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올란도』, 버지니아 울프의 러시안 러브레터

        손현주(Heonjoo Sohn)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1

        영국의 대표적인 모더니스트 작가 버지니아 울프는 에세이 “현대 소설”에서 모더니즘 작가의 존재 목적을 천명했다. 소설의 목적은 “삶”을 그려내는 것인데, 삶의 외연이 아니라 인간 심리의 내면을 조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작가는 이제까지의 문학적 관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주제를 새로운지금까지와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울프는 소설의 새로운 주제와 시각을 개척한 선구적 예를 러시아 작가들에게서 찾았다.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 체홉 등의 러시아 작가들은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고 그것을 묘사하는데 있어 새로운 서사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들 러시아 작가들은 울프의 모더니스트 문학 이론과 기법적 실험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이글은 울프의 소설 『올란도』를 통해 울프와 러시아 문학, 러시아 문화 전반의 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올란도』는 울프가 연인 비타 셱빌웨스트를 모델로 삼아 쓴 전기형식의 판타지 소설로, 무려 400여년을 살면서 남자에서 여자로 변신하는 주인공 올란도의 생애를 그렸다. 주인공 올란도는 셰익스피어와 같은 시인이 되기를 꿈꾸었고 마침내 “참나무”라는 시집을 출판하는데 성공한다. 울프는 올란도라는 가상의 인물을 통해 연인 비타가 꿈꾸었던 것들, 즉 위대한 문학적 성취와 더불어 현실에서 비타가 여성이기 때문에 상속받을 수 없었던 대장원 놀(Knole)을 상속받게 해주었던 것이다. 비타의 아들 나이젤 니콜슨(Nigel Nicolson)은 이 작품을 “문학사상 가장 길고 멋진 연애편지(the longest and most charming love-letter in literature)”라고 평했다(Nicolson 186). 그런데 이 작품에 울프가 새겨넣은 것은 비타에 대한 사랑뿐만 아니라 그녀가 오랫동안 간직해온 러시아 문학에 대한 열정이기도 했다. 소설 『올란도』는 비타 셱빌웨스트에게 바치는 연애편지이자 또한 울프가 문학적 영감을 불어넣어 준 러시아문학에 바치는 러브레터이기도 하다. 이 글은 소설 『올란도』를 통해 러시아 문학과 예술이 울프의 예술세계와 삶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Virginia Woolf declared in her essay "Modern fiction"(1921) the of the modern writers and how they should write or what she hopes for them to write. They should express “life,” which escapes when one attempts to capture in one’s art. The modern writers should look into the dark region of human psychology and the Russian writers excel in exploring the mysterious place. Woolf argues that there is no “proper stuff for fiction” which we used to believe in. Instead, the writer should venture out from the literary convention to find new materials for fiction and see them in new eyes. Woolf found a pioneering example of the novel’s new theme and vision in Russian writers, such as Tolstoy, Dostoevsky, Chekhov, and others. These Russian writers had a profound impact on Woolf’s modernist aesthetics and technical experiments. This paper is an attempt at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olf and Russian literature and Russian culture as a whole, by reading Orlando. Orlando is a mock biography of a fictive personality Orlando based on Vita Sackville-West, with whom Woolf had a romantic relationship. In this fantasy novel, Orlando has lived for 400 years, transforming from a man to a woman in the middle, and then eventually succeeded in having her poem published at the end of the novel. By allowing Orlando to inherit the grand property, Knole, which in reality Vita could not because she was a woman, Woolf made Vita’s heart’s desire come true. Vita’s son, Nigel Nicholson, described the novel as “the longest and most charming love-letter in literature.” Orlando may be Woolf’s love letter to Vita, but it could also be recognized as her Russian love letter in which her long-held passion for Russian literature and culture is inscribed. The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impact of Russian literature and art on Wolf’s work and life by reading Orlando.

      • KCI등재

        버지니아 울프의 양성주의 - 경계를 넘어서는 유기적 미학-

        황정현 ( Hwang Junghyun ) 세계문학비교학회 202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80 No.-

