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으니까’ 방언형의 형태론

        황병순 한국방언학회 2012 방언학 Vol.0 No.15

        A dialectical grammar shows diverse distinctive features of spoken language, one of the most remarkable is that there are a variety of elements realized functioning as modals. Motivated in this idea,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diverse realizations of “-ɨnik'a” as a conjunctive ending in dialects.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reconstruction of ‘-ɨnik'a’, this paper explicates not only morphological features of ‘-ɨnik'a’, but also general features of Korean spoken languag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ee grammatical categories are fossilized in ‘-ɨnik'a’ dialectal forms :contextual josa, discourse marker, modal josa. The dialectal variants in which ‘ɨn’, ‘tərə’, and ‘sə(ro)’ are fossilized as contextual josa are ‘-ɨnik'anɨ’,‘-ɨnik'aduru’, ‘-ɨnik'asə(ru)’, etc. Those in which ‘e’, ‘a’, ‘i’ are fossilized as discourse marker are realized as ‘-ɨnik'e’, ‘-ɨnik'ana’, ‘-ɨnik'ai’, etc. Those in which ‘ro’, ‘ɨn’, ‘dərə’ are fossilized as modal josa are realized as ‘-ɨnik'aro’,‘-ɨnik'anduru’, etc. In the ‘-ɨnik'a’ dialectal form, fossilized morphs are sequentially structured in the order of conjunctive ‘-ɨnik'a’, a contextual josa, a modal josa, and a discourse marker, the latter three of which are optional. From this arrangement of structu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se dialect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evolution: the type with the fossilized form of the first stage and the type with the fossilized form of the second. The second type's arrangement of structure is in the order of the first type's fossilized forms, a contextual josa, a modal josa, and a discourse marker, the latter three of which are optional. The fossilized forms at the first stage are of five kinds: ‘-ɨnik'a +contextual josa’, ‘-ɨnik'a +contextual josa +modal josa’, ‘ɨnik'a +contextual josa +discourse marker’, ‘-ɨnik'a + modal josa’, and ‘-ɨnik'a +discourse marker’. The fossilized forms at the second stage are of four kinds : ‘the fossilized form at the first stage+ contextual josa’, ‘the fossilized form at the first stage +contextual josa + modal josa’, ‘the fossilized form at the first stage + modal josa’, and ‘the fossilized form at the first stage + discourse marker’.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it reveals not only morphological features inherent in dialects with ‘-ɨnik'a’, but also general features of the spoken language. 방언의 문법에는 입말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입말의 특성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입말 특성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입말에는 양태 기능 요소가많이 실현된다는 것이다. 입말인 방언에도 이러한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그 동안 방언을 연구하면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 글은입말인 방언 접속어미 ‘-으니까’가 다양하게 실현되는 것은 입말의 위와 같은특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라 보았다. 이 글은 이러한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으니까’ 방언형의 재구조화 과정을 밝힘으로써 ‘-으니까’ 방언형의 형태론적 특성은 물론, 입말이 지닌 보편적 언어 특성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으니까’ 방언형의 형태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으니까’ 방언형에는 세 범주의 형태(문맥조사, 담화표지, 양태조사)가 화석화되어 있다. 문맥조사 ‘은’, ‘더러’, ‘서(로)’가 화석화된 방언형에는 ‘-으니까느’, ‘-으니까두루’, ‘-으니까서(루)’ 등이 있고, 담화표지 ‘에’, ‘아’, ‘이’가화석화된 방언형에는 ‘-으니께’, ‘-으니까나’, ‘으니까이’ 등이 있으며, 양태조사 ‘로’, ‘은’, ‘더러’가 화석화된 방언형에는 ‘-으니까로’, ‘-으니깰랑은’, ‘-으니깐두루’ 등이 있다. ‘-으니까’ 방언형에 화석화된 형태의 배열 구조는 ‘접속어미(-으니까)+(문맥조사)+(양태조사)+(담화표지)’이다. 이러한 형태 배열 구조로 보아 ‘-으니까’ 방언형에는 1단계 화석형과 2단계 화석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2단계 화석형의 형태 배열 구조는 ‘1단계 화석형+(문맥조사)+(양태조사)+(담화표지)’이다. 1단계 화석형에는 ‘-으니까+문맥조사’형과 ‘-으니까+문맥조사+양태조사’형, ‘-으니까+문맥조사+담화표지’형, ‘-으니까+양태조사’형, ‘-으니까+담화표지’형이 있고, 2단계 화석형에는 ‘1단계 화석형+문맥조사’형과, ‘1단계 화석형+문맥조사+양태조사’형, ‘1단계 화석형+양태조사’형, ‘1단계 화석형+담화표지’형이 있다.

