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과 문학

        한삼인(Han Sam-In) 한국법학회 2010 법학연구 Vol.38 No.-

        문학은 인간의 삶을 표현하고, 법은 인간의 삶을 보호?유지하려는데에 그 존재의의가 있다는 점에서 법과 문학은 접목가능성이 있고, 나아가 융합가능이 있다고 생각한다. 1970년대부터 미국에서 비롯되어진 법과 문학의 연구는, ‘문학 속에서의 법’과 ‘문학으로서의 법’의 두 가지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199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비롯되어진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법과 문학에 관한 논의는,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법의 이미지 내지 법의식을 찾아보는 것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할 것이다. 생각하건대 문학은 인간의 삶 속에서 그 소재를 찾아 인간의 행복한 삶을 위한 길라잡이 역할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고, 법은 인간사회의 평화로운 유지?발전이라든가 사람의 권리보호 등 일반시민들의 행복추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문학작품의 분석?해석을 통하여 법의식을 음미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은 이러한 인식의 바탕 위에서 이혼문제를 다루고 있는, 또는 이혼을 소재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몇 편의 소설의 분석을 통하여 오늘을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일단의 이혼의식 내지 이혼관을 파악하려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혼제도에 관한 판례의 견해와 함께 소설 속의 이혼의식을 살펴보고, 이혼을 둘러싼 사회현실과 법현실 사이에 괴리가 있는지 여부를 따져보는 것은, 이혼제도에 관한 입법론의 형성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몇 편의 소설 속에 나타난 이혼의식은 현행 이혼제도(협의이혼, 재판상 이혼, 재판상 이혼원인)와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그 원인을 스스로 초래해 놓고 혼인관계가 파탄되었음을 이유로 재판상 이혼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이혼의식은 분명하지 않지만, 혼인파탄의 책임 유무에 관계없이 원칙적으로 이혼을 허용해 주면서 그 부작용은 위자료 등으로 해결하는 ‘파탄주의 이혼법’으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해 본다. The fact that literature expresses the lives of humans and the fact that law exists for the aim of protecting and maintaining the lives of humans make it possible for literature and law to be grafted with each other and enhances the possibility of it being fused together in the future. The study into law and literature which originated in America since the 1970s illustrated two directional possibilities of ‘Law within Literature’ and ‘Law as a Literature’. In the case of Korea where this field of research only started in earnest during the 1990s, the discussion of law and literature mainly centers around the image of law or awareness of law that appears in literary works. To this author's way of thinking, literature can be said to be a guide in leading a happy life by looking for materials within the lives of the humans. In the point that law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pursuit of happiness by most people such as maintaining and developing peace within the human society or protecting the rights of the people, I believe that there is significance in scrutinizing the law awareness through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literary classics. This study has the aim of grasping different perspectives in divorce awareness or thoughts of a group of modern day people through analyzing a few novels that exist in Korea which deals with divorce or talks about divorce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consciousness. I believe that looking into the divorce awareness within the novels along with views of case studies regarding divorce systems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gaps in between social realities surrounding divorce and legal realities will contribute to forming legislative theory about divorce syste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vorce awareness which appears in the few novels were congruent to the current divorce systems (divorce by mutual agreement, divorce through the court, divorce reason found in court). The only issue that remained in question was about the divorce awareness regarding whether they can apply for divorce through a court due to the reason that the marriage fell apart even though it was the spouse's own fault. Irregardless of whose responsibility it was for the failure of the marriage, the most feasible way to allow the divorce in principle but that the side effects be dealt with in alimony which falls under the category of 'no fault divorce law' would be the way to go.

      • KCI등재

        법학과 인문학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강진철(Kang Jin-Chul) 한국법학회 2007 법학연구 Vol.25 No.-

        요즈음 인문학의 위기가 이야기 되고 있다. 인간의 삶의 근본문제들을 탐구하던 인문학이 실용학문에 밀려 초라해 지고 있다. 이 논문은 법학에서 인문학과 연결될 수 있는 부분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생겨났던 ‘법과 문학 운동’을 탐구한다. 이 운동은 법실증주의로 대변되는 자연과학방법론과 법경제학으로 대변되는 사회과학방법론에 매몰당할 처지에 있는 법학을 철학적 해석학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을 빌려 인문학적인 전통을 되살리려는 것이다. 법인문학은 고유한 인문학이 인간의 삶을 바라보는 창으로 내세우는 자유정신을 되살리면서,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언어학과 텍스트 해석의 문제의식을 법학과 연결시켜서, 법의 규범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법해석의 자율성과 법관계자들의 책임의식을 고양시킨다. 법과 문학은 각각의 독자적인 기능과 방법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인간에게 고유한 자유와 정의문제는 법과 문학의 영원한 과제에 해당된다. Since 1960, when H. -G. Gadamer published ‘Truth and Methode’, hermeneutics has been criticized and taken in different directions, These developments have implications for legal interpretation, and the current task is to spell them out. All text, including literary ones, came within the purview of hermeneutic threorist.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and increasingly within the last forty years, literary studies as a discipline has devoted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problematics of interpretive theory. Almost all aspects of a legal system involve recourse to written documents, ranging from the wills of discrete, individuals to constitution of a modern nation-state. What all such legal events do have in common is the necessity of interpretation. of giving meaning to the black ink on the white page. Hermeneutical mediation surely must do its work, linking past and present understandings without granting sovereign mastery to “original intent”: such privileging would stylize the Constitution and the statute into an abstract document removed from the labor of interpretive praxis. One purpose of legal hermeneutics is to situate contemporary debates on legal interpretation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interpretation in general. To see the problem of reading the law in terms of law's history, the linguistic constitution of law. an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way law is read and understood is to set legal interpretation squarely within the humanist tradition. The text at once creates and constrains a liberty in its reader. and doing so defines for the reader a particular kind of responsibility. It is in that combination-liberty, constraint, and responsibility. for the reader and marker of texts-that the ethical and intellectual heart of the law can be found. Interaction between law and literary theory will forster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and a deeper exploration of the issues and stakes involved in contemporary theories of reading cultural texts, whether legal or literary.