        이 논문은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에서 울프가 주장한 양성주의를 남녀의 공존을 강조한 페미니즘을 넘어선 일종의 문학 이론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울프의 양성주의에 관한 이 논문의 시각은 이제껏 주로 페미니즘의 범주 안에서 논의된 양성주의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울프의 양성주의는 문학을 유기적으로 이해하는 독자의 읽기 경험과 관련지어 논의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울프의 양성주의는 T.S 엘리엇의 몰개성이론과의 유기성을 통해 정의된다. 둘째, 울프가 『자기만의 방』에서 여성 문학에 대해 논의하는 방식은 양성주의의 이해를 통해 문학을 논하는 울프의 유기적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여성 문학에서 전통이 없다는 울프의 불평은 오히려 여성 문학이 확고한 전통을 가졌다는 그녀의 문학적 유희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울프의 양성주의는 결국 문학의 유기성에 대한 명상으로서 그 구체적 예시로 그녀가 『등대로』에서 죠지 엘리엇의 『미들마치』를 언급한 것이 울프의 양성주의를 설명할 수 있는 문학적 유기성의 일례로 제시된다. 이 논문의 결론은 울프의 양성주의는 문학의 유기성에 대한 울프의 논의이며 이것은 롤랑 바르트가 주장한 ‘독자 중심 텍스트’ (writerly text)의 개념과 맞닿아 있는 영문학의 중요한 이론임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plores Virginia Woolf’s androgyny which was discussed in her prestigious essay A Room of One’s Own not as an idea of feminism or simply a male and female coexistence but as a literary theory. This kind of viewpoint will provide a new way of understanding Woolf’s androgyny which has been mostly discussed in terms of feminism. As a result, androgyny will be redefined as an aesthetic term to embed the organic unity of literature and the integrity of the reading experience. The article’s main arguments can be summarized in three parts. First, this article finds an analogy between Woolf’s androgyny and T.S. Eliot’s impersonal art theory; for both conceptualizations presume intertextuality in which the contextual framework becomes the horizon for finding meaning in the text, particularly in its relationship to the texts which have preceded. Second, it examines A Room of One’s Own in which I argue how female authors in th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have retained a tradition of camouflaged and interrupted writing. I discuss how Woolf’s insistence on “a lack of tradition” for women writers implies, in actuality, “a full of tradition.” Third, it examines how Woolf’s notion of androgyny as the organic unity of literature can be demonstrated through the intertextual examples of marriage topics in George Eliot’s Middlemarch and Woolf’s To the Lighthouse. This article concludes that Woolf’s notion of androgyny is an equivalent concept to Roland Barthes’ writerly text which produces meaning through readers’ active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author which is connected to Barthes’ other famous notion of ‘the death of the author.’

      • KCI등재

        버지니아 울프의 『등대로』에 나타나는 에코페미니즘적 상상력

        고민전(Go, Minjeon) 문학과환경학회 2020 문학과 환경 Vol.19 No.1

        이 논문은 에코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등대로』(To the Lighthouse )에 나타나는 울프의 생태의식과, 에코페미니즘 그리고 양성론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영국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울프는 인간과 자연세계간의 경계를 상호 투과적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울프의 생태적 관심과 독특성은 모더니즘 소설에 대한 생태비평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기여한다. 이것은 초기 생태비평의 자연문학 장르중심의 연구 대상에서 확장하여, 모더니즘 소설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기존에 생태비평에서 미처 주목하지 못했던 모더니즘 소설에 대한 생태적 인식을 새롭게 재발견하는 성과를 가져온다. 당시 시대적으로 논쟁적인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여성에 관한 주제들과 자연세계를 연관 지어 재현해 나간 울프의 작품은 모더니스트 문학작품에 대한 생태비평적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와 더불어 울프의 『등대로』를 에코페미니즘적 논의를 통해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는 이성중심적이고 남성중심적인 가부장제 사회구조에서 여성과 자연에 대한 억압과 지배로부터 자연과 여성의 해방을 통해 오늘날 전지구적 환경적 위기에서 문학적 상상력을 통한 생태계 위기 극복에 이바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paper delves into Virginia Woolf’s ecological consciousness, ecofeminism and androgyny present in To the Lighthouse from an ecofeminist perspective. Woolf, who is representative of English Modernism, perceives the boundary between the humans and the natural world as being mutually permeable. Her ecological interest and uniqueness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ecocriticism research regarding modernist novels. Such expansion, from a nature-literature genre focused subject matter in early ecocriticism, makes it possible to reinterpret modernist novels and finds success in rediscovering ecological consciousness where early ecocriticism failed to notice. In addition, the delicate portrayal of the natural world, which Woolf produces in relation with contemporary disputatious topics on society, politics and women, calls for an ecofeminist approach. The attempt to interpret To the Lighthouse from an ecofeminist discourse serves as a momentum for the rediscovery of ecocriticism in modernist novels. Also, it contributes to overcoming today’s ecological crisis through the emancipation of nature and women from the exploitation and oppression in a rationalistic, androgenic and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 KCI등재

