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잡보 방학중 전설의 시적 은유와 웃음의 미학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2

        건달형 인물이나 트릭스터로 인식된 방학중을 민중적 영웅으로 해석하는 데에서 나아가 ‘잡보’라는 새로운 인물 유형으로 주목하고, 잡보형 인물전설이 왜 우스운지, 웃음의 논리는 어디에 있는지 그 이치를 따져본다. 왜냐하면 잡보형 인물을 사기꾼으로 여기지만 이야기를 전승하는 사람들은 사기행각에 분노하기는커녕 오히려 웃기 때문이다. 방학중의 행위를 속는 사람의 처지에서 보면 속이는 행위처럼 보이나, 듣는 사람의 처지에서 보면 기지가 넘칠 뿐 아니라, 방학중의 처지와 사회적 모순의 숨은 진실이 보인다. 그러므로 드러난 행위의 속임수와, 숨어 있는 진실 사이의 관계를 포착하는 것이 잡보형 인물전설 해석의 새로운 시각이다. 잡보형 인물전설은 내용과 미적 범주에 따라 두 갈래로 분류된다. 내용의 범주로 보면 속이고 속는 유형의 사기담이고, 미적 범주로 보면 웃음을 자아내는 골계담이다. 사기담으로 보면, 방학 중이 속일 의도가 없는 것은 물론, 속은 사람이 없어도 마치 누구를 속이는 사기꾼처럼 인식된다. 골계담으로 보면 방학중이 사회적 모순에 맞서는 저항적 언행도 한갓 우스개처럼 인식된다. 사기담과 골계담의 이분법을 아우르면서 두 유형의 한계를 극복하는 분석요소가 문학적 은유이다. 통금을 위반하여 순라군에게 잡힌 방학중이 자신을 ‘서답’ 또는 ‘통서답’이라고 한 것은 민중의 초라한 모습과 저항적 민중의식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은유이다. 따라서 순라군은 은유의 재치와 의미에 감탄하고 ‘천하잡보’로 인식한다. 그러나 비가 새는 오두막을 ‘청룡황룡이 구비치는 집’이라고 하거나, 또는 ‘똥을 새라고 속인’ 이야기는 으레 사기담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사실의 문학적 은유로 보면 역설과 반전에 의한 과장법의 은유이거나 인식론적 진실을 담은 비약적 은유에 해당된다. 따라서 빗물에 얼룩진 초라한 집을, 청룡황룡이 구비치는 집으로 표현한 것은 속임수이되 속임수가 아니다. 사실을 왜곡했기 때문에 속임수 같되, 그 왜곡이 사실을 역설적으로 과장한 은유인 까닭에 문학적 형상의 우스개인 것이다. 똥을 새라고 한 것도 거짓처럼 인식되나, 똥과 새는 모두 맨손으로 잡을 수 없는 것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비약적인 은유에 해당된다. 그러나 은유에 대한 이해 능력이 부족한 연구자나 욕망을 취하려는 전설 속의 인물은, 방학중의 기발한 은유를 이해하지 못하는 까닭에 속임수로 여길 수밖에 없다. 따라서 부정한 욕망에 사로잡혀 있는 기녀나 선비, 관리들은 방학중의 파격적 은유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속기 마련이다. 그러나 순라군이나 친구, 아내는 방학중을 잘 알기 때문에 파격적 은유를 이해할 뿐 아니라 그 은유에서 방학중의 불편한 진실을 포착한다. 그러므로 방학중 전설은 사회적 모순의 불편한 진실을 비약적 은유로 담아내고 있는 까닭에 웃음을 자아내긴 하지만, 한갓 웃기는 실없는 웃음이 아니라 뼈 있는 웃음이자 인간해방의 진보적 웃음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방학 운영에 관한 역사적 고찰