      • KCI등재

        8,15해방~1950년대 문화기구와 문학 -문화관련 법제를 중심으로-

        이봉범 ( Bong Beom L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4

        이 글은 문학관련 법제를 중심으로 8·15해방~1950년대 문화기구와 문학의 상관성을 살펴 이 시기 문학(인)의 역사적 존재방식을 거시적으로 탐색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8·15해방을 기점으로 획기적으로 변환되는 문화기구는 문학의 조건과 위상의 변화와 접점을 이루며 문학(인)의 현존을 거시적으로 규정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법제는 검열, 매체, 학술, 번역, 문단 등 문화제도로서의 기구의 성립·작동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닐 뿐만 아니라 문학텍스트의 사회적 소통과 직접 관련된 작가, 독자, 텍스트의 존재방식에도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 기제였다. 해방 후 법제는 반(反)식민 의제의 근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청산의 불완전성과 시대적실성을 갖춘 새로운 법 제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대중들은 여전히 신민의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문화관련 법제도 마찬가지여서 식민지시기에 제정된 법제가 효력을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문화의 전 부분은 일정기간 동안 식민지법제의 규제 속에서 탈식민의 과제를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언론출판법제는 신문지법이 1952.3 공식 폐지되나 미군정법령 제88호가 존속하고 아울러 신문지법의 대체 법안인 출판물법안의 제정이 몇 차례 불발되면서 국가권력이 표현의 가이드라인을 장악·관장하게 됨으로써 언론출판기구는 만성적인 불안정상태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은 집필자들에게 심리적 위협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문학의 위축과 부진의 요인이 된다. 문화보호법에 의한 학·예술원의 설립은 문화와 언론출판, 학술과 예술의 제도적 분화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전문성의 강조에 따른 학·예술 관련 친일인사의 복권을 제도적으로 승인해주는 계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학·예술원의 설립은 국가권력에 의한 학·예술의 장악이라는 것 이상의 문화사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다. 저작권법은 저작권(판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시키는 계기였을 뿐 더러 출판계의 구조변동을 추동하는 가운데 출판계의 식민지적 유제를 해소시키는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했다. 요컨대 법제상으로 볼 때 8·15해방~1950년대는 식민지유제의 청산과 새로운 질서에의 모색과 생성이 부단하게 전개되면서 새로운 문학기구가 제도적으로 정착되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Focusing on the legal system, this thesis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lture apparatus and the literature from Korean Liberation to the 1950s and its aim is to seek the historical existence way of the culture in this era. Culture apparatus which has been remarkably changed from 8·15, Korean Liberation as the starting point has a function to regulate comprehensively the existing literatures and literary men, interfacing between the condition and changing status of the literature. Especially, not only did the legal system have the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formation and functioning of the apparatus as the literature institution for censorship, media, translation, academy and literary world, but it also had influence on writers who were related to social communication with literature context, readers, and the existence ways of the texts. Although legal system was based on anti-colonial agenda after Korean Liberation, the new legal system which was supposed to contain the solutions for the imperfection and the legitimate legal of the times wasn`t established smoothly, which made people remain as objects in that time. Because the legal system of the culture was made in the same way, the legal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in colonial period still had validity. So the de-colonial culture couldn`t help being conducted in the culture by the regulation of colonial legislation in certain period. Although Pess Law was abolished in March, 1952, the legislation of Publication Act which substituted Press Law couldn`t enact several times. So the state power secured the guide line of the expression, which made the press organizations fall into the chronic unstable situation. With these conditions, the authors were under psychological stress, which was the main reason for the contraction of the literature.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and the Art Academy by Law for the protection of culture promoted institutional specialization of the culture, press and art. Also, it had function to approve reinstatement for pro-Japanese collaborators who were related to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and the Art Academy because of the emphasis on Specificity at the same time. Thus, the establishment of Academy implied more cultural meanings than that of the rein of Academy by the state power. Not only did Copyright Law raise the social understanding for copyright, but it also caused the positive change to resolve colonial existing systems of the press while it was creating the organizational changes of the press.

