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진왜란 전 이순신의 행적과 가문의 상황 – 1588년 발급 「別給文記」를 중심으로 –

        이상훈(Lee, Sang Hoon)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8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0

        이 논문은 이순신이 1576년 무과에 급제하자 이를 축하하기 위해 그의 어머니가 노비와 토지를 증여한 증서인 <별급문기>의 작성 배경과 증서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이 별급문기는 1584년 이순신가의 화재로 1588년 3월 12일 다시 작성된 것이며 이순 신에게 분배된 재산뿐만 아니라 그의 형제들에게 나눠준 몫도 함께 기록하고 있다. 이 문서는 이순신의 종가에 소장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95cm, 세로 33cm이다. 문서의 발행 주체는 모친인 변씨(卞氏)이며, 증인으로는 장남 희신의 장자인 종손 뢰(蕾), 차남 요신의 장자인 봉(菶), 4남인 우신이 참석하였으며 문서를 작성자는 요신의 차남인 해(荄)였다. 이 증서가 발행되기 한해 전인 1587년 8월 조산보만호 이순신은 녹둔도(鹿屯島) 둔전 관(屯田官)을 겸하게 되었다. 이순신이 부임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여진족의 침입으로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로 말미암아 그는 파직되고 백의종군(白衣從軍)하였다. 다음해인 1588년 1월 여진족의 거점인 시전부락(時錢部落) 토벌군에 참가한 공으로 복권되어, 이증서가 발급된 뒤인 이해 윤6월에 아산의 본가로 돌아왔다. 이 시기 이순신가는 가문의 존립이 문제될 정도의 매우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1580년 둘째 요신의 죽음, 1583년 부친 이정의 죽음과 연이은 화재로 인한 손실이 있었고, 1587년 1월 24일에는 장남인 이희신 마저 53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뿐만 아니라 북쪽 변방에서 근무하는 이순신은 파직된 채 백의종군에 처해지고 있었다. 집안을 이끌고 있는 변씨도 73세의 고령이었다.이에 따라 변씨는 가족들을 모아놓고 만일의 불행한 사태에 대비하여 기억을 되살려 1584년 화재 이전의 재산 소유에 대한 기록을 새로 작성하기 시작했던 것으로 추측된 다. 그 결과물 중 현존하는 것이 1588년 3월 12일 작성된 이 「1588년 별급문기」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증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밝혀졌다. 첫째, 형제에 대한 재산 증여가 1564년, 1573년, 1576년과 시기를 알 수 없는 또한번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형제간의 증여 비율이 공평하도록 분배하였다. 둘째, 특별한 사유가 없음에도 장자에게 노비와 토지를 별급하고 그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밝혔다는 점이다. 셋째, 증서 내 전체 노비가 노 12구, 비 9구 및 별급된 토지가 미미한 것으로 보아 당시 양반가의 평균 재산보다 많은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기존 이순신에 대한 전기물에서 표현되었던 것과는 달리 가정환경이 매우 가난한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넷째, 노비의 분포는 본가가 있는 아산을 비롯하여 전라도, 충청도, 황해도, 평안도등 전국적으로 분포한다는 점이다. 이는 전국적으로 이순신가의 토지가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Geup-Mun-Gi>, a donation document of servants and land that the mother of Yi Sun Sin gave her son in 1576 when Yi Sun Sin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for celebration. When this document was prepared, the family of Yi Sun Sin was in very difficult situation. It is, therefore, assumable that Mrs. Byeon, the mother of Yi Sun Sin, would begin to prepare her family s property record by refreshing her memory for emergency. One of the results, which exists today, seems to be this 「1588 Byeol-Geup-Mun-Gi」 prepared in March 12th 1588. We analyzed this document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donations of property to brothers were made in 1564, 1573, and 1576; the donation rate were equal to each brother. Secondly, the donation of servants and land was made to the eldest son without specific reason, and his right and duty was clearly stated. Thirdly, there were 12 male servants and 9 female servants described in the document with small land but it is assumed that the family of Yi Sun Sin was not so poor. Fourthly, the servants were distributed nationwide including Asan where his head house was located, Jeolla-do, Chungcheong-do, Hwanghae-do and Pyeongan-do. This means that Yi Sun Sin might own lands all over the nation.

