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복범죄방지를 위한 사전적 개입방안

        이성대(Lee, Sungdae) 미국헌법학회 2014 美國憲法硏究 Vol.25 No.1

        최근 보복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적 우려의 목소리가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보복범죄의 심각성은 수사기관 등에 의해 공개된 객관적인 자료들에 의해서 뒷받침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복범죄를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대응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종래 보복범죄는 조직범죄를 비롯한 강력범죄에 있어서 피해자ㆍ증인ㆍ참고인 등에 대한 신변보호의 문제로 논의되어 왔으며, 지금까지의 보복범죄에 대한 대책은 보복행위자의 처벌강화라는 즉흥적이고 간편한 수단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마치 스토킹행위와 같이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고 있는 보복범죄에 대한 대응은 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이고 사전적인 대책의 고안에 중점이 놓여야 한다는 인식에서 보복범죄의 방지를 위한 효율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복범죄의 발생현황과 법제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최근 보복범죄가 증가추세에 놓여있다는 점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복범죄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행법은 보복피해의 우려가 있는 자들의 신원정보를 보호함과 동시에 몇 가지 신변보호조치들을 예정함으로써 보복범죄의 방지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보복범죄에 대응한 현행법상의 제도들은 보호범위의 협소성, 보호조치의 구체성 결여, 사법적 개입의 사후적 성격과 그에 따른 한계, 체계적 관리시스템의 부재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현행법상의 보복행위에 대한 사법적 개입이 지니고 있는 사후적 성격은 현행 신변보호제도의 본질적 한계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행법상의 제도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외에 보복행위에 대한 사법적 개입의 가능성을 보다 앞당길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사전적 개입방법으로는 미국법상 오래전부터 활용되어 온 접근금지명령의 일반적 활용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다만 여기서의 접근금지는 보복피해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보호대상자의 신원정보에 대한 접근금지를 포함해야 하고, 이에 더하여 보복행위에 대응할 수 있는 사전적 개입방법을 보다 구체화해 나아가는 작업이 병행되어야만 할 것이다. These days, citizens often said seriousness of retaliatory crimes in the society. The seriousness of retaliatory crimes was supported by objective material that investigation agencies disclosed. So, fear of retaliatory crimes should not be neglected because of expression of vague uneasiness, and practical and actual counteraction was needed to control the problem effectively. The retaliatory crime in the past was said to be personal protection of victim, witness and reference witness of violent crimes including organized crime, and countermeasures against retaliatory crime were concentrated on more punishment against retaliatory actors who relied upon impulse and convenient means. More punishment against retaliatory crimes was no more than post counteraction against the crimes not to be fundamental measures. In other words, counteraction against retaliatory crimes with various kinds of spectrum such as stalking should include positive and preliminary measures for prevention of the crime. The study investigated effective counteractions to prevent retaliatory crimes. At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occurrence and legal system of recent retaliatory crimes. These days, retaliatory crime was certain to increase. Existing laws against retaliatory crimes protecte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one who was likely to suffer from retaliation, and they had some of protection measures to prevent retaliatory crimes. However, existing legal systems against retaliatory crimes had problems, for instance, narrow scope of protection (physical, punishing and personal), lack of concreteness of protective actions, post characteristics of legal intervention and associated limitation, and absence of post control system. Legal intervention against retaliatory behavior of existing laws that was taken after the action could not prevent retaliatory crimes. In this study, corrective actions should be taken to solve problems of current legal systems, and legal intervention should be advanced. The restraining order that was a preliminary intervention should be commonly used. The restraining order should include prohibit of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to materialize preliminary intervention that could take actions against retaliatory behavior.