      • KCI등재

        식민지 검열에서 법과 문학의 상호형성 ―식민지 말기 최정희 소설에서의 중층적 검열을 중심으로―

        이소영 한국법철학회 2012 법철학연구 Vol.15 No.2

        Historically censorship not only controled and manipulated literary text, but also acted as a promotive agent of creative writing. At the same time, such response of literature towards law sometimes lead to alteration of censorship policy and legislation. In other words, legal text writes contemporaneous literary text while literary text may also write legal text of the time. With an original perspective on mutual construction of law and literature, and through unique method of literary criticism of law, this article illustrates multi-layered censorship exposed in late-colonial literature, especially in novels of Choi Jeong-Hee. The research interest of this article may generally be divided into two. First one is on mutual construction of text, or the intertextuality between law and literature. It aims at observing how the colonial narrative, which had been unable to be grasped either in nationalistic dichotomy of resistance/collaboration or in colonial fascism studies, generate various literary techniques and simultaneously make cracks in legal policy on censorship. In order to make such observation, a brief study on structure and content of legislation and legal policy of censorship has been made[II], followed by an illustration of the condition of mutual alteration between literary text and legal text in the course of detouring or evading censorship[III]. Insomuch as the literary techniques to detour or avoid censorship internally take part in writing and re-writing literary and legal text, another question related to the second research interest of this article may be raised as following: what would be the case of literary text that already internalized censorship?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internalization of censorship in colonial literature were based on the resistance/collaboration dichotomy. However pro-Japanese writings in late-colonial period may not merely be passive submission to enhanced pressure of imperialistic censorship, neither is it a total break-off from the writer's intrinsic outlook on nation, morals, or literature. Particularly with the case of female writers, it may be presumed that they had been double or even triple pressured by both imperialistic authorities and nationalistic movements to illustrate the mother of militant nation on one hand and the innocent little sister of ours on the other hand. They must have had experienced multi-layered censorship of imperialism, nationalism and gender. Thus this article made 'literary criticism of law' with three signature short stories of Choi Jeong-Hee, a female writer known for pro-Japanese collaboration during late-colonial period, to detect how such multi-layered censorship activated in her literary world[IV]. 역사적으로 문학은 단지 검열에 수동적으로 간섭받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텍스트 형성의 한 동인으로 작용하며, 그러한 문학의 대응은 검열법제의 회로변경을 유도하기도 한다. 법텍스트가 동시대의 문학텍스트를 ‘쓰기’도 하고, 그 역방향 또한 가능한 것이다. 본고는 ‘법과 문학의 상호형성’이라는 고유한 관점을 갖고, 법문학비평의 고유한 방법론을 통하여 식민지말기의 문학, 특히 최정희 작가의 소설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중층적 검열을 다루었다. 본고의 연구관심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검열법제․법정책과 문학의 텍스트적 상호형성에 관한 것이다. 저항/협력의 민족주의적 이분법이나 식민파시즘연구에서 포착되지 않는 식민지의 내러티브가 어떻게 검열을 우회하기 위한 다양한 문학적 기법들을 생성해내고, 이로써 검열법정책 안에 빈틈을 만드는가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식민지 시기의 검열법제와 법정책의 대략적인 구조와 내용을 확인하고[II], 그러한 식민지 검열장 안에서 법과 문학이 서로에 대응하고 서로를 형성하는 차원들, 즉 검열을 우회하기 위한 다양한 문학텍스트적 변형들과 그 기법들이 다시금 법제에 변화를 가져오는 양상을 살펴보았다[III]. 이처럼 검열 우회의 기법들이 법텍스트와 문학텍스트를 쓰고 지우고 다시 쓰는 과정에 내적으로 관여하였다면 검열 수용, 즉 검열을 내면화한 경우는 어떨까? 여기서 본고의 두 번째 연구관심이 출발하였다. 검열내면화가 문학에 남긴 흔적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개 저항/순응의 이분법에 기초한 친일문학연구의 일환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작가들의 친일적 글쓰기는 전쟁선전물 생산 압력과 검열에 단지 수동적으로 굴복한 것만도 아니고, 이전에 가지고 있던 민족관이나 도덕관, 문학관 등과 단절되어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식민지 여성작가들의 경우에는, ‘기존 여성성의 규정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총동원체제 국가의 동원논리로 재규정한 군국의 어머니상’을 그려내도록 강요받는 한편, 민족주의 담론으로부터는 아버지의 부재 상황에서 지켜주어야 할 ‘가녀린 우리 누이상’을 그려줄 압력도 받았을 것이다. 이들에게는 식민지 여성에 부여된 젠더적 역할규정이 제국의 제도적 검열과 도덕적 민족주의의 내적 검열과 더불어 또 다른 검열기제였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식민지 말기에 활동하였던 여류작가이면서 친일작가로 분류되는 최정희의 작품들에 대한 법문학비평을 통하여 제국․민족․젠더의 중층적 검열기제들을 찾아내어 보았다[IV]. 이로써 본고는 제국․민족․젠더의 중층적인 내면화된 검열이 이른바 ‘전향’과 ‘변절’ 이전과 이후를 관통하며 한 작가의 작품세계 안에 숨어 작동함을 보았다. 제국의 제도적 검열과 민족적 도덕의식의 유령적 검열 사이에 선 주체의 공포, ‘군국의 어머니’와 ‘민족의 누이’ 양편 모두에 동근원인 아버지의 법의 옭아맴, 그리고 중층적 검열이 만들어낸 선망과 반감, 부채의식과 죄의식은 ‘본격적 친일저술’ 전후를 넘나들며 일관되게 드러난다. 오히려 달라지는 것은 그러한 중층적 검열기제에 대한 문학적 내러티브의 대응이다. 공포로 앓으며 낯설음에 떠는 데서 순종적이면서도 불순한 복종을 하는 것으로, 이어 내면에 기입된 중층적 검열기제들을 문자 그대로 ‘수행’함으로써 자기존재성과 더불어 소멸시...

