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골프선수들의 경기력 방해요인 및 상대적 중요도 분석

        손승범,한근호,김춘종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골프선수로서 체득한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경기력 방해요인을 구조적으로 탐색하고, 경기력 방해요인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경기력 방해요인들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위계적으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경기력 방행요인들은 최종적으로 계층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실시하였다. 대학골프선수의 경기력 방해요인은 신체요인, 환경요인, 그리고 심리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방해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자신감 저하, 부상, 부담감 증가, 준비과정 미흡, 지원 및 지지 부족, 컨디션 조절 실패, 집중력 저하, 날씨, 징크스, 동반선수, 부적절한 음식섭취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골프선수들의 경기력 방해요인은 집단 특성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시합을 준비함에 있어서 신체적 훈련부터 심리 적 측면, 식이습관에 이르기까지 세밀한 준비과정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또한 경기력 방해요인은 특정 요인만으로 설명하 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른 영역들과 어떤 상호작용이 있는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즉, 경기력 방해요인은 대학 골프선수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경기력 방해요인들 간의 상호작용 및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ct as barriers affecting performance based on the experiential knowledge of golfers and to analyz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barriers affecting performance quantitatively. For the study, open-ended questions were used to collect the barrier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and those collected data were hierarchically categorized through inductive analysis. Then, a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was finally performed with the barrier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Factors that act as barriers affecting performance of college golfers were sorted as physic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order of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barrier factors was revealed to be lack of confidence, injuries, increased pressure, insufficient preparation, lack of support, fail to get in shape, fail to concentrate, weather, jinx, accompanying players, and inadequate food intake. To study the barrier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of college golfers, not only shoul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be understood but also should the detailed and planned preparations from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aining to eating habits be required. As there is a limitation to explain the factors that act as barriers affecting performance by certain factors, understanding an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is necessary. An interaction an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barrier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should be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golfers in order to study the barriers affecting performance.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상담요청 결정 과정의 촉진요인 및 방해요인

        이보미,최한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청소년상담연구 Vol.23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elements motivating and discouraging in pro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counseling demand. 9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counseling and 11 students who did not experience is interviewed, collected ideas. By being synthesized and edited, the final statements were reduced to 49 and 53. Participants rated similarity and importance.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tract dimensions in the previously classified and rated statements. Results showed that promoted students’ concept map was consisted of two dimensions(perceive of counsel’s intrinsic worth-secondary worth, grow naturally motive-condition motive). Also, who experienced the counseling group showed five clusters(positive concept about counsel teacher, realize about detailed necessity, positive vague concept about counsel, concept about counsel’s normalization, recommendation and promote from surroundings). Discouraged students’ concept map was consisted of two dimensions(active disturbance factor-inactive disturbance factor, related factor from counsel-external factor from counsel). Also, who did not experience the counseling group showed six clusters(negative concept about counsel teacher, other helping methods of availability, limited time and no perceive about worry, problem solve form friends, worried about counsel’s negative attention, worried about anonymity and keeping secret). Rating similarity and importance, ‘positive vague concept about counsel’ and ‘negative concept about counsel teacher’ was important from each group. The result gives information those points out elements that discouraged students to avoid seeking for the counseling and encourage them to visit the office.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중학생이 학교 상담실에서 제공하는 상담 서비스 요청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촉진 및 방해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요청 경험이 있는 학생 11명과 상담요청 경험이 없는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촉진요인과 방해요인의 아이디어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아이디어를 통합하여 최종적으로 촉진요인 49개, 방해요인 53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이 진술문들에 대해 유사성 평정과 중요도 평정을 시행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이 평정한 유사성 평정 자료를 다차원 척도법(ALSCAL법)과 군집분석(Ward)을 시행하여 중학생의 학교상담 요청 촉진요인 및 방해요인의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상담 요청 촉진요인은 2개 차원과(상담 고유의 가치에 대한 인식-상담의 부차적 가치에 대한 인식, 자생적 동기-조건적 동기) 5개의 군집(상담선생님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상담의 구체적 필요성 자각, 상담에 대한 막연한 긍정적 기대, 상담에 대한 인식의 정상화(normalization), 상담에 대한 주변의 추천 및 홍보)으로 개념도가 구성되었다. 둘째, 학교상담 요청의 방해요인을 분석한 결과, 2개의 차원(적극적 방해요인-소극적 방해요인, 상담 관련 방해요인-상담 외적 방해요인), 6개의 군집(상담선생님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상담 외 다른 도움체계 가용성, 시간적 제약 및 필요성 미인식, 또래에 의한 문제 해결, 상담받는 것에 대한 부정적 시선 염려, 상담의 익명성 및 비밀 보장에 대한 염려)이 확인되었다. 셋째, 진술문들에 대한 중요도 평정 결과, 촉진요인 중에서 ‘상담에 대한 막연한 긍정적 기대’가, 방해요인 중에서는 ‘상담선생님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된 학생의 상담요청 촉진 및 방해요인은 중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필요시 상담을 요청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독해를 방해하는 요인분석 연구

