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6세기 서남부지역 수장묘를 통해 본 백제와 왜의 관계

        우재병(Woo Jae Pyoung)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50 No.-

        이 글에서는 6세기 전엽경 왜양식 전방후원분이 축조되기 이전인 5세기 후엽경에 이미 백제와 왜국 사이의 외교적 연대 강화를 시사하는 고고학적 자료가 존재하였음을 분명히 하였다. 이 주장의 주요한 고고학적 자료는 5세기 후엽경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들의 분구를 장식하기 위해 채택된 왜양식 원통형 토기들이다.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에 보이는 백제 중앙양식 방형 분구와 왜양식 원통형토기의 혼용은 백제 중앙에 의한 지방세력 우대정책과 친왜정책을 상징하는 고고학적 자료이다. 5세기 후엽경 백제와 왜국 사이의 외교적 연대 강화를 시사하는 또 하나의 유력한 고고학적 자료는 백제 서해안 항로상에 위치하는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에서 발굴되었다. 백제 중앙이 국가적 해안 제사가 거행되던 이곳에서 왜인들에 의한 왜양식 제의 거행을 허용한 것은 이 시기 강화된 백제의 친왜정책을 시사한다. 한편 6세기 전엽경 왜국 중앙의 정치적 동향을 고려하면, 백제 서남부지역 왜양식 전방후원분 축조로 상징되는 무령왕 정권기의 친왜정책 강화는 이 시기에 등장한 새로운 친왜파에 의해 주도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고구려에 의한 서울지역 백제 수도 함락 사건과 공주 천도 후에 일어난 연속된 권력구조변동 사건 속에서 백제 중앙은 친중국남조 정책과 더불어 지방세력 우대정책과 친왜정책 강화를 선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5세기 후엽~6세기 전엽경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 묘제에 보이는 재지 묘제와 중앙양식 묘제, 왜양식 묘제의 변화 양상은 이러한 백제 중앙의 정치전략채택 과정을 명료하게 시사한다. This paper clearly presents the existence of archaeological evidence implying the consolidation of diplomatic ties between Paekche and Wa already around the late 5th century, before the construction of Wa-style keyhole tombs in the 6th century. The major archaeological data of this argument is the Wa-style flowerpot-shaped clay cylinders selected to decorate the burial mounds of leaders from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around the late 5th century. The mix of square-shaped burial mounds in the style of central Paekche and Wa-style flowerpot-shaped clay cylinders reflected in the tombs of leaders from the southwestern part of Paekche symbolizes, in archaeological terms, the preferential policies on local powers and the pro-Wa policies pursued by central Paekche Another convincing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suggests a strong diplomatic bond formed between Paekche and Wa in the late 5th century was found at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in Buan, located in the sea route by the west coast of Paekche. To allow Wa-style rituals to be performed by the Wa people at a place where national seaside rituals were condu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Paekche signifies the pro-Wa policies of Paekche especially reinforced at the time. Meanwhile, considering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central Wa during the early 6th century, it is highly likely that a pro-Wa group that newly emerged at the time led the consolidation of the pro-Way policy of King Muryeong’s regime, represented by the construction of Wa-style keyhole tomb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Amidst the continuously changing power structure following the fall of Paekche’s capital in the Seoul area due to attacks by Goguryeo and the transfer to its new capital Gongju, central Paekche seemingly chose to consolidate its preferential policies on the local powers and pro-Wa policies, along with its amicable policies toward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The changes of local tombs, tombs in the style of central Paekche, and Wa-style tombs that we can note from the tombs of leaders from the southwestern area of Paekche during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clearly demonstrates this trace of political strategies chosen by central Paekche.