      • KCI등재후보

        WTO 분쟁해결제도에서의 교차보복 : 제도상 문제점 및 적용사례 분석

        안덕근;이효영 법무부 2010 통상법률 Vol.- No.92

        세계무역기구(WTO) 분쟁해결제도는 분쟁사안이 발생한 해당 산업이나 협정은 물론이고 필요한 경우 여타 협정의 영역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는 교차보복(crossretaliation)을 허용하고 있다. 이는 상품교역에 국한된 GATT 체제하에서의 보복조치가 GATT 협정 내에서만 허용되었던 점에 비해 WTO 분쟁해결제도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WTO 체제하에서는 분쟁 승소국에 의한 무역보복조치의 시행이 현실화되어 있으며, 교차보복의 승인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복조치의 시행에 대한 WTO 규정은 분쟁해결양해(DSU) 제22조에 규정되어 있다. 이 중 제22.3조는 보복조치의 시행과 관련한 일반적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제소국은 WTO 협정의무 위반 판정을 받은 것과 동일한 산업부문에 대해 보복조치를 부과하여야 하나, 동일한 산업부문에서의 보복조치 부과가 실행가능하거나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에는 동일 협정상 여타 산업부문에 보복조치(산업간 교차보복)를 부과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관련 상황이 심각한 경우"에는 여타의 대상협정상 보복조치(협정간 교차보복)를 허용하고 있다. 교차보복제도와 관련하여 가장 현저하게 부각되는 법적인 문제점은 TRIPS 협정상의 교차보복 규정이다. 협정 간에 교차보복이 허용됨으로써 WTO 회원국은 상품, 서비스 교역 및 지적재산권 보호와 관련되는 회원국 간의 양허에 대해 허용된 보복수준한도 내에서 사실상 자유롭게 보복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장접근에 관한 양허를 다루는 상품 및 서비스 협정들과는 다르게 TRIPS 협정의 경우 사인(private parties)들의 지적재산권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는 협정이므로 보복조치의 법적인 효과가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 뿐 아니라, TRIPS 협정상의 보복조치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보장되어야 하는 지적재산권의 직접적인 훼손 문제, 제3국에게 야기하는 경제적 손실 문제, 지적재산권 보호 침해 수준의 보복조치 계산 문제 등이 제기 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GATS 협정상 교차보복을 추구하게 될 경우에도 법적인 문제점들이 발생하는데, 관세를 통한 일원적인 형태의 시장접근을 다루는 GATT와는 다르게 GATS의 경우 시장접근에 관한 내용은 구체적 약속에 해당하므로, GATS 협정상 무역보복조치 역시 구체적 약속이 제시된 사항에 대해서만 적용되므로 보복조치의 형태에 대한 제약이 부과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교역은 다양한 교역방식을 포괄하므로 무역보복조치가 여타 법규들과 상충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현재까지 WTO 분쟁해결기구가 공식적으로 교차보복을 승인한 사례는 세 건으로, EC-바나나(EC-Bananas III), 미국-도박서비스(U.S.-Gambling Services) 및 미국-고지대면화(U.S.-Upland Cotton) 분쟁 중재사례가 있다. 주요 법적 쟁점과 관련하여 판정이 거듭되어 가면서 법규정의 해석에 대한 논리가 보다 정교하게 발전되는 부분도 있으나, 도리어 기존의 해석과 상반되는 판정도 제시됨으로써 향후 중재판정에 난제를 제시하는 부분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현재 상소기구 절차를 원용할 수 없는 분쟁해결절차의 구조상 결국 학계에서의 논의를 통해 적절한 해석상 지침과 방향을 설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dispute settlement system authorizes cross-retaliation under which the impact of disputed issues can extend not only to the pertaining industry or Agreement but, if necessary, to other covered Agreements as well. Such is one of the key features of the WTO dispute settlement system, comparable to the GATT system under which retaliation was limited only to goods trade. Furthermore, under the current WTO system, winning parties are indeed engaging in trade retaliatory measures against responding parties, while the number of cases where cross-retaliation has been authorized is on the rise. The WTO provision regulating cross retaliation is DSU Article 22. According to Article 22.3 of the DSU, which provides for the general principles and procedures on the implementation of compensation and suspension of concessions, while complaining parties should first seek to suspend concessions or other obligations with respect to the same sector(s) as that in which a violation has been found, if deemed not practicable or effective to suspend concessions with respect to the same sector(s), the party can seek retaliation under other covered agreements ('cross-sector retaliation'). In addition to that, if the party considers that the "circumstances are serious enough", it may seek retaliation under another covered agreement ('cross-agreement retaliation'). One of the most striking legal problems with regard to cross-retaliation concerns is the suspension of concessions under the TRIPS Agreement. With the authorization of cross-agreement retaliation, WTO members are now practically able to suspend their commitments against reneging countries within the range of authorized suspensions on goods, services trade an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s a result, since the TRIPS Agreement provides for the rights of intellectual property, unlike the GATT or GATS which covers market access concessions, the legal impact of retaliation under the TRIPS Agreement can turn out quite differently. Furthermore, retaliation under the TRIPS Agreement may raise issues with regard to the direct impairment of IPR, which under normal circumstances need be preserved, economic losses to third parties, and the difficulty of calculating the appropriate level of suspensions regarding intellectual property. Up to now, there have been three cases in which cross-retaliation has been authorized: EC-Bananas III, U.S.-Gambling Services and U.S.-Upland Cotton. With regard to major legal issues, it seems that the series of arbitration panels have been able to develop more elaborate legalistic approaches, while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disagreeing positions among arbitration panels on the same issues. Such intricacies are bound to complicate future arbitration rulings, and will become subject to academic discussions regarding the guidelines and directions for the proper interpretation approaches since arbitration decisions cannot be appealed under the current dispute settlement system.