      • KCI등재후보

        李崇寧 선생의 ‘洪城方言’ 노트에 대하여

        송철의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9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Hongseong dialect(洪城方言) data collected by professor Sungnyong Lee(李崇寧) in 1950. This data amounts to 39pages of note- book(roughly estimated 1,500 words). The data is transcribed in Hangeul, but sometimes in phonetic symbols when it is impossible to transcribe in Hangeul. The selected items for investgation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items look like to follow Simpei Ogura(小倉進平 1944),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ose of Ogura and those of Lee. Lee collected part names or hyponyms of some items. So Lee's dialect data contains many Hongseong dialect words which are not found in Ogura(1944). Ogura(1944) contains only the dialect forms for each item. Lee occasionally presented declensional forms when it is necessary to expose stem final consonant. e.g. pat(field), pasi(pas +-isubject case marker), pasɨl (pas +-ɨlobject case maker), offered collo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ome items, mention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or between social groups, and explained the meaning of the special dialect words which are unknown to standard Korean, and so on. Viewed in those points mentioned above, this Hongseong dialect data is excelent one for that day and age in Korea. 이 글의 목적은 지금까지 그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던 心岳 李崇寧 선생의 ‘洪城方言’ 자료 노트를 소개하려는 것이다. 이 방언 자료 노트는 1950년에 작성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대학 노트 39페이지 분량의 홍성방언 자료를 담고 있다. 조사는 이숭녕 선생이 직접 한 것으로 보이며 조사한 자료를 재정리(淸書)한 것이다. 조사항목의 분류는 대체로 小倉進平(1944)를 따른 듯하나 약간의 차이가 없지는 않다. 조사항목도 小倉進平의 것을 참조한 듯하나 그대로 따르지는 않고 어떤 항목을 조사하다가 하위명칭이나 부분명칭이 있을 때에는 확대 심화시켜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다른 방언자료집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많은 홍성방언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방언 자료가 보여주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조사항목과 관련된 하위명칭이나 부분명칭이 있을 때에는 그것들을 제시하였다. 2) 각 단어의 음장을 충실하게 표시하였다. 3) 부분적이긴 하지만 체언의 어간말음이 무엇인가를 보여주기 위해서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와 결합된 곡용형을 제시하였다. 4) 이 방언의 악센트를 밝혀보려 시도하였다. 5) 조사항목과 관련된 連語 자료도 제시하였다. 6) 방언 내에서의 계층적 차이, 세대 차이 등을 언급하였다. 7) 이 지역 방언의 특이한 단어들에 대해서는 의미풀이를 제시하였다. 8) 많은 양은 아니나 형용사의 활용 패러다임을 효율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방언 자료가 이러한 특징을 가지게 된 것은 조사자가 높은 언어학적 및 국어학적 안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여겨진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의 대부분은 그 이전에, 즉 1950년 이전에 공표된 어떤 방언자료(집)에서도 볼 수 없었다는 점에서 이 방언 자료 노트는 한국어 방언학사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물론 당시까지의 가장 충실한 홍성방언 자료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비록 미리 준비된 질문지에 따라서 조사항목 하나하나를 빈틈없이 조사한 것은 아닌 듯하다든가, 제보자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다든가 하는 등의 아쉬움이 없지는 않지만, 이 방언 자료 노트가 일찍이 공개되었더라면 방언조사의 한 典範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어와 일본어 표준어, 한국어 제주방언과 전라남도방언 종조사의 출현양상과 정보관리기능