        이경남 ( Lee Gyeong-nam ) 한국독서학회 2016 독서연구 Vol.0 No.40

        이 연구에서는 독해를 방해하는 요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독해 방해는 독해 과정에서 나타나는 독해를 실패하게 하는 원인과 신호라고 할 수 있다. 독해 방해가 나타나는 원인으로 독자 중심의 이해, 텍스트중심 이해의 방해, 독자와 텍스트의 방해가 있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구성한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을 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4개의 차원으로 16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요인 1은 독자 중심의 이해, 요인 2는 텍스트 중심의 이해, 요인 3은 독자 방해, 요인 4는 텍스트 방해 요인으로 설명되었다. 독해 방해와 독서능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상관분석 결과 독서 능력 점수와 요인 1은 -.302, 요인 2는 -.352의 상관계수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상관분석 결과는 변인 간의 부적 상관관계가 상당히 깊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독해 방해를 인식하는 점검하기 전략 지도, 독해 결과보다 과정에서 점검하기 지도, 독서 능력과 관계없이 독해 방해 점검하기 지도, 독해 방해 검사지 활용하여 점검하기 지도가 필요하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suggeste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factors influencing on the confusion of reading comprehension proved statistically. The confusion of reading comprehension is signals, causes disturbing comprehension in reading. Major causes are reader-based comprehension, text-based comprehension, text, reader. The based on describing theory-based constructs, this study analyzed factors of the confusion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verifying reliability.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uggested that Four Factors were loaded. This results were explained theory-based constructs. A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verage of loaded factors and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as that scores correlated with factor 1(-.302, p-value of 0.01), factor 2(-352, p-value of 0.01). This results are interpreted that two factors have highly negative correlation. I suggest four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we have to instruct monitoring about cognizing their confusion of comprehension, executive functioning their comprehension process in reading, without their reading score, using tools of confusion