      • KCI등재

        WTO 분쟁해결절차상 보복조치의 문제와 개선방안

        김인숙 법무부 2010 통상법률 Vol.- No.96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on January 1, 1995, the dispute settlement regime within the WTO has become one of the most active dispute settlement mechanisms in international law. Nevertheless, WTO has some limits in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the procedures of retaliation in particular. The enforcement approach in the DSU is flawed. It lets scofflaw governments avoid liability for too long and has little deterrent effect. Retaliation under the WTO requires following the procedures established in DSU Article 22.3. If the parties fail to agree on a satisfactory compensation within 20 days after the reasonable period of time has expired, the complaining party may request authorization from the DSB to suspend concessions or other obligations granted in Covered Agreements. If a WTO member fails to implement recommendations and rulings adopted by the DSB within the required period of time, the complaining party is entitled to request authorization from the DSB to suspend such concessions and other obligations, i.e. to apply trade sanctions. A state must suspend concessions within the same sector or agreement, unless doing so 'is not practicable or effective.' If not practicable or effective, and the victim state considers "circumstances are serious enough," it may cross-retaliate by seeking to suspend trade concessions in other WTO agreements. It seems clear that the DSU aims to induce the violating state to remove the offending measure. It is, however, not the exclusive purpose of the DSU. The DSU also constrains state responses toward the violating state, principally by limiting the level of retaliation 'equivalent to the level of the nullification.' If inducing compliance from the violating state were the only goal, the DSU would approve retaliating as much as necessary to achieve this outcome. Therefore, an equally plausible reading of DSU Article 22.3 is that it seeks to limit and define the scope and substance of retaliation. The goal of retaliation under the WTO is the maintenance of a proper balance between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Members by inducing compliance from the violating state. The question is how significantly increased retaliation, including cross-retaliation, adds to the likelihood of compliance with WTO rulings. It cannot be denied that an institutionalized regime of sanctions may increase compliance over the medium-to-long term, and possibly induce liberal trade policies in situations where it otherwise would not occur. Limiting cross-retaliation to situations where the victim state has little trade with the violating state will usually prevent DSU Article 22.3 from becoming a tool of the powerful against the weak because, on the whole, weak states have less trade than larger developed countries. The compliance-inducing benefits of the WTO are unlikely to be significantly enhanced through more cross-retaliation, although the drawbacks may be substantial. But practically, the effect of retaliation is different as to whether members suffer a suspension of concessions that restores the overall balance of benefit and burdens. Also it is difficult to take account of the level of retaliation 'equivalent to the level of the nullification.' The WTO's most effective tools are legitimizing retaliatory actions in the face of a trade partner's continued breach by the clarifying legal procedures. WTO가 출범한 이래 WTO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국제경제 분야에서의 국제법 법리의 확립이라는 측면에서 큰 진전을 이루었고 국제법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TO 분쟁해결기구의 공헌은 특히 분쟁해결절차를 통하여 WTO상 회원국들에 부여된 의무의 이행을 확보하는 분쟁해결절차의 마지막 구제수단인 보복조치 제도와 관련해서는 미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WTO 분쟁해결절차상 분쟁해결의 일차적인 해결방법은 상호간의 합의에 의한 해결이며 그러한 합의가 도출되지 못할 경우에만 이차적인 분쟁해결 수단으로서의 구제수단이 인정된다. 여기서 일차적 방법에 의한 분쟁해결이 도출되지 못한 경우에 주어지는 구제절차도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우선 분쟁당사국의 조치가 대상협정에 위반된 것으로 판정이 내려지면 동 조치의 철회가 우선적인 분쟁해결수단이고, 그러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철회하는 것이 현실적이지 않은 경우에만 대상협정에 대한 위반조치의 철회시까지 잠정조치로서 보상의 제공을 요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분쟁해결 절차상 최후의 구제수단으로서 대상협정상의 양허 또는 의무의 정지를 허용받는다. WTO 분쟁해결절차상 보복조치는 바로 분쟁해결의 마지막 구제수단으로 인정되는 대상 협정상의 양허 또는 의무의 정지를 의미한다. WTO 분쟁해결절차상 보복조치제도는 DSB에 의한 판정의 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대비하여 WTO협정상 의무불이행 국가의 의무이행을 유인하고 WTO체제내에서 회원국간 권리와 의무의 균형을 회복시키기 위한 구제수단으로서 고안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DSU는 제소국이 위반 또는 그 밖의 무효화 또는 침해가 있었다고 판정을 내린 분야와 동일한 분야에서의 양허 또는 그 밖의 의무의 정지를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지만, 제소국이 동일 협정상의 동일 분야에서의 양허 또는 그 밖의 의무를 정지하는 것이 비현실적이며(not practicable) 또는 비효과적(not effective)이라고 간주하는 경우, 동일 협정상의 다른 분야에서의 양허 또는 그 밖의 의무의 정지를 추구할 수 있고, 동일 협정상의 다른 분야에서의 양허 또는 그밖의 의무를 정지하는 것이 비현실적 또는 비효과적이며 상황이 충분히 심각하다고 간주하는 경우, 다른 대상협정상의 양허 또는 그 밖의 의무의 정지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규정을 통해서 볼 때, DSU는 의무 불이행국의 위반조치 제거를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DSU가 이러한 목적만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DSU는 또한 '무효화 수준에 상응하는' 보복조치 수준으로 한정함으로써 협정위반국에 대응하는 국가에 대해서도 제한을 가하고 있다. 의무 불이행국가에 대한 의무이행 유도가 유일한 목적이었다면 DSU는 그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준의 보복을 승인하였을 것이다. 결국 DSU상 보복조치의 목적은 의무 불이행국의에 대하여 의무이행을 유도함으로써 회원국간 권리와 의무간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런데 분쟁해결제도에서 최종적 이행절차인 구제수단은 이러한 기대에 비하여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다는 비판에 처해있다. 보복조치라는 구제수단의 사용에 있어서 제기되는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DSU 절차상 보복조치는 무효화 또는 침해수준에 동등한 수준이어야 하는 바 '무효화 수준에 상응하는' 보복조치 수준을 어떻게 산정할 것인지 문제와 무효화 또는 침해수준을 어느 시점으로부터 어떻게 계산하는가에 따라서 보복조치의 수준이 변화 될 수 있다는 데서 논란의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교차보복을 허용하기 위하여 그 전제요건인 동일 분야 또는 동일 협정내의 양허가 '실질적이거나 효과적인지' 여부와 협정 위반국의 '상황이 충분히 심각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의 불명확하다는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어져 왔다. 그리고 기존의 장래적인 성격의 구제수단 제도는 보복수준을 합리적인 이행기간 만료로부터 계산하게 함으로써 피소국으로 하여금 오히려 합리적인 이행기간을 최대한 늘이는 등의 방법을 통해 부당이득을 얻도록 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처럼 무효화 또는 침해수준의 산정시점이나 방법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부재하여 혼란을 초래하고 있고 더 나아가 분쟁해결기구로서의 WTO의 권위를 손상시키고 있는 것은 DSU 규정이 갖는 규범적 한계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WTO 분쟁해결기구가 그 제도적 취지와 기능을 살리기 위해서는 WTO 협정상 의무의 이행확보 수단으로서의 보복조치가 실질적으로 그 기능과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보복조치제도가 갖는 한계와 문제점이 개선될 필요성이 있으며, WTO의 DSU 개선논의가 재개되어야 한다. WTO의 분쟁해결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무기는 계속적인 의무위반국에 대하여 취해지는 보복조치가 합리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그 절차규정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 KCI등재