        김성혜(Kim, Sung-Hy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방학 운영이 시대별로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학에 관한 비교적 구체적 기록은 조선시대 왕실교육기관인 종학이 그 시초였던 것으로 보인다. 종학의 경우 하기방학 7월 7일부터 8월 23일까지, 동기방학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대체로 동기가 하기보다 더 길게 운영되었다. 지방 관학인 향교의 경우 그 방학기간은 명확치 않으나 농번기나 흉작, 농사 실패의 경중에 따라 수시로 방학하되, 전원 방학, 윤번 방학 등이 이루어졌으며, 방학하기를 원치 아니하는 자에게는 계속 공부할 수 있는 기회도 부여했다. 또 방학기간 동안 교관에게 고을 수령을 도와 백성을 구제하는 임무가 주어졌음에서 향교의 사회교육적 기능, 교관의 사회교육적 역할도 읽을 수 있었다. 개화기 방학 운영 실태는 학교규칙을 통해 볼 때 대체로 하기의 경우 7, 8월 60일정도이며, 동기의 경우 12월말부터 1월초까지 5-10일정도로, 활동이 많은 하기가 동기보다 방학기간이 훨씬 길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일제강점기의 방학기간은 춘기의 경우 4월 1일부터 10일간, 하기의 경우 7월중순에서 8월말 50일정도, 동기의 경우 12월말에서 1월초 5-10일정도로 개화기와 마찬가지로 하기방학기간이 훨씬 길었다. 그러나 실제 운영 실태를 보면 난방비 절감 문제, 원거리학교 통학 문제, 농업학교의 영농기타 실제교육 등으로 수시로 하기방학을 단축하고 동기방학을 연장 운영했음을 알 수 있으며, 광복이후에도 연료비 문제 등을 이유로 동기방학 기간이 대체로 길게 운영되어 왔다. 본 연구는 방학 기간을 중심으로 다소 제한적 사료 검토에 그친 아쉬움이 남지만 앞으로 방학 운영 전반에 관한 연구로 발전시켜 나감에 있어서 그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operations of vacation. In the age of civilization, the vacation was operated from July to August(about sixty days) in the summer period, from the end of December to the beginning of January(from five to ten days) in the winter period, according to the school regulations. In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vacation was operated from April 1(about ten days) in the spring period, from the mid-July to the end of August(about fifty days) in the summer period, from the end of December to the beginning of January(from five to ten days) in the winter period, according to the school regulations. But in the practical operations, the period of winter vacation had been longer than the period of summer vacation, in the age of civilization and Japanese imperialism. On and after the 1945 Liberation, the period of winter vacation has been longer than the period of summer vacation, by reason of the fuel expense, etc. But this operation of vacational period will be presented problem which diminish studying efficiency of summer season and go wrong school affairs of end of a school year. And continual instruction of 17-19 weeks will be presented a problem of studying inefficiency, therefore it leave some room for consideration that spent about a week vacation at the mid of the term.