      • KCI등재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형성 과정과 그 배경

        이명헌 ( Lee Myeong Heon ) 백제학회 2022 백제학보 Vol.- No.39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란 사비양식 백제토기 중 고구려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작·사용된 토기를 지칭한다. 대부분 부여, 익산, 공주 등 백제 도성급 유적에서 출토되고, 사비도성 내에서도 중요 유적(왕궁추정지, 왕실 사찰, 관영 공방 등)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상위계층이 사용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일부 의례용으로 사용된 기종(대부완, 이배, 접시 등의 소형기종)을 제외하면 대부분 생활용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주로 회색계열, 정선된 점토 혹은 소량의 첨가제가 혼입된 태토, 연질로 제작되며 타날(선문)을 이용해 성형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와 고구려토기와의 비교를 통해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형성 과정과 등장 배경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형성 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6세기를 전후하여 일부 고구려계 기종이 확인되는 단계로, 도성(공주) 외 지역에서 소수 확인되며 형태나 제작기법상 5세기대 고구려토기 제작집단과 관련이 깊다. 또 일반적인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와는 다르게 격자문 타날의 비율이 높고, 사용자의 위계 역시 높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1단계 토기는 2단계 토기와 출현 경로나 그 성격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1단계 토기를 사비양식 백제토기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2단계는 6세기 중~후엽에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단계이다. 전체적으로 형태나 제작기법이 6세기대 고구려토기와 유사하고, 사비도성 내 국가 중요시설에서 다수 확인된다. 또 중앙 생산된 것으로 판단되며, 사용자의 위계 역시 높다. 이를 통해 기존 견해처럼 사비기에 고구려와의 문화접변으로 고구려토기 문화가 전파된 것이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도입·수용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3단계는 7세기를 전후한 시점부터 백제 멸망까지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백제 공인들에 의해 제작되면서 고구려토기의 변천 양상과는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변화해나가는 단계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존과는 다른 사비기만의 독특한 토기 양식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이어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등장 배경은 Peer Polity Interaction 모델을 이용해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한성기에 유행한 적석총과 고구려와 삼연의 문화적 동질성 등의 사례를 참고하였다. 그 결과 두 사례와는 다르게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는 비교적 간접적인 상호작용(비물질문화의 전이, 기술의 전달 등)을 통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고구려토기의 생활 편리성은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성립 이후 해당 양식이 확산 및 발전하는데 있어 하나의 동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y refers to a new style of Baekje’s Sabi pottery pottery of a new style that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Koguryo pottery. The development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can be explained in three stages. In Stage 1, which centers around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potteries were mainly excavated from areas outside the capital (Ungjin). Stage 2, which ranges from the mid to the late 6th century, marks the full-fledged production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the stage 2 potteries are found in the capital and related to 6th-century Koguryo potteries, they are different from the stage 1 potteries in terms of their nature and places of excavation. There appears to be no continuity between the stage 1 potteries and the stage 2 potteries. In Stage 3, which las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to the fall of Baekje,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began to show its own development trajectories regardless of the changes in Koguryo potteries in the era. Alternatively, this study attempts an interpretation of the formational background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using the Peer Polity Interaction model. The analysis showed that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are estimated to have been formed by indirect interactions (transfer of non-material culture and technology transfer). Meanwhile, the convenience of Koguryo potteries appears to have been one of the causes behind the dissemination and development of Sabi-style Baekje potteries.

      • KCI등재

        백제양식석탑의 분포와 주변지역 석탑양식 비교연구

        전지혜 동아시아고대학회 2012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9

        현재 고려석탑으로 분류되는 百濟故土의 백제양식석탑은 수적으로는 그 비중이 미미하지만, 고려석탑의 다양한 양식의 일면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그 가치가 높다. 9세기 이후 석탑은 중앙인 경주로부터 지방으로 확산되어 건립되고, 건립주체도 다양화됨에 따라 양식적으로 기존의 정형성을 많이 탈피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개의 석탑들이 신라양식과 친연성을 갖는데 반해 백제고토인 충청도와 전라도의 경우는 백제양식을 비롯하여 다양한 양식의 석탑이 건립되었다. 따라서 백제고토의 석탑은 백제양식 혹은 백제계의 단일계통을 중심으로 한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보다 세분하여 첫째로, 백제양식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로, 백제양식석탑을 분명히 하고 다양한 양식의 석탑 건립을 살펴보기 위해 백제양식석탑이 건립되는 중심지 일대를 벗어난 주변지역의 석탑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이들 백제고토의 석탑들은 석탑 건립에 따른 지역성과 장인집단이 보유한 조탑기술을 추적해 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많은 가능성을 열어두고 접근해야 할 것이다. 본 글에서는 주로 순수 백제양식석탑이 건립되는 분포지역에 따라 그 일대를 중심으로 한 영역과 따로 주변지역을 구분하여 각 군의 석탑양식과 건립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백제양식석탑을 재확인하고, 백제고토에서 동시대에 보다 다양한 양식의 석탑이 건립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 KCI등재후보