      • KCI등재

        수업 방해 요인에 대한 대학생과 교수의 인식 차이 및 학습자의 수업 방해 요인과 수업 참여, 만족도와의 관계

        정은이 ( Eun I Jeong )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 있어서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수업 방해 요인에 대한 대학생과 교수의 인식을 살펴보고 수업 방해 요인이 수업 참여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수업 방해 요인으로 교실 내 소음을 가장 많이 언급했으며, 그 다음으로 부적절한 교수 방법, 피곤함과 졸음, 외부 소음, 고민과 스트레스 순으로 응답했다. 수업 방해 요인을 학습자, 교수, 환경 요인을 분류한 결과 학습자 요인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교수 요인, 환경 요인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들은 수업 방해 요인으로 기자재 미비를 가장 많이 언급했으며, 그 다음으로 외부 소음, 학생들의 불성실한 태도와 학습 동기 부족, 수업 준비를 안 해 오는 것 등을 언급했다. 수업 방해 요인을 학습자, 교수, 환경 요인을 분류한 결과 환경 요인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학습자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관련 요인은 언급되지 않았다. 셋째, 수업방해는 수업 참여 및 만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수업 방해 하위 요인들이 수업 참여 및 만족을 설명하는 정도를 살펴 본 결과, 수업 참여에는 학습자 요인이, 수업 만족에는 교수 요인이 유의미한 부적 설명력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교육의 수월성을 확보하고 보다 질 높은 대학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갖게 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college students` and professors` perception about disturbing factors in class and examined their effects on clas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college students, the most disturbing factors in class were noises within classroom, inappropriate instructional methods, physical fatigue and sleepiness, noises from outside, and personal worries and stresses in the order. When these factors are categorized into learner factor, instructor factor, and contextual factor, learner factor was perceived as the most critical, followed by instructor factor and then contextual factor. Second, for professors, the most disturbing factors in class were lack of instructional equipment, noises from outside, students` lack of attitudes and motivation to learn, and students` lack of preparedness for class in the order. For professors, contextual factor was perceived as the most critical, followed by learner factor while instructor factor was not mentioned. Third, class disturbance correlated negatively with clas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lass disturbance, learner factor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class participation while instructor factor was a significant factor of class participation. These results provide foundational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to establish excellence and improve instructional quality.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의 도전・방해요인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동환(Dong-Hwan Lee),장영철(Young-Chul Cha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7 창조와 혁신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스트레스요인 중 직무성과에 긍정적 요인으로 알려진 도전요인과 부정적 요인으로 알려진 방해요인이 한국의 근로자들에게도 각각 상반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종업원 인게 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찰을 실시하였 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40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의 설문지 22개를 제외한 378개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도전요인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하위 변수인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해요인은 직무몰입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조직몰입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직지원인식은 도전요인과 직무몰입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는 조직 지원인식이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국내에서도 직무스트레스의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서로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조직지원인식의 향상으로 도전요인이 직무몰입을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직무스트 레스의 긍정적 요인에 대한 연구로서 학술적 의미가 있다. 또한 기업들은 조직차원 에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으로 구분하여 방해요인은 낮추고 도전요인은 장려하며, 동시에 조직지원인식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를 증가 시킬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mpacts of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on employee engage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t is to examine whether work stressor, challenge factor known as positive factor affecting on work performance and hindrance factor as negative factor, may contrastingly influence to Korean workers.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workers aged above 20 who reside in Seoul. Among the returns, 378 responses are used except 22 copies with unreliable responses. As a result, challenge factor positively influences on subfactors of employee engagemen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and hindrance factor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engagement but had a nega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ngagement.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challenge factor and job engagement. However,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influencing on organizational engag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finds that work stressor related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differently influence to domestic workers, and the growth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n greatly enhance job engagement through challenge factor. This study has academic importance as domestic research about positive factor of work stressor. Additionally, this study has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companies may encourage employee engagement by classifying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so as to encourage challenge factor and decrease hindrance factor as well as strategize to enhance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의 도전·방해요인이 신체적 증상 및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이동환(Lee, Dong Hwan),장영철(Chang, Young Chul)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조직 구성원의 신체적 증상과 종업원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긍정정서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남녀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378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긍정적 요인인 도전요인은 신체적 증상 중에서 수면장애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직무인게이지먼트를 유의하게 향상시켰지만, 조직인게이지먼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부정적 요인인 방해요인은 신체적 증상 중에서 수면장애, 두통, 소화기 증상 및 상기도 감염 모두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방해요인은 직무인게이지먼트와 조직인게이지먼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긍정정서는 도전요인이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과 도전요인이 직무인게이지먼트와 조직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관련 연구 분야에서 처음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의 긍정적 요인을 이론적으로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 차원에서 방해요인은 줄이고, 도전요인은 장려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의 신체적 증상을 줄이고, 직무 및 조직에 더 몰입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allenge and hindrance factor from job stress on physical symptoms and employee engagement of each member of an organization. This study also verifies mediating role of positive affects during this process. For the study, 37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workers over the age of 20 living in Seou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hallenge factor which is a factor of job stress and considered positively reduces sleep disturbance among physical symptoms significantly. Challenge factor also improved job engagement significantly, but it didn’t affect organizational engagement. Whereas, hindrance factor which is considered negatively increased sleep disturbance, headache, gastrointestinal problem, and upper respiratory infection of physical symptoms. And it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Also, positive affects played its mediating role between challenge factor and its effects on sleep disturbance,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This study is the first domestic research to develop positive factors of job stress theoretically by separating job stress factors to challenge factors and hindrance. This study is also important, because it shows that the relevant institutions have to be supplemented to reduce hindrance and help workers to concentrate on their works by distinguishing challenge factors from hindrance and reducing physical symptoms.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의 도전・방해요인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동환,장영철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7 창조와 혁신 Vol.10 No.3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mpacts of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on employee engage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t is to examine whether work stressor, challenge factor known as positive factor affecting on work performance and hindrance factor as negative factor, may contrastingly influence to Korean workers.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workers aged above 20 who reside in Seoul. Among the returns, 378 responses are used except 22 copies with unreliable responses. As a result, challenge factor positively influences on subfactors of employee engagemen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and hindrance factor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engagement but had a nega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ngagement.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challenge factor and job engagement. However,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influencing on organizational engag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finds that work stressor related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differently influence to domestic workers, and the growth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n greatly enhance job engagement through challenge factor. This study has academic importance as domestic research about positive factor of work stressor. Additionally, this study has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companies may encourage employee engagement by classifying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so as to encourage challenge factor and decrease hindrance factor as well as strategize to enhance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스트레스요인 중 직무성과에 긍정적 요인으로 알려진 도전요인과 부정적 요인으로 알려진 방해요인이 한국의 근로자들에게도 각각 상반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40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의 설문지 22개를 제외한 378개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도전요인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하위 변수인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해요인은 직무몰입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조직몰입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직지원인식은 도전요인과 직무몰입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는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국내에서도 직무스트레스의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서로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조직지원인식의 향상으로 도전요인이 직무몰입을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직무스트레스의 긍정적 요인에 대한 연구로서 학술적 의미가 있다. 또한 기업들은 조직차원에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으로 구분하여 방해요인은 낮추고 도전요인은 장려하며, 동시에 조직지원인식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를 증가 시킬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 KCI등재