      • KCI등재

        한일 트릭스터형 인물전설로서의 방학중과 깃초무(吉四六)설화 연구

        서은경(Eun-kyung Seo)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2 No.-

        이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전설적 인물이자 트릭스터형 인물 중 방학중과 깃초무(吉四六)에 주목하여 설화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전설적 인물이자 설화적 인물로서의 공통된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방학중과 깃초무 모두 출신지역의 지리적ㆍ역사적 배경은 물론, 설화문학사적 위상 및 트릭스터형 인물로서의 전형성과 대표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방학중과 깃초무 이야기를 속임수의 공간과 대상, 목적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다음 세 가지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속임수가 나타나는 공간 면에서 방학중은 길 위의 공간인 ‘노정’과 타지인 ‘서울’, 다시 영덕으로 연결되는 ‘순환회귀’의 ‘동태형 노정 서사’의 특징을 보인다. 반면 깃초무는 소속지역 중심의 ‘정태형 지역 서사’의 특징을 보인다. 둘째, 속임수의 대상 면에서 방학중은 상대적으로 수직적 대결구도가 두드러지고 깃초무는 불특정다수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수평적 대립구도가 현저하다. 셋째, 속임수의 목적 면에서 방학중은 골탕ㆍ징치를 위한 속임수가 많고, 깃초무는 이에 비해 이윤추구를 위한 속임수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 과정을 거쳐 방학중과 깃초무 설화에 내재된 세계지향 및 사회문화적 의미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방학중은 신분 상승지향의 영웅적 트릭스터의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방학중의 모습에는 기존 질서에 의문을 제시하는 설화전승자이자 당대 상민의 모습과 바람이 투영되어 있다. 그러한 면에서 방학중은 민중의 의문에 답을 제시해주고 그들의 바람을 대신 실현해 주는 민중에 의해 재구된 트릭스터이자 영웅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깃초무는 집단편입 지향성을 보이는 골계적 트릭스터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여기에는 ‘무라(村)’ 공동체로서의 집단중심 문화와 그 안에서의 예절과 관습을 중시하는 일본의 ‘시쓰케(躾)’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깃초무 이야기를 통해 개인의 본질적 욕구와 집단중심의 질서 사이에서 고민하고 갈등하는 일본 근대 상민(常民)의 자각과 의문을 엿볼 수 있다. 방학중과 깃초무는 한국과 일본의 실존인물이자 설화향유자에 의해 새롭게 조형된 설화적 인물이다. 서로 다른 시공간에서 탄생, 성장한 인물임에도 두 사람은 전설적 인물이자 트릭스터형 설화인물로서의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다. 반면 이야기 속 속임수의 공간과 대상, 목적 면에서는 각기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독자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방학중과 깃초무 이야기에 반영된 당대 민중의 고민과 바람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세계문학사적 인물유형으로서의 트릭스터의 이해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folktales by focusing on Banghakjung and Kitchomu among trickster-type characters in South Korea and Japan.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tales of these two characters, the study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arrative and attempted to identify the world orientation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story narrators. First of all, the author looked at the similarities between Banghakjung and Kitchomu as real and legendary figures. Then,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haracter stories, and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pace, target, and purpose of tricks. As a result, the author could derive the following their characteristics. First, in terms of the space where the tricks occur, Banghakjung’s tal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dynamic path narrative’ of ‘road’, ‘Seoul’, and ‘Yeongdeok-Seoul-Yeongdeok’. On the other hand, Kitchomu’s tale exhibits the characteristics of a ‘static regional narrative’ that is centered on his community and everyday space. Second, in terms of the target for tricks, a vertical confrontation structure stands out between Banghakjung and his targets, whereas a horizontal confrontation structure is prominent between Kitchomu and his targets. Third, in terms of the purpose for tricks, Banghakjung mainly uses tricks for harassment, discipline, and revenge, while Kitchomu usually plays tricks for profit-seeking. Through the analysis, the author could derive the world-oriented and socio-cultural meanings inherent in the folktales of Banghakjung and Kitchomu. First, Banghakjung appears as a heroic trickster with a central upward orientation. Such a trait reflects the image and wishes of successive narrators who raised questions over the existing order. In this sense, Banghakjung can be said to be a heroic trickster reconstructed by the people to answer their questions and fulfill their wishes. Second, Kitchomu exhibits the traits of an ordinary trickster with a tendency toward group integration. This reflects Japan’s ‘Shitsuke’ culture the values group-centered culture, manners, and customs as a ‘Mura’ village community. Therefore, through the story of Kitchomu, readers and get a glimpse of the awakening and doubts of modern, lower-class Japanese people who agonize and struggle over balancing the essential desires of individuals with the group-centered order. Through the discussion, it can be seen that both characters were legendary and historic figures that were molded newly by those who enjoy folktales. Both men were the same trickster-type characters, but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rms of the space, target, and purpose of tricks. Furtherm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behind such uniqueness lies the world orientation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people of the time.