        백제양식석탑의 형성과전개의始發點

        전지혜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4

        미륵사지와 정림사지 석탑은 한국석탑의 시원인 동시에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백제석탑이다. 따라서 이 둘의 특징 을 살펴보는 작업은, 넓게는 한국석탑, 좁게는 백제양식석탑을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백제의 뛰어난 건축술은 기록 에도 전하듯이 아비지가 신라의 국가적인 사업인 황룡사목탑의 건립에 초청된 것을 통해서 알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석탑 과 관련된 기술과 양식이 신라에 전파되었음도 짐작된다. 그러나 신라통일을 맞이하여 백제석탑의 양식을 공유하는 석탑 들이 일순간에 단절되었다고 보는 것은, 문화와 예술이 계승 발전된다는 측면에서 쉽게 수긍이 가지 않는다. 현재 학계에서는 여타의 백제지역 석탑들을 모두 고려시대 건립된 백제계 석탑이라는 틀로 규정하여, 일률적인 편년 아래 두고 있다. 등장요인으로는 불교의 대중화, 지방 호족의 지원, 문화의 복고적 경향 등을 들고 있는데, 과연 이것만으 로 백제양식석탑이 약 300년간의 공백을 깨고 한 순간에 등장할 수 있었는지는 확신하기 어렵다. 물론 경주지역처럼 활 발하지는 않았지만, 백제양식석탑이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전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개의 시발점에 초 점을 맞추어, 백제양식석탑이 미륵사지와 정림사지 석탑을 통해서 형성되고, 그후 왕궁리 석탑을 통해서 전개가 시작되었 음을 고찰해 보았다. The stone stupas of the Mireuk Temple Site and Jeongnim Temple Site were the beginning of Korean stone stupa and the unique ones stemming from the Baeje period. Therefore, the work of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stone stupas would give us a basis for understanding Korean stone stupas in a large scale and Baekje-style stone stupas in a narrow sense. As shown in some records, the excellent architectural skills of Baekje could be known by the fact that Abiji was invited to the building of Hwangryong Wooden stupa, one of the national undertakings of Shilla and the skills and styles related to stone stupas were thought to be disseminated in this process. However, it has not been very convincing that the stone stupas with Baekje styles were disconnected in an instant with the unification of Shilla, in terms that culture and art would inherited and developed. The current academic circle set a frame and defined all these types of stone stupas as Baekje-system stone stupas built in Goryeo period and put them in a uniformly chronological order.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support of regionally powerful clans and cultural revival were suggested as the factors of their appearance, but it seemed difficult to be assured that these led Baeje-style stone stupas to reappear in a moment by breaking the gap of about 300 years. Of course, it has not been active in Gyeongju area, but they have greatly influenced the stone stupas of Shilla;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to consider that they were developed but limited to certain areas. This study focused on the starting point of such development and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Baeje-style stone stupas through the stone stupas of the Mireuk Temple Site and Jeongnim Temple Site and their subsequent development through Wanggung-ri Stone Stupa.