      • KCI등재

        과거 관련 장전장후 고문서 연구

        김동석(Dong Surk KIM)(金東錫)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0 No.-

        이 논문은 조선시대의 소과와 대과, 그리고 소과ㆍ대과의 한 단계에 가름하는 각종 시험과 관련된 몇 가지 고문서를 고문서학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과거시험의 실상과 과거 문화의 면면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과거 관련 고문서로는 官文書는 물론 私文書도 많이 작성되었을 터이지만, 오늘날 傳存되어 접할 수 있는 실물은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실제 고찰의 대상으로 삼은 문서는 대개 실물이 있거나, 문헌상에 문서식이 실려 있는 것에 한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한 고문서는 다음과 같다. 과장 입장 전의 문서로는 設科知委帖, 照訖帖, 四祖單子, 錄名單子, 改名證憑 立旨, 陳試狀 등이고, 과장퇴장 후의 문서로는 白牌ㆍ紅牌, 六行單子, 別給文記 등이다. 과장 중의 문서로는 試券, 講紙 등이 있으나, 이는 필자가 학위논문에서 이미 다룬 바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고찰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비록 많은 문서를 고찰하지는 못했지만, 그러나 본 논문에서 고찰한 소수의 문서를 통해서도 과거시험의 세부적인 절차 진행을 파악할 수 있었고, 과거 문화의 몇몇 단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고문서들은 과거제도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이렇게 할 경우 과거시험의 세부적인 진상을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전하는 과거 관련 고문서의 수량이 극소수여서 연구에 한계가 있다. This paper tries to scrutinize actual circumstances and cultural aspects of the State Examination in Joseon Dynasty by examining several paleographic documents related to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with the archive science perspective. While both official and private documents were written as ancient documents related to the State Examination, only a few of them are descended in these days. Reviewed documents in this study are, therefore, defined in substantial ones or documents with specific patterns. Ancient documen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Paper for public notice by county officer(Seol-Gwa-Ji-Wi Cheob ; 設科知委帖),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some exam(Jo-Heul Cheob ; 照訖帖), Record of the applicant's identity and his four ancestors' title and name(Sa-Jo Dan-Ja ; 四祖單子), List of Sa-Jo Dan-Ja(Nok-Myeong Dan-Ja ; 錄名單子), Certificate for confirmation of examinee's renaming(Gae-Myeong-Jeung-Bing Lib-Ji ; 改名證憑 立旨), Justification Letter for applicant's absence from some exam(Jin-Si-Jang ; 陳試狀) etc. as documents before entering the examination site; and Certificate for passing the primary level exam for Confucian classics or Chinese classic literature(Baek-Pae ; 白牌), Certificate for passing the higher level exam for recruiting government officials (Hong-Pae ; 紅牌), Greeting letter of the successful applicant to the King (Yuk-Hang Dan-Ja ; 六行單子), Certificate for property donation to the successful applicant(Byeol-Geub Mun-Gi ; 別給文記) etc. as document after leaving the examination site. Documents written in the middle of the examination site are the State Examination papers(Si-Gwon ; 試券), Expounding test papers(Gang-Ji ; 講紙) etc., but those documents are excluded in this study since the author already dealt with them in his doctoral dissertation. Even though this paper examines only a small number of document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specific processes and some cultural aspects of the State Examination through the paleographic documents in this study. Such paleographic documents should be studied 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ystem of the State Examination, and in this way it is helpful to stud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There are, however, a very small number of extant documents about the State Examination, so the study in this area has its limit.