        WTO 분쟁해결절차상의 보복조치의 수준에 관한 연구

        배연재 법무부 2006 통상법률 Vol.- No.70

        보복조치, 즉, '양허 또는 다른 의무의 정지'는 WTO 회원국이 DSB의 판정 결과를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에 직면할 수 있는 무역제재이다. 중재 과정을 통하여 내려지게 되는 보복조치 승인 결정은 관련 당사국들에 대해 확정적 구속력을 갖기 때문에, 어떠한 기준에 의해 이러한 결정이 내려지는 가는 분쟁의 당사국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현재까지의 결정들은 DSU 제22.6조와 SCM 협정 제4.11조만을 각각 원용하여 적용한 경우이어서 비교적 쉽게 분류가 가능한데,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무역효과를,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보조금의 가액을 기준으로 보복조치의 수준을 결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준을 세 가지 관점, 즉, 보복조치의 목적, 일반국제법 및 보복조치 수준의 계산상 문제의 관점에서 평가하여 보았다. 결론적으로, 보복조치의 수준에 관한 논의는 설득력 있는 적정선의 수준을 어느 범위로 설정할 것인가로 귀결될 수 있다. 기존의 DSU와 SCM 협정이 요구하는 보복조치의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궁극적으로 분쟁의 해결에 이를 수 있는 보복조치의 수준을 결정해야 하는 중재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 The 'suspension of concessions or other obligations', known widely as 'retaliation' in short, is a trade restriction a WTO member will be faced with when the recommendations and rulings of the DSB are not implemented within a reasonable period of time. Since the parties have to accept the arbitrators' decision as final, the process and the standard of basis the arbitrators follow hold significant meaning. Since the retaliation cases requested before the DSB have only been associated with two articles, classification of these decisions are quite simple. A specific standard is employed for each article: Article 22.4 of the DSU is based on trade effects and Article 4.11 of the SCM Agreement on total amount of subsidy. This being so, these standards have been evaluated from three different viewpoints, that is,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retaliation, general international law, and the problems that can aris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level of retaliation. The debate concerning the level of retaliation, as a result, naturally boils down to determining the proper level of persuasiveness. The importance of the arbitrators' role to advance a level of retaliation, acting within the limit conferred upon them by the DSU and the SCM Agreement, that will bring about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parties concerned has increased ever more.