        뇌졸중 노인의 신체적, 환경적, 정서적, 수면 방해 요인에 따른 수면 위생의 차이

        박수향(Su-Hyang Park),신중일(Joong-Ill Shi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노인의 수면 방해 요인에 따른 수면 위생의 차이를 알아보고 수면 방해 요인에 대한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자는 부산, 경남, 광주, 전남에 위치한 6개 기관의 뇌졸중 노인 총 120명이었으며, 6개 대상기관에 설문지를 배포한 후 대상자는 작업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구글 드라이브를 이용한 모바일 설문에 참여하였다. 미응답, 불성실 응답 40부를 제외한 설문 80부를 SPSS 21.0 mac version을 사용하여 항목의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면방해 요인 유무에 따른 수면 위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적 방해요인, 환경적 방해 요인, 정서적 방해 요인 세 가지 방해 요인 모두에서 방해 요인을 가지고 있을수록 뇌졸중 노인의 수면 위생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노인의 수면 방해 요인이 수면 위생에 부정적인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통적인 수면 방해 요인인 스트레스와 불안한 상태, 불편한 침실에 대한 중재가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요양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노인의 수면방해 요인 감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search the difference of sleep hygiene depending on whether patients staying in care hospitals have sleep disturbance factors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on sleep disturbance factors. The subjects were total 120, who completed survey with the help of occupational therapists after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Total 80 copies except unanswered and unfaithful 40 copies were analyzed with the use of SPSS 21.0 mac version by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To research the difference of sleep hygiene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sleep disturbance factors,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us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when they had all disturbance factors including physical factor, environmental factor and mental factor, the sleep hygiene was not good. Based on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leep disturbance factors of patients staying in care hospitals are negative elements of sleep hygiene, and the intervention to reduce sleep disturbance factors is needed. Thus, there should be active future research about reduction of sleep disturbance factors of patients staying in care hospitals.