      • KCI등재
      • KCI등재

        백제 직구단경호를 통해 본 토기 양식

        김은혜(Kim, Eun-hye) 중부고고학회 2014 고고학 Vol.13 No.3

        본고의 목적은 백제 직구단경호를 통해 토기 양식(style)의 유사도를 가지고 고고학 자료의 시공간적인 거리를 측정하던 기존의 연구 방법론을 검토하고, 양식을 이용한 물질자료 분석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하는 데 있다. 양식(style)은 고고학의 등장 이래 전 지역, 전 시기를 대상으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어왔으며, 연구자의 목적 및 유물에 대한 인식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양식 연구는 매우 단편적인 해석이 대부분이었다. 백제토기연구 역시 양식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토기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나열하고, 양식의 분포를 파악해 국가의 영역을 추정하는데 주력해 왔다. 그러나 물질문화의 등장과 전개과정은 단순히 시공간적인 영향에 의한 것만이 아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백제만의 독자성(identity)을 가지고 있던 것으로 보이는 직구단경호 단일 기종을 분석함으로써 토기 양식의 유사도 비교를 통해 유물의 시공간적 근접성을 측정하던 기존 연구방식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직구단경호가 출토된 중서부지역 분묘유적들을 서울ㆍ경기, 충청북부해안, 충청북부내륙, 충청남부 네 개의 지역권으로 분류하고, 토기 속성들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시기적, 지역적으로 가장 동떨어져 있는 서울ㆍ경기지역과 충청남부지역의 토기 제작방식이 가장 유사하였다. 토기 양식의 공간적 분포에 있어 서울 · 경기지역과 충청남부지역의 직구단경호가 가장 유사한 것은 두 지역이 각각 한성, 웅진기 백제의 중심지를 담당했다는 사회정치적 배경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즉 시기적으로, 거리적으로도 멀리 떨어져 있던 두 지역의 직구단경호의 양식이 인접한 지역들에 비해 상당 부분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은 토기 양식이 시공간적인 범위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해줄 뿐 아니라 이 토기가 다양한 사회 · 문화 · 정치적인 배경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xisting study methodology which measures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of archeological specimens with the similarities of ceramic style through standing neck jar in Baekje and to suggest new comprehension for material data analysis by using style. Style is one of the concepts used most frequently in archaeological researches, so it has been applied to the whole area and whole period continuously since the appearance of archeology. Style comes to have very diverse meanings according to recognition of the purpose of researcher and relics and the ragne that style can be used according to that would be very wide. However, most of the studies until now are very fragmentary interpretation which has been worked by simple logic that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would be close as styles are similar. However, the appearance of material culture and development process might not to be done due to simple temporal and spatial influence only. Therefore, it should be examined to consider existing studies which interpreted similairties of styles as temporal and spatial variables only and the concept of style has been working properly in the studies on Baekje pottery. In this study, it would be tried to examine validity about existing research method which measures temporal and spatial proximity of relics through comparison of similarities of ceramic styles and suggest new perspective by analyzing single type of standing neck jar which seems to have its own identity of Baeek jculture.