      • KCI등재

        WTO 보복조치의 실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환규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2 No.3

        The WTO system introduces retaliation as a remedy to enforce DSB’S recommendations and rulings and to restore the balance between the rights and the obligations of WTO members. However, a number of problems have been raised with regard to its implementation of WTO retaliation. First, there is a problem with free riding by a violating member because the level of retaliation is determined from the expiration of a reasonable period of time. Second, it may be ineffective when a developing country attempts to impose retaliation against a developed country because it is normally based on a country’s economic power. Third, it seems to be inadequate to bring good quality and timely compliance because retaliation increases restriction on trade, not only the violating member but also the consumers and industries of the complaining member. Given these problems in WTO retaliation and the fact that complaining members often did not take retaliation even if they were authorized by the DSB, they should devise measur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retaliation system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s retaliatory measures as a WTO dispute settlement system, analyzes cases related to retaliatory measures, and examines the problems in WTO retaliation and ways to improve them. Among the various measures discussed, the remedy in the form of monetary payments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retaliation, and the complainant can be compensated for damages that occur after the retaliation arbitration is resolved. It is the most realistic alternative to the solution. However,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DDA negotiations are virtually abandoned and the WTO dispute settlement function is weakened, it is much more realistic to find the answer in the FTA system, not in the WTO system, in order to be relieved of damages and to induce implementation. I think. In other words, it is expected that the problems of WTO retaliation raised in the WTO system can be solved within the FTA system by introducing monetary payments directly to the FTA and actively using the FTA dispute settlement system. WTO 체제는 DSB 판정의 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패소국의 판정이행을 촉진하고 회원국간 권리 의무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구제제도로 보복조치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승소국이 요구할 수 있는구제조치가 장래효에 한정되어 제소의 실익이 적다는 점, 분쟁 당사국간무역규모나 경제력에 불균형이 있는 경우 보복조치의 이행을 통해 패소국의 판정이행을 유도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 승소국이 보복조치를취할 경우 패소국 뿐만 아니라 보복조치국도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완전한 구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등 여러 문제점들이 제기된다. 이러한 보복조치제도상의 문제점과 DSB로부터 수권 승인을 받더라도실제 보복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보복조치제도의 도입 취지에 맞게 그 실효성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거나 작금의 상황을 고려하여 대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WTO 분쟁해결제도로서의 보복조치에대해 살펴본 후, 보복조치 현황 및 보복조치 관련 사례에 대해 분석하고, 그 동안 논의된 보복조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논의된 여러 개선방안들 중, 금전적 지급 형태의 구제 방안이 보복조치의 목적에 부합되며, 보복중재판정 이후 분쟁이 해결될 때까지 발생하는피해를 제소국이 구제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보복조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DDA 협상이 답보상태에 놓여 있고, 상소기구 기능 정지로WTO 분쟁해결기능이 약화된 현 상황에서, 피해를 구제받고 판정이행을촉구하기 위해서는 WTO 체제가 아니라 FTA 체제에서 해답을 찾는 것이훨씬 현실적이라고 생각된다. 즉, 금전적 지급 형태의 구제 방법을 FTA에직접 도입하고, 분쟁발생 시 FTA 분쟁해결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WTO 체제 내에서 제기되는 보복조치제도의 문제점을 FTA 체제 내에서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KCI등재후보

        WTO DSB판정 이행확보 수단으로서의 보복조치

        이길원(Lee, Kil Won)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1 국제경제법연구 Vol.9 No.2

