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법신불사은’호칭 재고

        정순일(鄭舜日)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9 No.-

        개교 100주년을 앞두고 있는 원불교가 신앙의 본질을 다시 점검하고 보편 종교로서 거듭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그 중의 하나가 신앙의 호칭에 대한 정비작업이다. 신앙의 대상에 대한 호칭은 종교적 정서를 대변할 뿐 아니라 신앙자의 집단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매개가 된다. 신앙생활에 있어서 그 대상에 대한 호칭과 신앙적 정서 간의 관련성은 중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원불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도시의 호칭은‘법신불 사은’이다. 그러나 원불교의 공식적 신앙 대상은‘법신불’이다. 이처럼 공식적 명칭과 기도시의 호칭이 다름으로 인하여 교학적 혹은 신앙정서상 혼선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법신불 사은’처럼 신앙행위에 병렬 또는 설명개념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점도 문제가 된다. 간결하고 단일화한 개념은 신앙의 대상을 명확하게 하며 신앙감을 고취시키는 데에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신앙호칭을 단일개념으로 통일하자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방법은 법신불 사은의 명칭이 지니는 의미와 한계를 여러 면에서 비판적으로 생각해 보는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그 결과 원불교의 신앙 행위시의 호칭은 일반적 통칭으로는‘부처님(Buddha)’으로 하고, 공식 명칭을‘법신불(Dharmaka-ya-Buddha)’로 통일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보편적이고 대중적 감성에 호소한다는 점에서‘부처님’이라는 통칭을 쓰고, 신앙의 대상을 공식적으로 표현할 때는‘법신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 좋겠다. 일각에서는‘일원불’혹은‘원불님’이라는 호칭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는 특유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보편적이지 않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Won-Buddhism fast approaching, it is vital to review the nature of faith and reform as represented in this universal religion. One important task is to re-establish a title for the object of faith in Won-Buddhism. The title of the object of faith not only represents the religious emotion of its members but is also a medium to express the collective identity of faith. In religious activities, a title of the object of faith is significant in evoking religious emotions. Currently, the name of the object of faith in a Won-Buddhist prayer is ‘Dharmakāya Buddha - Fourfold Grace’, but the official title of the object of faith of Won-Buddhism is ‘Dharmakāya Buddha’.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tel used in prayers and the official title of the object of faith could cause potential academic and emotional confusion. Whether it is necessary to use a parallel or explanatory concept in preyer like ‘Dharmakāya Buddha - the Fourfold Grace’ is another concern. A concise and unified concept is an important factor to clarify the object of faith, which inspires emotions towards fa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ify the titles currently used to express the object of faith into a single concep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review meanings and the limitations of “Dharmakāya Buddha - the Fourfold Grace” from multiple aspects. This study argues that ‘Buddh’ should be the name used in conventional religious activites and ‘Dharmakaya-Buddha’ should be used as the official title. Using the term ‘Buddha’ will appeal to universal and popular emotion, but as a formal object of worship, ‘Dharmakāya-Buddha’ is more reasonable. Although other alternative terms such as ‘lI-Won-Bul(一圓佛)’ or ‘Wonbulnim(圓佛님)’ have been suggested, they both lack a universal appeal.