      • KCI등재

        방학중 전설의 골계성과 역사적 인식

        김헌선(Kim, Heon-Seon)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2

        이 논문은 방학중의 전설적 성격과 웃음에 대한 실체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방학중은 특정한 고장에서 생산된 인물전설이다. 인물전설이기 때문에 성스럽거나 탁월한 인물일 것 같지만 그렇지 않으며 악한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방학중이 악한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는 이유는 이 인물에 대한 특정한 성격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방학중이라고 하는 인물은 한 시대의 전환기에 등장한 인물이다. 중세사회가 해체되고 근대 사회가 성립하면서 의미 지향을 상실한 채 새로운 시대에 정립되기 때문에 나오는 현상이다. 방학중은 고정적인 우주불변의 시대를 부정하고 자유를 소중하게 생각하면서 한 시대의 역동적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인물에 대한 이야기이다. 방학중은 한 시대나 한 지역에서 한정된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방학중과 같은 인물은 지역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전국적으로 여러 고장에서 두루 창안되었다. 봉이 김선달(평양), 정수동 정선달(서울), 변인태(제주도), 진평구(김제), 태학중(남원), 백운학(청송), 이거두리(전주), 정만서(경주) 등과 같은 인물은 특정한 고장을 중심으로 해서 생산된 특성이 있다. 방학중과 같은 인물은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 가운데 하나이다. 방학중의 인물적 성격을 보여주는데 가장 적절한 인물이 곧 서유럽의 피가로와 같은 인물이 적절한 예증이 된다. 한 시대의 산물로 역사적 성격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될 전망이다. 사회의 날카로운 비판을 중심으로 웃음을 선사하면서 전환기의 자본주의 문제를 웃음으로 제기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Bang Hak Jung’s legendary character and laugh Bang Hak JungGroup to identify the purpose of a put. Figures produced by the particular failure Bang Hak Jung legend. Sex legendary figure because it humorous or not, but the evil would be an excellent person to be close to nature has. While the nature of this evil has intersessional people a reason to laugh at this person because of the particular nature of the grant. Referred to Bang Hak Jung figures appeared at the turn of the figure of the era. Medieval society was dissolved and established the modern society is the loss of the sense-oriented, because while establishing a new era emerging phenomenon. Bang Hak Jung period is fixed to a constant negative space and the freedom to cherish the value of an era centered on the dynamic character of the story. Bang Hak Jung period and the region is one meaning is not limited. Bang Hak Jung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keeping people across the country in the number of failures was invented in throughout. Bongi Kimseondal(Pyongyang), Jeongsudong (Seoul), Byeonintae(Jeju), Chin Pyung Ku(Gimje), Taehakjung(Namweon), Baekunhak (Chungsong), Jeongmanseo (Gyoungju), such as Focusing on a specific picaresque in the production characteristics. Bang Hak Jung figures such well-known figures in the world is one. Bang Hak Jung nature of the figures to show the most appropriate person, such as Figaro in Western Europe will soon illustrate this by an appropriate person. Historical character as a product of an era that is expected to clearly show. Sharp criticism of society around the turn of laughter and smiles of the issues raised by capitalism can be said to be a person.

      • KCI등재

        방학생활 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 경기도교육청의 방학분산제를 중심으로

        민윤경(Min, Yunkyung),정혜주(Jung, Hyejoo),신동용(Shin, Dongy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5차년도(2016) 데이터를 사용하여 방학분산제 정책이 학생들의 방학생활 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 아울러 학생들의 방학생활 효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개인 및 학교 관련 변인이 무엇인지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활용하여 다층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특성 변수 중 부모의 혼인상태, 학생의 수업 태도 및 진로 이해가 방학생활 효과인식에 대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특성 변수는 방학생활 효과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책특성 변수인 방학분산제의 실시여부 및 실시유형은 방학생활 효과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방학분산제의 정책적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처럼 분석 결과 방학분산제는 정책 도입 시 의도와 달리 학생들에게 목표한 만큼의 정책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부분에서는 방학분산제가 향후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고 그 효과를 제대로 달성할 수 있도록 정책 부문과 설문 조사 부문에서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cation policy on the perception of vacation effects in the fifth year(2016) data of GEPS, and school - related variables. To do this, a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was used to conduct multi-level analysis. First, the parental marital status, the students" attitudes and career understanding among the student characteristics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vacation effect. Second, the school characteristics do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vacation effect. Finally, the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type of the vacation characteristics, which is a policy characteristic variable, do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the vacation effect.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ur seasons vacation system did not achieve the policy effect as much as the aim for the students. In the discussion section, we propose a policy section and a questionnaire section to make four seasons vacation system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and achieve its effect properly.

