다. 이 논문은 네 파트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 파트는 이광순의 선교신학을 논의해야할 이유와 당위성에 대해서 다루며, 두 번째와 세 번째 파트에서 ‘우리의 선교신학’의 이론적 토대와 통전성의 문제 및 실천적 과제에 대해서 다룬다. 마지막 네 번째 파트에서 2, 3세대 선교신학자의 과제에 대해서 간략하게 제안한다. Kwang Soon Lee is a retired professor of mission in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And she was also Kyung Gik Han`s professor of theology of mission. She wrote an interesting essay named ``our theology of mission`` which is considered as a manifesto of the Presbyterian denomination. In that essay, she manifested three elements as the basic principle for establishing our theology of mission. The first element is that Missio Dei is a basic concept of our theology of mission. As a Missio Dei, the subject of mission is the Triune God, not church. The second element is that the Bible is the foundation of the mission in terms of the method and the content. The last element is that the church is the means of the mission, so that the regeneration of church is the key to Missio Dei. That is to say God`s primary goal is to regenerate the church`s passion for world miss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what ``our theology of mission`` is about. The first that we need to clarify is the meaning of Missio Dei. Missio Dei is the general term of mission. The evangelicalism names its theology of mission as Missio Dei. The ecumenicalism names its theology of mission as Missio Dei. However, the question is what we mean when we call our theology of mission as Missio Dei. Do we mean it in terms of the evangelicalism or the ecumenicalism? And what if we mean it a bit different from both; then how do we name it? So this article clarifies the meaning of Missio Dei. Next, the biblical foundation of our theology of mission needs to be clarified. And third which we are about to make clear is that the regeneration of church is the key to understanding Missio Dei in terms of our theology of mission. Kwang Soon Lee puts Jesus as the biblical foundation of our theology of mission. She found that the work of Jesus reported in Matthew 4:23 is the key to unlock the holistic character of our theology of mission. Based upon Matthew 4:23, Kwang Soon Lee describes Jesus prefers the individual over the social justice. So does our theology of mission. In that sense our theology of mission is the evangelicalism. According to Kwang Soon Lee, the mission is to establish the sovereignty of Jesus over the world as the ecumenicalism emphasizes. So does our theology of mission. In that sense our theology of mission is the ecumenicalism. Therefore in this article, I declare that our theology of mission is Missio Dei in terms of the evangelical ecumenism.

      • KCI등재

        로잔운동이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최형근 ( Choi¸ Hyung Keu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6 No.-

        본 논문은 글로벌 복음주의 선교운동인 로잔운동이 부상하게 된 역사적·신학적 배경을 기술하고 한국로잔위원회의 역사와 활동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제1차 로잔대회부터 제3차 로잔대회 이후 현재까지 로잔운동이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며, 로잔운동 50주년을 맞이하는 2024년 제4차 로잔대회의 한국개최를 앞두고 한국교회의 준비와 한국교회와 사회문화에 미칠 영향 그리고 로잔운동의 미래를 전망한다. 로잔운동이 태동된 배경은 1910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이후 형성된 에큐메니칼 진영의 복음과 구원과 선교에 대한 이해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특히 1960년대 세계교회협의회의 “선교의 세속화”와 “선교의 인간화” 그리고 “선교의 모라토리움”은 미국과 영국의 복음주의 진영의 결집을 초래했으며 1966년 베를린 세계복음화대회에 이어 1974년 제1차 로잔대회의 원인이 되었다. 로잔운동은 1989년 제2차 로잔대회(마닐라)와 2010년 제3차 로잔대회(케이프타운)를 통해 글로벌 복음주의 선교운동의 중심이 되었고 복음전도와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을 통합하는 총체적 선교신학을 구축했다. 한국교회와 로잔운동의 관계는 제1차 로잔운동부터 시작되었으나, 한국 선교운동의 태동기인 1970-1980년대의 한국교회는 로잔운동의 확산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다만 로잔언약의 소개를 통해서 문서로 로잔운동을 알렸다. 1989년 제2차 로잔대회 이후 한국로잔위원회가 설립되면서 한국교회에 로잔신학과 로잔정신을 확산하기 시작하여 2010년 제3차 로잔대회 이후 다양한 국내외 활동들과 목회자 컨퍼런스 그리고 청년지도자를 위한 선교적 플랫폼을 제공하며 그 영향력을 확산하고 있다. 한국로잔위원회는 로잔정신인 겸손과 정직과 단순성 그리고 “온 교회가 온전한 복음을 온 세상에 전하라”는 로잔운동의 슬로건에 의거하여 2024년 제4차 로잔대회를 아시아 교회들과 협력하여 준비하고 있다. 제4차 로잔대회는 한국교회의 갱신과 개혁을 위한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Lausanne movement. And it also examines the influences of the Lausanne movement on the Korean church from the first Lausanne congress in 1974 to the present through carefully studying the history and activities of the Korea Lausanne Committee that was formed in 1989. In conclusion, the Lausanne Movement prospects its influences of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as the Korea Lausanne Committee looks forward to the Lausanne IV as the host country.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n the Lausanne Mov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gospel, salvation, and mission of the Ecumenical movement that was being processed since the 1910 Edinburgh World Missionary conference. The tendency of "secularization of mission," “humanization of mission,” and “moratorium of missionary” of WCC brought about a strong reaction and the rally of the American and British evangelical circle and provided a major cause of the World Congress of Evangelism held in Berlin 1966 and the First Lausanne Congress in 1974. Since then, the Lausanne Movement has become the center of the global mission and constructed holistic mission theology integrating evangelism into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producing the Manila Manifesto and the Capetown Commi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usanne Movement and the Korean church began from the first Lausanne Congress in 1974. However, during the the Korean mission movement in the 1970s-1980s the Lausanne Movement had not been diffused to the local church. After the second Lausanne Congress in 1989, as the Korea Lausanne Committee was established, it spread the Lausanne theology and spirit to the Korean church. And it has been providing the missional platforms and contents to the emerging younger generation and ministers. It is preparing the Lausanne IV which will be held in Korea 2024 based on the Lausanne slogan, “the whole church taking the whole gospel to the whole world.” The Lausanne IV will be a major turning point for the renewal and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 KCI등재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인식 변화 연구