        버지니아 울프와 마르셀 프루스트: 울프의 『등대로』를 중심으로

        유예진 ( Yae Jin Yoo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1 No.-

        버지니아 울프가 작가적으로 가장 활발히 활동한 1920년대와 1930년대는 그녀가 마르셀프루스트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심취해서 그것을 읽은 시기와도 겹친다. 이때 울프가 남긴 일기, 편지, 에세이 등에는 그녀가 프루스트로부터 받은 깊은 영향이 그대로 드러난다. 그러나 이때 프루스트에 대한 그녀의 감정은 양분된 형태로 나뉜다. 프루스트에 대한 감탄과 존경심은 같은 소설가로서 자기 자신에 대한 자괴감, 회의감과 함께 공존한다. 위대한 작가의 작품을 읽으며 울프는 자신도 그렇게 글을 쓰고자 하는 욕망을 느끼지만동시에 그렇게 할 수 없음에 대한 절망에 빠지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울프가 1927년에 출간한 『등대로』에는 프루스트에 대한 그녀의 모순된 감정이 상징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 소설은 프루스트와 거리두기를 위한 그녀의 의식적인 노력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등대로』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와 함께 ‘시간의 경과’와 ‘예술을 통한 자아 완성’이라는 거대한 공통된 주제를 다루고 있음에도 울프가 그것을 전개하고, 도달하고, 결론을 이끌어내는 과정은 프루스트의 그것과는 대조된다. 시간의 경과는 울프의 등장인물들에게는 단지 추상적인 숫자에 불과하지만, 프루스트의 인물들에게 시간의 흐름에 따른 파괴력과 소모감은 절대적이다. 또한 『등대로』의 결말에서 램지 씨가 아이들과 함께 완성하는 등대행과 더불어 릴리브리스코가 램지 부인의 초상화를 십 년 만에 완성함으로써 용서와 화해가 이루어지는데 그 과정이 다소 추상적, 즉흥적, 기적적으로 이루어진다. 반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마르셀이 자신의 삶을 담은 소설을 집필하겠다고 결심함으로써 작가로서의 소명을 되찾는 결론은 단계적이며 반복적인 비의도적 기억의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진다. 이번 상호텍스트 연구를 통해 『등대로』에 나타난 프루스트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울프의 의식적인 프루스트벗어나기의 흔적을 이해하고자 한다. 위대한 작가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 속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찾아가는 울프가 작가로서 성장하는데 큰 분기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등대로』는 의미가 남다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The 1920s and 1930s, when Virginia Woolf was most active as a writer overlap the time when she was absorbed in reading Marcel Proust’s novel, In Search of Lost Time. Diaries, letters and essays she had left during this time reveal his deep influence on her, intactly. However, her emotions about him at the time, are divided into a dichotomous form. Her admiration and respect for him coexist with her feeling of doubt about herself as a novelist. Reading great writer’s works, Virginia Woolf falls in despair concerning the fact that she, too, feels a desire to write like Proust, but she cannot do like him. In that sense, To the Lighthouse published by Woolf in 1927 symbolically reveals her contradictory emotions about Proust. This novel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her conscious effort to keep a distance from him. Although To the Lighthouse, like In Search of Lost Time, deals with big common themes, ‘the passage of time’ and ‘self-realization through art,’ the processes in which she develops and reaches them and leads to a conclus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roust. The passage of time has been just abstract numbers to Woolf’s characters, while the destructive force and sense of attrition with the passage of time have been absolute to Proust’s characters. Along with a visit to the lighthouse Mr. Ramsay achieves with children, Lily Briscoe achieves reconciliation by completing Mrs. Ramsay’s portrait in ten years, and the process is completed somewhat abstractly, extemporaneously and miraculously. In contrast, the conclusion of In Search of Lost Time in which Marcel regains his calling as a writer by deciding to write a novel that contains his life is achieved by the mechanism of involuntary memory which is phased and repeated. This study of intertextuality attempts to understand the traces of Woolf’s conscious deviation from Proust by analyzing his influence in To the Lighthouse. In sum, To the Lighthouse is a work that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it became a great turning point for Woolf in growing up as a writer, finding her own voice under great writer’s influences.