      • KCI등재

        법문학비평과 소수자의 내러티브 ―박민규, 윤성희, 김애란의 단편소설에 대한 법문학비평―

        이소영 한국법철학회 2011 법철학연구 Vol.14 No.1

        문학은 현실의 억압들과 부정의를 폭로하고 문학적 서사로서 시민사회의 감수성들에 호소하는 고발기능을 갖는 동시에, 기존인권담론을 끊임없이 의문시하며 ‘생성되지 않은 인권’을 발견해내는 기능도 갖는다. 또한 법문학비평은 상처 치유의 새로운 가능성들, 즉 접합과 연쇄의 가능성들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고발과 발견, 그리고 실천의 가능성들은 특히 동시대 문학작품들에 대한 구체적인 법문학비평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사회적 약자의 내러티브를 담아내는 동시대 작가들의 고유한 서사와 시각이 인권의 고발과 발견, 그리고 실천에 가져다줄 수 있는 새로움들을 들여다보았다. 근대 이후 한국문학이 다루어 온 사회적 갈등과 상처들이 주로 역사가 남긴 트라우마나 집단의 정체성과 관련된, 구체적 원인으로서 억압자를 지목하고 이에 대항하여 소수자들이 연대하는, 적대점이 비교적 뚜렷한 그것이었다면, 적대적 타자 혹은 ‘억압적 아버지로서의 법’이 깊숙이 각인되어 있지 않은 상처들에 문학이 더욱 주목하게 된 것은 90년대 이후였다. 특히 2000년대의 소설들은 탈역사적, 탈국가적, 탈현실적 감각으로 상처의 내러티브를 담아내고 있으며, 따라서 시대나 지역, 민족보다는 분자화된 미시공간을 주된 배경으로 한다. 본 논문은 지난 10년 사이에 등단한 소설가들로 범위를 좁혀, 그 중에도 특히 빈곤과 소외의 문제를 주되게 다루는 세 작가들로서 박민규, 윤성희, 김애란을 택하여 ‘산수로서의 법’, ‘역시나 부재한, 보물지도로서의 법’, ‘달아난 아비로서의 법’의 세 알레고리를 읽어내어 보았다. 이들이 상처의 내러티브를 담아낼 때 갖는 고유함은 소재의 독특함이나 발화의 고발적 힘보다는 상처를 발화하는 방식의 특이성들에 기인한다. 심각한 상황에서 엉뚱한 웃음으로 감정이입을 막아버리거나(박민규), 건조하고 무감한 문체로 고통스러운 사건을 전하거나(윤성희), 실재계의 상처가 상징계로 옮겨지기 전에 상상으로 막아버리는(김애란) 등이 그러하다. 독자들은 어떤 아픔이 전해오는 걸 느끼지만, 그것이 어디서 오는지가 과거의 빈민문학이나 노동문학, 가족소설들에서처럼 직접적이지 않다. 따라서 상처를 알아듣고 들여다보기 위해 독자들은 더 세심하고 예민한 청각과 시선을 키우게 된다. 또한 이 작품들은 새로운 형상을 한 법의 알레고리들을 그려낸다. 전통적으로 문학에서 법은 ‘아버지의 말씀’의 상징성을 가지며, 그래서 한편으로는 혼란이나 무질서와 대비되는 규범․규율을 대표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강제․억압을 표상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들의 작품 안에서 아버지는 모두 무능하거나 아니면 부재하다. 무능하거나 부재한데, 살해충동을 느끼기에는 ‘너무’ 가냘프고 무기력하다. 그래서 소설 속 인물들은 ‘도래할 정의란 영원히 지연될 것임’을 생래적으로 터득해 알고 있다. 또한 아버지 너머로 도약하기에는, 세상은 이미 산수의 법칙으로 돌아간다는 사실도 이미 체득해버렸다. 그렇기에 이들은 배신감을 느끼거나 분노하여 주먹을 쥐고 맞서기보다는 차라리 우주적 상상으로 탈주하기를 택한다. 그 아버지는 처음부터 부재했기에, 도리어 상징계의 위치에 고착되지 않은 채 상상 속에서 부유하며 ‘달리는 아비’로 유쾌하게 변형될 여지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처럼 세 작품들은 ‘산수로서 법’과 ‘거짓인 보물지... Human right issues are basically related to notion of isolation, emotional wounds, trauma and recovery, which cannot be sensitively described in rational language of law, or the Father. Literary works help grasping unseen and unheard narratives in legal discourse. Primary role that literature may play is to disclose, for literary narrative has prevailing power in touching emotional code of the mass through reportage. Moreover, unearthing yet-to-be-discovered subject issues in human right is a unique contribution that law and literature could make on legal discourse of human right, thereby leading to recovering polyphonic justice. Such disclosing, discovering, and recovering of minority narratives may be performed through literary criticism on novels of contemporaneous writers: in this case, Korean novels released in the last decade. While Korean literature from the post-war period throughout the 80s show tendency of treating wounds in relation to historical trauma or collective identity, drawing a clear line between prevalent oppressor(whether it be colonialism, military dictatorship or capitalism) and minority subjects as a whole, novels released after the 90s touch more personal issues and sentiments. Particularly writings of the 2000s illustrate post-historical, transnational, and surrealistic subject issues taking place in micro-spatial background. This article tries to illustrate unique perspective and storytelling that Korean novelists of the 2000s make use of when dealing with marginalized voices, especially focusing at short novels by three young writers: Park Min-gyu, Yoon Sung-hee and Kim Aeran. One signiture short story for each of the three writers had been selected to perceive allegory of law and to perform literary criticism of law: i) “Is That So? I am a Giraffe” of Park Min-gyu with the allegory of ‘law as arithmetic,’ ii) “To Bury the Treasure Map at the point of U-Turn” of Yoon Sung-hee with the allegory of law as fake treasure map, and iii) “Run, Dad!” of Kim Aeran with the allegory of law as running father. The peculiarities which may be perceived in the three novels of these contemporaneous writers when dealing with narrative of minorities are the following: i) postmodern style of narration, for the novelty that they bring to human right discourse derives from uniqueness of writing style rather than originality of themes or materials: for instance, blocking reader’s empathetic concentration by abrupt bluster of bizarre jokes in such serious scenes(Park Min-gyu), delivering painful event in dry numb sentences(Yoon Sung-hee), or running away to the imaginary before wounds of the Real reach the Symbol(Kim Aeran). Readers do sense the hurts, but still puzzled at where they derive from. Hence readers eventually develop keen sense of hearing and gaze. ii) perspective towards ‘law as the Father,’ for fathers in their stories are either absent or incompetent. Absent and incompetent indeed, thereby too vulnerable to be the subject of oedipal murderous wish. As a consequence, sons and daughters of these fathers are always-already well aware that justice to arrive would delay forever. iii) thus, the protagonists chose to take flight to the imaginary rather than standing up with fists of rage or gathering under the flag of “people united will never be defeated.” It is neither class nor ideology that creates sense of solidarity here, but the wounds of the other which only the wounded may recognize.