        WTO 출범이후 DSU를 도입함에 따라 보다 체계적이고 통합된 분쟁해결제도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DSU는 분쟁에 관한 판결이행 및 감독 절차 그리고 구제제도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며, WTO가 출범한 이래 가장 큰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재결적 방식으로 WTO 패널은 문제된 조치에 대한 대상협정과의 일치성 여부를 판단하는데, 불일치 시 위반국에게 위반조치를 철회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대게 권고 및 판정을 위한 이행기간이 부여되는데 이 기간 내 위반조치를 철회하지 않는 경우 판정의 이행확보 수단으로서 보복조치라는 구제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쟁해결의 절차적 강화에도 불구하고 위반국이 위반조치를 일부 만 철회하거나 다소 철회의 시기를 지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등 준수이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다수의 학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의 가장 큰 원인으로 WTO협정의 의무불이행에 대한 현재의 보복조치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한다. 관행상 보복조치의 수준이 판정의 이행을 위한 합리적 기간 이후부터 장래적으로 산정된다는 점과 시장봉쇄조치로 제소국의 시장규모에 따라 보복조치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결정의 이행을 유도하는데 충분하지 못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제소국은 보복을 이행함에 있어 위반국 만큼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완전한 구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도 제기된다. 따라서 본 글은 보복조치의 이행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판정의 신속한 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복조치를 개시하기 위한 무효화 또는 침해수준의 산정시점을 합리적 기간 종료일 이전으로 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보복수준의 소급효는 피소국이 의도적으로 합리적 기간을 늘려 이행절차를 지연하더라도 이러한 지연을 통해 얻은 이익이 소급적 보복조치에 따라 상쇄될 수 있으므로 고의적으로 절차를 지연하는 경우가 최소화될 수 있다. 둘째, 보복의 이행방식에 변화를 줌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보복조치의 이행시, 보복의 대상이 되는 산업을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많은 산업에 보복의 효과를 준다면 그만큼 많은 산업들이 자국정부에게 판정을 이행할 것을 압박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보복의 수준을 무효화 또는 침해의 수준과 상응하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이행 한다면 DSB가 승인한 보복의 총 수준으로 이행하는 것보다 보복이행국의 수입업자나 소비자에게 피해를 최소화시키면서 판정 불이행국의 수출업자가 자국정부에게 판정을 이행하도록 충분한 압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동일한 분쟁에서 제소국이 다수인 경우, 제소국간 집단적으로 보복조치를 이행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이는 제소국의 시장크기에 따라 보복조치의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을 상대로 보복조치를 이행하는 경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보복조치의 대체로서 금전지급 형태의 구제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무역의존도가 높고 보복의 이행이 부담되는 개발도상국에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오늘날 WTO 분쟁판정의 이행확보 수단으로서 보복조치에 대한 개선논의는 도하 개발아젠다와 연계하여 계속되고 있다. WTO 분쟁해결제도의 목표인 “분쟁에 대한 긍정적인 해결책” 및 판결의 준수이행이 확보되기 위해 제도적 및 절차적 강화가 구비된 보복조치제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The introduction of the DSU in the WTO has enhanced the legitimacy of the WTO by providing a rule-based and impartial mechanism through which members could resolve their disputes. The DSU generally administers the DSU"s implementation and surveillance procedure, which provides specific rules on remedies for non-compliance. When a dispute arises between member states, the complaining member that has prevailed in a case may impose retaliation against the violating member when the latter fails to comply with its WTO obligations. It is designed to induce the violating member to comply with WTO obligations. However, a number of problems have been raised with regard to its implementation in the sense that it seems to be inadequate to bring good quality and timely compliance. Since retaliation increases restrictions on trade, not only the violating member but also the consumers and industries of the complaining member, who prefer cheaper imports, have to suffer. Moreover, there is a problem with free riding by a violating member because the level of retaliation is generally determined from the expiration of the reasonable period of time, providing an incentive to delay compliance. It may also be ineffective when a small country member attempts to impose retaliation against a large country member because it is normally based on a member"s economic power.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roblems of retaliation and suggest ways for its improvement. First, the retroactive determination on the level of retaliation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create incentives for prompt compliance and discourage delay. Second, some changes to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of the retaliatory measures could be considered, i.e. the rotation of products on retaliation lists and gradual changes to the level of retaliation over time. Third, collective retaliation could be introduced in limited circumstances. For example, multiple complainants in the same disputes may collectively retaliate against the violating member by sharing the total level of retaliation in proportion to their retaliation capacity. This may be effective for a small country member to inflict sufficient harm on the violating member. Lastly, monetary payment c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remedy to retaliation. This is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on for the complaining member when it finds that receiving monetary payment is more beneficial than implementing retaliation. In sum, the WTO will become more meaningful to member states as it maintains a well-structured mechanism of settling disputes. With the improvement and reform of WTO dispute settlement remedies, it will take a progressive step towards becoming a more effective international organization.

      • KCI등재

        정의민감성, 연민성, 부정정서가 보복행위에 미치는 영향 : 정치인 갑질에 대한 공중의 보복을 중심으로

        김대중,박지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9

        본 연구는 정치인 갑질에 대한 공중들의 개별 보복행위(부정구전, 인터넷 불평, 낙선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학적 요인(성별, 연령대), 개인의 심리적 특성 요인(정의민감성, 연민성), 보복욕구, 각성된 부정정서(분노, 경멸, 혐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성별과 연령대를 고려한 균등배분 표본추출 방식을 적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전체 332명(남 자: 166명, 여자: 166명)이 설문에 응답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남성이 여성보다 갑질에 대한 보복행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복행 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으로 정의민감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연민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흥미롭게도 갑질 로 인해 각성된 개별 부정정서에 따라 보복행위 형태는 다르게 나타났는데, 분 노는 부정구전, 경멸은 인터넷을 통한 불평, 혐오는 낙선운동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각각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정치인 갑질에 대한 공중들의 보복행위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의에 대한 신념과 어긋날 때 보복욕구로 이어지며, 또한 각성되는 개별 부정정서에 따라 보복행위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음이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public's vengeance behavior based on demographic factors (gender, age group), personal characteristics factors (justice sensitivity, empathy), desire for vengeance, aroused negative emotions (anger, contempt, disgust). The data was collected by an online survey method using the equally distributed sampling method considering gender and age. A total of 332 (male: 166, female: 166)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en, rather than women, showed higher desires for retaliation and willingness to retaliate against politicians. Second, while the personal characteristic, justice sensi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taliatory behaviors, while empathy did not. Lastly, depending on the sentiment, the form of retaliation appeared differently. Ang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oral behavior, contempt on retaliatory complaints and publicity complaints through the Internet, and aver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scrimin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ublic's retaliatory behavior against the politician's Gapjil is triggered by the standard of the individual's definition, and the form of retaliatory behavior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roused negative emotion. The results implicate that they revealed the role of negative individual emotions in the process of public retaliation.