      • KCI등재

        방학중의 인물 성격과 민중의 내면 표출

        이강옥 ( Kang Ok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4 No.-

        영덕지방을 중심으로 구연 전승되고 있는 방학중 이야기와 그것을 구연하는 지역 민중의 내면세계를 관련시켜 해석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했다. 방학중의 인물성격을 타인과 세상을 망가지게 하는 인물, 통념과 도덕률을 무시하는 인물, 자신의 열악한 처지를 낙관적으로 전환하는 인물, 말로써 자기 욕망을 충족시키는 인물 등으로 나누어 살폈다. 방학중 이야기를 구연하는 민중들은 방학중에 대한 복합적 태도를 보였는데, 이야기판의 상황에 따라 민중 구연자들의 태도는 바뀌었다. 민중의 내면속 심성들이 작동하는 양상에 따라 방학중에 대한 민중의 태도는 달라졌다. 방학중 이야기는 시대나 사회의 문제와 연결되기 보다는 개인의 내면과 더욱 긴밀하게 연결된다. 방학중 이야기는 세상이 달라지기를 소원하는 민중의 내면과 연결된다. 도덕률이나 인과관계, 권력, 신분관계, 심지어 가족관계에도 얽매이지 않고 온갖 짓을 서슴지 않는 방학중을 통해서 민중들은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욕망과 소망을 간접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었다. 다음으로 방학중 이야기는 내적 욕망을 마음껏 충족하려는 민중의 내면과 연결된다. 민중들은 내면에서는 도덕률로부터 욕망을 해방시켜 욕망의 길로 나아가기를 소원하지만 현실에서는 도덕률을 따르고 욕망을 억압해야 했다. 민중들은 방학중을 빙자하여 이같이 억누르고 있던 욕망을 간접적으로 충족시켰다. 꾀가 많고 말을 잘하는 방학중은 자기에게 어떤 직책도 맡겨주지 않는 세상에 대해 자기 능력의 최대치를 보여주었다. 민중들은 방학중을 통하여 내면의 욕망을 마음껏 충족시키려 한 것이다. 방학중은 철저히 개인의 욕망 충족이나 문제 해결만을 염두에 두고 사건을 일으키거나 아예 이유 없는 분란만을 일으켰다. 그런 점에서 방학중은 민중의 영웅이 아니라 민중의 자화상이다. 민중은 ‘나는 못하지만 남이 해주었으면 하는 것’과 ‘부끄럽기는 하지만 내가 하고 싶은 것’을 그 내면에 숨겨두고 있다. 전자는 세상의 통념 및 도덕률을 파괴하고 아무 이유도 없이 타인을 망가지게 하는 방학중을 통해 표출되었다. 후자는 어떤 것에도 걸리지 않고 자기 욕망을 충족시키는 방학중을 통해 표출되었다. 그런 점에서 방학중 이야기는 민중의 내면 풍경을 표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민중들이 방학중 이야기를 하거나 듣는 것은 자기들 속 은밀한 욕망을 대리충족하는 의미를 가지면서도 마침내 내면의 부끄러운 부분을 들여다보고 성찰하게 한다는 의미도 가진다. 방학중 이야기는 얼핏 아무 반성적 사고도 없이 잔머리만 굴리는 사람의 이야기로 들리고 읽히기 쉽지만 사실은 이렇게 민중들이 자기 내면의 깊고 은밀한 부분을 성찰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오히려 더 큰 의의를 가진다고 본다. This paper explores a new methodology of interpreting the tales of Banhakjung that had been orally transmitted in Youngdeuk area in relation to the inner world of its people. Banghakjung can be interpreted as a person who destroys the others and the world, who ignores common sense and morality, who can transform an unfavorable situation into a positive one, and who fulfills his own desire by oral persuasion. The way people narrate Banghakjung`s stories is complicated. Their attitudes chan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each storytelling event. The workings of people`s inner world are reflected in their attitudes toward Banghakjung. The stories of Banghakjung are more closely related to individuals` inner world than to the social problems of the time. His stories reflect people`s desire to live in a changed world. Through Banghakjung`s deviant actions that disregard morality, causality, power, class system, and family relations, people indirectly satisfy their wishes to change the world. Banghakjung stories are also connected to people`s internal world that yearns for gratifying their desires. Secretly people seek to liberate their inner desires from moral standards, In reality they have to follow morality, suppressing their desires. Banghakjung allow people to vicariously gratify their suppressed inner desires. Clever and articulate Banghakjung shows off his maximum ability to the society that denies him any public position. People identify with him. Banghakjung causes problems only for satisfying his own desires or for no reason. In that regard he is not a hero but a self-portrait of people. People tend to hide their secret intent that “even if I can`t do, I wish somebody else would do” and that “even if I am ashame to do, I wish I could do.” The former is represented by Banghakjung`s deviant actions and the latter is illustrated by his inexorable gratification of desires. Banghakjung`s stories demonstrate people`s inner world. People get vicarious satisfaction about their own secret desires through listening to and narrating Banghakjung`s stories and reflect on them. His stories have significant meanings in that they have people introspect their inner most world.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방학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박상희 ( Park Sang Hee ),이순자 ( Lee Soon J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방학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전반적인 인식과 지역별 차이 유, 무 및 방학프로그램 개선 방안과 지원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 17개 시·도에 소재한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1,2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근무지역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대체로 특수교사들은 ‘학부모의 자녀 양육부담 경감 및 사회 참여 증대’를 이유로 방학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했고 만족도도 높았다. 둘째, 방학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개선 방안 및 지원 요구 관련 모든 문항에서도 교사 근무지역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세부 사항에서 체계적인 방학프로그램 운영 시스템의 구축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방학프로그램 운영의 주체는 ‘교육청 및 산하 학교, 지역사회 공조’가, 방학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교사의 업무부담 완화’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수교사들의 방학프로그램 운영 참여 의사는 ‘방학 기간 시간 활용에 대한 개인적 우선순위 및 의미부여’를 이유로 부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와 관련된 주요 쟁점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verall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va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among teachers from their geographical work locations, and to identify improvement strategies and support needs for the vacation progra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11 teachers from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17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es based on the teachers' geographical work locations, there was a general recognition of the need for vacation programs to alleviate parental childcare burdens and to foster social participation, with high levels of satisfaction reported.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groups of teachers based on the teachers' geographical work locations in all items related to improvement and support needs for vacation program operations. In detail, there was a high demand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operation system of vacation program. Also, the consensus was that 'educational offices, affiliated schools, and community collaboration' should primarily manage these programs. Moreover, to improve program efficiency,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needs was to 'reduce teacher workloa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ressed negative views stemming from 'personal priorities and the importance of time management during vacations.' Finally, the researcher discusses major issue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 KCI등재

