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원학교 파견 특수교사의 병원학교 운영 경험

        이미숙 ( Mi Suk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병원학교에 파견된 특수교사들이 병원학교의 운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병원학교 파견 특수교사 4명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연구는 “병원학교를 운영하는 파견 특수교사의 경험은 무엇인가?”를 연구질문으로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에 참여한 병원학교 특수교사들은 모두 중부지역에 위치한 대형병원에서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을 위해 파견된 특수교사들이었다. 연구 결과, 병원학교 특수교사들은 자신들이 병원학교라는 외로운 섬에 홀로 던져진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으며, 병원학교 특수교사로 역할하기 위해 만능 해결사가 되어야 했고, 치료로 힘들어하는 아이들의 표정도 항상 살펴야 했다. 또한 이들은 업무를 수행하면서 병원과 학교의 눈치를 함께 보아야 하는 상황에 종종 처하기도 하였다. 병원학교 특수교사는 병원학교 학생 수 감소에 대해 교사 스스로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일반학교 담임교사와의 소통의 중요성과 학생들의 학교 복귀의 문제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병원학교 특수교사들은 병원학교에 파견된 특수교사를 위한 지원과 병원학교 운영을 위한 지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s on hospital schools through interviews with four hospital school teachers. Research questions in the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What were the experiences of the hospital school teachers who were managing the hospital schools?” and “Based on their experiences as teachers, what did they think of the management of the hospital school?” The study included the hospital school teachers whose hospital schools were located in central Korea.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teachers felt neglected and forced to become an all-purpose fixers. The hospital school teachers had to show concern to the children`s physical conditions, and they had to maintain the relationships with medical doctors and hospital staffs. They also felt the burden of following the directions from the school and the hospital. They worried about the decrease in number of students at the hospital and placed importance on communication with general school teachers and the children`s return to their schools. The hospital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it was important to communicate with other hospital school teachers, needing their support and support for the operation guidelines.

      • KCI등재

        병원학교 입급 학생의 교육목적과 교육방법에 대한 병원학교 교사의 인식 특성

        김영한,최용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0 시각장애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spital school teachers'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n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method of education for students in hospital school, and then, to investigate concretely the teachers' educational che ciousness for students in hospital school throughout analysis the s on the hip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category of teaching experience and career of the hospital school, the analysis of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Education to students in hospital school was revealed that the teachers who has the teaching short experience, whose recognition about the purpose and method of Education to students in hospital school were higher than long experience. A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teachers who took charge of students in hospital school had the recognition about the purpose of education, the more they had the recognition about the method of education. 본 연구는 병원학교 입급 학생의 교육에 대한 병원학교 교사의 인식 특성을 교육목적과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알아보고, 교육목적과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규명하여 병원학급 입급 학생 담당교사의 교육의식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국 35명의 병원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양적 연구와 울산, 부산지역 2명 병원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를 통하여 병원학교 담당교사의 교육의식을 보다 구체적이고 심층적이고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교직경력이나 병원학교 근무경력이 적을수록 병원학교 입급 학생에 관한 교육목적의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병원학교 근무경력이 적은 교사들이 병원학교 입급 학생에 관한 교육방법의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병원학교 교사의 교육목적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병원학교 입급 학생에 대한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병원학교 교사의 교육의식을 보다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병원학교 입급 학생의 교육목적에 대하여 궁극적으로 학교복귀를 지원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병원학교 입급 학생의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각 개인의 건강상태와 치료일정, 치료 경과를 고려하여 학습의 양, 지도 방향, 시간 등을 설정하여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에 다니는 정신건강장애학생의 학업 참여도와 만족도