      • KCI등재

        서비스 실패요인이 보복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품질의 조절효과

        김모란,안광호 한국마케팅학회 2012 ASIA MARKETING JOURNAL Vol.14 No.1

        Service failure and a poor service recovery may lead loyal customers to try to aggressively punish the service firm. We use perceived betrayal and desire for vengeance as the key constructs to understand customer retaliation. Perceived betrayal is defined as a customer's belief that a firm has intentionally violated what is normative in the context of their relationship. And the desire for vengeance is defined as the retaliatory feelings that consumers feel toward a firm, such as the desire to exert harm on the firm. The perceived betrayal and the desire for vengeance are key antecedents of retaliatory behaviors such as vindictive complaining, negative WOM and third-party complaining for publicity.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betrayal is a key motivational factor that lead customers to restore fairness by making use of all means, including retaliation. We also find that relationship quality has effect on a customer's response to a failure in service recovery. As the levels of relationship increases, a violation of the proper fairness has a stronger effect on the sense of betrayal experienced by customers. Considerable research has investigated consumer responses to dissatisfaction. But our study examine the response of outraged and highly frustrated consumers. We focus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cesses that have not been covered by previous dissatisfaction researches and which are unique to outraged consumers caused by extremely dissatisfied purchase experience. It has recently been pointed out by various mass media that the customers not onl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ompany performance but also put the company in crisis. It has often been reported that one customer's dissatisfaction, for example, never ends as it is, and it tends to grow for retaliating upon the company, depending on the level of seriousness of the dissatisfaction. This sometimes leads to a lawsuit against the company. Our study focuses on the customers'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induced by their extreme dissatisfactions. We divided the customer groups into the customers with high relationship quality and the customers with low relationship qual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s examin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eeling of betrayal caused by the service failure and the retaliatory behavior triggered by the desire of revenge. Our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nfairness and the perceived betrayal and desire for revenge. Second, the effect of the perceived betrayal and desire for revenge on the retaliatory behavior is investigated. Finally, the moderating role of relationship quality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fairness in service recovery and the perceived betrayal is analyzed. This study finds the following empirical results. The distributive unfairness, procedural unfairness and interactional unfair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betrayal. Especially, the perceived distributive unfairness results in the highest perceived betrayal. When the service company does not provide customers proper and sufficient compensation for the failure, they feel the strong sense of betrayal. And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betrayal, desire for revenge and retaliatory behavior, the perceived betrayal has significant effects on e desire for revenge. In addition desire for revenge has significant effects on negative word of mouth, retaliatory complaining behavior and publicity of complaints through third group. Therefore the perceived unfairness has effects on retaliatory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perceived betrayal and desire for revenge. Finally the moderating role of relationship quality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fairness and perceived betrayal. If the customers experienced the perceived unfairness in the process of service recovery, the customers with... 과거 기업은 고객만족을 통해 고객의 충성도를 구축해 지속적인 이윤을 창출하는데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고객들은 기업에게 긍정적 영향만을 주지 않으며 때로는 기업을 위험에 빠뜨리기도 하고곤란에 처하게 하기도 한다. 서비스실패를 경험한 고객에게 기업이 적절한 서비스 회복조치를 취하지못했을 때 그들은 배신감과 분노 같은 강한 부정적 정서를 느끼며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기업의 성과에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격적 행동이나 보복행동을 유발 할 수 있다. 고객이 느끼는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기업과 오랜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그 기업에 대해 애착을 가진 충성고객에게 더 강하게 발생될 수 있다. 강한 배신감을 느낀 충성고객은 단순히 경쟁기업으로 브랜드 전환을 하는데 머무는것이 아니라 온라인 부정적 구전, 불매운동, 언론매체를 통한 호소 등의 강력한 보복행동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요인으로 발생되는 배신감이라는 감정이 보복욕구를 통해 보복행위까지 가는 인과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기업 간의 충성도가 각기 다른 고객들을 분류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각각의 공정성 훼손은 모두 지각된 배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객들은 분배 공정성 훼손으로 인한 서비스 실패를 경험하였을 경우 가장 높게 배신감을지각했으며 절차공정성 훼손으로 인한 서비스 실패를 경험하였을 경우 배신감을 가장 낮게 느끼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배신감은 보복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후 부정구전과 보복적인 불평행동, 제3단체를 통한 불만 홍보와 같은 보복행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따라서 공정성 훼손은 지각된 배신감과 보복욕구와 같은 매개변수를 통하여 보복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정성 훼손과 지각된 배신감과의 관계에서 과거 해당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의 친밀도를 나타내는 관계품질의 조절변수 역할을 검증한 결과 관계품질은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 요인이 보복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 인과관계로 보지 않고 기업과 고객간의 관계품질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연구를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도로 위의 분노(Road Rage), 보복운전의 사건 유형별 피해 경향 분석