      • KCI등재

        화엄교학과 원불교의 법신불사상과 그 실천적 특징

        장진영(張珍寧)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2 No.-

        본고에서는 화엄교학과 원불교를 법신불사상과 그 실천적 특징을 중심으로 비교한 것이다. 석가모니불이 정각을 이루었을 때, 법신불과 만나 일체가 되면서 불(佛)은 법(法)이 되고, 법은 불이 되었다. 법신불이 신앙과 수행 등 실천의 구심이 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부처를 모시고 따를 수 있게 되어 실천의 폭이 훨씬 넓어지게 되었다. 법신불사상은 대승불교의 주요사상으로 특히 법신불이 주불인 『화엄경』의 등장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 화엄교학은 지엄(智儼)에 의해 체계화된 것으로 의상(義相, 625~702)이 이를 계승 발전시켜 한국화엄의 실천적 전승이 이루어졌다. 의상은 『일승법계도』에서 ‘법성(法性)’을 중심으로 법신사상을 전개하였으며, 이는 ‘구래불(舊來佛)’과 『화엄경문답』의 ‘자체불(自體佛)’을 통해 실천적으로 계승되었다. 의상은 법신을 단지 신앙의 차원에 한정하지 않고 수증과 성불 및 교화의 측면까지 적용함으로써 자리와 이타, 능화(能化)와 소화(所化)를 일치시키는 실천적 진전을 보였다. 소태산(少太山 朴重彬, 1891~1943)에 의해 개창된 원불교는 법신불인 ‘일원상(一圓相, ?)’을 구심으로 모든 신앙의 대상과 모든 수행의 방법을 통일시킴으로써 타력신앙과 자력수행의 양면을 균형 있게 제시하고 있다. 대타의 측면에서는 ‘처처불(處處佛)’ 신앙을 인과보응의 이치에 따른 사실적인 불공법으로 연결시키고 있으며, 대자의 측면에서는 ‘자성불(自性佛)’에 근거하여 삼학병진(三學竝進)의 공부법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화엄교학(특히 의상화엄)과 원불교에 있어서 법신불사상의 형성과 실천적 전개과정을 통해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법신사상을 통해 모든 사상을 통합하고 있다는 점, 둘째 법신사상을 통해 자력과 타력의 양면을 조화 혹은 일치시키고 있다는 점, 셋째 법신사상에 근거한 구체적인 실천원리와 마음공부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에서 법신불사상은 석가모니불의 정각에서 비롯한 진리의 부처로서 대승불교 이후 모든 실천의 구심이 되었고, 한국화엄과 원불교를 통해 법신불사상의 실천적 의미가 크게 살아나게 되었음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aims at comparing the thought of Dharmak?ya Buddha as it is represented in both the Hwaeom (華嚴, C. Huayan) school and Won-Buddhism (圓佛敎), especially examining its practical aspects. Dharmak?ya is defined as the body of truth and signifies the truth itself. When Sakyamuni Buddha awakened to the ultimate truth, it is said he synchronized with Dharmak?ya-Buddha. At this time, Buddha became dharma, and dharma became Buddha. With the appearance of Dharmak?ya Buddha, we can enshrine Buddha and keep the truth in every place and present at every time, thus broadening the scale of practice. The emergence of Dharmak?ya Buddha allows adherents to believe in Buddha and practice like Buddha in a new dimension. Dharmak?ya Buddha is considered one of the main thoughts in Mahayana Buddhism. This thought became widespread owing to the Flower Garland Sutra. Uisang (義相, 625-702) upgraded Korean Hwaeom by succeeding the teaching of the Hwaeom school which was systematized by Zhiyan (智儼). Uisang developed the thought of Dharmak?ya Buddha based on Dharma Nature (法性) in the Ilseungbeopgyedo (Chart of the Dharma-World of the One Vehicle). His description of Dharmak?ya Buddha appeared in the ‘Buddha Originated from Past’ (舊來佛) and ‘Self Noumenon Buddha’ (自體佛) in the Hwaeomgyeong-mundap (Catechism about the Flower Garland Sutra). His interpretation shows a practical advance with concepts such as self-benefit and others-benefit, the enlightening and the enlightened. Sotaesan (1891~1943, Jung-Bin Park), the founder of Won-Buddhism proposes faith and practice and unifies all objects of faith and all ways of practice with Il-Won-Sang (?) or One Circle Image. To represent ‘other-power’ he relates faith with the motto ‘Everywhere a Buddha’ (處處佛), which means making realistic Buddha offering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retribution and response of cause and effect. On the side of ‘self-power,’ he connects ‘Self Nature Buddha’ (自性佛)’ with the practical way of The Threefold Study. This study elucidates several features on the thought of Dharmak?ya Buddha developed in both the Hwaeom School and Won-Buddhism. The first is incorporating all teachings of truth and objects of faith based on the thought of Dharmak?ya Buddha. The second is corresponding self-power with other-power. The third is proposing concrete principles and realistic methods of mind practice.

