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폐수의 하수슬러지 병합 처리를 위한 물리화학적 분석 및 혐기성소화 평가

        이원배 ( Wonbae Lee ),이풀잎 ( Puleip Lee ),권준화 ( Junhwa Kwon ),이동진 ( Dongjin Lee ),이원석 ( Wonseok Lee ),신선경 ( Sunkyung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최근까지 음식물류폐기물 및 하수슬러지와 같은 유기성폐기물을 해양투기로 처리하였으나 런던협약 이후,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축산분뇨, 2013년부터는 음폐수의 해양배출이 금지되었고, 이에 따라 유기성폐기물을 전량 육상처리 하도록 하고 있다. 대표적인 고농도 유기성폐기물중 하나인 음식물류폐기물은 대부분 사료화 및 퇴비화 등으로 육상처리 되었으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으로 인해 2019년부터 음식물류폐기물의 습식 사료화가 축소되었다. 이에 습식사료화로 처리되고 있던 음식물류폐기물이 건식사료화·퇴비화·중간가공 등으로 처리 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급증하는 음폐수의 처리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음폐수의 처리 방법 중, 폐기물 안정화 및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혐기성 소화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 음폐수의 경우, 혐기성 소화 시 낮은 pH 및 염분농도로 인해 혐기성 소화 효율이 저하될 수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수슬러지와 혼합하여 처리하는 병합 혐기성 소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의 습식사료화가 축소됨에 따른 처리시설별 변동 현황 및 처리량을 파악하였으며, 효율적인 병합 혐기성 소화를 위해 음폐수 및 하수슬러지의 물리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각 폐기물별 바이오가스 발생량 및 저해인자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실증 하수처리장내 혐기소화 시설에 음폐수를 투입하여 혐기성 소화 효율을 평가하였다. ASF 발병 이후, 음식물류폐기물 처리 시설의 현장 및 유선 조사를 실시한 결과, 습식사료화 시설은 총 121 개소 감소하였다. 효율적인 병합 소화를 위한 각 폐기물의 물리화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음폐수가 하수슬러지에 비해 약 19% 높았으나, 고농도로 존재 시 혐기성 소화에 저해를 줄 수 있는 NH<sub>4</sub><sup>+</sup>농도가 약 1.9배 높았다. 이에, 하수처리장내 음폐수 투입량을 증가시키면서 혐기성 소화를 실시한 결과, TS 및 VS 제거율은 각각 45.4, 61.1%로 음폐수 투입 전과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물리화학적 분석 및 실증 시설 운전을 통해 평가한 결과, 음폐수 및 하수슬러지의 병합 혐기성소화 시, 음폐수의 고농도 NH<sub>4</sub><sup>+</sup>와 같은 유해인자들로 인해 혐기성 소화 효율이 감소할 수 있지만, 적정 비율의 음폐수 투입을 통해 기존의 하수슬러지 혐기소화 시설에서 안정적인 병합 혐기성 소화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하수슬러지와 음식물 탈리액 병합처리를 위한 막 결합형 2상 고온 혐기성 소화공정 적용

