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맞춤형보조기기 지원을 위한 지역보조기기센터 개편방안 : 운영방식과 연계방식을 중심으로

        김동기,서동명,공진용,권성진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0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8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form the current assistive device business to customer-centered support in the midst of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s related to domestic assistive devices such as abolition of disability ratings, community care projects, and enactment of the Act on Assistive Devices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become, it is to propose a reorganization plan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gional Assistive Devices Center and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assistive devices business. To this end,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assistive devices business, an interview with a focus group of Regional Assistive Devices Centers, and a Delphi survey on assistive devices exper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s a way to reorganiz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gional assistive devices center, first, the role of the regional assistive devicescenter as a comprehensive assistive devices center, and second,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operation method of the regional assistive devices center, and the third, the access to ‘행복e음’ to strengthen publicity, Fourth,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 basic assistive devicescenter. Finally, a short-term plan and a mid- to long-term plan were proposed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regional assistive devices centers as a link between public benefits. The mid- to long-term linkage plan is to unify the application and receipt of public assistance for five assistive devices to the resident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등급제 폐지, 커뮤니티 케어 선도사업, 장애인보조기기법 제정 등과 같은 국내 보조기기 관련 법적·제도적 변화 속에서, 현재 공급자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보조기기 사업이 소비자 중심인 맞춤형 지원으로 전환되기 위해서 지역보조기기센터의 운영방식과 보조기기사업 간 연계방식의 개편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보조기기사업 운영현황분석, 지역보조기기센터 종사자 초점집단인터뷰 및 보조기기관련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역보조기기센터의 운영방식 개편방안으로, 첫째, 지역보조기기센터를 종합보조기기센터로 역할 확대, 둘째, 지역보조기기센터 자율운영방식 도입, 셋째, 공공성 강화를 위한 행복e음 접근권 부여, 넷째, 기초 보조기기센터 설치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적급여간 연계방식으로 지역보조기기센터의 역할확대를 기반으로 한 단기방안과 중장기 방안을 제안하였다. 중장기적 연계방안은 5개 보조기기 공적급여에 대한신청 및 접수를 주민 센터로 일원화하는 것이다.

      • KCI등재

        데이지독서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장애 유형 분류 및 요구사항 분석

        박주현 ( Park Joo-hyun ),임순범 ( Lim Soon-bum ),육주혜 ( Yook Ju-hye ),이종우 ( Lee Jong-w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최근 장애인들이 책을 읽을 때 필요로 하는 물리적, 가상적, 인지적 접근 방법들을 적용하도록 하는 정책과 전문 서비스,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 유형별로 적합한 데이지도서 기반의 독서보조기기 개발을 위하여 사용자 그룹 유형을 분류하고, 장애 유형별 데이지 도서 접근성 특성 도출을 위하여 독서보조기기 사용에 관한 요구사항 분석을 하였다. 필요에 따른 데이지독서보조기기의 개발 방안 도출을 위해 국내외 데이지독서보조기기 기능 분석과 3단계의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을 수행하였다. 1단계는 데이지독서보조기기 사용 환경을 기준으로 사용자를 분류하였으며, 2단계 전문가의 타당성 검토를 받았다. 그리고 3단계에서는 사용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데이지독서보조기기의 기능과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보조기기는 간단한 데이지플레이어기기가 필요하고 데이지뷰어소프트웨어는 기능별 모듈화가 가능하기에 단일 소프트웨어와 이와 연동되는 입출력 보조기기가 필요하다. 요구되는 세부 기능에 대한 분석이 함께 제시 되었다. The policy, professional servi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for appling physical, cyber, or cognitive accessibility when people with disabilities read books are progressing recently. In this study, to develop a reading assistive device based on Daisy contents regarding to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we grouped the types of disability user groups and analyzed the requirements for using reading assistive devices by the groups. In order to derive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Daisy assistive devices according to user needs, we analyzed English and Korean Daisy assistive devices, and user requirements through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functions of Daisy assistive devices and visual-perceptual ability and hand movements ability of the users were matched. In the second stage, the appropriateness was examin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The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Daisy Player functions and user requirements. As a result, simple Daisy player is needed with core functions. Also, Daisy viewer software is need by functional modules with input and output assistive devices. Specific functions required were presented with the results.