        김선미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functions of final particles in the Jeju dialect and the Jeollanam-do dialect of Korean, developing the analysis first proposed in Kim Sunmi (2021a), in turn based on Kim Sunmi (2018) and Kim Sunmi (2020), whose main concern is the information management marked by the final particles and sentence endings in standard Korean and Japanese. Importantly, the information management as defined in Kim Sunmi (2018, 2020) includes the re-recognition of information (analysis, admiration, surprise, confirmation) and the triggering of inference (Kim Sunmi 2021a). In this study, after reviewing the studies of Ko Jae-Hwan (2011) and Kim Jee-Hong (2014), we add the discussion of final particles of the Jeju dialect of Korean, incorporating the results of Kim Sunmi (2021a). As a result, the following three points are made. First, the final particles of the standard Korean and its dialects (Jeju and Jeollanam-do) can appear both in sentence-final position and elsewhere within a sentence, and their occurrence is limited to a certain speech level. Second, the information management realized by final particles in standard Japanese is performed by sentence-final endings in standard Korean, such as '-ci' (confirmation), '-kwun' (analysis, surprise, discovery), '-ney' (discovery, admiration), and other sentence-final endings for declar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hortative etc. just as in the Korean dialects (Jeju and Jeollanam-do), where the sentence-final endings play a role in marking the speaker's manipulation of the information, while the final particles do not take part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with the only exception of the Jeollanam-do dialect, which uses several final particles to mark 'confirmation', a clear example of information management. Third, the role of final particles in standard Korean and its dialects (Jeju and Jeollanam-do) in general is to distinguish speech levels, and to convey speaker's emotional solidarity with the addressee, as well as to mark emphasi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일본어 표준어의 종조사와 종결어미의 정보관리기능에 관해 논한 金善美(2018)과 金善美(2020)을 기반으로 한국어 방언의 종조사의 정보기능에 관하여, 한국어 제주방언, 전라남도방언의 종조사와 정보관리기능을 고찰한 金善美(2021a)의 연구내용을 소개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다. 金善美(2018, 2020, 2021a)에 있어서의 정보관리기능은 ①정보의 재인식기능(분석, 감탄, 놀람, 확인)을 가진다, ②추론을 촉발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金善美2021a).본 연구에서는 먼저 金善美(2021a)의 성과를 살펴보고, 고재환(2011)과 김지홍(2014)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한국어 제주방언의 종조사에 관한 고찰을 더하였다. 고찰의 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사항을 확인하였다. 첫째, 한국어 표준어와 방언(제주, 전라남도)의 종조사는 문중과 문말 양쪽에서 출현이 가능하며, 각각의 종조사가 출현하는 스피치레벨이 정해져 있다. 둘째, 한국어 표준어에서는 일본어의 종조사에 해당하는 정보기능은 ‘-지’(확인), ‘-군’(분석・놀람・발견), ‘-네’(발견・감탄), 평서・의문・명령・권유의 어미 등, 동사의 어미로서 나타나는데, 한국어의 방언(제주방언, 전라남도 방언)에 있어서도 화자에게 있어 정보의 출입에 관여하는 형식은 활용어미가 담당하며, 종조사는 정보 출입에 관여하는 정보관리기능을 갖지 않는다. 다만 전라남도 방언의 일부 종조사는 ‘확인’이라는 정보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한국어 표준어와 방언(제주, 전라남도)에 있어서 일반적인 종조사의 역할은 스피치레벨의 구별 표지로서의 역할, 청자에 대한 화자의 감정적인 연대감의 전달, 강조 등을 담당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연변 방언 연구 -조사와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김선희 ( Shan Ji Jin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본 논문은 연변 방언의 특성을 조사와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다룬 논문이다. 한중수교이후 연변 지역어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고 세분화되고 있다. 방언은 표준어와는 달리 지역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조사를 격조사와 보조사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한국과 달리 주격조사는 주로 ‘-이’로 실현되거나 주격조사가 생략되는 것이 연변 방언의 두드러진 현상이다. 또한 주격조사와 연관성을 보이는 ‘-이가’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높임을 나타내는 주격 조사 ‘-께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공동격조사 ‘-(이)랑’, ‘-(이)라메’가 쓰이고 있으며 목적격조사는 주로 ‘-으/느’가 쓰이고 생략가능하다. 또한 강조를 나타내는 ‘-(이)란게/랑게, -라는게, -ㄴ게’ 등 보조사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이)사’, ‘-아부라’, ‘-배끼’ ‘-마따나’ 등 보조사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결어미에 의한 방언을 서술형, 의문형, 청유형, 명령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변 지역어의 종결어미는 세 등분 체계로 이루어지는데 응응체, 양양체, 예예체 등 형태로 나타난다. 한국어의 일반적인 방언과 특수한 차이를 보이는 양양체는 한국의 하게체와 하오체를 넘나드는 쓰임의 폭이 광범위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연변에서는 ‘해요’체가 쓰이지 않고 있다. 연변에 정착한 경상도나 평안도 출신들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현재 거주민의 대부분이 함경북도 이주민의 2,3대이므로, 방언학적 측면에서 보면 연변의 방언은 크게 ‘육진방언’과 ‘함북방언’을 기층으로 하여 이루어진 두 개의 방언으로 하위분류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researches in the two features of Yanbian dialect: Particles(Josa) and Endings(Eomi). Since the treaty of Amity of China with South Korea in 1992, the researches of the Yanbian dialect have been continuously going on, while having been subdivided according its local features. In the category of particles,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case markers and auxiliary particles. Unlike the standard language in Korea, Yanbian dialect indicates the subjective case by "i", or by dropping the case marker. In addition, "iga" which is related to the subject marker exists, and comitative case markers "~(i)rang" and "~(i)rame" are used to indicate the subjective case. The auxiliary particles such as "~(i)range/rangge/raneunge/(n)ge" exist, and the particles like "~(i)sa", "~abura", "~bekki", "~mattana" are being widely used. It is also worth to mention that the subjective marker "kkeseo" is only used in written forms. This study classifies endings of Yanbian dialect into four parts: declarative, interrogative, propositive, and imperative endings. And these endings are realized by the three styles: "Eungeung", "Yangyang", and "Yeye". "Yangyang"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which features the wide usage ranging from "Hage(intimate level)" to "Hao(authoritative level)". In Yanbian, "Heyo(polite level)" style is not used any more. In Yanbian, the population of immigrants from Gyeongsang province or Pyeongan province is very small. Most of local residents are descendants of immigrants from Hamgyeong-north province. For this reason, in a dialectologcial view, Yanbian dialect can be subdivided into two dialects which have been developed from Yukjin dialect and Hambuk dialect.