      • KCI등재후보

        소태산의 깨달음과 법신불신앙운동

        노권용 대각사상연구원 2008 大覺思想 Vol.11 No.-

        최근세 한국불교의 성격은 시대사명의 자각과 그 실현을 위한 개혁불 교운동이라 할 수 있는바, 이러한 개혁운동의 하나로서 소태산은 26세 (1916년)에 진리에 대한 큰 깨달음을 얻고 원불교를 개창하여 ‘법신불신 앙운동’을 전개한다. 당시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고 극심한 무력탄압정책 에 억눌려 있던 한국 민중들에, 그것은 한 개인의 깨달음이나 일개 종단 의 신앙운동 차원을 넘어서서 민족구원의 종교적 메시지의 출현이라 볼 수 있다. 그는『조선불교혁신론』의 저술을 통해 종래의 불상숭배의 허구 성과 기복위주의 비합리적 불공법을 비판하고, 법신불신앙과 진리적 불 공법을 제창한다. 신앙, 수행, 교화제도 등 전면에 걸친 소태산의 불교혁 신사상은, 직접 민중의 삶속에서 구체적 실천운동으로 전개되어 오늘에 까지 이르고 있으니 그것이 바로 원불교의 ‘법신불신앙운동’이다. 원불교에서는 최고 종지로서의 ‘법신불 일원상(○)’을 본존으로 모신다. 이때 법신불(Dharma-kāya Buddha)이란 우주의 궁극적 진리(實在) 그 자 체를 佛로 본 것으로서, 그것은 진리의 체성뿐 아니라 무한덕상과 부사 의업용까지를 동시에 포함한 통일자로서의 진여실상을 지칭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소태산은 불상숭배를 넘어선 법신불 일원상숭배, 즉 이ㆍ지ㆍ비(理智悲)가 충만한 법신불신앙운동을 주창했던 것이다. 이러한 ‘법신불 일원상’을 원불교에서는 신앙의 대상으로 모심과 동시에 수행의 표본으로 받들어 신앙과 수행의 양문을 열어놓고 있다. 이처럼 불교혁신 운동의 근본이념으로서 소태산에 의해 전개된 원불교의 법신불신앙운동 은 불타관의 발달사에 비춰볼 때 간과할 수 없는 의의와 특징을 지닌다. Won Buddhism has been set up and developed by So-tae-san, Bak Jyung-bin(1891-1943), who had realized Buddha's truth and devoted his whole life to the religious calling in turmoil and suffering in the Korean modern society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mid 20th cent. As one of Buddhistic revolutionary activities, So-tae-san had gotten awakened spiritually and created Won-Buddhism, that was the movement of belief in Dharma-kāya Buddha. To Korean people who had been deprived of sovereignty and suppressed by the ruthless and colonial policy of Japan, this was an appearance of religious message of national salvage beyond an individual awakening or a movement of just one religion. So-tae-san proposed the following in his book Innovation of Chosun Buddhism. ① He criticized the falsehood of worship of Buddha's statue and irrational method of offerings toward Buddha, and suggested faith of Dharma-kāya Buddha and truthful method of offerings toward Buddha as alternatives. ② And he advocated harmonious practices by threefold training, (shīla, sāmadhi, prajṅā), for the way of completion of whole personality beyond deflection and adherence to any particular sectarian practice. ③ By emphasizing on modernization, popularization, and habituation, he encouraged the old traditional unworldly Buddhism to go into people's life and reborn as dynamic and energetic Buddhism that can contribute to the society and the history. In Won Buddhism, the symbol, ○(Ir-won sang), indicates the ultimate truth itself of the universe, and it means Buddha-Tathāgata as unification including essence and virtue and function of truth. Especially it is filled with not only truth but also wisdom and mercy. Won Buddhism considers Dharma-kāya Buddha(〇, Ir-won-sang) as the objects of faith, and the standards of practices. So the worship of Dharma-kāya Buddha in Won Buddhism, consists of two gates of faith and practice. These movements of belief in Dharma-kāya Buddha developed by So-tae-san, as the activity of Korean revolutional Buddhism, has significance and feature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Buddha-worship. On the other hand, there still remains some hermeneutic and practical tasks to be solved in order to establish an ideal faith of Dharma-kāya Buddha in the future.

      • 一圓相 信仰 成立史의 諸問題

        정순일 한국원불교학회 2002 圓佛敎學 Vol.8 No.-

        신앙의 문제는 종교의 핵심이며, 신앙의 대상에 대한 규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오늘날 원불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앙의 대상에 대한 호칭을 '법신불사은'인데, 이 호칭은 적절치 않다는 생각이 이 연구의 출발이며, 그에 대한 확인이 결론이다. '법신불사은'이란 호칭은 소태산 사후 제자들이 『정전』을 정비할 때 『정전』「심고와 기도」장에서 '법신불사은'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 오늘날 원불교인들의 신앙의 대상으로 정착하게 된 시발점이었다. 다음으로 중요한 사항은 현행 원불교 『정전』의 편찬과정에서 『심고와 기도』장에 나타난 신앙의 대상에 대한 표현은 일관성을 잃고 있다는 점이다. 즉 "자신할만한 타력으로서의 법신불사은", "사은으로써 신앙의 근원을 삼고", "사은의 위력으로써 죄벌이 있나니", "법신불사은전에 고백하옵나이다" 등을 보면 표현에 있어서도 '법신불사은'과 '사은'을 일정한 원칙 없이 혼용하고 있다. 이는 교학적으로 심도 있는 검토와, 신앙적 파장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덜된 상태에서 법신불을 주불로 하는 원불교 기본 종지와, 기존의 '사은'이란 표현의 대략적인 연결을 시행한 성급한 수정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다. 또한 표현의 일관성도 상실함으로 인하여 후인들로 하여금 원불교의 신앙의 대상에 대한 혼선을 야기 시킬 우려도 적지 않다. 더욱 주목해야 할 사실은 『심고와 기도』장에 나오는 '법신불사은'이라는 표현은 역사적으로 살펴 볼 때에 사실은 소태산 대종사 시절에는 출현하지 않았고 소태산 사후 『불교정전』을 정비하여 『정전』을 편찬하는 과정 중에 수정되었다는 점이다. 소태산은 '법신불 사은'이라는 말을 공식적으로 사용한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 '법신불 일원상'과 '사은'을 독립적으로 사용하였을 따름이었다. 소태산의 일생은 그의 대각에 의해 우주의 진리를 깨친 이후에 늘 새로운 창조적 변신을 계속해 왔다. 이러한 창조적 변화야말로 소태산의 아이덴티티라고 생각되는데, 그러한 창조적 변화성에 바탕하여 신앙의 대상에 대한 표현도 시대와 인지의 정도를 따라 천제·천지신명에서 사은으로, 사은에서 심불로, 심불에서 일원상으로 변화해 왔다고 본다. 따라서 현행의 '법신불 사은'이 과연 소태산의 사상과 의도에 맞는 표현인지에 대한 진지한 검토와 반성이 있는 동시에 최적의 다른 표현이 있다면 이를 찾아 수용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보며, 그것이 다음 연구의 과제이다. Faith is essential theme of religion, and it is very important what is the subject of faith. 'BUBSINBULSAEUN'is the subject of faith of Won Buddhism but this is not good for us. Through the study I could identify that my opinion is right. The followers established the 'BUBSINBULSAEUN' when they improved the JUNGJUN which is the canonical book of Won Buddhism after SOTAESAN(1891-1943) had died. More over they wanting in consistency the name of the subject of faith in JUNGJUN. The origin of that is a lack of enough consideration about their master's opinion and other theories of Won Buddhism. So Won Buddhist have some confusion their faith system. Most important thing is 'BUBSINBULSAEUN' was not apparent in SOTAESAN's sayings. He used the word 'BUBSINBUL ILWONSANG' and 'SAEUN' independently in his canonical book. In his life, SOTAESAN changed his doctrine by a situation and the time. I would like to call that is a creative change. The name of ultimate being changed several times by SOTAESAN, for example CHUNJAE, CHUNJISINMYUNG, SAEUN, SIMBUL, ILWONSANG. We must review this theme seriously and find the good model of Won Buddhist's subject of faith Which contains SOTASAN's thought.

