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피식물 주위재배를 통한 배추 벼룩잎벌레 발생 예방효과

        한은정,최재필,홍성준,김용기,박종호,심창기,김민정,윤석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배추 벼룩잎벌레는 유기배추 재배초기부터 발생하여 잎을 집중적으로 가해하는 해충으로 유기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나 배추 벼룩잎벌레의 친환경적 방제 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벼룩잎벌레 선호 및 기피식물을 배추 주위에 재배하면서 배추 주요해충인 배추좀나방, 벼룩잎벌레, 배추흰나비의 발생밀도를 비교하였다. 선호식물인 얼청갓, 적겨자, 겨자채 재배구와 기피식물인 바질, 레몬밤 재배구를 배추단작구인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2013년 9월 2일 배추와 주위작물 정식 후 9월 16일부터 10월14일까지 일주일 간격으로 5회에 걸쳐 배추좀나방(성충), 배추벼룩잎벌레(성충), 배추흰나비(유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배추좀나방과 배추흰나비는 처리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벼룩잎벌레의 경우, 선호식물인 겨자채, 얼청갓 처리가 배추 단작처리와 유사한 밀도를 보인 반면 적겨자 주위재배 처리는 9월30일에 배추 단작처리에 비해 2배 이상 많이 발생하였다. 한편 기피식물 주위재배 시에는 배추에서 벼룩잎벌레가 전 작기에 걸쳐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기피식물을 배추 주위에 재배하는 것이 벼룩잎벌레의 예방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며, 유기농 배추 재배에서 중요한 기술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배추 수확 기계화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문석표 ( Seokpyo Moon ),최용 ( Yong Choi ),장성혁 ( Sunghyuk Jang ),이상희 ( Sanghee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본 연구는 배추 수확 기계화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국내·외 개발 동향 및 현재 국내 배추 수확 작업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동향 조사 및 분석은 배추 수확기·수집기의 국내·외 제품, 특허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기술 개발 고안 및 응용을 위해 트랙터부착형과 자주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국내 수확작업 실정에 맞는 수확기 개발 방향 수립을 위해 국내 배추 수확작업 방법 및 유통구조에 대해 분석하였다. 배추 수확·수집기 관련 해외 제품으로는 일본 Yanmar사의 자주식 배추 수확기는 노지의 배추를 파지·이송해, 수확기에 탑승한 보조 작업자가 밑동, 외엽 제거 후 적재하는 반자동식 수확기가 상용화되어 판매됨을 확인하였다. 국내의 경우 노지의 배추를 절단하여 이송, 수집하는 자주식 배추 수확기가 개발된 바 있으나, 상용 및 판매되지 않으며, 노지에 위치한 배추를 인력으로 수집하여 톤백에 적재하는 트랙터부착형 배추 수집기가 개발되어 보급 중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추 수확·수집기 관련 특허로 자주식 배추 수확기의 뿌리 절단 높이 조절 기능, 파지 높이·자세 조절 기능에 대한 특허가 출원·등록된 바 있으며, 보행형 배추 뿌리 절단기와 트랙터부착형 배추 수집기 및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특허가 출원·등록 된 바 있다. 배추의 경우 대부분 포전매매 형태로 농업인은 정식 후 중간 유통상인에게 판매하여 재배관리 및 수확작업은 중간 유통 상인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통상인은 전문 수확 작업반을 운영하여 출하시기에 맞춰 수확작업을 실시하며, 수확된 배추는 산지유통이 아닌 가락시장으로 유통되는 구조로 수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발 동향 및 배추 수확·유통 구조 분석 결과, 배추 수확 기계화를 위해서는 전문 수확작업반이 포장을 이동하며 빠르게 작업할 수 있는 소형의 자주식 형태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확된 배추를 가락시장으로 운송하여 경매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빠른 작업이 필요하여, 높은 작업능률을 위해 다조식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 내용을 통해 향후 고품질의 자주식 자동 배추 수확·수집기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국내 배추 농업 기계화율 향상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배추에 대한 배추흰나비(Artogeia rapae L.)의 요방제수준