        김광성(Kwang Seo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6 No.-

        이주의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다양한 종교가 한 시대 한 공간에 공존하게 되었다. 이주민으로 인한 다문화 상황의 도래는 대한민국도 피해갈 수 없다. 사실 다종교 상황은 대한민국 국민에게는 낯선 현상이 아니다.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 유학생, 난민 등 이주민이 급증하면서 최근에야 다문화화로 인해 다종교 사회가 인식이 생긴 듯하지만, 사실상 대한민국은 역사적으로 불교, 유교, 무속종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사회였다. 이처럼 단일민족, 단일문화를 강조하는 대한민국에 펼쳐진 다문화 상황이 다종교 상황으로 이어지면서 대한민국 기독교를 당혹스럽게 하는 것이 아니다. 이미 다종교 상황 속에 살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타종교와 공존을 모색하지 못했던 대한민국 기독교는 다문화 시대의 급격한 도래와 함께 타종교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이 다종교 사회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입장의 변화과정을 로잔운동을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기틀을 마련한 로잔운동은 혼합주의, 종교다원주의를 경계하면서도 다종교 사회에서 기독교가 타종교와 공존해야 한다는 현실을 인정한다. 〈로잔언약〉, 〈마닐라선언〉은 타종교에 대한 전통적인 신학적 입장을 견지한다. 로잔운동의 이러한 신학적 입장은 〈케이프타운서약〉에 이르러 “경계 안에서의 포용(breadth within boundaries)”이라는 표현으로 본질과 현상을 분명하게 구분함으로써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와의 공존에 대한 새로운 선교신학적 출구를 보여준다. 〈케이프타운서약〉 IIC는 타종교인에 대해 그리스도, 사랑 그리고 실천을 강조한다. 대한민국은 전통적으로 다종교 사회이며, 국제적 이주로 인해 다문화가 확산되면서 다종교 공존의 필연성에 대한 인식을 더욱 분명히 하였다. 타종교와의 공존은 “복음을 땅끝까지 전하라”는 사명을 포기하라는 말이 아니다. 로잔운동은 개종의 강요가 아니라 복음을 복음답게 전하는 것이 선교라고 선언함으로써 진정한 세계 복음화를 앞당길 수 있는 길을 우리에게 제시하였다.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은 타종교인을 포함한다. “우리의 소명은 복음 전도를 통해 좋은 소식을 나누는 것이지 비열한 개종활동을 벌이는 것이 아니다.”(〈케이프타운서약〉IIC 타종교인들 속에서 그리스도의 사랑 실천하기).