        방학중의 영웅적 성격에 대한 탐구

        La Shure Charles 국문학회 2013 국문학연구 Vol.0 No.28

        Bang Hakjung, a popular figure in Korean folk tales, is called by many names. He is known as a rogue and a scamp, and also more recently as a trickster figure. Due to his fondness for deceiving those above him on the social ladder and knocking them down a few rungs, he may appear to be a hero of the downtrodden as well. It is the goal of this paper to determine just what sort of hero Bang Hakjung really is. A "hero," as the idea is traditionally understood, is one who performs great deeds with exceptional skills and abilities, and who is recognized for these deeds by society at large. A look at some folktales regarding Bang Hakjung's birth shows that the tellers of these tales consider him an extraordinary individual, one destined for great things, but his life does not follow the path to greatness. An examination of other tales will show how fitting the title of hero is for Bang Hakjung. In the tales where Bang Hakjung deceives and humiliates his master, he would indeed seem to be a hero of the little people, yet he deceives not only his master but pitiable and sympathetic figures such as blind and lame men―and these to their deaths! In the tales that deal with Bang Hakjung's theft of a sticky barley cake, he places an innocent child in danger and brings about the downfall of passersby whose only sin is to ask Bang Hakjung how he came to possess such a delicious treat. There are many other tales in which he plays with language, either communicating his message in such a way to cause the listener to misunderstand, or deliberately misunderstanding a message communicated to him in good faith. What all of these tale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expressions of Bang Hakjung's liminal nature. Being a liminal figure, he is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society's norms and conventions, allowing him to attack the social structure at will. The hero is one who rather protects the social structure, so it is clear that Bang Hakjung is far from being a hero in the traditional sense. Instead he is a hero in Northrop Frye's ironic mode: an antihero. Unlike the hero, the antihero seeks out the cracks in the social structure and takes advantage of them in an attempt to bring that structure down. Because he stands on the limen, on the border, he is able to see possibilities beyond the existing order, and from that limen he can launch his attacks. Just when we become comfortable with the status quo, antiheroes like Bang Hakjung will appear to open our eyes to the limitless possibilities beyond our sight. 한국 설화에 있어서 방학중은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인물이다. 일반적으로 ‘천하잡놈’이라 불리면서 한편 트릭스터로 인정되어 왔다. 힘 있는 자를 속이고 괴롭히므로 '서민의 영웅'이라고 할 수도 있을 법하지만 단순히 그렇게 보기엔 석연찮은 면모도 보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방학중이 과연 어떤 영웅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이해되어 온 영웅이란 뛰어난 능력으로 남을 위해 위대한 행위를 하며 그 행위 때문에 존경을 받는 인물이다. 방학중의 탄생에 둘러싼 설화에서 볼 수 있듯이 방학중이 비범한 인물로 인식되고 있음에 틀림없으나 과연 영웅이라는 이름이 얼마나 적합한지는 다른 설화를 보아야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상전을 속이는 설화를 보면 얼핏 낮은 자가 높은 자를 깎아내리는 이야기 같지만 장님이나 절름발이처럼 불쌍한 사람까지 속여서 죽게까지 하는 장면도 나온다. 떡보리와 관련된 설화에서는 방학중이 죄 없는 아기를 위험에 빠뜨리고 아무런 적대심이 없는 행인을 망하게 한다. 그리고 말장난과 관련된 설화에서는 자신의 말을 상대방이 오해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상대방의 말을 일부러 오해함으로써 상대방을 희롱하거나 난장판을 만든다. 이 모든 행위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특징은 방학중의 경계적인 성격이다. 그는 사회적인 관습이나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사회구조를 공격하는 인물이다. 영웅이란 사회구조를 옹호하는 자이기 때문에 방학중은 전통적인 영웅과 거리가 멀다. 대신에 노스롭 프라이 등과 같은 학자들이 논한 '反영웅'이라는 명칭이 적합하다. 영웅과 달리 反영웅은 사회구조의 허점을 노리면서 무너뜨리려고 한다. 경계에 서 있기 때문에 현존하는 사회질서 이외의 가능성을 볼 수 있으며 사회구조를 공격할 수 있다. 우리의 현실에 안주하게 되면 방학중과 같은 反영웅이 다시 나타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다.