      • KCI등재

        원불교의 불신관 연구 : 법신불사은을 중심으로

        노권용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0 No.-

        원불교는 ‘법신불일원상’을 본존으로 모시고, 이를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삼고 있다. 이 때 법신불은 소태산이 깨달은 ‘일원상진리’그 자체를 불(佛)로 본 것으로서, 그것은 삼신불 중의 하나인 협의의 법신불뿐만 아니라, 이·지·비가 충만한 삼신일체의 광의의 법신불을 의미한다. 원불교에서는 이를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바, 이 가운데 신앙대상으로서 가장 일반화되어 있는 것은 ‘법신불사은’이다. 이와 관련하여 수년전 ‘법신불사은’의 호칭에 대한 재고론이 제기되면서 십 수 차례의 논란이 거듭되었으나, 아직도 미해결의 교학적 과제로 남아있다. 원불교의 개교 100주년을 맞아 ‘법신불사은’을 중심으로 한 원불교신앙론에 대해 보다 깊은 검토가 절실히 요청되는 시점이다. 법신불 그 자체의 성격과 내용은 물론, 특히 사은과의 관계 및 그에 따라 제기되는 사은의 불신론적 위상과 신앙적 의미, 나아가 자성불과의 관계 등에 관하여 보다 심도 있는 교리해석학적 검토가 요청된다. 필자 또한 이 문제와 관련하여 법신불사상의 발달사를 중심으로 수십년 동안 그 해답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으나, 아직도 개인의 주관적 이해 차원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이 문제는 바로 ‘본체와 현상’의 관계에 관한 문제로서, 인류정신사를 통해 수천년 동안 논의해왔으나 아직도 쉽게 결론짓기 어려운 종교철학적 과제로 남아있다. 본고 또한 이 문제에 대한 접근의 하나로서 불신론적 조명을 통해 이 문제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본고의 전개는 먼저 불교신앙발달사 상에 전개되어온 제불신관을 살펴보고, 그러한 바탕위에서 원불교의 ‘법신불’개념과 ‘법신불과 사은’의 관계, 및 ‘사은’그 자체 등에 관하여 불신론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원불교의 ‘법신불일원’이 불신론상에 있어 지니는 의의와 특징, 그리고 그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과제들을 검토하여 봄으로써 이상적인 원불교신앙관의 정립과 방향 모색에 일조를 얻고자 한다. Won-Buddhism enshrines the ‘Dharma-kāyaBuddha Il-Won-Sang’as the main Buddha and considers it the object of faith and the model of practice. In this context, Dharma-kāya Buddha means that Sotaesan’s enlightenment of ‘Il-Won-Sang Truth’ itself is regarded as Buddha, which does not only mean one of trikāyas, but also signifies Dharma-kāya Buddha in broad sense forming a trinity fulfilled with principle, wisdom and compassion. In Won-Buddhism, it is referred by various names, and the most commonly used name is ‘Dharmakāya Buddha Fourfold Grace,’ which is generally used in religious rituals and individual faith and practice. In this regard, debates on the suggestion for reconsideration of name of ‘Dharma-kāya Buddha Fourfold Grace’ have repeatedly been raised and continued discussion more than dozen occasions; however the challenge still remain as an unresolved doctrinal task of Won-Buddhism. I have also kept in mind for the necessity of much intensified studies on the theory of faith in Won-Buddhism focusing on Dharma-kāya Buddha and Fourfold Grace. Especially in the studies on ‘Fourfold Grace’, it is considered to be required to deeper investigation for itsrelation with Dharma-kāya Buddha, its position and religious status in the perspective of Buddha-kāya theory, and furthermore its relation with self-nature Buddha. To find those answers, I have kept examining and investigating the Dharma-kāya Buddha theory of Won-Buddhism focused on the theoretical history of the view of Buddha and the theory of Buddha-kāyafor 30 years, however, the results of research still there are aspects that cannot be overcome with mypersonal subjective level of understanding. The issue of the relation between ‘phenomenon and noumenon’ has been studied for thousands of years in the history of humanity, yet its definite answer still remains as a religious philosophical task. In my opinion, it may be necessary to review this matt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uddha-kāyatheory as an approach method. This research, as a kind of such attempt, reviews the religious meanings embedded in variousBuddha-kāyatheoriesin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Buddhist faith; then, depending on its basis, discusses the concept of Dharmakāya Buddh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harma-kāya Buddha and Fourfold Grace, and the Fourfold Grace itself from the aspect of the Buddha-kāyatheory.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nd to find a way to explore the ideal faith of Won-Buddhism by reviewing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harma-kāya Buddha Il-Won’ in the Buddha-kāyatheory and examining related issues and tasks.