        권민,김주일,윤영남,최준열,Kwon, Min,Kim, Ju-Il,Yoon, Young-Nam,Choi, June-Yeo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배추에서 배추흰나비의 요방제수준을 설정하기 위해 온실 및 포장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예비실험으로서 배추흰나비 2령충을 다섯 밀도 수준 접종하고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배추 포기당 유충 1마리 접종에 의한 잎피해면적은 정식3주차 배추에서 섭식 1주일후 657.7 $mm^2$, 정식 6주차 배추에서 섭식 2주일후 2495.8 $mm^2$로 나타났다. 포장실험에서는 배추흰나비 유충 1-7마리를 시험구(배추 20주)에 접종하였다. 3주간 섭식후, 접종 유충 밀도(X)에 따른 수량감소율(Y)은 다음 두가지 식, 즉 정식 3주차 배추는 Y=1.7640X-0.3049 ($R^2$=0.9901), 정식 6주차 배추는 Y=1.0305X-0.2976 ($R^2$=0.9398)로 각각 추정되었다. 접종한 유충밀도와 배추 피해지수간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수량 감소율(gain threshold, 수익역치) 5%로 전제한 배추흰나비 2령 유충의 요방제수준은 정식 3주차 배추에서 20주당 3.0마리, 정식 6주차 배추에서 20주당 5.1마리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ontrol thresholds (CTs) of imported cabbage worm, Artogeia rapae L., injuring Chinese cabbage. The second instar larvae of A. rapae were inoculated with five density levels on each Chinese cabbages transplanted three weeks earli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and checked injury rates after allowing their feeding for one week and two weeks, respectively. The average leaf area consumed by single larvae was 657.7 $mm^2$ in plots inoculated at three weeks after transplanting (WAT) and 2495.8 $mm^2$ in plots at 6-WAT, respectively. In the field experiment, different numbers of A. rapae ranged from one to seven larvae were inoculated on 20 plants. The percent yield reduction (Y) of Chinese cabbage infes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A. rapae (X) for a three-week period was estim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Y=1.764X-0.3049 ($R^2$=0.9901) in plots inoculated at 3-WAT; and (2) Y=1.0305X-0.2976 ($R^2$=0.9398) in plots inoculated at 6-WAT.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nsities of A. rapae larvae and the yield index of Chinese cabbage, the number of second instar larvae which caused 5% loss of yield (gain threshold proposed by Japan), was estimated as 3.0 per 20 plants for the 3-WAT and 5.1 for the 6-WAT.

      • 배추식품 소비트렌드와 대응전략: 절임배추를 중심으로

        강진구 ( Jin Ku Kang ),이승인 ( Seung In Lee ) 韓國食品流通學會 2015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 No.하계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이 보유한 농식품 소비자 패널자료(′10년∼′14년)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배추식품 소비트렌드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절임배추 시장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이용실태 및 선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들에게 제3의 명절로 불리는 김장철에 가구의 배추식품 구매패턴이 변화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배추를 직접 절이는 전통적인 김장법 대신 절임배추를 이용하여 간편한 김장을 하거나, 상품김치를 구매하는 패턴이 형성되었으며, 그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김장철 패널유형(비전업주부 vs. 전업주부), 패널연령 등에 따라 배추식품 구매행태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주부 경제활동 증가에 따른 비전업주부의 증가는 김장시 신선배추를 이용하는 전통적 김장 대신 간편하고 편리한 절임배추를 이용한 김장, 또는 상품김치 시장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령별 배추식품 유형에 대해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도출과 더불어 미래 소비계층인 20대·30대 주부들의 배추식품 소비 확대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절임배추 소비확대를 위해서는 절임배추 생산자들의 고객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절임배추 유통전략 수립시 신뢰와 접근용이성 등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관점에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인터넷과 산지직거래의 경우, 배달시간 엄수 등 차별적 택배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 신뢰를 확보하는 전략 추진이 중요하다. 또한, 소비자와 절임배추 가공농가간 직거래망 확대와 절임배추 가공농가의 절임배추 자체 품질 인증제 등의 도입을 통해 소비자와 신뢰를 형성하고, 적정가격을 보장받는 전략 실행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자주식 배추수확기의 인발성능 및 전처리부 설계