      • KCI등재

        조선시대 별급<SUP>別給</SUP> 분재의 사유와 변화 양상

        손계영(孫溪鍈)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이 논문은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별급문기別給文記 126건을 대상으로 별급의 의미와 개념, 별급사유 등을 살펴보았으며, 시기별 별급의 재주 · 수취인 · 증인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⑴‘별급別給’의 용어는 재주財主가 수취인에게 ‘따로 · 별도로 준다’는 의미보다는 ‘각별히 준다’ 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때문에 2명 이상의 수취인을 대상으로 동시에 별급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했으며, 별급문기에서 ‘평균별급平均別給’ 등의 표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었다. ⑵별급의 사유는 크게 봉사奉祀와 시봉侍奉, 경사에 대한 축하, 우환에 대한 위로, 기타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 가운데 과거급제 · 관직제수로 별급한 사례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은애하는 마음을 나타내기 위한 표정表情, 장자 · 장손의 봉사奉祀 · 승중承重, 자녀 · 손자녀의 경사에 대한 축하와 우환에 대한 위로로 별급한 사례가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도 재주를 극진히 시봉侍奉한 것에 대한 보상, 서얼과 첩에 대한 배려 등 다양한 사유로 별급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⑶재주의 특징을 살펴보면 재주가 여성인 사례가 남성인 사례보다 많았다. 시기별로는 여성 재주가 16 · 17세기에 50~80%를 차지한 반면, 18세기에는 10~20%로 현저히 줄어들었다. 수취인의 경우에는 아들, 며느리, 딸, 사위, 손자녀, 증손자, 조카, 동생, 서얼자, 첩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아들과 손자에게 별급하는 사례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수취인의 변화는 17세기 후반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며느리와 손자며느리에게 별급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⑷별급문기에서 증인의 변화를 살펴보면, 16세기 전반의 평균 증인수는 4명에 가까웠으나, 18세기 후반이 되면 평균 증인수가 1명도 되지 않으며 심지어 증인證人 · 필집筆執 없이 재주가 자필自筆로 작성한 사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18세기가 되면 균분상속의 원칙이 장남 우대와 딸에 대한 차등분재로 변화해 갔던 사회적 인식과 분위기가 재주의 별급에 대한 권한을 더욱 높였던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증인수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증인 · 필집 없이 재주가 직접 자필하여 분재기를 작성하더라도 문서자체로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concept and reason of the special bestowal through 126 special gift writs stored in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and analyze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nor, donee and witness of the special bestowals by period. It reads as follows: ⑴The concept of “byeol-geub (別給)” implies ‘to bestow specially’ rather than ‘to bestow separately’. Thus this enabled special bestowals to be made to two or more donees at the same time, and it could also be possible to use the expression ‘pyeonggyun byeol-geub (平均別給, equal bestowal) in the special gift writs. ⑵The reasons of the special bestowal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such as ①ritual succession and serving parents, ②celebration, ③concern and consolation, and ④others. Among them, the largest number of the reason were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s and the appointment of government official. And then it was appeared in the order expressing donor’s affection and favor for donee; ritual succession and patrilineal succession; being the eldest son or grand son; celebrating the birth of child especially a son and marriage, and so on. ⑶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onors, there were more cases of women than men. Women donors accounted for 50 to 80 percent of the 16<SUP>th</SUP> and 17<SUP>th</SUP> centuries, but by the 18th century, they had significantly decreased to 10 to 20 percent. In the case of donees, there were various cases of sons, daughters-in-law, daughters, sons-in-law, grandchildren, great-grandchildren, nephew, younger brother, children of secondary consorts, and consorts. However half of the cases were bestowal for sons and grandsons. ⑷Looking at the changes in witnesses involved in writing special gift writ, the average witness count in the first half of the 16<SUP>th</SUP> century was 3.85; by the end of the 18<SUP>th</SUP> century, there was less than one witness on average and even more than half of the cases donor wrote the writ without witnesses or clerks. By the 18<SUP>th</SUP> century,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equal distribution changed to the preferential inheritance for the eldest son and discriminatory inheritance for daughter, which appeared to have increased the authority of donors in special bestowal. This resulted in a sharp decrease in the number of witnesses and legal effect on the document itself, even if the donors, without witnesses or clerks, produced the inheritance documents by their own hands.