      • KCI등재

        ‘이 시대’ 방언 조사ㆍ연구의 이론과 실제

        김정대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7 No.-

        글은, 경남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필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이 시대’ 방언 조사·연구의 방법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 시 대’라는 표현을 넣은 것은, 산업화 시대를 맞아 방언이 급속도로 사라져 간다는 절박함 때문이다. 필자는 방언의 조사·연구가 그 대상에 따라 이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고 있는데, 하나는 구술 발화에 대한 것이 고 다른 하나는 어휘·음운·문법에 대한 것이다. ‘이 시대’ 구술 발화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해는 제2장에 밝혀져 있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전래 방언이 더 이상 사라지기 전에 양질의 구술 발화를 많 이 수집(녹음)하여 저장하는 일임을 강조했다. 국립국어원(2006)의 구술발화 부문과 같은 기존의 질문지를 참조하여 부족한 내용을 보충한 질문지로써 구술 발화를 조사하는 일이 유익하다는 점도 지적했고, 조사한 자료는 디지털 방식으로 안전하게 저장해야 함도 정리해 두었다. 그리고 구술 발화를 조사할 때가 아니면 영원히 조사되지 않았을지도 모르는 문법자료나 어휘·음운 자료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몇몇 예로써 소개해 두 었다. ‘이 시대’ 어휘·음운·문법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 해는 제3장에 정리돼 있다. 이것들에 대한 조사 지점은 가능하다면 시· 군 단위가 아니라 면 단위로 좁힐 것을 힘주어 말했다. 그리고 그 까닭을 설명하기 위해, 산청·창원·창녕 등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면 단위, 혹은 마을 단위의 차이로 말미암아 언어가 달라진 상징적인 예를 도표로 정리하고 약간의 설명을 덧붙여 두었다. 자료 조사와는 달리 ‘이 시대’ 어 휘·음운·문법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 는 특별한 언급을 할 수 없음을 밝히고, 앞선 연구에서 다시 살펴보아야 할 내용, 앞선 연구에서 지나쳐온 내용 등을 조명하는 일이 필요함을 강 조했다. 그리고 늘 우리 곁에 존재하지만, 눈여겨보지 않으면 놓치기 쉬 운 자료들을 예의주시하여 늘 새로운 연구 주제를 개발해 나가야 함을 암 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필자가 관심을 가졌던 몇몇 연구 주제를 정리하기도 했고, 최근 관심을 갖고 살펴보고 있는 ‘이엉’과 ‘써근새’(썩은 이엉) 관련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 KCI등재