        신은식,이유나,김정란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5 No.-

        ◉ 목적 : 국내에 운영되고 있는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의 현황을 파악하고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를 다니는 건강장애학생의 학업 참여와 주관적 만족도 조사를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을 높이고, 이들을 위해 작업치료사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 국내 6개의 병원학교 중 연구에 동의한 2개의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의 교사 2명과 입교중인 정신건강장애학생 29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28일부터 동년 7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병원학교 현황을 빈도 분석하였고,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 학생의 수업참여와 병원학교 이용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 결과 : 연구결과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 학생의 연령은 평균 15.41세(±2.16)이며 진단명은 지적장애(37.9%), 주요우울장애(24.1%), 품행장애(17.2%) 순이었다. 교사 평가에 의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병원학교 생활에서 선생님과의 관계가 3.79점(±0.82)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친구들과의 관계가 3.24점(±0.99)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학생이 평가한 병원학교의 전반적 만족도는 재량활동 4.24점(±0.83), 병원환경이 4.24점(±0.94)으로 높고 주요 교과목은 3.48점(±1.37)으로 가장 낮았다. 학생의 전반적인 병원학교 생활과 만족도는 시설물 배치편리에 대한 모든 하위항목과 선생님의 노력, 수업시간의 미래도움도, 선생님의 공평성, 수업시간 기대에 대한 대부분의 하위항목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 학생들은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수업참여를 더 잘하고, 재량활동시간과 병원환경에 대해 가장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받는 정신건강장애학생 수는 제한되어 있고 정신건강에 대한 폭넓은 이해에 기초한 커리큘럼이 정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향후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tatus of hospital school service and to investigate the study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mental health impairment at psychiatric inpatient hospital schools. ◉ Methods : Three teachers and twenty-nine students with mental health impairment at three psychiatric inpatient hospital schools were survey from April 28 to July 10 in 2014.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tudy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ere examined by using 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we use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see whether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general psychiatric hospital life, study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schools. ◉ Results : Based on the results, the average ages of students with mental health impairment at the psychiatric inpatient hospital schools was 15.41(±2.16) years. The most frequent diagnosis is intellectual disability (37.9%), followed by major depressive disorder(24.1%), and conduct disorder(17.2%). Relation with teacher showed the highest score(3.79±0.82) in general school life of the students based on teacher’s observation, and relations with classmates showed the lowest score(3.24±0.99). In general satisfaction, the hospital school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discretionary activities(4.24±0.83) and class environments(4.24±0.94) and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the friendship with the other students(3.48±1.37). ◉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ied that the more the students with mental health impairment at the psychiatric inpatient hospital schools have good relations with teachers and classmates, the more they participated in classes actively and they were satisfied with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class environments. However, the number of students with mental health impairment who have psychiatric inpatient hospital school service is very low. Therefore, various and systematic approaches for psychiatric hospital schools ar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혜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3 No.2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vious studies of hospital schools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The study investigated an effective way to operate hospital schools by exploring research trends and arguing of it. Method: Literature review was employed as a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tents of sixteen articles about hospital schools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from K-SSCI journals. Results: First of all, the researcher analyzed studies related to hospital schools into five categories as a theoretical framework by types of journals, published years of the articles,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and themes. Additionally, eight themes were categorized by content-analysis: 1. Management system,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support, 2. Curriculum implementation, 3. Educational environments, 4. Teachers’ roles and needs, 5. Realities and needs of hospital schools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6. Realities and needs in managing psychiatric hospital schools, 7. Cooperation between hospital schoosl-related institutes and professionals 8. Support for family members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ncluding their parents. Conclusion: The study discovered a supportive system for operating hospital schools. Future direc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also suggested in terms of hospital schools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연구목적: 이 연구는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 관련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성과 과제를 탐색하고, 주요 쟁점 사항에 대한 논의를 통해 효율적인 병원학교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등재(후보)지 및 일반학술지에 게재된 총16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관련 연구의 일반적 동향과 내용적 특성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 관련 연구의 일반적 동향을 게재학술지, 게재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의 5가지 변인에 따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 관련 연구의 내용을 병원학교 운영체제 및 행·재정적 지원, 병원학교 교육과정 운영, 병원학교 교육환경, 병원학교 교사의 역할 및 지원요구, 건강장애 영유아를 위한 병원학교 운영 실태 및 지원요구,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 운영 실태 및 지원요구, 병원학교 관련기관 및 전문가 간 협력적 연계, 병원학교 건강장애학생 부모 및 가족 지원이라는 8가지 대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병원학교의 교육적‧사회정서적 지원에 대한 기대 및 인식