      • KCI등재

        복음주의 선교가 본 통전적 선교의 한계와 과제, 그리고 대안

        박영환 한국선교신학회 2018 선교신학 Vol.50 No.-

        20세기에 들어서서 선교는 시대적 배경으로 사회참여와 봉사를 주로 할 수밖에 없는 조건들이 형성되었다. 이것이 선교의 본질적 과제로 본 복음전도보다도 선교현장의 우선적인 사회봉사사역에 집중 하게 되는 에큐메니컬 선교를 탄생하게 되는 근거가 되었다. 에큐메니 컬 선교진영은 1961년을 시작으로 조직화 되었다. 에큐메니컬 선교는 사회봉사로 전문화, 그리고 특화되었다. 복음주의 선교는 복음전도에 집중하게 되었다. 양 진영은 통전적 선교로 갈등이 봉합되고 관계발전을 이루었다. 복음주의의 통전적 선교는 복음전도를 선교의 본질적 과제로 선언해야 한다. 이것이 선교다. 양 진영의 갈등문제는 선교신학으로 방향을 잡고, 실무차원에서는 공동위원회를 구성하여 대안을 찾아야 한다. 위원회에서 문제가 될 때마다 선교현장의 과제를 함께 평가하며, 그 대안을 만들어 가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본질적인 선교적 과제를 확보하는 것이다. 어린아이 목욕을 시키다 물을 버린다는 것이 아이까지 버리는 실수가 없어야 한다. 통전적 선교가 복음주의 선교가 되려면 로잔의 복음전도의 본질적 과제를 사회봉사와 구별하는 평가가 있어야 한다. The holistic mission of the evangelical mission is to perceive evangelism with responsibility and social service as the essential mission challenge. However, Ecumenical mission characterizes social service and evangelism to be identical mission tasks for the holistic mission. In this respect, the holistic mission cannot be regarded as the ordinary evangelism mission. It was the process of the holistic mission of the evangelism mission history. The problems of the mission task should be solved by mission theology and by making it a requirement to organize a commission in the mission communities. Furthermore, it needs to evaluate the tasks of the mission fields and to create alternatives whenever a problem arises. The most important task is to ensure the essential task of the mission work to spread the gospel of Jesus Christ. To keep the values of the missionary work, we should avoid mistakes that will be like throwing the baby out with the bath water.

      • KCI등재
      • KCI등재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선교: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비교 연구

        김만태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3 영산신학저널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n a virtuous direction of the 21st century Christian mission by pursuing the true meaning, scope, and practice of missions through a comparative exploration of Ecumenical, Evangelical, and Pentecostal missions, the three major mission mo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view. The author uses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e Ecumenical mission is based on the worldview that regards this world as a significant object and stage for salvation and missions, seeking to improve human societies by using natural means and changing social structure, whereas the 19th century mission was, by and large, the other world-focused. The Evangelical mission retains the other world oriented worldview of the 19th century; yet, eventually affirming Christian social responsibility to be a crucial assignment in missions. On the other hand, it gives priority to evangelism over social responsibility and encourages social service rather than social actions. The Pentecostal mission is in line with the Evangelical mission in view of its emphasis on evangelism and salvation into the other world. However,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Evangelical, for it seeks to meet physical, material, and practical needs through the supernatural work of God, underlining human welfare in this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is world is in the deep concern of God and, subsequently, salvation of souls, human life in this worl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is world are all the significant realms of missions.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the 21st Christian mission needs to underscore both of the other world and this world; the eternal future and the present time; supernatural causes and natural/social causes; spiritu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본 논문의 목적은 개신교 세계 선교의 주요 흐름인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를 세계관이라는 관점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선교의 진정한 의미와 범위 및 실천을 조명함으로써 세계 기독교 선교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조사 방법은 문헌 연구이다. 에큐메니컬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을 지향하는 세계관과는 달리 이 세상을 중시하는 세계관에 기초하여 이 세상을 구원과 선교의 주요 대상이자 무대로 보면서 선교 실천에 있어서는 사회적 구조를 변혁하는 자연적 수단을 강조하였다. 복음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 지향적인 세계관을 계승하였고 사회적 차원에 있어서는 사회봉사를 위주로 한 사회적 책임을 선교의 중요한 요소로 인정하면서 대다수의 복음주의자들은 복음 전도가 사회적 책임보다 우선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오순절주의 선교는 복음 전도를 강조하며 저 세상 지향적인 점에서 19세기의 선교 및 20세기의 복음주의 선교와 연속성을 가지지만, 초자연적인 역사를 통한 신체의 치유, 물질적・현실적 필요의 충족을 추구함으로써 이 세상에서의 안녕을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측면으로 간주했다. 본 논문은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에 대한 비교 통찰을 통해 저 세상과 이 세상 모두 하나님의 관심 속에 있으며 개인의 영혼 구원과 이 세상에서의 삶, 세상의 변화가 모두 선교의 중요한 차원임을 밝힌다. 21세기에 저 세상과 이 세상, 미래의 영원한 시간과 현재의 시간, 초자연적 원인과 자연적・사회적 원인, 영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을 모두 중요하게 보는 총체적인 시각과 선교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