        김호진,최영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에서는 주행부, 주반송부, 동력전달부 등으로 구성된 배추를 인발하여 수확할 수 있는 궤도형의 자주식 인발형 배추수확기 개발, 인발기능과 이송기능을 갖는 주이송부의 설계 요인에 따른 포장 수확 성능 평가, 우리나라 품종별 재배작형에 따른 배추 물리적 특성 분석 및 시작기의 인발 및 반송 성능 향상을 위한 전처리부 설계를 수행하였다. 수확기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계절별 대표 품종(봄배추: 대통배추, 가을배추: 노랑배추, 월동배추: 겨울왕국)에 대해 수확시기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겉잎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크기를 품종별 평균값으로 나타냈을 때 3가지 품종에 있어서 폭은 22.7 ~ 30.6 cm, 높이 29.9 ~ 33.8 cm 범위로 나타났으며, 수직인발력은 평균 90.8~159.5 N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인발각도, 속도비를 인발성능 요인으로 고려한 인발성능 평가에서 인발각도 35°, 수확기 주행 속도가 0.4 m/s 이고 인발벨트 속도 0.61 m/s 일 때의 속도비 1 : 1.22에서 인발률 80%로 인발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보다 향상된 배추 인발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발 시 배추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메카니즘이 추가로 요구되어 배추수확기 주이송부의 전방에 부착할 수 있는 유인부와 보조반송부로 구성된 전처리부를 전장 88 cm, 전폭 60 cm, 전고 15 cm의 치수로 설계・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ulling performance of a Chinese cabbage harvester, which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a self-propelled harvester with pulling mechanism. The harvester is consisted of crawler-type running gear, main pulling conveyor, hydro static transmission system as main units. In order to get the informations for developing a pulling mechanism, physical properties of three types of Chinese cabbages, which were cultivated in different seasons of spring, autumn and winter, were investigated. Also, vertical pulling force was measured. The size of the three types of Chinese cabbages ranged from 22.7 cm to 30.6 cm in width and 29.9 cm to 33.8 cm in height. In general, winter Chinese cabbage showed larger size than other varieties. The pulling force ranged from 90.8 N to 159.5 N on average. Field tes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ulling performance of the harvester. The results of the test showed the best pulling rate of 80% when the conditions were at inclined angle of 35° of the main conveyor, the driving speed of 0.4 m/s, and the belt speed of 0.61 m/s (speed ratio 1:1.22). Howev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an auxiliary device such as a preprocessing unit should be designed to enhance the pulling and conveying performance. The preprocessing unit was designed so that it can be attached in front of the main pulling conveyor of the prototype harvester and is consisted of induced unit and auxiliary pulling conveyor. The preprocessing unit was designed with dimensions of 88 cm in overall length, 60 cm in overall width and 15 cm in overall height. It is expected that the unit can help for Chinese cabbages to be pulled out easily and to ensure stable transfer along the main pulling conveyor.

      • 결구 배추의 결속기구 설계

        김상석 ( Sang Seok Kim ),홍태윤 ( Yun Tae Hong ),나윤채 ( Yun Chae Na ),박종서 ( Jong Seo Park ),이재덕 ( Jae Duck Lee ),문용주 ( Yong Ju Moon ),하유신 ( Yu Shin Ha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농기계 분야는 과거에 비해 상당한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다. 논 농업의 경우 이에 이용되는 트랙터는 PTO 축을 활용하여 다양한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친환경 엔진을 개발하여 유해물질의 배출을 줄이는 단계까지 발전하였다. 그에 비해 밭농업은 기계화의 진행이 매우 더딘 상황이며, 배추 결속 작업은 아직도 농민이 결속끈을 이용하여 직접 손으로 배추를 결구 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배추를 재배하는 농민의 근골격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인력난에 시달리는 농업인에게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결속기는 덩굴성 작물의 유인작업이나 지주대가 꼭 필요한 작물의 줄기 결속작업에 사용하는 기구로서 주로 토마토, 가지, 고추, 포도, 오이 등에 이용되고 있다. 원예용 결속기는 롤테이프식 결속끈을 끈지지대와 힌지식 손잡이를 이용하여 결구한 후 결속날로 결속끈을 커팅하여 결속작업을 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기구적으로 작물의 줄기를 결속하기 때문에 지름이 큰 원통형 배추의 결속에는 적합하지 않는 방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추 결구를 위해 배추 결속 기구를 개발하는 것으로 본체에 해당하는 프레임부와 결속부는 원예용 결속기(조남선, 2007)의 원리를 응용하였고, 배추의 겉잎을 들어 올리는 리프팅 장치를 추가 설계하였다. 배추의 겉잎을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 장치는 배추의 겉잎을 감싸고 결속기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유도끈이 늘어나고 줄어들도록 나선형 태엽방식의 유도끈과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로 구성하였다. 배추가 결속 기구 안으로 들어오면 지지대는 배추의 겉잎을 감싸 들어 올리며 유도끈은 지지대의 쳐짐을 방지하여 완전한 결구를 유도한 후 커팅하여 결속되도록 제작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결속 작업의 신뢰성과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추의 손실 또한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개발된 배추 결속기구를 이용해 배추결속의 시간을 절약하고 필요한 노동력을 줄일 수 있었다. 제작한 배추결속기는 모형으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실제 배추의 크기에 맞게 제작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며, 실제 크기 배추결속기로 작업 시 손목에 피로를 누적을 완화하기 위한 경량화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배추 수확기용 이송 수집부 설계