      • KCI등재

        「목마와 숙녀」의 기호학적 연구 -‘버지니아 울프’와 ‘숙녀’의 차별성을 중심으로

        박상수 한국근대문학회 202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4 No.2

        「목마와 숙녀」는 박인환의 대표작으로 많은 논자들이 대체적으로 높이 평가해온 작품이지만 문학적 평가의 측면에서 엇갈리는 부분이 있다. ‘전후 최고의 대표시’라는 평가가 있는 반면 ‘감상적인 허무주의의 한계에 빠져 있고, 난해성의 문제가 선명하게 해결되지 않은 작품’이라는 평가가 공존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박인환의 「목마와 숙녀」에 나타난 ‘버지니아 울프’와 ‘숙녀’의 차별성에 주목하여 「목마와 숙녀」를 깊이 읽는 새로운 길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시의 초반 (1)(2)(3)에 주목하여 박인환의 생애사를 통해 예술적 영감을 준 마리 로랑생, 로렌 바콜, 버지니아 울프가 유사한 의미 계열로 연결될 수 있음을 밝혔다. 특히 이들 여성 예술가가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말하는 ‘아니마’일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박인환의 시에서 ‘숙녀’라는 기호는 ‘미래’혹은 ‘이상(理想)’을 암시하는 기호이자 ‘부재의 기호’로 해석된다. ‘숙녀’는 그 자체로 ‘죽음’을 뜻한다기보다는 ‘화자에게 내재되었던 (맑고 희망에 찬) 이상적인 미래’를 의미한다. 결국 (3)“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는 구절은 ‘버지니아 울프의 죽음’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오래전부터 꿈꾸었던 ‘이상적인 미래가 속절없이 사라져버린 상태’(부재의 기호)를 의미하는 구절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땅:하늘]의 이항대립에서 버지니아 울프는 박인환의 아니마가 투사된 현실 속의 인물로서 숙녀보다는 훨씬 더 현실에 가까운 근경에서 의지적으로 추구하여 도달할 수 있는 이상적 존재로 등장한다. 결국 버지니아 울프와 숙녀는 시의 초반부, 선명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가 전개될수록 ‘현실과 이상의 대립’을 구축하는 기호로 더욱 선명한 분화가 이루어진다. 3장에서는 (4)~(16)까지를 분석하였다. 숙녀의 부재 이후, 박인환은 과거로 돌아가서 현실을 잊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수십년 간의 패퇴와 몰락을 빨리감기로 다시 경험하는 것과 같은 과정을 겪는다. 과거는 결코 추억과 위로의 공간이 될 수 없었다. 숙녀가 보이지 않는 폐허의 현실에서 주의깊게 보아야할 대목은 (12)(13)(14)이었다. 문학과 인생과 사랑이 죽어가는 ‘한때의 저 세월’은 시들어가고, 이제 우리는 그 ‘한때’와 작별을 해야한다는 의지의 표명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목마와 숙녀」를 전체적으로 보자면, “~해야 한다”는 강한 의지의 서술부가 총 5번 등장했다. 허무한 감상성을 드러내는 작품으로 이 시를 수용하는 일에 가장 강력하게 반대하는 지점이 바로 이 대목들이다. 박인환은 폐허와 죽음, 혹은 과거와 작별하고, 직시하고, 기억하고, 듣고, 눈 뜨고 술을 마시는 적극적인 행위를 통해 ‘숙녀(미래, 이상)’없는 현실을 끝까지 살아내고자 애쓴다. 4장에서는 ‘등대’ 이후 (17)~(23)까지 시의 후반부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19)에 등장하는 “페시미즘”이라는 단어의 맥락이었다. 「목마와 숙녀」에서 페시미즘은 닫힌 것이 아니라 ‘미래’를 향해 열린 맥락에서의 페시미즘이었다. 의지의 표명만으로 현실을 돌파하는 일이 쉽지는 않을 때, 숙녀(미래, 이상)는 부재하지만, 숙녀를 지금 이 현실, 혹은 이 땅의 삶에 암시적이고 지속적으로 연상시키는 매개기호로 기능하는 것이 바로 ‘목마’이다. 박인환은 (20)에 이르러 ‘현실 근경의 이상적 지향’으로서의... 「The wooden horse and the lady」 is Park In-hwan's representative work that has been generally praised by many scholars, but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in terms of literary evaluation. It has been described as 'the best representative poem of the post-war period', but it has also been criticized as 'a work that is mired in the limits of sentimental nihilism and whose difficulties are not clearly resolved'. In this paper would like to suggest a new way to read 「The wooden horse and the lady」 in depth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between "Virginia Woolf" and "the lady" in Park In-hwan's 「The wooden horse and the lady」 . First, in Chapter 2, this paper focused on the poem's opening lines (1)(2)(3) to reveal that Marie Laurentin, Lauren Bacall, and Virginia Woolf, who were artistic inspirations through Park's life history, can be connected in a similar semantic family. In particular, they noted that these female artists could be the "anima" in Jung analytical psychology. In Park's poem, the sign 'the lady' is interpreted as a sign of absence as well as a sign that suggests the 'future' or 'ideal'. 'the lady' does not mean 'death', but rather 'an idealized (sunny and hopeful) future that was inherent in the speaker'. In other words, the phrase (3), "The hem of the lady's dress as she rode away on her horse" does not refer to the death of Virginia Woolf, but rather to the state of the long-dreamed-of ideal future (a sign of absence). In addition, in the binomial opposition of [Earth:Sky], Virginia Woolf, as a figure in the reality projected by Park In-hwan's Anima, appears as an idealized being that can be willfully pursued and reached from a much more realistic perspective than the lady. In the end, Virginia Woolf and the lady are not sharply distinguished at the beginning of the poem, but as the poem progresses, they become more clearly differentiated as symbols that establish the 'opposition of reality and ideal'. Chapter 3 analyzed lines (4)-(16). After the absence of the lady, Park In-hwan does not go back to the past and forget reality, but rather goes through the same process of re-experiencing the decades of defeat and downfall in fast-forward. The past could never be a space of memories and consolation. It was (12)(13)(14) that the lady had to look at carefully in the reality of the invisible ruins. This is because there is a manifestation of the will to say goodbye to the "once upon a time" when literature, life, and love are dying, and now we must say goodbye to that "once upon a time". Looking at 「The wooden horse and the lady」 as a whole, the strong willed narrative of "I must" appeared five times. These are the points where I most strongly oppose the acceptance of the poem as a work of futile sentimentality. Through the active acts of saying goodbye to ruins, death, or the past, facing, remembering, listening, opening one's eyes, and drinking, Park strives to endure a reality without a 'lady' (future, ideal). In Chapter 4, this paper analyzed the second half of the poem after "Lighthouse," from (17) to (23). Important here was the context of the word "feminism" in (19). In 「The wooden horse and the lady」, feminism was not closed, but open to the future. When it is not easy to break through reality through the expression of will alone, the lady (future, ideal) is absent, but it is the 'the wooden horse' that functions as a mediating symbol that implicitly and continuously associates the lady with the present reality or life on earth. In (20), Park shows that he does not only endure the reality of the ruins by remembering 'Virginia Woolf' as the 'ideal orientation of reality', but also tries to incorporate the 'the lady' symbolizing 'high ideals and the future' without giving up.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Park In-hwan is resolving his literary anguish with the help of his inner self, or "anima." If Virginia Woolf is more of an "ideal guide at the periphery of reality," ...