      • KCI등재

        장애인 취업과 관련된 사업주의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 및 보조공학 서비스 인식

        정민예,박혜연,김정란,양노열,유인규,엄희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을 희망하거나 현재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주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보조 공학기기 이용실태 및 수요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8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되었으며, ‘고용정보 시스템ʼ에 구인 등록한 사업체중 정보 공개를 한 1,054개 업체를 표집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회수방법은 우편발송과 이메일이었고, 우편발송 회수율은 13%, 전자메일 회수율은 10.7%였으며 최종적으로 121개 업체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은 경험이 있는 사업주는 36.3%(44개 업체)이었으며,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보조공 학기기는 사무보조 품목 17건, 정보접근 품목 25건, 작업기구 품목 80건, 의사소통 품목 2건이었다. 보조공학기 기를 지원받은 경험이 없는 사업주 77명(63.6%)중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제도를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35.1%뿐 이었고, 향후 서비스 이용의사가 있는 경우는 58.4%에 불과하였다. 사업주가 보조공학기기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효과성, 편안한 사용과 안전성이었다. 보조공학서비스 제공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 하는 사항은 지원예산확대, 기기품목 및 종류 확대, 직장 내 환경의 종합적 평가 및 지원 등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사업주들의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이용률이 저조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보조공학기기 제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뿐 아니라, 향후 이용의사도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업주가 가장 원하는 보조공학서비스 내용은 지원예산 확대와 기기품목 및 종류확대였다. 따라서 장애인고용 촉진공단은 사업주를 대상으로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높여 그 활용을 장려해야 할 것이며, 좀 더 다양한 품목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작업치료사 역시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보다 많은 관심과 책임을 가지고 작업치료를 제공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actual demand and use pattern of assistive devices among employers hiring workers with disabilitie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1054 enterprises registered in a ʻJob Information Systemʼ. The question retrieval method is post and e-mail. The post retrieval ratio is 13% and the e-mail retrieval ratio, which became clogged down, is 10.7%. Finally, the questionnaires of a total of 121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study period was from October to December, 2008. Results : Employers (36.3%) who experienced assistive device support are currently using 17 items of office assistance, 25 items of information access, 80 items of work utensils, and 2 items of communication. They also expressed additional support demand for 5 items of both locomotion and ADL, 3 items of visual devices, 2 items of both hearing and hand devices, and 1 item of communication. The percentage of recognition of the Assistive Technology Center among the employers (63.6%) who did not experience assistive device support was 31.5%, and 58.4% of the employers replied that they will us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When they choose an assistive device, they consider its effectiveness, handiness, and safety. Employers want a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to expand the support estimate, expand the equipment type, number, and assessment, and support the work place environment. Conclusion : We identified that employer service utilization of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KEPAD). Assistive Technology is low. Not only did they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the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but their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was also low. They believe that important Assistive Technology matters are a support estimate, and expanding the equipment type and number. So, in order to use Assistive Technology, KEPAD must make employers recognize Assistive Technology.