        조영범,박은희,오용걸,신동철,박철휘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하수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의 해양배출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매년 증가하는 유기성폐기물의 육상처리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고농도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슬러지 감량화와 더불어 메탄가스를 회수할 수 있는 혐기성 소화공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2상 혐기성 소화공정은 산발효조와 메탄조를 분리하여 각 단계에서 작용하는 산생성 미생물과 메탄생성 미생물의 생화학적인 특징 및 영양 요구조건을 조절하여 생장에 적합한 환경조건을 유지시킬 수 있고, 각 미생물의 활성이 극대화되어 전체 공정의 반응속도와 안정성을 향상시켜 소화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2상 혐기성 소화공정에 막을 결합하여 소화조 내의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시키며, 고형물과 미생물 간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높은 처리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인 음식물 탈리액 처리를 위한 하수슬러지와의 병합소화공정은 음식물 탈리액의 낮은 pH 조절을 위한 약품투입량 저감, 높은 TS로 인한 충격부하 완화, 염분 및 암모니아성 질소 독성의 희석 효과로 인한 소화공정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C/N 비가 낮아 유기물 제거효율이 충분하지 않은 하수슬러지는 병합소화로 인하여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막 결합형 2상 고온 혐기성 소화공정을 적용하여 하수슬러지와 음식물 탈리액의 처리를 연구하였다. 하수슬러지와 음식물 탈리액의 적정혼합비를 도출하고, 막 결합 후, 최종적인 유출수의 유기물 제거율, 메탄가스 발생량 변화 및 막 성능을 관찰하였다. 실험은 lab-scale로 진행되었으며, 대상 시료는 서울시 소재의 N 물재생센터의 잉여슬러지와 S 매립지의 음식물 탈리액을 사용하였다. 공정의 구성은 산발효조, 메탄생성조, 농축조, 침지형 UF 멤브레인으로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하수슬러지와 음식물 탈리액을 혼합하여 주입하였으며, 혼합비율은 하수슬러지와 음식물 탈리액을 9:1, 8:2, 7:3 비율인 부피비로 음식물 탈리액의 비율을 점차 증가시켰다. 음식물 탈리액의 혼합비가 증가함에 따라 C/N 비 12, 14, 16 및 COD 부하율 14, 15, 17kg COD/㎥·day로 증가하였다. 농축조 후단에서의 제거효율은 TCOD<sub>cr</sub> 71%, T-P 94%, TS 75%, VS 76%로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막 결합 시 처리효율은 TCOD<sub>cr</sub> 98%, T-P 96%, TS 92%, TKN 51%로 증가하였다. 음식물 탈리액 비율의 증가는 산발효조의 VFA 농도를 변화시켰으며, 병합비율에 따라 1,192 1,228, 1,495mg/L로 점차 증가하였다. 메탄생성조의 VFA 농도는 병합비율 9:1, 8:2의 경우, 260, 248mg/L로 안정적인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7:3의 경우, 336mg/L로 운전기간 동안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메탄생성수율은 병합비율에 따라 0.23, 0.24, 0.17L CH<sub>4</sub>/g COD를 나타내었으며, 막 결합 후, 농축조슬러지의 재반송으로 평균 메탄생성수율이 0.27L CH<sub>4</sub>/g COD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소화공정의 최적화를 위한 하수슬러지와 음식물 탈리액의 혼합비율은 8:2일 때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하수슬러지, 돈분뇨, 음식물쓰레기 탈리액 병합소화 타당성 평가

        김상현,주현준 유기성자원학회 2012 유기물자원화 Vol.20 No.1

        Feasibility of co-digestion was investigated by a series of anaerobic batch experiments using sewage sludge, swine waste, and food waste leachate as substrates. The organic solid wastes were collected from M city, where the daily productions of sewage sludge, swine waste, and food waste leachate were 178 ton/d, 150 ton/d, and 8 ton/d, respectively. Both swine waste and food waste leachate showed superior methane yields, methane productivities, and organic pollutant removal efficiencies compared to sewage sludge. Co-digestion of the total amounts of organic solid wastes would enhance methane production by 5.60 times (530 m3 CH4/d → 2,968 m3 CH4/d). However, it also increase the amount of digestate by 1.88 times with 3.79 to 4.92 times higher pollutants (chemical oxygen demands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loading rates. Co-digestion of organic solid wastes is a valid strategy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an anaerobic sludge digester and the energy independence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yhow, the increment of digestate with higher pollutant loading would need a careful counterplan in the operation of the main stream of the treatment plant.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돈분뇨,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을 단독 또는 혼합 주입한 회분식 혐기성 소화를 수행하여 바이오가스 생산 및 유기물 저감 효율 비교 평가를 통해 병합소화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타당성 검토 대상은 M시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 178 톤/일, 돈분뇨 해양 투기량 및 축산폐수처리장 유입량 150 톤/일, 음식물쓰레기 탈리액 소각량 8톤/일이다. 유기성 폐기물 별 혐기성 소화 특성을 회분식 실험을 통해 고찰한 결과, 검토된 보조기질(돈분뇨,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이 메탄수율, 메탄 생산성, 유기물 제거 효율 측면에서 하수슬러지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하수슬러지, 돈분뇨,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병합 소화를 수행한 결과, 대상 유기성 폐기물 전량을 하수처리장 소화조로 투입하는 경우, 하수슬러지 단독 소화 대비, 5.6 배(530 m3 CH4/d → 2,968 m3 CH4/d) 높은 메탄생산 잠재량을 보일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화조 유출수가 기존에 비해 1.88 배 증가하고, 유출수 내 오염물질 부하(COD, T-N, T-P)가 3.79-4.9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합소화는 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나, 적용 시 하수처리장으로의 반송 등 소화조 유출수 처리 방안의 확보 방안이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가축분뇨 소화효율 증대를 위한 병합혐기성소화 특성 평가