      • KCI등재

        『3기니』: 버지니아 울프의 30년대 다큐멘터리

        김부성(Kim, Boos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0 영미연구 Vol.48 No.-

        이 논문은 버지니아 울프의 장편 에세이 『3기니』(1938)를 1930년대 영국의 다큐멘터리 운동이라는 역사적 맥락 안에서 조명한다. 영국 다큐멘터리 운동은 허구와 인위적인 것들에 대항하여 사실이 갖는 가치에 집중하는 담론 생산의 장이었으며, 특히 이 운동의 리더인 존 그리어슨은 다큐멘터리 영화를 “사실을 창조적으로 다루는 작업”이라 정의하였다. 20년대 울프가 허구보다 사실을 열등하게 보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 30년대 들어 울프는 사실에 가까워지고자 했다. 울프는 『3기니』에서 전기, 자서전, 신문기사, 보도사진 등의 다큐멘트를 예술을 위한 날 것의 재료로 다루며 상이한 사실들의 병치를 통해 새로운 사실을 변증법적으로 도출해낸다. 또한 영국의 오래된 참고서인 『휘태커 연감』을 자신이 수집한 사실들을 돋보이게 하는 장치로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울프는 사진과 사실을 동일시하며 두 종류의 사진군을 하나는 이미지를 통해, 다른 하나는 텍스트를 통해 제시한 다음 에세이의 말미에서 이 둘을 상상적으로 합성함으로써 반전주의적, 페미니스트적 메시지를 역설한다. 이렇게 『3기니』는 울프의 30년대 다큐멘터리, 즉 “사실을 창조적으로 다루는 작업”으로 재정의될 수 있다. This paper reads Virginia Woolf’s 1938 political essay Three Guinea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British Documentary Movement. In the 1930s, John Grierson, the leader of the movement, defined documentary film as “creative treatment of actuality” and explored its possibilities as a political means by filming working class individuals. Other commentators actively involved in producing the discourse on documentary by valuing fact rather than fiction. In Three Guineas, Woolf associates facts with the class she calls “the daughters of educated men.” In her using a variety of documents such as biographies, autobiographies, newspaper articles, and journalistic photographs, she treats them as the raw material for her art and juxtaposes them to reveal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to the extent that the juxtaposition serves as a dialectics for a synthetic conclusion. In particular, she uses Whitaker’s Almanack for a foil for facts. Equating photographs with facts, she superimposes snapshots of British male authority figures and atrocity photographs taken during the Spanish Civil War to express her antiwar message. In this way, Three Guineas can be redefined as Woolf’s “creative treatment of actuality” that is highly responsive to the documentary film culture of the 1930s.