      • 도전적 ·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민정(Min Jeong, Park),안성익(Seong Ik, Ahn)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본 연구의 목적은 도전적 ·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는 많이 연구되어왔지만 과거 연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주로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역할 과부하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의 역할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연구되어왔는데 최근에는 직무 스트레스를 두 가지 차원(도전적, 방해적)으로 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Cavanaugh et al ,2000).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으로 한국에서의 도전적, 방해적 스트레스요인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도전적 · 방해적 스트레스요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요인을 받아들이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기존 연구에 따라 개인이 자신, 타인, 주위의 환경에 대해 본인 스스로 내리는 평가인 핵심자기평가를 통해서 도전적 ·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소진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일반 사무직 직장인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를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도전적 스트레스 요인과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 모두 직무소진과 유의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핵심자기평가는 도전적 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소진의 관계는 조절하지 않지만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소진의 관계는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스케이팅선수 경기력 방해요인의 시계열적 경향성

        최은경 ( Eun Kyung Choi ),윤영길 ( Young kil Yu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3 체육과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스케이팅선수의 경기력 방해요인을 추출하고, 시즌이 진행되는 동안 추출한 방해요인의 시계열적 경향성 탐색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경기력 방해요인 추출을 위해 50명의 스케이팅선수를 대상으로 경험표집법(ESM)의 논리를 도입해 시즌이 진행되는 5개월 동안 14차례의 개방형설문을 반복하였다. 개방형설문결과 1,489사례의 경기력 방해요인이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방해요인은 의미의 유사성을 토대로 21개 세부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세부영역은 방해요인의 성격을 토대로 심리적 압박, 컨디션 난조, 환경 불만, 주요타자와 갈등 등 4개 일반영역으로 분류하였다. 14회에 걸친 경기력 방해요인 영향력의 일반영역 응답비율 회귀식의 기울기는 환경 불만(-.75), 심리적 압박(-.24), 주요타자와의 갈등(-.03)은 음(-)의 방향을 보여 시즌이 진행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컨디션 난조(+1.01)는 양(+)의 방향을 보여 시즌이 진행되면서 경기력 방해요인으로 영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회귀식 패턴에서 심리적 압박과 컨디션 난조는 음의 상관을 보였으며, 대회 기간 중에는 심리적 압박이 증가하고 컨디션 난조가 감소하는 반면, 대회 사이 기간 중에는 컨디션 난조가 증가하고 심리적 압박은 감소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ategorized psychological obstacles and time-based tendencies of psychological obstacles for speed skater`s performance. In order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obstacles, 50 skaters were conducted open-ended questionnaires for 14 times which applied ESM logics. The result of open-ended questionnaires was that 1,489 psychological obstacles were collected. The result of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content analyses. Result shows 1,489 raw data were separated into 21 specific domains, which were then again integrated into 4 general domains. The 4 general domains were psychological pressure, performance trouble, environmental problem, and conflict with significant others. The gradient of the function conducted with the results of the ratio or general domain showed a unique result. The gradient of environmental problem(-.75), psychological pressure(-.24), conflict with significant others (-0.03) tends to decline as the season proceeds, but performance trouble(+1.01) increased its effect was a performance damager. The results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pressure and performance trouble. During the competition, psychological pressure increases while performance trouble decreases, in contrast to when skaters are off competitions, performance trouble increases while their psychological pressure decr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