        김규봉 ( Kyu Bong Kim ),신서용 ( Seo Young Shin ),주현식 ( Hyun Sik Joo ),신주원 ( Joo Won Shin ),김영길 ( Young Gil Kim ),김대철 ( Dae Cheol Kim ),김혁주 ( Hyuck Joo Kim ),손형일 ( Hyoung Il Son ),조용진 ( Yongj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망사형 톤백은 부패하고 변질되기 쉬운 작물 등을 손상을 없이 장기간 유통, 저장 및 보관에 유리하다. 또한, 배추와 같은 부피가 큰 농산물에도 보관 및 저장이 용이하여 현재 국내 배추 유통시 망사형 톤백을 이용하고 있다. 유통을 위하여 망사형 톤백에 배추를 적재하는 작업은 대부분 인력으로 작업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망사형 톤백을 이용하여 배추를 수집할 수 있도록 배추 수확기용 수집부 설계에 목적을 두고 있다. 배추용 망사형 톤백의 크기는 900 × 900 × 1200 mm (L × W × H), 배추 최대 적재 개수는 150개로, 최대 적재 무게는 500 kg 이다. 현재 개발 중인 배추 수확기는 D사의 4조 콤바인 주행부를 베이스로 하고 예취부, 이송부, 수집부가 베이스 위에 탑재되도록 설계하였다. 배추수확기용 수집부는 설계 프로그램인 P사의 Pro-E를 사용하여 콤바인 후면에 부착하는 형식으로 설계하였다. 설계한 배추 수확기용 수집부의 크기는 1100 × 1400 × 1480 mm (L × W × H), 무게는 150 kg 이다. 배추 수확기용 수집부는 메인 프레임과 상하차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은 톤백 걸이봉 및 톤백 걸이로 구성하여, 톤백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가변형 톤백 고정 장치를 설계하였다. 상하차 장치는 상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배추 적재 시 낙하로 인한 손상을 줄이고, 정확한 위치에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망사형 톤백을 이용한 배추 수확기용 수집부 개발하여 현장에 투입하게 된다면 적재 작업시 발생하는 노동력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인건비 절감 및 배추 수확 기계화에 유리하다.

      • 배추좀나방 생물적 방제를 위한 천적유인작물의 도입

        권민,김주일,유동림,윤영호,최준열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고랭지 배추밭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을 생물 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방안은 천적 대량방사와 천적 유인식물의 도입이다. 이를 위해 2009년 4종(레드클로버, 감국, 배초향, 메밀), 2010년 3종(부처꽃, 부추, 메 밀) 식물의 천적 유인효과를 검토하였다. 배추묘 정식(15×8m/구) 한달 후(7/28) 배 추좀나방 성충 200마리를 접종하였다. 산란과 부화를 거쳐 충분한 밀도의 배추좀 나방 유충이 보이기 시작한 시기(8/9)에 배추나비고치벌(Cotesia glomerata L.) 성 충을 구당 60마리씩 방사하였다. 천적방사 후 일주일 간격으로 유인작물 시험구별 배추 10주의 잎에 붙은 고치의 수를 4주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천적방사 1주와 2 주차에 가장 많은 고치를 보인 곳은 부처꽃(Lythrum anceps (Koehne) Makino) 도 입 배추밭이었으며, 부추>메밀>무방사구 순이었다. 그러나 3주차에 접어들면 모 든 시험구에서 별 차이가 없었다. 2009년의 경우, 감국(Chtysanthemum indicum L.)이 심겨진 배추밭에서 고치가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모든 유인식물간 유의성은 없었다. 2010년 야외 고치발생 밀도는 2009년에 비해 낮았는데, 이는 2009년 8월 하순 이후부터 강수량이 극히 적어서 낮은 상대습도와 긴 일조시간 때문에 배추좀 나방 발생량을 증가시켰고 이는 천적기생률 및 고치개체수의 증가를 가져왔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배추좀나방의 기생천적인 배추나비고치벌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부처꽃을 배추밭에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경제적 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부처꽃 재식밀도에 대한 시험이 요구된다.