      • KCI등재

        나주 정촌고분을 통해 본 5~6세기 백제 중앙과 지방의 무덤 양식 공유

        우재병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ppearance of a new tomb style found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between 5th and 6th century. Around the end of the 5th century, square tombs were adopted as the chief tomb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The appearance of these tombs is similar to that of the King's tomb in Paekche, but the difference in rank of the tombs is different according to class before the death. Sharing the tomb's style among the central and local politicians was apparently a policy to strengthen the political solidarity.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Wa-style keyhole-shaped tombs appeared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These tombs were political monuments built to publicize the close diplomatic solidarity between Paekche and Wa. Paekche tried to deter Goguryeo from military intimidation by strengthening diplomatic ties with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Dae-Kaya and Wa. At this time, Paekche's strategy of adopting the highest tombs of these friendly allies reached its peak. 이글에서는 5세기 후엽과 6세기 전엽경 백제 서남부지역에서 관찰된 새로운 무덤 양식 변화의 배경을 찾고자하였다. 5세기 후엽경, 백제 서남부지역 최고위급 수장묘에는 백제 중앙 석촌동 고분군의 방형 적석총과 유사한 무덤들이 채용된다. 이 양상의 특징 중에는 방형이라는 무덤 형태 뿐만 아니라 무덤 규모와 축조 방식의 유사성도 포함된다. 백제 서남부지역 최고 수장묘 중 하나인 나주 정촌고분 사례를 관찰하면, 이 고분의 외관이 백제 중앙의 적석총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분구 축조 과정에는 積石기법 보다는 주로 葺石 기법이 사용되었다. 그렇지만 정촌고분의 분구 축조 방식을 자세히 관찰하면, 커다란 돌을 가공하여 분구 하단에 배치한 축조 양상이 매우 특징적이다. 이 축조 방식은 일반적인 분구 즙석 기법과는 다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석촌동 3호분 등 백제 왕급 적석총의 하부 적석 기단의 모방으로 판단된다. 즉 분구 전체를 적석으로 축조하지는 않았지만, 백제 중앙의 적석총과 유사한 외관을 부분적으로 구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양상은 백제 중앙과의 위계에 따른 축조,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한 축조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백제 중앙과 지방 사이의 무덤 양식 공유는 백제 중앙과 지방 사이의 강력한 정치적 연대 강화책의 일환이었다고 판단된다. 이들 수장묘 분구에 원통형 토기를 장식하는 왜 양식 장례 의례가 추가된 것은 백제와 왜 사이의 외교적 연대 강화를 과시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6세기 전엽경이 되면, 백제 서남부지역에서는 왜 양식 전방후원분이 새롭게 출현한다. 6세기 전엽경 일시적으로 등장하였다가 쇠퇴한 이들 전방후원분은 백제와 왜 사이의 긴밀한 외교관계 강화를 고구려에 과시하기 위한 정치적 기념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공주로 천도한 직후의 백제는 중국 남조, 대가야 등 가야서부지역 정치체, 왜를 잇는 외교적 연대 강화를 통하여 고구려의 군사적 위협을 저지하려 하였다. 이들 우호적인 동맹국의 최고급 무덤 양식을 채용하는 백제의 외교 전략 시행은 이 시기 최고조에 달하였다.

      • 논문(論文) : 백제계 석탑의 특징과 건립배경

        박지훈 ( Jihun Park ) 강원사학회 2015 江原史學 Vol.0 No.27

        고려시대, 이르게는 후백제시대에 재현된 것으로 보이는 백제계 석탑은 탑신부에 비해 낮고 좌우로 좁은 기단, 부재의 個別化,기단보다 좌우로 넓은 옥개석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백제의 석탑 2基,彌\勒寺址石塔과 定林寺址五層石塔을 모방·계승한 것이다. 백제계 석탑은 과거 백제의 영토, 자세하게는 후백제의 영토인 車嶺山脈以南부터 蘆嶺山脈以北에 집중되어 있다. 백제석탑과 신라석탑이 절충된 백제-신라절충양식 석탑은 대체로 노령산맥 이남에 먼저 건립되었고 뒤이어 노령산맥 이북에서도 나타나는 모양새를 보인다. 백제계 석탑은 백제가 멸망한 이후 200여 년간 등장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백제가 멸망한 이후 석탑을 건립할만한 주체들이 당에 끌려가거나 일본, 고구려 등지로 이주·망명하였기 때문이다. 후백제의 甄萱이 彌\勒寺開塔과 관련이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할 때 백제계석탑은 그가 자극한 백제의식의 소산물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러한 백제의식은 고려의 후백제 유민에 대한 차별정책으로 인하여 사라지지 않고 남아 고려중기까지 백제계석탑이 나타는 데 역할을 하였다. 일찍이 고려에 협조하여 후백제에 귀속하지 않았던 노령산맥 이남의 전라남도 연안지역은 노령산맥 이북보다 더 많이 중앙의 고위관료를 배출했기 때문에 백제-신라절충양식 석탑이 등장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백제계 석탑은 고려가 지방통치조직을 정비하는 시기와 맞물려 그 특징이 쇠퇴하였다. 그리고 무인정권기에 지방통치조직이 더욱 강화되었고 몽골의 침입을 받으면서 동류의식이 싹트는 시기와 맞물려 백제계석탑은 더 이상 건립되지 않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Baekje Style pagodas have features called stereobate part that is lower and narrower than main frame part, individualized members, roof part that wider than stereobate part. Most of Baekje style pagodas were built in south of the range of Charyeong, north of the range of Noryeong that were once the Later Baekje territory. Baekje-Silla eclectic pattern pagodas generally were begun to build in south of the range of Noryeong that was under the control of Goryeo. After Baekje was came to the ground by Silla-Tang forces, Baekje pagodas were not constructed for almost two centuries. The main cause is because the ruling class defected to Japan orwas dragged by Tang. Baekje style pagodas could be built because Gyeonhwon, the Lord of the Later Baekje stimulated Baekje-consciousness. And Goryeo dynasty excluded people of the Later Baekje from officialdom of Goryeo. It makes Baekje-consciousness was extant in the Later Baekje territory and caused Baekje style pagodas.