      • KCI등재

        버지니아 울프의 <새 드레스>와 자전적인 글에서 나타나는 수치심에 대한 주제 반복의 의미

        서길완 ( Seoh Gil-wa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8 No.-

        수치심은 다른 사람이 자기를 부정적으로 판단하고 있다는 사실을 자기 스스로 인식함으로써 생겨나는 감정이다. 수치 경험은 자기의 부정적인 면이 다른 사람에는 물론 자기 자신에게 노출되는 경험인 것이다 그런 이유로, 사람들은 수치심을 드러내지 않으려고 하고, 그런 감정경험을 표현하지 않으려고 한다. 버지니아 울프의 글에는 부정적인 감정으로 여겨지는 바로 이 같은 수치심과 수치심과 관련된 용어들로 가득한 글들이 많다. 작가가 된 이후 울프는 다양한 형태의 글에서 수치심을 주제로 한 글을 반복적으로 써왔는데, 그 중에서 단편 소설 <새 드레스>는 수치에 관한 주제를 가장 적나라하게 다루고 있다. 울프의 글에서 수치심의 주제가 편재한다는 사실과 더불어 주목해야 할 것은 수치심이 옷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울프가 수치심을 옷과 관련해서 쓰는 일에서 흥미로운 점은 바로 “옷 콤플렉스”이다. 일생 동안 울프는 “옷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었고 또 그 문제는 작품에도 영향을 끼쳤다. 그녀의 작품에 정통한 연구자들에 따르면, “옷 콤플렉스”는 몸과 드레스에 관한 빅토리아 시대 특유의 터부와 트라우마적 양육과 그녀의 의붓 오빠들에게 당한 정신적, 신체적 (성)학대로 말미암아 생겨났다. 따라서 옷(특히 드레스)은 작가로서의 울프가 수치 주제를 반복적으로 쓰는 일에 매달리는 이유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울프가 옷과 관련된 수치심을 반복적으로 쓰는 이유와 그 의미를 탐색할 것이다. 이 작업은 <새 드레스>뿐 아니라 옷과 관련된 콤플렉스와 수치심의 문제를 다루는 그녀의 다른 개인적인 글들을 통해 수행될 것이다. Shame is caused by the awareness of a negative judgment of the self by another. Experiences of shame are experiences of exposure of a peculiarly sensitive, intimate, and vulnerable aspect of the self. For that reason, people generally avoid revealing emotion and refuse to express experiences of shame. However, many of Virginia Woolf`s writings are saturated with the theme of shame, and with concepts concerning inferiority, self-hatred, self-blame, and self-mortification. She has written repeatedly on the theme of shame in her various writings. Among these, her short fiction “The New Dress” deals with the theme of shame most explicitly, but Woolf has produced many other forms of writing that take shame as a subject. In addition to the pervasive theme of shame in Woolf`s writings, it is noticeable that shame is associated with clothing. What makes Woolf`s references to clothing in her writing even more interesting is the “clothes-complex” she harbored all her life, which influenced and interfered with her work. As experts in her fiction and private writings have pointed out, this complex was caused by her traumatic upbringing, characterized by the Victorian taboos concerning body and dress and the mental and physical molestation she suffered at the hands of her older half-brothers. In Woolf`s writings, clothing (especially dress) may therefore serve as a clue to understanding her preoccupation with the theme of shame. On the basis of such an understanding, this essay investigates the reasons for and the meaning of Virginia Woolf`s refrain on shame in association with clothing. This investigation will focus on the short fiction “The New Dress” and her private writings concerning the problems of her complex regarding shame and clothing.