      • KCI등재

        문학적 법철학 연구―법시학주의

        김연미 한국법철학회 2020 법철학연구 Vol.23 No.2

        This essay places its main focus on considering intellectual origins i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f Law and Literature. The author encapsulat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achievements of Law and Literature into ‘Literary Jurisprudence’ and specifies this as jurisprudence based on legal poeticism or ‘Poethics’. Legal poeticism has moved away from the research trend of ‘law and literature’, i.e. ‘law in literature’ or ‘law as literature’ and investigates fundamental issues in law from the much closer perspective of legal philosophical problem consciousness. Legal poeticism, as a form of law, seeks a method for resolving instability of language and the substance of law, and Weisberg’s proposal regarding Flaubert’s realistic novels draws up a major discussion along with legal realism of Cardozo. Problems in forms and substances of law reveal its vulnerability in that law cannot move away from linguistic semantics. The essay considers how Poeticism of Richards distinguishes scientific and poetic languages and offers new metaphorical reasoning through unconventional theory of metaphor according to newly found metaphorical character of poetic language. Furthermore, I examine poethical discussions of Ricoeur, Peter Brooks and Weisberg on legal narratives as main theoretical characters of legal poeticism. Part (I) of the essay chiefly considers trends in contemporary law and literature research centred on Law and Literature movement in the US. In part (II) the ‘form-substance’ relation will be examined from perspectives of legal literature of Cardozo and poethics of Weisburg, central figures in the legal realism movement. Cardozo detects style and similarity from the amalgamation of forms and contents in Flaubert, a pioneer of realistic novels. The comparison between his Palsgraf v. Long Island Railroad Co. with Emma of [Madame Bovery] yields metaphorical imagination. That his style of novel had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s of realism and scientism gives a similar impression with legal realism which repudiated Langdell’s legal formalism. At this part, I evaluate the influence of realistic styles to judges in light of the Korean Air Macadamia case and the achievement of justice by judge Lee Yeong-gu in his decision on the case under the Yushin dictatorship in which a high school teacher was acquitted. The Palsgraf case of Cardozo, furthermore, shows Flaubert’s realism was used as one of methods to seek the substance of law in their decisions and opinions. Part (III) examines poethicism of Richards which has emerged out of reaction against the influence of scientism. In part (IV), from achievements of poethics it will investigate matters regarding metaphor and narrative through theories of Ricoeur and Weisberg. In the final part, the essay contemplates on the role of legal poeticism as an alternative for legal education. 이 글은 주로 법문학의 학제적 연구의 토대에서 발견되는 지적 기원들을 고찰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필자는 이전까지 법과 문학의 학제 간 연구 성과들을 “문학적 법철학”(literary jurisprudence)이라는 주제로 정리해 보고 이를 법시학주의(legal poeticism), 혹은 시윤리학(Poethics)에 기반한 법철학으로 특징지었다. 법시학주의는 주로 ‘문학 안의 법’(law in literature), 혹은 ‘문학으로서 법’(law as literature)이라는 주제로 탐색된 ‘법문학’의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철학의 문학화라는 현대사상적 흐름을 반영하여 법철학의 근본문제의식을 탐색하는 경향을 일컫는다. 법시학주의는 법적 언어의 형식에 문학이라는 실질을 추구한다. 법철학의 문학화는 무엇보다 민주주의적 법해석을 우선적 과제로 설정한다. 그래서 정치나 경제와 같은 인간의 삶에 대한 일면적 고찰이 아니라 포괄적인 인간의 영역을 드러내는 문학을 실질적인 법의 연원으로 두고자 한다. 법시학주의는 법의 연약한 형식으로서 언어의 불안정성과 이를 보충하는 법의 실질을 위한 노력으로서 리차즈 와이스버그가 제안하고 있는 플로베르의 사실주의 소설과 벤자민 카도조의 법현실주의를 연계하여 논의를 구성해 보았다. 물론 이 글에서 와이스버그의 풍부한 이론적 섭렵을 따라가지는 못했다. 그러나 법의 형식과 실질의 문제는 법이 언어적 의미론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에서 그 존재론적 취약성까지도 위협을 받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글은 리차즈의 시학주의가 과학적 언어와 시적 언어를 구분하고 시적 언어의 은유적 특성을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전통적인 은유이론을 탈피하여 모든 인식의 수단으로서 은유를 발견하였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그는 모든 학문에서의 은유의 인식적 내재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학문의 장을 열었다. 리차즈에 의해 은유는 수사학이 아니라 인식수단으로 발견되었고 문학의 역할은 그 인식적 측면에서 법학에 내재한다. 또한 이 글은 폴 리쾨르와 피터 브룩스, 그리고 와이스버그의 법적 서사에 대한 시윤리학적 논의들을 법시학주의의 주요한 이론적 특징으로 고찰하였다. (I)에서는 주로 미국의 법문학운동을 위주로 한 현대법문학연구 동향을 고찰하였다. (II)에서 ‘형식과 실질’의 관계를 법현실주의운동의 한 인물인 카도조의 법문학과 그의 논의를 확장시킨 와이즈버그의 시윤리학을 고찰하였다. 와이스버그는 카도조의 법학이 사실주의 소설의 선구자인 플로베르의 형식과 내용의 합일, 그리고 스타일의 유사성을 탐색한다. 그는 카도조의 Palsgraf 사건과 ??마담 보바리??의 엠마를 비교한다. 그러나 사실주의는 랑델의 법형식주의를 벗어나려는 법현실주의와 그 맥락을 같이한다. 이 부분에서 필자는 사실주의적 스타일이 법관에게 미치는 영향으로서 일명 ‘땅콩회항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다수의견이 사실관계에 천착하지 못한 점, 정의를 실천하기 어려운 유신헌법 당시에도 사실주의적 관점에서 서문여고 교사를 무죄 방면한 이영구 판사의 사례, 그리고 카도조 판사가 Palsgraf 사안을 통해 책임의 범위를 명확히 한 점 등을 고찰하였다. 플로베르 사실주의적 소설스타일이 실제로는 법관들에게 법의 실질을 찾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는지를 타진했다. 다음으로 (III)에서는 리차즈의 시학주의를 고찰하였는데 그의 이론은 과학주의의 영향에 대한 반향이라는 특징을 ...