      • KCI등재후보

        漢城期 百濟土器 編年再考

        김일규(Kim Il-Kyu) 한국고대학회 2007 先史와 古代 Vol.27 No.-

          백제고고학에서는 풍납토성과 가락동ㆍ석촌동고분, 백제토기라는 신기종의 출현으로 한성기 백제를 정의하고, 몽촌토성출토 중국자기의 상한연대와 문헌기록에 의존하여 3세기 중후반을 그 시점(始點)으로 하고 있다.<BR>  본고에서는 백제토기의 대표적인 기종인 직구단경호와 삼족반을 대상으로 형식 분류와 편년을 행하였다. 연대설정의 방법은 동반유물 특히 금속유물(馬具, 盛矢具)을 타지역 출토품과 비교하고, 또한 타지역에서 출토된 백제토기를 동반하는 유물과 교차편년 하였다. 이 결과 직구단경호는 4세기 중엽, 한성1기의 대표적 유물로 취급되던 삼족반은 5세기 중엽에 출현하고 두 기종 모두 6세기 전반까지 지속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BR>  마한이 서진견사를 행한 3세기 후반과 고구려내습에 의한 웅진천도의 475년을 백제한성양식 고고자료의 상한과 하한의 기준으로 삼던 백제고고학의 연대비정 방법은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archaeological studies on Backje(百濟), The Backje Hansung Phase is defined as the appearance of Poongnab mud fortification(風納土城), GarakdongㆍSokchondong mounds(可樂洞ㆍ石村洞 古墳群) and new pottery type, ‘the pottery of Backje’. And its dating (the mid to late third century A.D.) is depends on the start point of Chinese porcelain and historical records.<BR>  On this study did classification and chronology to standing necked jar and tripod water vessel which was the prevailing forms of Backje pottery.<BR>  The method of chronology compared combination relics especially metal relics (horse trappings, a quiver) with other region relics, also did cross-dating relics which accompanied with Backje pottery excavated at other region.<BR>  As a result, standing necked jar appeared in mid-forth century and tripod water vessel, the representative vessel type of the Backje Hansung PhaseⅠ appeared in mid-fifth century. And they lasted until early sixth century.<BR>  The method of dating in archaeological studies on Backje that the latter half of the 3rd century when Mahan(馬韓) did send an envoy to Western Tsin(西晉) and 475 years of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Woonjing by Goguryeo(高句麗) attack based of a upper limit and inferior limit of Backje Hansung style need to reconsidered.