      • KCI등재

        대산의 일원주의와 세계주의

        이찬수(李贊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1 No.-

        원불교는 ‘법신불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다. ‘전체로서의 하나’를 의미하는 ‘일원’을 우주 만유의 본원으로 규정하면서도, 그것을 ‘일원’의 특징 혹은 모양이라는 의미를 지닌 ‘일원상’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법신불’과 ‘일원상’을 과연 동일시할 수 있는가의 문제, 그리고 ‘일원’과 ‘일원상’은 같은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답변은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법신불’과 ‘일원상’의 관계 및 ‘일원’과 ‘일원상’의 개념을 좀 더 분석적이고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특히 ‘법신불’과 ‘일원’은 신앙의 대상이기 이전에 도리어 신앙의 주체에 가깝다는 인식을 확립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이어서 대산 김대거종사가 ‘법신불 일원상’ 신앙을 계승하되, 그것을 ‘일원주의’와 ‘세계주의’의 차원으로 확장 전개해온 과정도 살펴보고자 한다. 대산은 ‘세계 는 근원적으로 하나’라는 사실을 “진리는 하나, 세계도 하나, 인류는 한 가족, 세상은 한 일터, 개척하자 하나의 세계”라는 문장으로 정리하면서, ‘진리의 하나됨’ 혹은 ‘일원의 진리’를 구체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그 누구보다도 진정성 있게 수행해온 종교지도자이다. 그 과정에 대산이 사용하는 자력이나 타력과 같은 종교 언어가 좀 더 엄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그의 언어 몇 가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이것은 모두 ‘법신불 일원상’의 신앙의 논리적 엄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일원주의’와 ‘세계주의’가 세계 종교 사상사적 차원에서는 어떤 위치에 있는지 그리스도교권에서 최근에 전개되어 오고 있는 ‘범재신론’(panentheism)이라는 사유틀과 비교하면서 알아보고자 한다. “모든 것(pan)이 신(theos) 안에 있다(en)는 이론(ism)”이라는 ‘범재신론’은 법신불 일원상 신앙 혹은 일원상의 진리의 고유성과 서양 사상과의 차별성을 분명히 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개념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Won-Buddhism uses DharmakayaBudda Ilwonsang(法身佛 一圓相) as their object of faith. While Il-Won(一圓), meaning “one as all”, is defined as the original nature of universe, DharmakayaBuddha Ilwonsang is often interchangeably understood with Il-Won-Sang(一圓相), where Il-Won-Sang actually means the character or shape of Il-Wo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DharmakayaBuddha may be considered the same as Il-Won-Sang, and whether or not Il-Won and Il-Won-Sang are the same has not yet been answered enough. As far as the problematic usage of the two ideas goes, this paper will analytically and crit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harmakayaBuddha and Il-Won-Sang, and then what Il-Won and Il-Won-Sang truly mean. Especially this paper will solidify the understanding that DharmakayaBuddha and Il-Won are the subject of faith, rather than the object. Further, the paper will look into the Master Daesan(大山宗師)’s historical footsteps because he has not only incorporated the values of DharmakayaBuddha Ilwonsang, but also further developed them based upon Il-Won-centered-doctrine and cosmopolitanism. Master Daesan asserted that “the world is originally one” in a slogan “there is one truth, one world, one family, one place of work in the world, let us develop the One’s world.” Through his slogan, the Master Daesan constructed the idea of Oneness of Truth, or the Truth of Il-Won, by putting hard efforts more than anyone. Meanwhile, the paper will critically challenge Master Daesan’s religious jargons so that religious jargons that he used such as ‘self-power’ and ‘other power’ will make more concrete sense. Thu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construct a logical sense out of the faith of DharmakayaBuddha Ilwonsang. Finally, the paper will utilize panentheism, the idea that has recently gained popularity in Christianity, in order to discuss what positions Il-Won-centered doctrine and cosmopolitanism have in construction of religions around the world. Panentheism, which means the “idea(-ism) that All(pan) is in(en) God(theos),” is incorporated because it will help differentiate faith of Dharmakaya Buddha Ilwonsang, or the inherent truth of Ilwonsang from western ideas.