        정재훈 ( Jae-hoon Jeung ),김도영 ( Do-yong Kim ),정우진 ( Woo-jin Chung ),장순웅 ( Soon-woong Cha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의 혐기성소화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농업부산물 및 폐사축을 혼합한 병합 혐기성 소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BMP test의 형태로 수행되었으며, 각 원료의 혼합 비율별 바이오가스 발생량 및 메탄수율을 산정하여 소화효율을 평가하였다.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낸 것은 0.84 ㎥CH<sub>4</sub>/kgVS로 세 가지 원료가 균등하게 섞인 혼합비율에서 나타났으며, 타 혼합 원료에서도 가축분뇨 단일 소화와 비교하여 메탄수율이 1.03-1.29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하수슬러지 및 음식물류폐기물의 열화학적 가수분해에 따른 특성 변화 및 혐기성 소화 효율 평가

        박세용 ( Seyong Park ),송은혜 ( Eunhey Song ),한성국 ( Seongkuk Han ),이은실 ( Eunsil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효과적인 병합 혐기성 처리를 위한 열화학적 가수분해 방법의 최적 조건 평가와, 열화학적 가수분해에 따른 병합 혐기성 소화 효율에 대해 평가하였다. 열화학적 가수분해는 온도(80, 100, 120, 140, 160, 180℃)와 NaOH (5, 20, 40, 60, 100 meq/L) 조건에 따른 solubilization COD, CST (Capillary Suction Time), TTF (Time to Filter), volatile fatty acids (VFAs) 등에 대해 평가를 하였으며, 병합 혐기성 소화 효율 평가는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test를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음식물류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열화학적 가수분해 시 온도 140℃, NaOH 60 meq/L에서 solubilization COD 20% 이상, CST와 TTF가 60초 이하, VFAs 농도가 12,000 mg-COD/L 이상으로 최적조건으로 규명되었다. 병합혐기성 소화 결과도 열화학적 가수분해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가스발생량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음식물류 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효과적인 병합혐기성소화를 위한 열화학적 가수분해 전처리 조건은 온도 140℃, NaOH 주입농도 60 meq/L 라 판단된다.

      • KCI등재

        열화학적 가수분해 영향인자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및 혐기성소화 효율 평가

        박세용,한성국,송은혜,김충곤,이원배 유기성자원학회 2019 유기물자원화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효과적인 병합 혐기성 처리를 위한 열화학적 가수분해 방법의 최적 조건 평가와, 열화학적 가수분해에 따른 병합 혐기성 소화 효율에 대해 평가 하였다. 열화학적 가수분해는 온도 (80, 100, 120, 140, 160, 180℃)와 NaOH ( 5, 20, 40, 60, 100 meq/L) 조건에 따른 solubilization COD, CST(Capillary Suction Time), TTF(Time to Filter), volatile fatty acids (VFAs) 등에 대해 평가를 하였으며, 병합 혐기성 소화 효율 평가는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test를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음식물류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열화학적 가수분해 시 온도 140 ℃, NaOH 60 meq/L에서 solubilization COD 20 % 이상, CST와 TTF가 60초 이하, VFAs 농도가 12,000 mg-COD/L 이상으로 최적조건으로 규명되었다. 병합 혐기성 소화 결과도 열화학적 가수분해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가스발생량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음식물류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효과적인 병합혐기성소화를 위한 열화학적 가수분해 전처리 조건은 온도 140 ℃, NaOH 주입농도 60 meq/L라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rmal-alkali pre-treatment (THAP) optimal condition and co-digestion efficiency with THAP of the mixture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were evaluate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s of co-digestion for mixed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The optimal condition of THAP was evaluated for solubilization COD, CST(Capillary Suction Time), TTF(Time to Filter), and volatile fatty acids (VFAs) with THAP temperature and NaOH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co-digestion of mixed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were evaluated using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test. The optimal THAP reaction temperature and NaOH concentration of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were 140 ˚C and 60 meq/L to solubilization COD over 20%, CST and TTF under 60sec and VFAs concentration over 12,000 mg-COD/L, respectively. The optimal condition of co-digestion of mixed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equal to THAP condition.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optimal condition of THAP reaction temperature and NaOH concentration for co-digestion of mixed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were 140 ˚C and 60 meq/L, respectively.