        『시골말 캐기 잡책(方言 採集 手帖)』의 체재와 내용 체계 - 『簡約方言手帖』과의 대조를 중심으로 -

        곽충구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0

        In the 1920s and 1930s, dialect survey was being carried out for standard language assessment and dictionary compilation, centering on the Joseoneohakhoe("Korean Language Society") and the Joseoneosajeon pyeonchanhoe(“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At that day, Choi Hyun-bae asserted that it is necessary to survey and study dialects for ‘research and unifi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eservation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and compiled a questionnaire, Sigolmal kaegi japchaek, for a systematic and unified dialect survey. This questionnaire was compiled after partially changing the format of Ganyakbangeonsucheop(簡約方言手帖) of Tojo Misao(東條操) and selecting most of the survey items by Choi Hyun-bae in consideration of the Korean vocabulary system. Ganyak has 701 items, but Sigolmal has 878 items. In the case of astronomy and geography part, 54.8% of items matched with Ganyak, clothing part 36%, and human affairs and annual events part 22.9%. As for the 177 sub-items attached to the main item, semantic-related words (subordinate words, reference words, related words, honorific words, reference and address forms, collocations, etc.) and semantic-related words were selected and placed. Since the history and lexical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nd culture, and the human and natural geographic environmen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Japan, the selection of survey items has to be made independently. The items of phonological and grammatical section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phonological variations and changes, pitch-accent,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e selection of items was made while considering the vocabulary system, the amount of dialect, the distribution and differentiation of dialects, etc. with a focus on everyday language,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tandard language, standard pronunciation, and preservation of local culture, etc. As this questionnaire is the first dialect survey questionnaire in Korea, this questionnaire laid the foundation for a systematic survey, which made it possible to conduct a unified nationwide survey, and published data collections such as Pangeonjip(“Collection of Dialects") for the whole country. It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achievement of the history of Korean dialectology. 1920~30년대에는 <朝鮮語辭典編纂會>, <朝鮮語學會>를 중심으로 표준어 사정과 사전 편찬을 위한 방언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시기에 외솔 최현배는 ‘조선어문의 연구 및 통일’, ‘민족 문화 유산의 보존’을 위한 방언 조사ㆍ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체계적이면서도 통일된 방언 조사를 위해 질문지 『시골말 캐기 잡책(方言 採集 手帖)』을 편찬하였다. 이 약식 질문지는 東條操(도조 미사오)의 『簡約方言手帖』을 藍本으로 삼아 편찬한 것이나 외솔이 그 체재의 일부를 바꾸고 국어의 어휘체계를 고려하여 대부분의 조사 항목을 새로 선정하였다. 『簡約方言手帖』의 조사 항목은 701항이지만 『시골말 캐기 잡책』은 878항이다. ‘말수 엮음(語彙編)’은 [천문․지리] 부문의 경우 『簡約』과 일치하는 항목이 54.8%, [의류]는 36%, [인사ㆍ연중행사]는 22.9%이다. 주 조사 항목에 딸린 177여의 보충 항목은 의미역 관계어(하위어, 참고어, 관련어, 존칭어, 지칭어와 호칭어, 연어 등)와 통사역 관계어(사피동사 파생과 같은 문법 범주 변화)로 구성되어 있다. 국어의 역사와 어휘체계, 사회ㆍ문화 및 인문ㆍ자연 지리 환경이 일본의 그것과 다르므로 조사 항목의 선정은 독자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소리 엮음(音聲編)’과 ‘말본 엮음(語法編)’의 항목은 국어의 음운 변이와 변화, 고저 악센트 및 어법적 특징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는데 악센트 조사 항목은 지금도 운소 체계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항목 선정은 일상어를 중심으로 어휘체계, 방언량, 방언 분포 및 분화 등을 고려하고 또 당면한 표준어 사정과 표준 발음, 향토 문화의 보존 등을 염두에 두면서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 질문지의 편찬은 고심 찬 노력의 결실이다. 이 질문지는 국내에서 간행된 최초의 방언 조사 질문지로서 체계적인 조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점, 이로써 통일된 전국적인 조사가 가능하게 되어 『方言集』과 같은 전국을 대상으로 한 자료집이 간행되고 또 일부 지역어가 조사되었다는 점에서 국어 방언학사의 주요 업적의 하나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변지역 격조사 사용실태 조사 연구