      • KCI등재후보

        「교리도」의 교상판석적 고찰

        노권용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5 No.-

        교화현장에서 신앙성의 제고와 마음공부의 심화작업 등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현시점에 있어, 원불교리 전반에 걸쳐 상식적이고 대중적인 이해의 차원을 넘어서서 보다 심화된 교학적 검토가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그러한 작업의 기초는 무엇보다 원불교의 최고지요 본존불인‘법신불 일원’그 자체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그에 바탕하여 전개되는 교법체계 전체에 대한 면밀한 교상판석적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고는 원불교교리의 총체적 집약도표라 할 수 있는「교리도」에 관하여,‘ 법신불 일원’을 중심으로 한 교상판석적 검토를 시도해보고자 한다. 우선 본고에서는 이러한「교리도」의 중심축을 이루는‘법신불 일원’ 그 자체의 존재론적 의미와 진리적 구조 등에 관하여 면밀한 분석과 심층적 검토를 시도해 본다. 이에서 볼 때‘법신불 일원’이야말로‘우주만유의 본원’임과 동시에‘인간자아의 본성’이라는 명제는 바로 그 존재론적 내지 인성론적 의미를 밝힌 것이며, 「게송」에 설파된‘구공과 구족’은 바로‘법신불 일원’그 자체의 본질적 성격을 천명한 것임에 틀림없다. 나아가 본고는 이러한‘법신불 일원’의 존재론적(내지 인성론적) 의 미와‘구공·구족’의 진리적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전개되는 신앙문과 수행문, 그리고 그들의 상호관계 등에 관하여 교상판석적 시각에서 재조명해본다. 또한 그러한 토대 위에서「개교의 동기」,「 일원상서원문」, 「참회문」등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몇 가지 문제들을 고찰해봄으로써, 원불교 교리사상의 심화와 그를 통한 신앙성 제고에 일조를 얻고자 한 것이다. Today, the height of the faith and the depth of the study of mind etc. have been seriously requested.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investigate deeply all the doctrines of Won-Buddhism beyond the conventional and popular understanding. It is the basic work for us to do deeply understand ‘Il-Won Dharmaka-ya Buddha’itself above all. And first of all, we should investigate minutely the whole system of the doctrines of Won-Buddhism based on Il-Won Dharmaka-ya Buddha in a viewpoint of the analysis and judgement of doctrines. In order to do this, we try to study the Doctrinal Chart especially concentrating upon Il-Won Dharmaka-ya Buddha. The Doctrinal Chart is a kind of diagram where the main doctrines of Won-Buddhism are concentrated clearly. In the Doctrinal Chart,‘ Il-Won Dharmakaya Buddha’as the object of worship or the supreme principle is located on the central top of the chart, and the two gates of faith and practice are placed on right and left sides, by arranging the basic doctrine of ‘the Four Great Principles’. In this paper, first, we try to do minutely analyze and deeply investigate‘ Il-Won Dharmaka-ya Buddha’as the core of the Doctrinal Chart. in a viewpoint of the meaning of ontology and the logical structure etc. From the viewpoint of this, the statement that ‘Il-Won Dharmaka-ya Buddha’is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as well as「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makes the meaning of ontolog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clear. And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declared in Transmission Verse, elucidated immediately the essential character of‘ Il-Won Dharmaka-ya Buddha itself. Secondly, we try to do closely analyze and critically appreciate those two gates of faith and practice,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basing on the meaning of ontology and the logical structure etc.. In advance we attempt to solve some problems that can be proposed in it’s meaning and structure as well as it’s practical applications, Finally, since we review the problems that must be considered throughout all the doctrines, of , , etc. based on such an analysis and judgement of doctrine, we want to be helpful in deepening of Won-buddhistic thought and in raising it’s religiositi.