      • KCI등재

        이병주 소설의 문학법리학적 연구

        김경수(Kim, Kyung-Soo)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이 논문은 <법과 문학>의 전망 하에서 이병주의 문학을 검토한 것이다. 학제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법과 문학>은 현재 문학 쪽에서 문학법리학이라는 이름으로 부상하고 있어 이 제목을 취했다. 작가 이병주는 등단작 「소설ㆍ알렉산 드리아」(1965)에서부터 개인적 복수의 정당성의 문제와 소급법의 문제, 그리고 사형제도의 비인간성 등을 고발한 작가로, 이후 일련의 작품을 통해 법적 정의에 의문을 제기하고, 법의 존재를 둘러싼 다양한 물음을 제기한 작가다. 이병주는 초기소설에서 의사-법률이야기 혹은 대항적 법률이야기(counter-legal story)를 집중적으로 창작하는데, 그 핵심은 법이 그 자체로 일관되고 완전한 연역적 체계이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어떤 사회를 유지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사회적 허구(fiction)의 일종이며, 그런 만큼 법리 자체에 대한 회의가 있을 수 있고 또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법이 한 사회의 제도적 허구의 일환이라는 점, 그리고 그런 만큼 대항적 허구에 의해 스스로를 갱신하지 않는 한 그 법은 맹목일 수밖에 없으며, 그런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은 근본적으로 부조리 한 것이 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이병주는 초기 소설에서 집요하게 거론하고 있다. 이병주는 이처럼 현실적으로 구속력을 갖는 법리 자체에 대한 끝없는 반성을 자신의 소설을 통해 촉구한 것인데, 이 점에서 그는 법적 허구와 맞서는 문학적 허구의 본질적으로 대항적인 성격을 인식한 거의 최초의 작가로서, 우리문학에 대한 문학법리학적 고찰에 가장 적절한 작가라 할 수 있다. This treatise is an exemplary study on the fictions of Lee Beong-Joo in the perspective of the Law and Literature.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law and literature’ is nowadays accepted as a meaningful approach to literature. Literary Jurisprudence is another term of ‘law and literature’ approach in terms of perspective of “public imagination” which is given by M. Nussbaum. In the perspective of literary jurisprudence, novel is accepted as a public genre which come into question of the legal system of society. Lee Beong-Joo is a pioneer writer who raised the problem of the nature of law through his fiction writing in modern Korean literature. Many of his fictions shows literary fiction is a counter-discourse to legal discourse in a society, and his fictions can be estimated as counter-legal story against the stubborn legal discourse of Korea. Lee Beong-Joo often creates a writer as a character and contrasts him against a lawyer character, and emphasize the constant renewal of law through their dialogues and many sorts of legal stories. Death penalty and retroactive law is representative laws he had disputed through his works of fiction. His initiative works of this theme can be the first and relevant literary properties of literary jurisprudenc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법적 상상력과 공상의 사용법에 대하여 ― 마사 누스바움의 < 시적 정의 >의 경우 ―

        이계수 ( Kyesoo Yi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6 민주법학 Vol.0 No.61

        오늘날 법 연구와 법 실천을 지배하는 것은 조문과 판결에 대한 실증주의적 태도이다. ‘전문가 바보’인 법률가들은 ‘법 앞에’ 서성이기만 할뿐 법문 밖 세계를 넘보지 못한다. 전문 직업학교인 로스쿨의 등장으로 이러한 경향은 심화되고 있다. 이글은 도덕·법철학자인 마사 누스바움의 < 시적 정의 >를 읽고 필자의 느낌을 적은 것이다. 누스바움은 기술적 이성만이 아니라 합리적 감정이 개입하는 법해석을 제안한다. 법적 판단은 문학적·시적 심판이기도 해야 하며, 이를 위해 문학적 상상력과 공상이 동원되어야 한다. < 시적 정의 >는 공리주의적 프루덴시아의 법학을 감성적·도덕적 프로네시스의 법학으로 보완하고자 한다. 자로 잰 듯한 기계적 판결, 노동자·도시빈민의 궁핍과 빈곤에 공감하지 못하는 냉혹한 재판관들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이런 이야기를 만나는 것은 얼마나 반가운가. 다수의 서평이 < 시적 정의 >에 우호적이었던 데에는 이런 우리의 현실과 무관하지 않으리라. 그러나 몇몇 사람들이 더 엄하게 처벌받거나 혹은 관용적으로 처우 받는다고 해서 달라질 게 무엇인가? 정치사법과 계급사법, 그리고 이를 지탱하는 법률의 정치적 편향성이 그대로 존속한다면 말이다. 하나의 제도로서 법원은 결코 자기 스스로에 대해 의심을 품지 않는다. 그것은 굳건한 하나의 관료조직이다. 몇몇 문학적 재판관들의 공감과 문학적 상상력에 기초한 판결만으로는 치유할 수 없는 고통이 만연한 세상, 우리는 이러한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런 세상을 헤쳐 갈 힘은 문학적 재판관이 아니라 재판정에 출두해야 하는 대중 자신에게서 나와야 한다. 때로는 반동적이기도 한 ‘위로부터 내려오는 정의’가 아니라 대중 스스로의 힘으로 만들어가는 정치의 ‘마술적(=문학적)’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 시적 정의는 시적 정치로 나아가야 한다. 법에 대한 문학의 자극은 그런 것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문학은 교조적인 것에 반대하며, 시대착오와 잘못된 금기 그리고 의미가 다 빠져버린 상징을 ‘낯설게 하는’ 아주 중요한 장치이기 때문이다. What dominates today’s legal research and application is a positivist attitude towards statutes and decisions. Lawyers who are ‘expert fools’ wander in front of the law, hesitant to look beyond the strict boundaries of the law. The emergence of law schools as professional vocational schools has only intensified this tendency.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Martha Nussbaum’s seminal piece, Poetic Justice. Nussbaum proposes an attitude towards statutory interpretation that not only utilizes technical rationality, but reasonable emotions. She contends that legal analysis must also be a literary/poetic judgment, which requires literary imagination and fancy. Poetic Justice seeks to supplement the utilitarian prudentia’s legal studies with emotional/moral phronesis. I welcome her suggestion in today’s context where coldblooded judges fail to empathize with the worker’s and the urban poor’s poverty and deprivation, engaging only in mechanical conclusions. Many commentators have embraced Nussbaum’s work for similar reasons.However,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that some individuals are punished more severely while others are treated more generously, if the political biases that sustain the systematic injustices in dealing with a politicized and stratified legal system. As an institution, the court is never self-introspective; it is a solid bureaucracy. We live in an era where so much suffering, which the empathy of some literary judges and judgments based on their imagination cannot heal, is rampant. The breakthrough will not come from the literaryjudge, but the public itself. The magical (literary) possibility of politics that are shaped by the masses must receive more attention than the sometimes reactionary “justice from above.” In other words, poetic justice must move as poetic politics. Literature’s influence on the law must be as such, since literature is an extremely important device that challenges and “makes strange” the dogmatic thinking, anachronism, irrational taboos and meaningless symbols that are prevalent in today’s world.