      • KCI등재

        조선시대 별급別給 분재의 사유와 변화 양상

        손계영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concept and reason of the special bestowal through 126 special gift writs stored in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and analyze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nor, donee and witness of the special bestowals by period. It reads as follows: ⑴The concept of “byeol-geub (別給)” implies ‘to bestow specially’ rather than ‘to bestow separately’. Thus this enabled special bestowals to be made to two or more donees at the same time, and it could also be possible to use the expression ‘pyeonggyun byeol-geub (平均別給, equal bestowal) in the special gift writs. ⑵The reasons of the special bestowal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such as ①ritual succession and serving parents, ②celebration, ③concern and consolation, and ④others. Among them, the largest number of the reason were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s and the appointment of government official. And then it was appeared in the order expressing donor’s affection and favor for donee; ritual succession and patrilineal succession; being the eldest son or grand son; celebrating the birth of child especially a son and marriage, and so on. ⑶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onors, there were more cases of women than men. Women donors accounted for 50 to 80 percent of the 16th and 17th centuries, but by the 18th century, they had significantly decreased to 10 to 20 percent. In the case of donees, there were various cases of sons, daughters-in-law, daughters, sons-in-law, grandchildren, great-grandchildren, nephew, younger brother, children of secondary consorts, and consorts. However half of the cases were bestowal for sons and grandsons. ⑷Looking at the changes in witnesses involved in writing special gift writ, the average witness count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was 3.85; by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ere was less than one witness on average and even more than half of the cases donor wrote the writ without witnesses or clerks. By the 18th century,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equal distribution changed to the preferential inheritance for the eldest son and discriminatory inheritance for daughter, which appeared to have increased the authority of donors in special bestowal. This resulted in a sharp decrease in the number of witnesses and legal effect on the document itself, even if the donors, without witnesses or clerks, produced the inheritance documents by their own hands. 이 논문은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별급문기別給文記 126건을 대상으로 별급의 의미와 개념, 별급사유 등을 살펴보았으며, 시기별 별급의 재주 수취인 증인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별급別給’의 용어는 재주財主가 수취인에게 ‘따로 별도로 준다’는 의미보다는 ‘각별히 준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때문에 2명 이상의 수취인을 대상으로 동시에 별급이 이루어지는것이 가능했으며, 별급문기에서 ‘평균별급平均別給’ 등의 표현을 사용하는 것도가능할 수 있었다. (2)별급의 사유는 크게 봉사奉祀와 시봉侍奉, 경사에 대한 축하, 우환에 대한 위로, 기타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 가운데 과거급제 관직제수로 별급한 사례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은애하는 마음을 나타내기 위한 표정表情, 장자 장손의 봉사奉祀승중承重, 자녀 손자녀의 경사에 대한 축하와 우환에 대한위로로 별급한 사례가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도 재주를 극진히 시봉侍奉한 것에 대한 보상, 서얼과 첩에 대한 배려 등 다양한 사유로 별급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3)재주의 특징을 살펴보면 재주가 여성인 사례가 남성인 사례보다 많았다. 시기별로는 여성 재주가 16~17세기에 50~80%를 차지한 반면, 18세기에는 10~20%로 현저히 줄어들었다. 수취인의 경우에는 아들, 며느리, 딸, 사위, 손자녀, 증손자, 조카, 동생, 서얼자, 첩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아들과 손자에게 별급하는 사례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수취인의 변화는 17세기 후반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며느리와 손자며느리에게 별급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4)별급문기에서 증인의 변화를 살펴보면, 16세기 전반의 평균증인수는 4명에 가까웠으나, 18세기 후반이 되면 평균 증인수가 1명도 되지 않으며 심지어 증인證人필집筆執 없이 재주가 자필自筆로 작성한 사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18세기가 되면 균분상속의 원칙이 장남 우대와 딸에 대한 차등분재로 변화해 갔던 사회적 인식과 분위기가 재주의 별급에 대한 권한을 더욱 높였던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증인수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증인 필집 없이 재주가 직접 자필하여 분재기를 작성하더라도 문서 자체로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사패전(賜牌田)의 실전(失傳)과 불천위(不遷位) 위토(位土)의 마련 : 김종직 종가고문서를 중심으로