      • KCI등재

        열화학적 전처리에 따른 탈수슬러지 및 음식물류폐기물의 병합혐기소화 효율 평가

        이원배,박세용 유기성자원학회 2022 유기물자원화 Vol.30 No.4

        In this study, the anaerobic digestion potential and thermo-chemical pre-treatment were evaluated for efficient anaerobic co-digestion of dewatered sludge(DS) and food waste(FW). As a result, the degradable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and methane yield of FW were evaluated to 2.2 and 1.3 times higher than that of DS, respectively.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biogas production, it was determined that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mixing ratio of FW. The efficiency of thermo-chemical pre-treatment was evaluated for the reaction temperature, NaOH concentration, reaction time and mixture ratio. As a result of evaluation through pre-treatment efficiency and dehydration capacity, the optimum pre-treatment conditions were evaluated as follows: reaction temperature 140℃, NaOH concentration 60 meq/L, reaction time 60 min, mixture ratio 1:5(DS:FW). The gas production rate and methane yield increased 1.6 and 1.5 times, respectively, compared to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optimum pre-trea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ixing ratio of food waste for efficient anaerobic co-digestion of DS and FW.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olubilization efficiency of waste by application of pre-treatment. 본 연구에서는, 탈수슬러지 및 음식물류폐기물의 효율적인 병합혐기성소화를 위해 폐기물의 혐기성소화가능성 및 열화학적 전처리 방법에 대해 평가하였다. 폐기물의 혐기성소화 가능성 평가 결과, 음식물류폐기물이탈수슬러지에 비해 혐기성미생물에 의해 분해 가능한 유기물 농도 및 methane yield가 각각 2.2배, 1.3배 더 높게평가되었다. 바이오가스 발생량의 증대를 위해서는, 음식물류폐기물의 혼합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판단되었으며, 열화학적 전처리 효율은 반응온도, NaOH 주입량, 반응시간, 혼합비율 조건에 대해 평가하였다. 전처리효율 및 탈수능을 통해 평가한 결과, 최적 열화학적 가용화 전처리 조건은 반응온도 140℃, NaOH 주입량 60 meq/L, 반응시간 60 min, 혼합비율 1:5로 평가되었다. 최적 열화학적 가용화 전처리 조건 적용 전과 후의 methane yield를비교한 결과, 전처리를 적용한 경우에서, 가스발생속도 및 methane yield가 각각 1.6, 1.5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탈수슬러지 및 음식물류폐기물의 효율적인 병합혐기성소화를 위해서는 음식물류폐기물의 혼합비율을 증가시키며, 폐기물의 전처리를 통해 가용화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다양한 유기성 폐기물의 병합 혐기성소화 특성 평가

        정재훈 ( Jae-hoon Jeung ),이시진 ( Si-jin Lee ),정성엽 ( Seong-yeob Jeong ),( Nguyen Dinh Duc ),박헌수 ( Hun-su Park ),김정환 ( Jung-hwan Kim ),장순웅 ( Soon-woong Cha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고유가 상황과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온난화가 가시화 되면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 개발과 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을 통한 자원순환사회 구축, 나아가 친환경적인 사회구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전망을 토대로 국가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실리를 추구할 수 있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처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절실한 시점이다. 최근 신재생에너지의 확충과 기후변화 협약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됨에 따라 단순 매립되던 폐기물을 에너지로 전환하여 처리하는 방식이 각광받으며 정부 계획 하에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대응의 일환으로 1990년대 후반에는 유렵을 중심으로 연성에너지 체제에 부합하면서 지방자치단체 지역 공동체, 지역 주민들의 에너지 생산 활동 참여를 중시하는 지역에너지 체제가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에너지자립마을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낮으며 지속가능한 마을과 유사한 것으로, 환경문제와 미래에너지 문제를 함께 고려한 개념으로 마을에서 발생되는 자원을 최대한 이용하고, 그 자원을 순환시키는 마을로 이해될 수 있다. 국내에서 2009년부터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지식경제부 등 정부부처가 합동으로 각종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에너지 자립형 마을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축산 바이오매스를 이용하는 바이오가스화 기술은 농촌 지역에 도입할 수 있는 가장 실행 가능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형 에너지자립마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유기성폐기물을 대상으로 혼합 원료의 특성과 병합 혐기성소화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test(BMP test)를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혐기성소화와 C/N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다양한 유기성 폐기물의 병합 혐기성소화 특성 평가