        정혜린,김유미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8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socal, and emotional supports that shared by participants including child patient, their parent, educational volunteer, and pediatric intern doctor. We would like to know what characteristics of hospital school programs are needed for child patient. For this purpose, we observed the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at hospital school in Seoul. In addition, we interviewed one child patient, one mother, one educational volunteer, and one pediatric intern doctor using the method of Spradely(1980). First, inconsistent perceptions of educational, social and emotional supports of them have proved to be difficult factors for hospital school program operations. Second, they were expecting a role for social and emotional supports as well as educational supports for hospital school. However, the actual perceptions of the social and emotional supports constituted through their experiences were not consensual. This refers to they have to accept that the hospital school where unique educational, social, and emotional interactions unlike general schools. Therefore,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icro system involving educational, social, and emotional supports rather than the reformation of macro system including educational curriculum, that would be effectively support children's learning right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본 연구는 환아의 지원을 위한 병원학교 프로그램이 아동, 부모, 교육봉사자, 의사의 경험에 따라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참여자 중심의 관점에서 병원학교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대형병원의 병원학교 프로그램에 대해 5개월간의 참여관찰 내용과 환아, 환아의 어머니, 교육봉사자, 소아과 의사와의 면담 내용을 Spradely(1980)의 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부모, 교육봉사자, 의사는 병원학교 프로그램의 교육적·사회정서적 지원에 대해 일치하지 않은 인식을 보이며 이는 원활한 병원학교 운영을 어렵게 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 부모, 교육봉사자, 의사는 병원학교에 대해 교육적 지원뿐만 아니라 사회정서적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 본 병원학교의 지원은 불충분하며, 구성원들 간 상이한 기대와 인식을 보였다. 이는 병원학교가 일반학교와는 다른 특수한 교육적·사회정서적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공간임을 인정하고 그에 따른 운영 과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향후 병원학교 프로그램 보완 시 교육과정 및 운영방식 개선과 더불어 구성원들 간 미시적 차원에서의 지지와 협력이 함께 수반될 때 아동의 학습과 사회심리적 적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병원학교 운영 매뉴얼 개발을 위한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표윤희,김정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spital school special educators’ experiences and their needs of support to develop hospital school management manual. Method: A total of eight special educators of hospital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 purposive sampling.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two in-depth interview sessions including 1st focus group interview for two participants, 2nd focus group interview for six participants in consideration of participants' schedule. The interview time per session was 1 hour and 30 minutes to two hours. Results: The results presented practice of education and management in the hospital school, difficulties of education in hospital school, and requirements to facilitate management of hospital school, content element of operation manual.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facilitate quality of hospital school education and operation plan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학교 운영 매뉴얼을 개발하고자 병원학교 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병원학교 특수교사 8명이고, 자료 수집은 2인 포커스그룹면담, 6인 포커스 그룹면담으로 구성된 총 2회기의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회기 당 면담시간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이었다. 연구결과: 병원학교 교육 및 운영에 대한 실제, 병원학교 교육의 어려움, 병원학교 교육을 위한 지원요구, 병원학교 운영 매뉴얼에 포함될 내용 요소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원학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병원학교 운영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병원학교 거점 병원의 입원 영ㆍ유아를 위한 보육서비스 실태와 개선 방안

        차경나(Cha, Kyoung-Na),서영숙(Suh, Young-So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2

        본 연구는 전국의 병원학교 거점 병원 22개소의 병원학교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와 병원학교 담당자들과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병원학교 거점 병원의 입원 영?유아를 위한 보육서비스 제공 실태를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병원의 입원 영?유아들의 발달권과 교육권을 보장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22개 병원학교가 입교해 있는 병원과 병원학교 내 입원 영?유아만을 위한 보육시설과 전문교사가 있는 곳이 한 곳(4.54%)이었으며, 교재 및 교구 그리고 보육 및 교육프로그램제공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둘째, 입원 영?유아들은 병원학교시설을 이용하기를 희망할 경우 병원학교의 내부적 규정에 따라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별활동에 참여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의 교재, 교구를 나누어 사용하고 있다. 이에 신체적?정서적으로 더 적극적인 보육의 역할이 필요한 입원중인 영?유아들을 위한 병원 내 보육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a hope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form environment for hospitalized young children to provide them with equal levels of child care and educational services as that of normal healthy young children. On these grounds, the 22 hospitals that have the hospital schools in Korea have been surveyed and phone interviewed on their current sta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al services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between these 22 hospital schools, one hospital school were providing educational facilities and professional child care providers for hospitalized young children. Also, the learning materials and child care service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hospitalized young children were very scarce. Secondly, when young children in hospitals wishes to use the facilities provided by hospital schools, they were provided with the special programs for the elementary level students. Books and educational materials were also shared. Therefore, more active child care and educational systems should be implemented in hospitals for hospitalized young children who are in need of more physical and mental care.