      • KCI등재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합 매뉴얼 개발 : 옹호중재 관점에서

        박제모,김희동,전재민,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2

        목적 : 본 연구는 재활 보조기기서비스에 대한 옹호중재의 관점에서 개인의 특성에 따른 지원절차 및 품목을 통합한 매뉴얼을 개발하여 서비스 수요자뿐만 아니라 제공자에게도 보조기기서비스의 세부절차와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재활서비스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연구방법 : 국내 11개 지역별 보조기기센터와 관련 행정기관 4개소를 대상으로 방문, 전화, 홈페이지검색 등을 통하여 매뉴얼, 제공절차, 관련법령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기관과 지원분야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한 후 각 분류에 맞추어 보조기기서비스 통합 지원절차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매뉴얼은 개인의 특성에 따른 서비스 흐름도와 제품정보로 구성하였다. 결과 : 개발된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통합 매뉴얼은 먼저 지역별 보조기기센터 및 관련 행정기관의 지원제도 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과정을 하나로 통합한 통합지원절차 흐름도와 공공기관별(전국 보조기기센터, 보건복지부, 국가보훈처, 고용노동부, 미래창조과학부) 지원절차 흐름도로 구분하여 개발 하였다. 또한 제품정보는 지역별 보조기기센터의 보조기기목록과 행정기관별 지급 가능한 보조기기목록 으로 분류하여 제공하였다. 결론 : 본 매뉴얼은 국내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지원절차와 제품정보를 통합하였기 때문에 재활 보조기기서 비스 수요자나 제공자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향후 작업치료 관점에서 보조기 기서비스에 대한 독립적 옹호중재의 역할을 기대한다. Objective : In this study, an integrated manual that integrates various processes of current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long with assistive product information was developed. The purpose of developing integrated manual was to help understand and use easier for people related to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from an advocacy intervention perspectiv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11 reg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and 4 administrations of Korea by visiting, telephoning and referencing webpage. From these institutions,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manual, service procedure, and related laws and ordinances were collected. These collected data were then reviewed, classified and finally developed integrate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manual that consist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flowchart and assistive technology product information. Results : Developed flowchart was firstly classified into the reg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and governmental administrations and providing the service procedures and product information, respectively. An integrated flowchart was finally developed by providing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cedure and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viding agencies and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 Develope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manual can save time and expenses of assistive technology users and providers. It is expected that people who ne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an have an independent advocates i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 KCI등재

        장애인 보조기기 디자인 관련 법률, 규격 및 지침 비교 연구

        김지해(Kim, Agnes Jihae),채승진(Chae, Sung Zin),권오성(Kweon, O S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국내 장애인 보조기기의 개발은 보조기기의 기능 구현에 초점이 가 있으며 보조기기의 사용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 영세한 보조기기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보조기기의 기능뿐 아니라 사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 대책은 보조기기와 보조기기 산업 관련 법률과 규격에 대한 제·개정으로 부터 시작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애인 보조기기 관련 법률과 보조기기 관련 규격 및 지침에 대해 사용성이라는 프레임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보조기기의 사용성, 사용품질을 정의하고, 관련 이론적 배경을 통해 국내 장애인 보조기기 관련 법률로 장애인복지법, 보조기기 지원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보조기기 관련 법률의 현황을 바탕으로 국내 장애인 보조기기 관련 규격 중 사용성과 관련이 있는 규격과 지침을 3가지를 선정하고, 그 규격과 지침의 지향성을 Hancock의 인간 공학적, 쾌락적 욕구 위계로 분석하였다. 현재 국내에는 보조기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조기기만을 위한 사용성 규격 및 지침은 없다. 하지만 장애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제품군인 보조기기 사용성에 대한 규격 및 지침은 그 특성에 맞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만들어져야 할 것이고, 해당 법규정과 관련 가이드라인은 특히나 사용자의 특성과 사용 맥락을 고려하여 장애인 개인의 일상생활 용품으로서의 사용성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roposed research finds that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of usability of assistive products i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ssistive products. However those products have to be improved further in order to secur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domestic small assistive product industry. Lots of considerations should be given not only to the function of assistive products but also to its usage. The national and governmental support to secure sufficient competitiveness of global market may start with the revision and amendment of related laws, standards and guidelines related to assistive products and assistive product industry. Under such understanding, authors analyzed the standards, guidelines and the laws related to assistive products through the framework of usability for the study. The authors as researchers define the usability of the assistive products used in the study, and examined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nd the Supporting Act of the Assistive Product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se assistive products laws, the authors selected three domestic standard and guidelines related to the usability of assistive products for people with disability, and analyzed the directionality of standard and guidelines through Hancock"s ergonomics and hedonomics needs hierarchy. Currently, there are no usability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assistive products, while it is onl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assistive products in Korea. However, there are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the usability of assistive products for group for users with disabilities, they should be made up of contents suited to users" characteristics. Especially, related regulations and laws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that can pla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xtual situation of users.