      • KCI등재

        상처받은 애착과 적대의 이동 : 김소진을 중심으로

        이소영 ( Lee So-yo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5 No.-

        이 글은 국가보안법이 분단문학에서 좌익2세 작가들이 아버지를 형상화하는 수준을 결정짓는 기율로서 기능해왔다는 전제 하에 87년 체제의 성립과 국가보안법의 개정이 문학(화)장에 야기한 파문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는 분단문학에서 아버지와 아들 중심의 관계가 더 이상 의미있는 소재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김소진이 「쥐잡기」를 통해 분단문학의 계보를 이어나갔다는 점에 주목하게끔 한다. 김소진에 이르러 분단문학은 비로소 ‘아버지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이 아니라 끊임없이 아버지를 재현하는 아들, 즉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김소진이 86세대라는 사실은 그의 문학이 수행했던 기억/문학의 정치성이 정체성 정치와 연동되어 있음을 짐작하게끔 한다. 87년 체제를 단순히 경제적 · 법률적 · 이데올로기적 · 공식적 제도가 아니라 사회문화적 · 비공식적 · 사적인 제도, 관계, 정체성, 의미 관계 일체를 포함하는 시스템(system)으로 간주할 때, 87년 체제의 한 요소이자 분단문학의 기율인 국가보안법이 86세대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특정한 기억/문학의 정치성을 발휘했던 양상은 그 자체로 87년 체제의 단면을 보여주는 역동적인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드라마는 ‘정동(affect)’의 차원에서 제대로 포착 가능하다. 김소진 소설에서 ‘나’는 주로 상처받은 운동권으로 그려지는데, 그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라는 ‘적대(antagonism)’의 상실을 아버지에 대한 애착으로 보상받고자 한다. 그러나 아버지에 대한 애착은 아버지를 부정했던 상처를 환기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처받은 애착(wounded attachment)’은 그 대상이 명확하다는 점에서 아버지의 누구도 탓할 수 없는 ‘원한(ressentiment)’과 구별된다. ‘나’는 아버지의 원한에 의해 구조화된 정체성 정치의 무력함과 거리를 두고자 하지만, 종종 아버지에게 감정 이입하면서 아버지처럼 나보다 연약한 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가해자가 되어버린다. 한편, 아버지는 동시에 법의 영역에서 초연한 존재로 그려지는데, 이는 더 이상 ‘적’이 아닌 아버지가 다시 분단문학의 서사에 기입되기 위해서 취해야 했던 전략을 드러낸다. 그것은 바로 문학적인 것에 대한 단념이었다. 결국 김소진의 상처받은 애착은 적대의 자리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그의 소설에서 정작 적대의 대상으로 그려지는 것은 여성의 섹슈얼리티이다. 이는 김소진의 의도와 무관하게 1990년대 문학(화)장에서 적대의 대상이 이동하고 있던 양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김소진의 텍스트는, 적대의 위치에 머무르고 싶었으나 이미 대결자로 편입된 아버지와 대결자가 되고 싶었으나 여전히 적대로서 여겨졌던 여성의 섹슈얼리티 사이의 쟁투를 축약해서 보여주는 장소이다. 사라진 적대에 대한 상처받은 애착이 적대와 경합의 엇갈린 공존을 만들어낸 것이다. This treatise attempts to examine the ripples creat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in 1987 and the revision of the Nation Security Act and their impact on the literature landscape, on the premise that the Nation Security Act has functioned as the order that determines the degree in which second generation left-wing writers embody their fathers in division literature. This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even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was no longer a meaningful topic in division literature, Kim So-jin persisted with the genealogy of division literature through his “Catch a Rat.” It is with Kim So-jin’s arrival that divisional literature ultimately turns into the question of “who I am” as the son that continuously reproduces the father, not the question of “who the father is.” That being noted, the fact that Kim So-jin is a member of the 86 generation allows us to conjecture that the politics of memory and literature having been performed by his literary landscape is indeed linked to identity politics. When the system in 1987 is deemed to be the system encompassing the entirety of sociocultural, informal, and private institutions, relationships, identity, and semantic relationships, not merely an economic, legal, ideological, or formal institution; it is then that the aspect of the Nation Security Act―the constituent of the system in 1987 and the discipline of divisional literature―, which demonstrated the politics of specific memories and literature while being closely connected to the identity of the 86 generation, is rendered a dynamic drama showcasing a cross section of the system. Furthermore, the drama can be properly captured from the dimension of “affect.” In Kim So-jin’s novel, the protagonist “I” is mainly portrayed as a wounded activist, and he seeks to be compensated for the loss of “antagonism,” a socialist ideology, with his attachment to his father. However, his attachment would evoke the wounds that denied his father. His “wounded attachment,” being specifically directed toward his targets, is to be distinguished from “ressentiment” of his father who could not blame anyone. The protagonist “I” intends to distance himself from the powerlessness of identity politics structured by his father’s resentment, but he would often find himself sympathizing with his father to become the same perpetrator who wounds the weak. On another note, the father is simultaneously portrayed as an unprecedented being in the realm of law, and this is to reveal his strategy that he, who is no longer deemed an “enemy,” had to take in order to be re-written in the narrative of divisional literature―his renunciation of the literature. Ultimately, Kim So-jin’s wounded attachment is towards the position of antagonism. Interestingly, however, what is indeed portrayed as the object of antagonism in Kim So-jin’s novel is women’s sexuality, perhaps indicating the object of antagonism in the literary landscape in the 1990s trending toward elsewhere, regardless of his intention. Therefore, Kim So-jin’s text summarizes to illustrate the struggle between the father who had been incorporated as a confronter even while not seeking to give up the position of antagonism, and the sexuality of a woman who sought to become a confronter but still was regarded as antagonism. The wounded attachment to antagonism in absence engendered the mixed coexistence of antagonism and agonistic.