      • KCI등재

        慶州淨惠寺址十三層石塔의 樣式과 特徵

        이순영 동악미술사학회 2012 東岳美術史學 Vol.0 No.13

        The stone stupa of Jeonghyesa temple site is a representative deformed stupa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set the height of the underpinning high and piled up 13-story in density type. This is the unique style in Korea. Though it takes attraction for its unique style, no review on style and foundation period were studied.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style origin, feature and founding perio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speculated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the stone stupa. As to style, it reflects wooden structural character in the underpinning in the 1st story with dense piling style of 13-story. Such looks to be originated from the multi-story wooden stupa in China and the style origin can be found in the 13-story wooden stupa in Danjanjinja of Japan, an existing dense piling type wooden stupa. And Mangdeoksa Temple, a temple related to Tang once had 13-story wooden stupa, which indicates that the stone stupa of Jeonghyesa temple site was made in the process of receiving dense piling type multi-story wooden stupa. The character of Jeonghyesa temple was indirectly figured outs ‘Jeonghyesa’ is an important concept to get awareness in Seonjeong and Wisdeom. And the 13-story is not a simple number, but an important concept indicating Sakyamuni. Meanwhile, it is thought that the stone stupa of Jeonghyesa temple site was recognized as the stupa style of Tang like the wooden stupa of Mangdeoksa temple site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stupa style of Tang seemed to be received by people from Tang according to the record of 『Donggyeongtongji』and the stupa was found by artisans of Silla. Currently, the stylobate of the stone stupa was not recognized for its original form but it is estimated that it must have narrow single-story stone stylobate compared with the stupa in Japan or China. And the founding period was known to be 8~9 centuries but it is estimated to be found in the late 8century considering the foundation record of Jeonghyesa in Donggyeongtongji』, the structural method of 1st story underpinning with separate stone, an ancient style of applying wooden stupa, an abbreviation of Guimaru and edge of Guimaru, tidy pile up of subsidiary material etc. Finally, it is significant that it is the only stone stupa showing direct relation of arts in Silla with arts in Tang. And, considering it has common style with three-story stone stupa in Guisinsa temple in Gimje which is a Baikje style stupa, it gives a clue to review the founding period of Baikje style stone stupa.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이형석탑으로 잘 알려진 정혜사지 석탑은 1층 탑신의 높이를 크게 설정하고 밀첨식으로 13층의 탑신을 올린 양식으로 국내에서는 유일한 양식이다. 이처럼 특이한 조형으로 인해 그 동안 주목받아 왔지만, 양식고찰 및 건립시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검토된 적이 없다. 이에 현재까지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정혜사지 석탑의 양식 연원과 특징, 건립시기 등을 살펴보고 정혜사지 석탑의 미술사적 의의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정혜사지 석탑의 양식적 특징은 1층 탑신부는 목조건축적 특징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1층이 강조되고 13층의 밀첨식 양식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양식의 연원은 중국의 다층 밀첨식 목탑을 따른 것으로 생각되며 현존하는 밀첨식 고층 목탑인 일본 단잔진자 13층 목탑을 통해서 양식 연원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당과 연관있는 사찰인 신라의 망덕사에도 13층 목탑이 건립되었던 것으로 미루어 정혜사지 석탑은 밀첨식 다층 목탑을 석탑으로 번안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定慧’의 사명 역시 불교에서 禪定과 智慧를 어우르며 개달음을 얻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중요한 개념임을 통해 정혜사의 성격을 간접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그리고 13층의 층수 역시 단순한 다층의 개념이 아니라 여래를 상징하는 숫자로서 중요한 개념이다. 한편, 정혜사지 석탑이 망덕사지 목탑과 같이 당의 탑파 양식으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생각하였으며『동경통지』의 기록을 통해 정혜사지 석탑 역시 당에서 건너온 사람들에 의해 당의 탑파 양식이 전해졌으며 자생적으로 신라의 장인에 의해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현재 정혜사지 석탑의 기단부는 원형을 알 수 없는 상태이나, 동일 양식을 보이는 중국과 일본의 탑파와 비교하여 옥개석보다 폭이 좁은 단층의 석조기단부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정혜사지 석탑의건립시기는그동안8~9세기무렵으로알려져왔으나『, 동경통지』의정혜사창건기록과1층탑신부에서 별석으로 결구하는 방식, 목탑을 충실히 번안한 고식을 보이는 점, 귀마루 표현 및 귀마루 끝부분이 생략된 점, 부재의 정연한 치석 상태 등을 통해 8세기 후반 경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정혜사지 석탑은 신라의 불교미술이 당의 불교미술과 연관관계가 있었음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현존하는 유일한 석탑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백제양식석탑으로 알려진 김제 귀신사 삼층석탑과 공통된 양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볼 때, 백제양식석탑의 건립연대를 재검토해 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