      • KCI등재

        방학분산제 실시가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나영(Kim Nayoung),손윤희(Son Yoonh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방학분산제 정책 실시 여부 및 유형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방학분산제 정책의 효과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초등학교 패널 5차년도(2016)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위계적 선형 모형(HLM)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 및 학교수준 공변인을 통제하였을 때, 방학분산제 시행은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책의 주요 기대효과 중 하나인 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완화에 있어서 방학분산제의 정책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 및 학교수준 공변인을 통제하였을 때, 방학분산제 네 가지 유형(‘일반형’, ‘봄·가을 균등형’, ‘봄·가을 강화형’, ‘겨울방학 전 학사운영 종료형’) 중 ‘봄·가을 강화형’만이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방학분산제의 효과적인 운영 및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cation policy(the Four Seasons Vacation Policy) o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based on whether or not the vacation policy is implemented. In addition, the study also examines the differential effect of the types of vacation on students academic stress. Method: The analysis was based on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using the fifth middle school panel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GEPS).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student and school level covariates, the four seasons vacation poli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decrea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Next, after controlling for student and school level covariates, among the four types of vacation such as general type , balancing type of spring and autumn vacation , extending type of spring and autumn vacation and finishing curriculum type before winter vacation , only extending type of spring and autumn vac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decrea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reduction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re discussed.

      • KCI등재

        경기 지역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임성관,Lim, Seong-Gw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운영되는 방학독서교실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방학 중 독서교실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100개의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로부터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1)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지의 여부, 2) 독서교실 운영의 목적, 3) 독서교실 참여 대상, 4) 독서교실 운영을 위해 참여하는 사람, 5) 독서교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 등이다. 분석 결과,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운영하였고, 운영 목적은 학생들의 독서흥미를 고취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근거하여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다섯 가지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determine a systematic operating method for analyzing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s in school library systems and, thereby, suggesting ways of operating a reading guidance program both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nalyses of questionnaires going out to hundred of school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e will be performed for this purpose. Specifically, the study will analyze the following 1)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of each program, 2) their initial purposes and focus, 3) targeted children groups, 4) program instructors, and 5) the actual content design of the programs. As a result, the vast majority of the school libraries operation of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 and purpose of inspire of reading interest.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5 directions to support operation of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 in School Libr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likely suggest the need to re-align or shift current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s to be more inclusive for all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