      • KCI등재

        누스바움의 ‘시적 정의’에 관한 수용적 검토

        윤철홍 한국법철학회 2014 법철학연구 Vol.17 No.2

        누스바움은 ‘문학적 상상력과 공적인 삶’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공적인 삶에서 문학의 유용성을 강조하였다. 문학은 본래부터 시대의 총체에 관여하는 것이고,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누스바움은 공직자들이 시대의 현안과 인간의 이해를 위한 상상력의 증대를 위해 복합적인 시각을 발견할 수 있는 문학작품을 읽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제시된 문학적 상상력과 법과의 관계, 법감정의 문제 등 시적정의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수용적인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누스바움은 ‘시적 정의’를 명쾌하게 정의하지는 않았다. 일반적으로 ‘시적 정의’는 “문학 안에서 사용되는 장치 중의 하나로, 선행은 보상을 받고 죄는 처벌받는다”라고 요약된다. 전통적으로 문학에서의 ‘시적 정의’는 권선징악적인 것인데, 누스바움의 출발점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 그러나 그녀는 ‘시적 정의’를 휘트먼이 주장한 ‘자신의 시대와 영토의 형평을 맞추는’ 시인의 사명을 통해 문학에서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따라서 공직자, 특히 재판관에게 독서는 공직을 수행하는 중요한 덕목임을 강조하였다. 한국 현대시에서 찾아본 ‘시적 정의’ 역시 누스바움과 다르지 않다. 독재권력 하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 노동 현장에서의 분배와 평등의 문제, 길거리로 내쳐진 말없는 자들의 외침과 국민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것, 사랑, 경제적 공리주의의 합리성에 대한 반론 등이 몇 편의 시에 나타난 ‘시적 정의’의 편린들이다. 이러한 ‘시적 정의’에는 문학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넒은 개념으로서, 당연히 법적 정의를 포함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긍휼이 ‘시적 정의’의 출발점이라 생각한다. 한국은 제정법을 법질서의 근간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추상적인 ‘시적 정의’를 구체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분쟁의 해결 방법이나 법률해석의 원칙으로 삼을 수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시적 정의를 기반으로 하는 인간의 이해가 기초가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누스바움이 주장한 ‘시적 정의’가 재판영역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공적인 삶 전체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공직자들은 소설 읽기 등을 통한 문학적 상상력의 증대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합리적 공리주의자들이 지적한 법의 합리성과 효용성의 증대를 위한 노력도 아울러 경주해야 할 것이다. Martha C. Nussbaum hat die Nuetzlichkeit der Literatur im Buch ‘POETIC JUSTICE: The Literary Imagination and Public Life’ betont. Urspruenglich wird die Literatur sich auf den allen Sachen seiner Zeit bezogen und das tiefe Verstaednis über das Menschen vorausgesetzt. Nussbaum hat also dem Amter das Lesen der literarischen Werken zum Verstaendnisse fuer die anstehenden Fragen seiner Zeit und das Menschen behauptet. In dieser Arbeit wird die von Nussbaum behauptete ‘poetische Gerechtigkeit’ aus dem aufnehmenden Gesichtspunkt analysiert. Nussbaum hat den Begriff über die ‘poetische Gerechtigkeit’ in dem Buch exakt nicht definiert. Nach der herrschenden Meinung wird die ‘poetische Gerechtigkeit’ ‘die Foerderung des Guten und die Bestrafung des Boesen’ zusammenfasst. Der Ansatzpunkt von Nussbaum ist auch nicht anders als die herrschende Meinung. Nussbaum hat aber den Begriff der ‘poetischen Gerechtigkeit’ von literaischem Begriff zum sozial- wirtschaftlichem Begriff entwickelt. Whitman sagt, dass Dichter das Gleichgewicht seiner Zeit und seines Landes zu herstellen sei. Nicht anders als Whitman hat Nussbaum die soziale Bedeutung der Literatur betont. Nach iher Meinung werde also die ‘poetische Gerechtigkeit’ dem oeffentlich lebenden Amter, insbesondere Richter eine notwendige Tugendhaftigkeit. Die ‘poetische Gerechtigkeit’ in den koreanischen modernen Gedichten ist auch nicht anders als dien Meinung von Nussbaum. Wuerde und Wert des Menschen unter der militaeren Diktatur und die gleichmaessige Verteilung und Gleichheit an Ort und Stelle der Arbeit, Ausruf der auf der Strasse weggetriebenen wortlosen Leute sowie Volkstraene zu trocken, Liebe, Widerspruch gegen dem Utilitarismus usw seien ein Stueckchen der ‘poetischen Gerechtigkeit’ in koreanischen Gedichten, die von Verfasser analysiert wird. Der Bergiff dieser ‘poetischen Gerechtigkeit’ koenne nicht nur literarischen, sondern auch sozial-wirtschaftlichen Begriff einbegreifen. Deswegen hat sie natuerlich die juristsche Gerechtigkeit enthalten. Aus diesem Gesichtspunkt hat Verfasser das tiefe Verstaendnis und die Liebe über die Menschen als ‘poetische Gerechtigkeit’ zusammengefasst. Koreanisches Rechtssystem fasst schriftlich ab. Das kann also nicht sein, die ‘poetische Gerechtigkeit’ als allemeine Prinzip der Rechtsauslegung aufzunehmen. Der Geist der ‘poetische Gerechtigkeit’ ist aber in verschienden Bereichen zu erfordern. Die 'poetische Gerechtigkeit' ist z.B. nicht nur im Gerichtsverfahren, sondern auch in allen oeffentichen Leben zu verwirklichen. Amt soll sich verschieden darum bemuechen, dass die literarische Vorstellungskraft durch das Lesen des Romans usw sich vergroessern werden kann. Zugleich soll er sich um die Vergroesserung zur Nuetzlichkeit und Vernuenftigkeit des Rechts im wirtschaflichen Utilitarismus auch bemuec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