      • KCI등재

        비온의 연구에 나타난 시간성의 정신분석적 의미 :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등대로』를 중심으로

        이은도(Lee, Eun?Do),이준호(Lee, Joon?Ho)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0 현대정신분석 Vol.22 No.1

        “시간이 흐른다”는 것은 자연 속에 존재하는 당연한 현상이므로 그 정신분석적 의미는 간과되기 쉽지만 비온은 그 의미에 대해 논한 바 있다. 비온의 연구에서 시간성은 사고의 발달 과정에서 나타난다. 시간의 측정은 좌절을 견딜 수 있는 유아에게 가능하며, 부재하는 젖가슴과 젖가슴 사이의 간격 측정과 “무의식적 깨어 생각하기”의 과정을 거쳐 유아의 내면에 시간의 흐름에 대한 관념이 생겨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대한 관념은 사고의 발달이 가능한 표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고 보았고, 사고의 방향성이 가진 시간적 측면에 따라 시간을 K시간과 O시간으로 나누었다. 시간에 대한 인식의 실패는 O로의 변형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시간의 분열에서 생겨날 수 있으며, O로의 변형을 시도하였으나 좌절을 견디지 못하여 –K로 도피하였을 경우에도 생겨난다. 이때 K시간을 방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에 대한 인식의 실패가 있는 경우 시간에 대한 특정한 증상으로 발현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례로 버지니아 울프의 작가 일기 「로드멜 1926」을 선정하였다. 「로드멜 1926」은 버지니아 울프의 자전적 소설인 『등대로』를 집필하던 당시의 일기로, 소설 속에는 버지니아 울프의 알파 기능, O에 직면하고 이를 변형하려고 시도하는 모습, 좌절을 견디지 못하여 –K로 도피하는 모습, 그 과정에서 나타난 시간의 분열과 멸절의 양상이 잘 드러나 있다. 「로드멜 1926」에 나타난 시간적 측면의 증상은 버지니아 울프가 소설 속에서 보여준 시간에 대한 인식의 실패가 현실로 발현된 사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ime flows” is a natural phenomenon. But it’s psychoanalytic implications may not be obvious. In Bion’s study, measurement of time becomes possible for infants who can endure frustration, and through the process of “Unconscious wakeful thinking”, the notion on continuity of time is created in the infant’s mind. Time is classified as K time and O time according to the thought’s direction upon the aspect of time in this article. Failure of recognition of time can be generated from the splitting of time that is inevitably accompani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O, and it is generated when one tries to transform into O but cannot endure the frustration so as to escape into –K. In this case, K time can be used as a defense. When failure of recognition of time occurs, it can manifest as a certain symptom related to time. Virginia Woolf’s diary, “Rodmell 1926” would be this case. “Rodmell 1926” is Virginia Woolf’s diary when she wrote her autobiographical novel, To the Lighthouse. In the novel, her alpha function, the confrontation and attempt at transformation of O, the escape to –K due to intolerance of frustration, and splitting of time and annihilation were well illustrated. The symptoms of time that appeared in “Rodmell 1926” can be considered as the case of failure of recognition of time that Virginia Woolf wrote about in her novel, which was expressed in reality.

      • KCI등재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 - 새로운 ‘문명’의 주체로서의 여성

        이순구(Soonku Lee)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9 현상과 인식 Vol.43 No.3

        이 논문은 「댈러웨이 부인」을 서구 문명에 대한 분석으로 보고 버지니아 울프가 암담한 현재적 상황에서 인류 문명이 나아갈 길을 여성주의자적 관점에서 모색하고 있다고 본다. 이 소설의 가설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1차 대전을 통해 그동안 서구문명을 전개시켜온 주인공들인 남성에 의한 가부장제적 통치가 사실상 실패했음을 드러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남성의 통치가 실패로 끝난 이상 이제 여성이 전면에 나가 그들만의 새로운 ‘문명’을 그들만의 방식으로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논문은 가부장제적 서구 문명에 대한 울프의 비판과 그 대안으로 제시하는 울프의 신비주의적 페미니즘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울프의 신비주의를 영국 여성의 신비주의적 전통의 일부인 울프의 고모의 삶과 저서에 그 출처를 두는 것으로 보고 그것이 클라리사 댈러웨이의 다락방 장면들에 잘 나타난다는 전제 하에 논의를 그녀의 다락방 장면들에 국한시켜서 클라리사가 꿈꾼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의 세계를 분석한다. 그것은 여성 간 집단적 연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제와 추방의 가부장제적 통치의 방식이 아닌 모성적 포용에 기초하여 기존의 역사에서 소외되었던 낮은 계급의 그룹들을 다시 사회에 적극적으로 통합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당대의 급진주의자들뿐만 아니라 남성 비평가들이 비판하는 울프의 신비주의를 그녀의 페미니즘과 연관시켜서 급진주의자의 것으로 옹호하고자 한다. Viewing Mrs. Dalloway as an analysis of Western culture, this paper argues that, in the novel, Virginia Woolf searched for the future direction of human civilization in the gloomy circumstances of the time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re are two hypotheses in this text: the one is the revelation, through World War I, of the de facto failure of patriarchal rule by men, the protagonists who hitherto have developed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other is the need, with the failure of men’s governance, for women now to come forward and to create a new civilization in their own ways. Consequently,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writer’s criticism of patriarchal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mystic feminism that she presents as its alternative. In particular, under the view that Woolf’s mysticism stemmed from the mystic tradition among British women, especially from the life of the nuns in the convent, it restricts discussions to the Clarissa Dalloway’s attic scenes and analyzes the feminist utopia envisioned by her as a mystic feminist. Formed through solidarity among women, the utopia in the novel actively reintegrates groups excluded from existing history based not on the patriarchal ruling methods of exclusion and exile but on maternal acceptance and integration. This paper thus seeks to advocate the writer’s feminism, which has been frequently criticized by not only contemporary radicals but also male literary critics as conservative and reactionary in its stance.