        이장욱 한국공안행정학회 202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cases of Road Rage, analyze the tendency of victimiz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149 court judgments (155 defendants) sentenced over the past two years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as subjects of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oad rage cases gradually increased from morning rush hour to late afternoon, and after reaching its peak around evening rush hour, the number dropped sharply at night. Second, the overall age group of victims was in their 30s, but the number of victims in their 40s surpassed those in their 30s in vehicle-collision types. Third, passenger cars accounted for an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damaged vehicles regardless of the types of cases.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damage to passenger cars accounted for nearly 70% in threat type. However, the proportion of damage to trucks, taxis, and buses was also relatively high. Interestingly, there were no taxi-to-taxi and bus-to-bus case. Fourth, among the victimization-causing activities, the ‘cutting in line’ cases were the most common. In vehicle-collision type, the cases due to cutting in-line were about half of the total. In addition, about 10% of victims caused anger of the other party by swearing at him or her, road rage driving, or aggressive driving. 이 연구의 목적은 소위 ‘도로 위의 분노’라고 불리는 보복운전을 유형화하고, 보복운전의 피해 경향성에 대해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2년 동안 선고된 보복운전 형사사건 판결서 149건(피고인: 155명)을 수집하였고, 각 판결서에 기재된 사실관계를 기초로 보복운전의 피해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건 발생시간대별 추이를 살펴보면 아침 출근시간부터 오후까지 사건 수가 점차 증가하여 퇴근시간 무렵 정점에 이른 후 야간으로 접어들며 급감하였다. 둘째, 피해 운전자의 연령대는 전체적으로는 30대가 가장 많았으나, 접촉형 및 기타 유형에서는 40대가 30대를 앞질렀다. 셋째, 피해차종은 사건유형을 불문하고 승용차가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였다. 특히 위협형의 경우는 승용차의 피해 비중이 전체의 70%에 육박하였다. 그러나 화물차, 택시, 버스의 피해 비중 역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흥미로운 것은 택시에 대한 택시의 보복운전 및 버스에 대한 버스의 보복운전은 1건도 없었다. 넷째, 피해유발행위 중에서는 끼어들기가 가장 많았다. 특히 접촉형의 경우에는 끼어들기로 인한 보복운전이 전체의 절반 수준이었다. 또한, 보복운전 피해자의 약 10%는 가해자에게 먼저 욕설을 하거나 보복․난폭운전을 저지름으로써 상대방의 보복운전을 유발하였다.

      • KCI등재

        보복운전 범죄와 교정복지적 측면에서의 대응방안

        김평식 한국교정복지학회 2018 교정복지연구 Vol.0 No.54

        도로에서의 중앙선 침범, 운전 부주의로 인한 추돌, 난폭운전, 졸음운전 등 늘 많은 사건들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물론 이런 사고들의 공통된 결말은 늘 커다란 사고로 이어지고 인적‧물적 피해를 가져온다. 차량과 차량 간의 충돌이 아닌 ‘사람과 사람’간의 감정과 분노로 표출되는 보복운전 범죄는 더욱 그러하다. 유용한 교통수단의 자동차가 ‘도로 위 흉기’로 변하는 보복운전 범죄는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 사회 안전을 무너뜨리는 위험요소이다. 최근 보복운전 범죄행위에 대한 강력한 형사처벌과 집중단속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계속 증가하고 있다. 또한 보복운전 범죄의 개념, 처벌기준, 관련법 등을 잘 인지하지 못하여 운전을 하다가 순간 자신의 감정과 분노를 억제하지 못하고, 보복운전의 범죄행위로 표출하여 더 큰 사고나 처벌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보복운전 범죄의 정의, 성립요건, 유형, 발생원인과 현황 등을 살펴보고, 보복운전 범죄에 대한 형사적, 법․제도적, 예방적 방안, 그리고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re are always many incidents such as crossing the center line on the road, collision due to careless driving, reckless driving, and drowsy driving. of course, the common consequences of these accidents always lead to big accidents and cause human and physical damage. This is especially true of the road rage crimes that are expressed not as a collision between a vehicle and a vehicle but as emotions and anger between a person and a person. A road rage crime in which a car with useful transportation is turned into a weapon on the road is a risk factor that could lead to a major accident. despite strong criminal punishment and intensive crackdown on recent road rage crimes, they are still not eradicated, and they continue to rise. In addition, he is not aware of the concept of road rage crime, penalty criteria, and related laws, and is unable to control his feelings and anger at the moment, and is expressing himself as a criminal act of road rage crim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requirements, types, causes, and status of road rage crimes, and suggests the criminal, legal, preventive, and necessary policy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