        정재훈,이시진,정성엽,Nguyen Dinh Duc,박헌수,김정환,장순웅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고유가 상황과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온난화가 가시화 되면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개발과 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을 통한 자원순환사회 구축, 나아가 친환경적인 사회구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전망을 토대로 국가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실리를 추구할 수 있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처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절실한 시점이다. 최근 신재생에너지의 확충과 기후변화 협약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됨에 따라 단순 매립되던 폐기물을 에너지로 전환하여 처리하는 방식이 각광받으며 정부 계획 하에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대응의 일환으로 1990년대 후반에는 유렵을 중심으로 연성에너지 체제에 부합하면서 지방자치단체 지역 공동체, 지역 주민들의 에너지 생산 활동 참여를 중시하는 지역에너지 체제가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에너지자립마을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낮으며 지속가능한 마을과 유사한 것으로, 환경문제와 미래에너지 문제를 함께 고려한 개념으로 마을에서 발생되는 자원을 최대한 이용하고, 그 자원을 순환시키는 마을로 이해될 수 있다. 국내에서는 2009년부터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지식경제부 등 정부부처가 합동으로 각종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에너지 자립형 마을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축산 바이오매스를 이용하는 바이오가스화 기술은 농촌 지역에 도입할 수 있는 가장 실행 가능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형 에너지자립마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유기성폐기물을 대상으로 혼합 원료의 특성과 병합 혐기성소화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test(BMP test)를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혐기성소화와 C/N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탈황슬러지 및 생슬러지를 이용한 혐기성 병합소화 특성평가

        구슬기,정우진,장순웅,박명수 유기성자원학회 2023 유기물자원화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소화에서 황화합물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탈황 슬러지 및 하수슬러지(생슬러지)를이용한 병합소화를 진행하였다. 실험은 500 mL duran bottle을 이용한 batch test의 형태로 수행되었으며, 원료의 혼합비율은 COD/SO4의 비율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결과, COD/SO4 20 이하의 혼합 비율에서 바이오가스 발생량및 수율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특히 COD/SO4 10 이하에서는 식종슬러지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보정하기 위해 원료를 투입하지 않은 seed (283.5 mL)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메탄 수율의 경우 COD/SO4 50의0.396 m3 CH4/kg VS에 비해 COD/SO4 20에서 0.135 m3 CH4/kg VS로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황화수소의수율은 COD/SO4 50의 0.0097 m3 H2S/kg VS에 비해 COD/SO4 20의 비율에서 0.0223 m3 H2S/kg VS로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COD/SO4 10에서 0.0855 m3 H2S/kg VS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혐기성소화에있어 황화물의 영향은 COD/SO4 비율이 20 이하로 감소할 경우,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naerobic co-digestion was carried out using desulfurization sludge and sewage sludge (primary sludg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lfur compounds in anaerobic digestion.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form of a batch test using 500 mL duran bottle, and the mixing ratio of the feedstock was selected based on the ratio of COD/SO4.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biogas generated and the yield decreased at the mixing ratio of COD/SO4 20 or less. In particular, below COD/SO4 10, it was lower than seed (283.5 mL) which was set without feedstock to correct biogas generated by itself from seed sludge. Methane yield tended to decrease from a ratio of COD/SO4 20 or less to 0.135 m3/kg VS compared to 0.396 m3/kg VS of COD/SO4 50. In addition, compared to 0.0097 m3/kg VS of hydrogen sulfide yield from COD/SO4 50, the ratio of COD/SO4 20 increased sharply to 0.0223 m3/kg VS, and in particular, the highest result was 0.0855 m3/kg VS in COD/SO4 10.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judged that the effect of sulfide in anaerobic digestion can have an adverse effect if the COD/SO4 ratio decreases to less than 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