      • KCI등재
      • 병원학교의 법적 위상과 관련 법 조항 개선방안

        고인기(Ingi KO) 한국마이너리티학회 2021 마이너리티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병원학교의 인력 배치 및 시설·설비 기준과 행·재정적 지원의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 관련 법률 조항의 검토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현행법상 병원학교는 특수교육기관이나 순회교육으로서의 위상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병원학교 운영에 필요한 인력, 시설·설비, 예산 지원의 기준과 법적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관련법 조항의 개선방안은 다음 중 택일하거나 병행할 수 있다. 첫째, 병원학교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6조에 따른 ‘특수교육기관’의 한 유형으로 포함한다. 둘째, 병원학교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25조에 따른 ‘순회교육’ 기관의 한 유형으로 포함한다. 셋째, 병원학교를 기존의 순회교육 기관이나 특수교육기관과는 다른 한 유형으로 간주한다. 이 경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병원학교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별도의 조항을 신설한다. 이는 다른 관련 법률 및 조항 개정의 수반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에 관한 논의도 필요하다. 향후 병원학교 관련 조항을 수정·보완할 경우 공통적으로 특수교사 및 관련 서비스 인력 배치 기준, 시설·설비 기준, 행·재정적 지원의 책무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외에도 학적 및 출결, 교육과정 운영, 치료비 지원 등에 관한 내용도 논의를 고려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on law improvement for expand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hospital schools. According to current law, hospital schools do not belong to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or itinerant education. As a result, there was a lack of standards and legal basis for personnel, facilities, equipment, and budget for hospital school operation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choose one of the following or do more than one parallel processing. First, add provisions of hospital schools in provisions of Itinerant education. Second, hospital schools be included as a category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or establish the special schools for health impairments. Third, newly establish the provision of hospital schoo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These improvements suggestion have been discussed on required to be accompanied by amendments to other relevant provisions. In addition, it was discussed that the revision and supplement of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hospital school should include contents such as standards for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lated service personnel, standard for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discussions can be considered on the management of attendance, operation of curriculum, and support for medical expenses.

      • KCI등재

        병원학교 파견 특수교사들이 인식한 병원학교 운영의 어려움과 교육지원에 대한 요구 분석

        박경옥,오원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ducational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of the school in hospital established for supporting the learning right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and the related educational support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eachers who has actually worked in the school in hospital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through the interview using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analysis for the contents of interview. Particular results of study were that various actual difficulties existed in relation with the realization of the establishment purpose of the school in hospital, including especially insufficiency of teacher resources, low level of the participation rate in learning by individual students, and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 cooperative system with the concerned person related with hospital and the school belonged to the hospital. The methods for supporting education must include the arrangement of teacher resources of the school in hospital according to school(class), the establishment of the video learning system between the school in hospital and the school belonged to the hospital to expand the students' opportunity of participating in learn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through itinerant education. In addition, various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must be operated with the cooperation with home. For the purpose, the role and the obligations of the institutes related with the school in hospital must be specified and the training programs must be provided to enforce the capacity of teachers who work for the school in hospital. 이 연구는 건강장애학생의 학습권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병원학교의 운영에 있어서 어려움과 그에 따른 교육적 지원 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병원학교에 실제 근무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한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로는 먼저 병원학교의 설립 목적이 실현되기에는 여러 가지 현실적 어려움이 있었으며, 특히 교사 자원의 부족, 개별학생의 학습 참여율 저조, 병원관계자 및 원적학교와 협력체제 유지의 어려움 등이 제시되었다. 이에 따른 교육지원 방안으로는 병원학교 교사 자원을 학교급에 따라 배치하고, 학생들의 학습 참여율 제고를 위해 원적학교와 가정이 함께하는 다양한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병원학교 관계 기관의 역할과 의무를 명시적으로 제시하여야 하며, 병원학교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연수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