        장승환 한국방언학회 2014 방언학 Vol.0 No.20

        This paper examines the usage of case markers in Yanbian through the phenomenon of linguistic changes in case markers recently used in the Yanbian northeast dialect. Since the establishment of Sino-Korea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the Korean language has influenced the northeast dialect in Yanbian for more than 20 years. This gradually resulted in linguistic changes in the northeast dialect of Yanbian. Therefore, this research explores the case markers used in the Yanbian northeast dialect from a sociolinguistic synchronic standpoint. Som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ase markers used in the northeast dialect are as follows: The nominative particle [i] is pronounced under an open syllable、[i] has a sound of [iga]、gwanhyeonggyeok [ɨj] is pronounced as [i]、 the objective particle [ɨl] sends a [ɨ] sound、busagyeok [ege] is pronounced as [ge]、the busagyeok particle [esə] is pronounced as [isə]、the busagyeok [ɨro] is pronounced as [ɨlru] and the conjunctive particle [gwa] has a sound of [ga] with the elimination of [w].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sage of case markers in Yanbian in order to expose the phenomenon of language changes. As such,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 Yanbian to find out whether the use of case markers was affected by the northeast dialect. This survey was classified into gender, age, place of birth, and occupation. Based on this data, the research also analyzes the phenomenon of language change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연변지역에서 사용되는 동북방언의 격조사 사용에 대한 언어 변이 현상을 통하여 연변지역어 격조사 사용을 전망하는데 의의가 있다. 1992년 한중수교이후 20년 지난 지금 연변지역 동북 방언은 한국어의 언어 간섭을 받으며 언어 변이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 언어학의 공시적 입장에서 연변지역 동북 방언 중 격조사 사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북 방언 격조사 사용 특성을 보면 주격조사 ‘이’가 개음절 아래에서 발음되는 현상과 주격조사 ‘이’를 ‘이가’로 발음하는 현상, 관형격조사 ‘의’를 ‘으’로 발음하는 현상, 목적격조사 ‘을’을 ‘으’로 발음하는 현상, 부사격조사 ‘에게’를 ‘게’로 발음하는 현상, 부사격조사 ‘에서’를 ‘이서’로 발음하는 현상, 부사격조사 ‘으로’를 ‘을루’로 발음하는 현상, 접속조사 ‘과’에서 [w]가 탈락된 접속조사 ‘가’로 발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상의 특성을 바탕으로 연변지역에서의 격조사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언어 변이 현상을 밝히고자 한다. 조사를 위하여 연변 전 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격조사 사용 중 동북방언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조사로서 조사는 성별, 연령, 출생지, 직업으로 분류하여 자료를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언어변이 현상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원주 지역어 조사 연구의 발전 방안