      • 배추 수확기용 견인형 수집부 보완설계

        주현식 ( Hyun Sik Joo ),신서용 ( Seo Young Shin ),신주원 ( Joo Won Shin ),김영길 ( Young Gil Kim ),김대철 ( Dae Cheol Kim ),김혁주 ( Hyuck Joo Kim ),손형일 ( Hyoung Il Son ),조용진 ( Yongj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부착형 수집부를 사용한 배추 수확기의 주행 및 작업 안정성을 개선을 위한 견인형 수집부를 설계 제작하였다. 하지만 제작된 견인형 수집부 시작기에서 주행 안정성에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완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수집부의 배추 적재 작업시 배추 손실과 배추 적재로 인한 무게중심 변화등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방안이 필요하다. 첫째로 배추 수확기 수집부의 주행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수확기 주행부와 견인형 수집부 간 주행 및 회전 시 서로 간섭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배추 수확기 본체의 최소높이와 최대높이에 대응하도록 견인고리의 높이를 120 mm로 연장하여 힌지핀 내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견인고리 옆면의 가이드판으로 회전 각도 범위를 90도에서 15도로 최소화하여 수확기 주행부와 견인형 수집부 간의 간섭을 줄여 주행 안정성을 개선하였다. 둘째로 배추 수확기의 작업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개선전 견인형 수집부의 주행바퀴는 2개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배추 적재로 인한 수집부의 무게중심이 변화하여 앞 혹은 뒤쪽으로 기울여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수집부의 주행바퀴 2개를 추가하여 배추 적재시 수집부의 무게중심 변화에 대응하도록 하였다. 또한 주행시 변화하는 배추 이송 거리(배추 이송부에서 배추 수집부간 이송 거리)로 배추가 적재함으로 이송 불량이 발생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이송부 끝부분에 배추 이송 가이드라인을 설치하여 변화하는 배추 이송에 대응하여 배추가 적재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추가적인 필드 시험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실시한 보완설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배추 망포장 장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망포장부 요인시험장치 설계

        김규봉 ( Kyu Bong Kim ),이명희 ( Myung Hee Lee ),한용호 ( Yong Ho Han ),이승훈 ( Seung Hun Lee ),김대철 ( Dae Cheol Kim ),조용진 ( Yong J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목적 배추는 생산에 있어서 수확작업은 전체노동투하시간의 16.1~19.4%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적으로 인력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수확 작업은 예취작업, 망포장작업으로 나눌 수 있다. 배추수확 시 예취작업전 배추의 평균 중량은 봄배추는 4.54 kg 고랭지배추는 2.67 kg 으로 나타났으며, 배추망포장 작업을 위하여 겉잎 제거 후 배추의 평균 중량은 봄배추는 3.37 kg, 고랭지배추는 1.87 kg 으로 조사되었다. 망배추는 망 하나당 배추 3개로 포장되므로 망배추당 한 개 당 최대 10 kg 이상의 중량을 갖게 된다. 배추는 타 작물에 비하여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배추 망포장 작업에 있어 작업자의 신체에 부담을 주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신체 부담 및 노동력 감소를 위하여 배추 수확시 배추 망포장 장치 개발이 필요하다. 방법 배추 망포장 시스템 공정은 배추망공급, 망 배추투입, 망결속, 배출 및 이송순으로 총 4단계 공정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배추 망포장 1단계(배추망공급)는 배추망 공급장치를 배추망 보관함에서 배추망을 1매 공급하여 자동적으로 배추망 투입라인에 연결시키는 공정이다. 망포장 2단계(망 배추투입)는 배추를 배추망에 공급하기 위하여 배추망 투입구를 확장시킨 후, 배추를 투입, 배추망 결속을 위하여 배추가압하는 공정이다. 망포장 3단계(망결속)는 망 끈조임 및 결속 후 배출장치 연결 공정이다. 마지막 배추 망포장 4단계(배출 및 이송)는 결속된 망배추를 낙하 시켜 컨베이어로 수집부로 이송시키는 공정이다. 결과 이 배추 망포장 공정시스템을 바탕으로 배추 망포장 1단계부터 2단계까지 연속적으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요인시험장치를 설계하였다. 요인시험장치는 1505 x 725 x 930 mm 으로, 배추망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스프링, 배추망 입구 확장을 위한 벨크로, 체인 브라켓을 이용하여 배추망을 확장하고 망 배추 투입시 배추망 고정을 할 수 있도록 텐션 스토퍼로 구성되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