      • KCI등재

        화엄 사상 (1) - 법신사상 -

        이행구(도업) 대각사상연구원 2012 大覺思想 Vol.18 No.-

        본 논문은 『華嚴經』에 나타난 法身佛 사상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그 내용은 첫째, 法身이란 如來의 本體로서 釋迦牟尼佛의 육신은 멸해서 없어지더라도 그것에 관계없이 영원히 常住한다는 것이다. 그 法身의 境界는 深行菩薩이나 부처만이 알 수 있는 境界이며, 우리 중생은 如來의 智慧를 본래 갖추고는 있지만 번뇌망상에 덮여 大悲를 발현하지 못하는 衆生態 法身이다. 따라서 如來의 智慧를 바탕으로 해서 同體大悲와 보살만행을 實現하는 光明態 法身과는 구별해서 봐야 한다. 둘째, 法身은 虛空과 같이 光明과 같이 寂滅하며 無來無去이지만 동시에 無所不住의 존재다. 生하는 일도 없고(不生) 멸하는 일도 없으며(不滅), 온 일도 없고(無來) 간일도 없다(無去). 그러나 광명과 같이 온 法界에 充滿해 있으며 不可思議한 作用(眞空妙有)을 계속하고 있다. 셋째, 法身의 神通變化力은 무한하다. 모르는 것이 없고(全知) 못하는 바가 없다(全能). 그러면서도 그렇게 한다는 생각이나 하겠다는 의지 작용이 없다(無有作意, 無功用). 法身佛의 無功用이야말로 唯一神敎의 神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다. 넷째, 사람이 부처다. 탐진치 삼독이 그대로 부처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 말은 아주 신중하게 써야할 말이다. 화엄의 법신관에서 보면 현실의 일체 중생은 전도된 妄想[무명 업식]에 덮여 있어 반야지혜와 동체대비 그리고 보살만행을 실현하지 못하는 박지 범부다. 다섯째, 法身(dharma-kāya)이란 壽命이 무량하고, 온 法界에 遍滿해 있다. 일체 처에 平等하게 있으며 부사의한 작용을 하고 있지만 함이 없이 하는 無功用의 존재다. ‘생멸 변화의 작용’이며 ‘연기법의 작용’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dharmakaya thought in Hua-yen Sutra, and its main arguments can be summerized with the following four. First, dharmakaya is the susbstance of tathagata and thus exists forever even after the extinction of Sakyamony's body. Only bodhisattvas and buddhas are in the realm of dharmakaya which practice the great compassion and bodhisatva's virtueus activities, but sentient beings remain in the realm of sentient being-dharmakaya which is unable to practice compassion. Sentient beings also have tathagatha's wisdom, but it is veiled with anguish and delusion. Second, dharmakaya is tranquil and peaceful like sky and light, and neither goes nor comes; but exist every where. Neither it arises not extinguishes; neither comes nor goes. Nevertheless, it is permeating on the entire cosmos, and continues its mysterious works. Third, dharmakya's mysterious transforming power is limitless. He is omniscience and omnipotent. He, however, he shows his omniscience and omnipotent without any intended mind. This is how dharmakaya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God. Fourth, human being is Buddha. Thus, it is often said that the three poisons, such as desire, anger, and stupidity, are Buddha. However, this should be spoken with discretion. When it is understood from dharmakaya thought of Hua-yen, all sentient beings are veiled with delusion, they are unable to practice prajnya, compassion of one body, and bodhidattva's virtue. Fifth, dharma-kāya has limitless life and omnipresent in the entire cosmos. He does not doing anything but unimaginable things are functioning every where. Arising and ceasing or causality is the functioning.