      • KCI등재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상용형, 맞춤형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 분석과 고용유지 효과 분석

        최준수,최성주,홍민경,정민예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2 재활복지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보조공학기기 지원 사업을 통해 지원현황과 반납현황을 알아보고 보조공학기기 유형에 따른 고용유지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보조공학기기 지원현황과반납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지원한 보조공학기기의개수와 금액, 장애인이 반납한 보조공학기기를 종류별로 분석하였으며, 지원유형에 따른 고용기간의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조공학기기 지급현황의 경우 상용형 보조공학기기의 지원건수는 늘고 있지만, 맞춤형 보조공학기기는 2017년도 이후 감소하고 있는 추세였고. 지급금액은 2019년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반납현황의 경우 2016년부터 4년간 100만원 이하의 보조공학기기의 비율이 56.0% 로 가장 많았으며, 반납한 기기의 총 금액은 2018년부터 2019년도까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고용유지 기간의 경우 맞춤형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은 장애인 근로자가 20.47개월로 상용형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은 장애인 근로자의 13.95개월보다 길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의 지원기기와 반납기기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상용형 기기와 맞춤형 기기에 따라 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유지 기간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기 유형에 따른 고용유지에 대한 효과 분석은 국내 첫 연구로, 장애인 근로자에게 맞춤형 보조공학기기 지원의 타당성에 대한 의미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통해 보조공학에 대해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허브(Hub)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지체장애인을 위한 이동 보조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류 연구

        김지해(Kim, Agnes Jihae),권오성(Kweon, O Seong),신창범(Shin, Chang Beo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장애인 보조기기는 장애인 사용자의 기능적 능력 및 일상생활활동에서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제품, 서비스이다. 장애인 보조기기의 미활용 이유에 대한 조사 결과 보조기기에서의 사용성이 중요한 구매, 활용의 결정 요인이다. 사용자 터페이스는 이러한 사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사용자가 제품과 상호작용하는 수단이다. 하지만 국내 지체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이 가장 많이 소지하고 있고, 필요로 하는 이동 보조기기를 대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류하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류에 앞서 문헌조사와 현장조사(Rehacare2016 제품 관찰)을 바탕으로 장애 유형과 정도와 이동 보조기기의 유형에 따라 이동 보조기기 제품을 분류하였고 분류 결과에 대한 재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 유형과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 시나리오와 기능 별 이동 보조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류할 수 있었다. 주로 장애 부위과 정도에 따라 크게 특성이 달라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추진 장치이며, 형태, 위치, 제동 장치와의 관계가 달라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디자인 문가가 사용자의 장애 유형과 정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동 보조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하는 데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ssistive product is a product or service that promotes the functional capabilities and convenience of daily living activities of user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using the assistive products for the disabled, it is considered that the usability of assistive products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purchase and utilization. The user interface is the means by which the user interacts with the product, which can enhance this usability. However, the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of assistive products for people with disability in Korea is relatively lacked. In this study, the authors classified the user interface for the mobility assistive products which are most in need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Prior to classifying the user interfac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field research (observation of Rehacare 2016), the mobility assistive produ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degree of physical disability and the type of assistive products. And the authors received advice from rehabilitation experts on the classification results. Based on this, the authors could analyze the user interface of mobility assistive products which depends on the type and degree of physical disability. The user interface which has larg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disability is a propulsion unit. The shape, position, and relationship to the braking system are differ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sign experts will be able to uti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design the user interface of the mobility assistive produc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interface design according to the type and degree of the user "s disability.

      • KCI등재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연구: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정경희,송병섭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이 연구는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 보조공학, 기기개발 전문가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교육용 보조공학기기의 연구개발을 위한 해결과제와 활성화방안으로 범주화 되었고, 5개의 상위 범주와 11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의 어려움은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관련 제도 및 구조적 한계와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관련 기업의 열악한 환경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으로는 국가사업 연구개발 참여 기관 선정 기준의 체계성 확보, 보조공학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지원,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활성화 체계 모델 등이 제시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에서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을 중심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전담부서' 체계 구축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여러 부처 및 관련 기관의 협력과 국가적 차원에서 거점센터 구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적정기술 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수요조사 및 분석