        이상현 ( Sang Hyun Lee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8 No.-

        金宗直 宗家에 남아 있는 分財記는 40점으로 가문에 소장된 고문서 가운데 가장 잘 보전되어 있는 문서중의 하나이며,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 또한 매우 높다. 그 분재기 가운데 1724년(경종 4) 門中에서 祀孫 金世鳴에게 준 분재기는 先祖 김종직의 不遷位를 위해 문중에서 재산을 모아 祭位條를 만들면서 종손에게 작성해 준 문서이다. 문서의 내용에는 사패전이 없어졌기 때문에 불천위를 위해 제위조를 만든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작 사패전이 없어진 이유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문에 소장된 자료에도 이와 관련기록이 없었다. 1930년대 조선사편수위원회에서 사료조사에 의해 김종직종가의 가문문서 82점이 조사되어 현재 사진유리필름자료로 국사편찬위원회에 보관되어 있다. 82점의 문서 가운데 18점의 문서가 위의 분재기에서 언급된 사패전 관련 자료들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議送이 10점·關이 1점·사패전답기가 7점이 있다. 문서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사패전 소송에 관한 문서로서 이를 통해 김종직 종가의 사패전이 어떻게 失傳되었고, 그것을 찾으려는 후손들의 노력이 어떠했는지 자세히 살펴 볼 수 있었다. 이 사패전은 김종직이 성종에게 사패전답을 병으로 密陽에 요양하고 있을 당시 받았다. 그가 죽은뒤 戊午士禍로 인해 관에 몰수당했다가 中宗反正때 신원이 회복되고 이로 말미암아 다시 되찾게 되었다. 이후로 후손에게 전해졌다는 것을 1584년(선조 17) 1월 5일에 金綸의 妻 河氏가 작성한 분재기를통해 알 수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이후 사패전의 향방을 알 수 없었으나 위의 1633년(인조11)~1738년(영조 14)까지 총 9건의 議送과 1건의 關을 통해 사패전을 되찾은 시기는 대략 1600년(선조33) 이전으로 김갑령에 의해 되찾았으며, 肅宗代까지 사패전이 남아 있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패전이 없어진 이유를 살펴보면 하나는 壬辰倭亂으로 인해 토지가 대부분 황무지가 되었고, 전쟁이 끝난 후 東萊에 사는 사람들의 지속적인 據執 때문이었다. 이는 의송과 사패전답기에서 그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하나는 사패전을 관리하던 김갑령 또는 그의 후손이 빈곤하여 거집된 토지 이외를 放賣한 것이다. 1653년(효종 4)에 작성된 의송과 이후에 작성된 대부분의 의송을 보면 김갑령 또는 김갑령의 지손이 사패전을 임의로 방매하였다고 이들을 처벌하고 사패전을 되찾게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패전이 없어진 이유 중 하나가 김갑령과 그의 후손들이 땅을 방매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김종직의 불천위 奉行은 4대 봉사가 끝난 이후라고 생각되지만 4대 봉사 이후에 불천위가 奉行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는 없었다. 하지만 1724년에 작성된 분재기를 통해 적어도 이때부터 불천위를 모셨다는 것을 기록을 통해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불천위를 모시기 위해 친족들이 재산을 모와 불천위 위토를 마련하였다는 것과 본래 불천위 위토를 사패전을 가지고 만들려고 했다는 점도 살펴볼 수 있었다. 하나의 분재기와 분재기의 속의 사패전 관련 내용 그리고 사패전과 연관된 문서를 통해 한 가문에서 사패전을 받아 어떻게 관리 전승되었고 어떻게 잃어버리게 되었는지 알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서 의의가 있으며, 사패전을 연구하는데 하나의 보탬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그리고 잃어버린 사패전을 대신하여 친족들이 자신들의 재산을 모아 조상의 불천위 위토를 형성하는 점은 이 가문만이 가지는 특수한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owned in head family of Kim Jongjik are 40 pieces, and they are one of best preserved documents among all paleography owned by that family and also so valuable as paleography for study. Among thos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which was given to Eldest son of the eldest son Kim Semyeong from Kim``s family at 1724(Kyeongjong 4) is a paleography written for the eldest grandson of that family as Kim``s families prepared financial asset to buy Jewijo for their ancestor Kim Jongjik``s Bulcheonwi. According to the paleography, it said that they are making Jewijo for Bulcheonwi because they lost Sapaejeon. But actually not only there is no mention on the reason why the Sapaejeon was lost, but also there is no related records in paleography owned by Kim Jongjik’s familys. The 82 pieces of family paleographys of Kim Jongjik``s head family were confirmed by paleography investigation performed by the Committee of Joseon History Compilation and they are now being preserved as ambrotype film at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Among 82 paleographys, 18 of them are the paleographys related to Sapaejeon mentioned above at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According to those paleographys, most of them are about Sapaejeon litigation, and we could understand the details through these how the Sapaejeon of Kim Jongjik``s family was lost and what efforts his paleography made to regain it. Kim Jongjik received this Sapaejeon from Seongjong as Sapaejeondab while he was in recuperation from disease at Milyang. It was confiscated by the government at Muosawha after his death and regained at Jungjongbanjeong by restoration of his status. We can learn this from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written by Kim Ryun``s wife Ha Ssi at 1584(Seonjo 17). The where about of Sapaejeon after the outbreak of Imjinwaeran was not known. But we could assume that Kim Gabryeong regained Sapaejeon before about 1600(Seonjo 33) through 9 of Provincial gonernor’s presiding the litigation and 1 of Kwan from 1633(Injo 11) to 1738(Yeongjo 14) and it had been remained until Sookjong period. The reason of loss of this Sapaejeon is because of continuous occupation with fake paleographys by residents in Dongrae area in the situation that most of the land were destroyed by Imjinwaeran. The other reason is that Kim Kabryeong and his descendents, who had administered the Sapaejeon, were in poverty, so they sold the land except those occupiedby others. If we examine the Provincial gonernor’s presiding the litigation written at 1653(Hyojong 4) and most of Provincial gonernor’s presiding the litigations written after that, it said Kim Kabryeong or his posterity sold the Sapaejeon without family``s permission, so they were asking to punish these and allow to regain the Sapaejeon. The duty serving to Kim Jongjik``s Bulcheonwi is thought to be after completion of duty service by 4 generations, but we can``t clearly know if it was carried out also after 4 generations duty service. But we can know through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written at 1724 that Bulcheonwi had been served at least from this time. And the family gathered financial assets to buy Wito to serve Bulcheonwi and we could examine that they originally tried to buy Wito with Sapaejeon. This has a meaning that we could understand how a family received, administered and inherited Sapaejeon and how they lost it through a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and its contents related to Sapaejeon and paleographys related to Sapaejeon, I think this would be a contribution to studying the Sapaejeon. And the point that the families and relatives gatheredtheir financial assets to form ancestor``s Bulcheonwi Wito to replace lost Sapaejeon has a meaning as a particular case that only this family has.