      • KCI등재

        밀교의 ‘대일여래’와 원불교의 ‘법신불 일원’의 비교연구

        노권용(魯權用)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불교신앙의 중심과제는 무엇보다 ‘불타’에 관한 문제라 본다. ‘불타’란 원래진리(Boddhi)를 깨달은 자를 가리킨 말로서, 초기불교의 석가불에서 시작한 소박한 불타론은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 이르르면서 다양하고 심오한 불타관으로 분화 발전한다. 동시에 그러한 제 불타들의 본질과 현상에 대한 철학적 탐구로서 다양한 불신론이 전개된다. 이처럼 인도불교의 신앙발달사를 통하여 다양하게 분화 발전된 제 불타관과 불신론은 대승말기에 이르러서는 밀교에 의하여 우주법신 대일여래 사상으로 종합 수렴된다. 대일여래 즉 Mahāvirocana-tathāgata는 인간불타가 아닌 우주전체 내지 진리 그 자체를 불격화 · 인격화한 것으로서, 우주의 모든 존재나 현상 그대로가 대일여래의 현현아님이 없다고 보는 것이다. 한편 불교의 현대적 전개의 하나로서 생활불교를 표방하는 원불교에서는 소태산(1891-1943)의 대각에 의하여 천명된 궁극적 진리, 즉 ‘일원상진리’를 ‘법신불’이라 하고, 일원상(○)으로 상징화한다. 그리하여 이 ‘법신불 일원상’을 본존불로 숭앙하여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받들어 모신다. 또한 이를 진리불 · 일원불 · 심불 · 자성불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른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이러한 원불교의 법신불관은 불교뿐 아니라, 인류정신사에 나타난 모든 종교와 철학의 궁극적 실재관은 물론 현대과학의 진리관 까지도 종합 수렴하는, 이른바 통종교적 실재관 내지 통합적 진리관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불교신앙발달사의 종합 지양이라 볼 수 있는 밀교의 ‘대일여래사상’과 원불교의 ‘법신불관’을 비교 검토하여 봄으로써, 이상적 불교신앙 내지 종교신앙의 방향모색에 일조를 얻고자 한 것이다. The central task of Buddhistic faith is regarding Buddha than anything else. Buddha is a word indicating a person who realized the truth (Boddhi). The simple theory of Buddha originating from Śākyamuni Buddha in primitive Buddhism was differentiated into various and profound theories through the time of Abhidharma Buddhism and Mahayana Buddhism. Meanwhile various theories of Buddha-kāya were also developed simultaneously as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nature and phenomenon of such Buddhas. Likewise diverse theories of Buddha and Buddha-kāya had been differentiated through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At the last period, such diversified theories of Buddha and Buddha-kāya were synthesized into ‘Mahā-virocanatathāgata’ by Esoteric Buddhists. It is not a Human Buddha, but a Universal Dharma-kāya Buddha, that is a personified and deified universe or truth itself, seeing as everything is a manifestation of ‘Mahā-virocana-tathāgata’. Meanwhile, Won-Buddhism is advocating a living Buddhism as a modern renovation of Buddhism. It is founded by So-Tae-San(1891-1943) who enlightened the Truth of Il-Won-Sang as the ultimate truth, The Truth of Il-Won-Sang is entitled ‘Dharma-kāya-Buddha Il-Won’ and symbolized as Il-Won-Sang(○). Therefore, they worship and venerate ‘Dharma-kāya-Buddha Il-Won’ as a object of faith and a model of practice. It is also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Dharma-Buddha, Il-Won-Buddha, Mind-Buddha, Svabhava-Buddha. It is noteworthy here the view of ‘Dharma-kāya-Buddha Il-Won’ is pursuing so-called integrative reality or consolidated truth, which is collectively synthesizing diverse views of all the religions and philosophies in the spiritual history of human being. This article reviewed and compared ‘Mahā-virocana-tathāgata’ of Esoteric Buddhism and ‘Dharma-kāya-Buddha Il-Won’ of Won-Buddhism in order to seeking for the direction to the ideal Buddhistic faith or religious faith.

      • KCI등재

        소태산 대종사의 생명철학

        정순일(鄭舜日)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소태산(少太山 朴重彬, 1891~1943) 대종사가 본 궁극적 존재는 법신불(法身佛, Dharma–kāya Buddha)이었다. 소태산은 법신불을 거시적으로는 우주적 존재로 인식했을 뿐만 아니라, 미시적으로는 인간을 포함한 존재의 미세한 단위에 이르기까지 법신불의 나타남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소태산의 생명철학은 법신불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그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법신불은 의식 · 에너지 · 생명의 세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소태산은 생명에 대하여 이중적 철학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는 미분과 분화, 전체와 개체, 통일과 다양, 삶과 죽음이라는 매우 상반되는 개념들을 사용하여 생명의 본질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려 하였다. 개체생명체인 인간은 신앙과 수행을 통하여 전체생명의 세계로 확장 · 진입이 가능하며, 그 궁극의 상태가 대각·해탈이다. 생명의 개념이 지닌 양면적 모순을 통합하려는 소태산의 생명철학은 파란고해에 휩싸인 이 세상 속에서 광대 무량한 낙원을 건설하려는 그의 의도와 부합된다. The ultimate being according to Sotaesan(1891~1943) was Dharmakāya Buddha. Sotaesan recognized the Dharmakāya Buddha not just as an universal being in a broader context but also as every single tiny being which is the manifestation of the Dharmakāya Buddha in a micro-perspective. Therefore, Sotaesan’s Life philosophy is basis on the Dharmakāya Buddha. Dharmakāya Buddha has three characteristics; consciousness, energy and life. Among those, Sotaesan approached life in a dual structure. He attempted to access the essence of the Life by using the concepts in contradiction as follows: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whole and entity, unity and diversity, and life and death. Human as an individual living being can enter or expand to the universal realm through faith and practice, and gradually attain the ultimate realm of Great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Sotaesan’s Life philosophy which unifies the contradiction of the concept of life correspond to his intension of establishing a vast and immeasurable paradise in the turbulent sea of suff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