        김은주(EunJoo Kim),임명준(MyungJoon Lim),이성용(Sung Yong Lee),은선덕(Seondeok Eu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적정기술 보조기기(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AAT) 개발을 위해 보조기기 수요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2020년 8월부터 2021년 6월 13일까지 수요를 제출한 176 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해당 수요를 더욱 구체화하였고,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를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수요는 총 176건이었으며, 보조기기가 필요한 일상생활 속 어려움 수요는 153건, 보조기기 맞춤 활용 수요는 23건이었다. ICF 분류 순으로 보면 이동 (82건), 자기관리 (35건), 가정생활 (18건), 의사소통 (15건), 지역사회생활, 사회생활 및 시민생활 (13건), 주요생활영역 (10건), 기타 (3건) 순이었다. 보조기기의 수요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이 시사점이 있었다. 첫째, 기존의 보조기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생활에서 적용하기에는 맞춤형 제작이 더 필요하다. 둘째, 기존의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더 이상 기업에서 생산을 하지 않아 구할 수 없는 보조기기가 있다. 셋째, 기존의 보조기기를 응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보조기기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넷째, 기존에 없는 새로운 형태의 보조기기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본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국립재활원, 기업, 연구기관, 메이커스페이스, 보조기기센터 등에서 다양한 일상생활 영역에 대한 적정기술 보조기기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In this study, a needs survey for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20 to June 2021 through the website. As for the data collection method, we interviewed the users by phon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formation of the need, and classified it using IC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There were a total of 176 cases of needs, 153 cases of difficulties in daily life, and 23 cases of customized use of assistive technology. According to ICF classification, moving (82 cases), self-management (35 cases), family life (18 cases), communication (15 cases), community life, social life and civic life (13 cases), major life areas (10 cases), and others (3 cases). There wer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even if there are existing assistive devices, more customized production is needed to apply them in real life. Second, there are assistive devices that are not available because they are no longer produced by companies\ for various reasons. Third, there was a need to develop a new type of assistive device by applying the existing device. Fourth, there was a need to develop a new type of assistive device that did not exist before. Based on this needs survey, it will be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in various areas of daily life such as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makerspaces, and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 KCI등재

        코디자인을 통한 적정기술 보조기기 개발­ -포장지 개봉 보조기기를 중심으로-

        김지해,최민주,이성용,은선덕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1 No.4

        연구배경 : 국립재활원은 보조기기 융합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2020년부터 적정기술 보조기기를 오픈소스로 공유하는 플랫폼을 구축, 운영하였다. 온라인 플랫폼에 제출된 보조기기 연구개발 수요를 대응하기 위해 포장지 개봉 보조기기 연구개발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조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와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코디자인을 적용한 적정기술 보조기기 개발을 진행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적정기술 보조기기 오픈소스 개발은 보조기기 수요자의 수요 접수, 개발, 실증, 정보공유의 4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사용자와 디자인, 개발자가 함께하는 코디자인 워크숍을 3회를 진행하고 개발 방향 정의부터 2차 개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개발된 보조기기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척수 손상 장애인 3인을 대상으로 과제 수행 점수, 수행 시간, 한국어판 퀘백 보조기기 사용자 만족도 평가, System Usability Scale, Individually Prioritised Problem Assessment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 포장지 개봉을 위한 일체형 가위 고정 보조기기와 모듈형 가위 고정 보조기기가 개발되었다. 일체형과 모듈형은 효과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동일한 사용성 평가 결과를 보였으나 일체형이 사용자 만족도가 더 높았다. 포장지를 자르는 주요 기능에 최적화된 복잡하지 않은 디자인이 더 선호된 것이다. 또한, 포장지 개봉 활동에 대한 보조기기 사용 전, 후의 어려움 차이 평균 점수가 11.33점 (± 5.03)이다. 결론 : 사용자의 니즈를 아이디어로 변환하고 사용자와 개발자가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자료, 퍼실리테이터가 지원된 코디자인 워크숍을 통해 개발된 보조기기는 사용자 만족도가 높았다. 단순히 디자인에 대한 영감을 얻기 위한 연구 대상이 아닌 연구 참여자로서 사용자를 적극적으로 보조기기 개발 과정에 끌어들이고 개발 결과의 질을 높인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 코디자인을 적용한 적정기술 보조기기 개발의 여러 사례를 분석하여, 적정기술 보조기기 개발에 최적화된 코디자인 방법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