      • KCI등재

        고문서에서 "明文"과 "成文"의 용례에 관한 연구 -고문서 분류체계의 일각에 대한 검토를 겸하여-

        임상혁 ( Sahng Hyeog Ihm ) 한국고문서학회 2014 古文書硏究 Vol.45 No.-

        고문서의 이해에 있어서 용어의 정리는 중요한 문제이다. 실은 고문서라는 말은 현재에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문서의 개념에 기대어서 만들어진 용어이고, 오늘날의 문서 개념, 특히 사문서에 가장 가까운 당시의 용어로는 ‘문기’(文記)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문기는 이제까지 ‘명문’(明文)이라는 낱말과 거의 같은 의미로 취급되기도 했고, 현재도 고문서 수집기관에서 ‘명문·문기류’라는 분류 항목을 두고 있는 것을 보면 여전히 그런 경향이 어느 정도 이어지고 있는 듯하다. 이 글에서는 이 ‘명문’과 ‘성문’ 의 용례와 개념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이 결과에 터잡아 고문서 분류에서의 문제점도 살폈다. 16세기부터 명문이 본격적으로 뚜렷한 의미를 가지고 등장하여 거의 모든 매매에서 문서를 만들 때 명문이라는 용어를 썼다. 반면에 상속과 관련한 문기에서는 여전히 성문이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17세기부터는 화회문기를 제외하고는 상속문서에서도 명문이라는 용어를 이용하게 되었으며, 이의 영향을 받은 일부 가문이나 지역에서는 화회할 때에도 명문이라는 낱말로 문기를 작성하는 일도 있었다 그리하여 세기의 . 17, 18 명문은, 작성자가 자신의 의사에 터잡아 어떠한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려는 의도와 함께 뒷날의 증명을 삼고자 하는 목적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이러한 행위나 글월, 또는 이로써 만들어진 문서를 뜻한다고 볼 것이다. 명문과 대비하여 말할 때의 성문이라는 용어는 법률행위에 터잡지 않고서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사안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사용된다고 할 수 있겠다. 명문과 성문의 용례를 살펴 파악한 개념으로 볼 때, 현재 명문·문기류와 같은 고문서 분류 항목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증빙류에 들어있는 문기들이 왜 이 항목에 분류되지 못하며, 증명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분명한 명문류 문서들은 증빙류에 들어 있는 몇몇 문서들보다 증명력이 떨이지지 않는데도 그런 카테고리에서 제외되는지 등 문제가 번져가기도 한다. 따라서 다른 분류체계들도 그렇겠지만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분류에서 적어도 명문·문기류와 증빙류는 일괄하여 재분류를 생각해 볼 만하다. 이때 무엇보다도 저마다의 항목에 대한 개념을 될 수 있는 한 겹치지 않고 분명하게, 그리고 최대한 용례에 맞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To understand old documents systematically it is important to arrange terminology. The closest term to the concept of current private document might be Mungi(文記). Seongmun(成 文) means ‘making legal documents’ and Myeongmun(明文) means ‘making legal contracts’ or ‘written contract.’ When private documents such as contracts, Seongmun is expression for those kind of behavior. Myeongmun appeared from the 16th century and was used as meaning of the legal transaction(Rechtsgeshaft) like trading. This distinguishment make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of dld documents. among the medium divisions of this system Myeongmun and Jeungbing(certificate) combine concepts each other. Above all, it is important that every item should be set not to be overlapped but to be clear, furthermore to be correspond with historical usages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