      • KCI등재

        버지니아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에 나타난 에로스와 타나토스, 그리고 결정적 순간

        강서정(Seojung K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4 영미연구 Vol.60 No.-

        Mrs. Dalloway is a modernist masterpiece that was written by Virginia Woolf in her prime years. Woolf’s artistic excellence in constantly exploring the meaning of life and the functions of art and her incorporation of these themes into her unique narrative style make this book outstanding. Bresson's concept of a “decisive moment” enables a unique reading of Mrs. Dalloway because Woolf’s narrative reveals the flows of the intersubjective consciousnesses of various individuals in a single moment. All humans encounter Eros and Thanatos simultaneously. However, Thanatos heightens Eros among artists, engaged in creative activities and acts as a driving force that triggers certain epiphanies. Eros is the will of art, but it is accompanied by constant skepticism and doubt, a form of Thanatos. Artists must crucially and completely embrace Eros and Thanatos with maturity in their literary works. Like Picasso, Woolf interweaves impressions of objects from diverse perspectives. The decisive moment captures the consciousnesses evoked in multiple agents in a fleeting moment and represents the world by connecting these discrete perceptions. Woolf’s work shows that the contents of novels are inseparable from their narrative styles or forms. 버지니아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은 작가의 가장 원숙한 시기에 집필된 모더니즘 문학의 정수로 손꼽혀 왔다. 이 작품의 빼어난 점은 무엇보다도 울프가 인생의 의미와 예술의 역할을 끊임없이 탐색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주제의식을 내러티브 방식에 그대로 녹여낸 그 예술적 탁월함에 있다. 우리가 만들어가는 삶의 의미는 끊임없는 회의와 의심을 동반하는데, 이 회의와 의심이 바로 예술적 삶의 의지, 에로스(Eros)를 동반하는 타나토스(Thanatos)이다. 모든 인간이 에로스와 타나토스를 함께 접하지만, 창조적 예술 활동을 추구하는 예술가들에게 타나토스란 에로스를 더욱 고조시키면서 동시에 어떤 깨달음으로 이끄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작품이 다루는 삶의 의미, 예술에 대한 관점은 특유의 독특한 내러티브 방식에 구현된다. 마치 피카소의 작품처럼 작가는 다양한 인물들에 비친 한 대상의 모습을, 그 인상들을 한 데 엮어 놓는다. 브레송의 개념 “결정적 순간”은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에 대한 독특한 독법을 제시한다. 『댈러웨이 부인』에서 대상을 표상하는 내러티브는 상호주관적인 의식의 흐름을 통해 다수의 교차하는 의식을 포착함으로써 특정한 순간 다양한 개인의 의식을 거미줄처럼 연결시킨다. 결정적 순간은 이처럼 찰나의 순간에 떠오르는 의식을 포착하는 것이고 그 의식들을 거미줄처럼 연결시킴으로써 세상을 표상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호 주관적 의식의 흐름은 시, 공간적 확장 및 개인 간 상호작용을 담아내는 데에 효과적인 내러티브 방식이고, 이러한 내러티브 방식은 더 이상 객관적인 세계 및 인간의 표상이 불가능하다는 울프의 예술관, 세계관과 공명한다. 울프는 이와 같이 작품의 내용과 내러티브 방식이 결코 분리될 수 없다는 사고를 작품 안에 반영하였다. 그것은 예술적 내러티브 안에서 에로스와 타나토스를 원숙하게 수용함으로써 가능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