        신승원(Seung-won Shin) 운곡학회 2021 운곡논총 Vol.9 No.-

        본고는 원주 지역어 조사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원주 지역은 역사적 배경이나, 지리적 위치에서 중요하다. 역사적으로는 강릉과 원주의 첫머리를 따서 강원도의 명칭을 만들었으며, 지리적으로는 이 지역이 강원도 방언에 속하면서 인접의 경기도 방언· 충청북도 방언의 성격을 보이는 접촉방언지대이다. 시 직할동을 제외한 7개 지역을 음운· 어휘면에서 조사한 것과 음운면의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연구한 원주 지역어의 음운연구는 일차적으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제보자 선정의 문제, 조사 항목 배치 및 표기의 문제, 확인 조사의 문제 등이 있었다. 이점을 염두에 두면서 시 직할동 지역의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조사 자료로서의 가치는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힘들고 어려운 현장 자료조사이지만 정확한 자료수집이야말로 방언 또는 지역어 연구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조사 방법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만큼 이들 연구에 있어서 자료조사가 생명이기 때문이다. 이 지역어 조사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해선, 어법면 조사를 포함한 연구 목적에 따른 자료조사 확충과 기존 연구자료 활용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상에서 언급한 점들을 보완한다면 이 지역어 조사 연구는 방언연구사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리라 확신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Wonju Regional Language Survey and Research. The Wonju region is important in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geographic location. Historically, Gangwon-do was named after the first heads of Gangneung and Wonju, and geographically, this area belongs to the Gangwon-do dialect, and is a contact dialect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ring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dialects. The phonological and vocabulary investigation of 7 regions excluding the city’s direct control dongs and the phonological studies of Wonju local languages based on the survey data of the phonological aspects are of primary significance. However, there were problems with the selection of informants, problems with the arrangement and marking of survey items, and problems with confirmation surveys. With this in mind, if the survey is conducted by selecting a survey site in the city’s direct control dong area, the value of the survey data will be recognized. It is a hard and difficult field survey, but since accurate data collection is the basis for dialect or local language research, it cannot be over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the method of investigation on it. This is because data research is vital in these studies. A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language research, we discussed the amplification of data surveys and the utilization of existing research materials for research purposes, including grammatical survey. I am confident that this local language survey and research will take an important place in dialect researchers if these points mentioned above are supplemented.

      • KCI등재

        강릉방언의 복합조사 `으는` 연구

        김옥영 ( Kim Ok-young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5

        어휘 형태소의 복합어 형성과 마찬가지로 문법 형태소 또한 복합 형태가 생성되고 단일화의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전제 아래 강릉방언에서 실현되는 복합조사 `으는`의 구성과 그 형성 원리를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그런데 선행 연구에서는 강릉방언의 `으는`뿐만 아니라 `이가`도 조사끼리의 결합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가`는 접미사와 조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법 구성이다. `이가`를 복합조사로 보기에는 `이가`가 결합할 수 있는 선행 체언이 지나치게 제한적이다. 또한 `체언+조사(이)+조사(가)` 구성으로 볼 경우 `체언+이`가 목적격 조사에도 통합된다는 점, `체언+조사(이)`보다 `체언+접사`의 형태론적 재구조화가 더 자연스러운 분석이라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이가`와 달리 강릉방언의 `으는`은 보조사 `은`이 중복된 구성의 복합조사이다. 이 복합조사의 생성에는 이형태 `는`의 형태 유지라는 동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조사 목록 내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결과 복합조사 `으는`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조사 목록이 좀 더 복잡해진 듯한 양상을 보이나 `으는`은 목록 내의 조사들과 형태적 유사성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으는`의 생성은 어휘부의 최적화에 기여한다. As lexical morpheme forms complex word, grammatical morpheme would form complex word and go through the process of univerb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omposition and formation principle of the complex Josa `euneun` which is realized in Gangneung dialect, based upon above premise. `iga` has been considered to be combination of Josas in the earlier studies, but it is grammar composition which is composed of combination of suffix and Josa. Preceding substantive with which `iga` can combine is too restrictive to consider `iga` to be complex Josa. There are also following reasons not to consider `iga` to be combination of Josas: (ⅰ)If `iga` is analyzed as the composition of `Noun+Josa(i)+Josa(ga)`, then `Noun+i` is united into objective Josa. (ⅱ)It is more natural to analyze `iga` as morphological restructuring of `Noun+suffix` than to consider it to be `Noun+Josa(i)`. Unlike `iga`, `euneun` in Gangneung dialect is complex Josa. It seems that a motivation to retain the morph of grammatical morpheme `neun` operated to form these complex Josas. It seems that inventory of Josa has been more complicated by the generation of `euneun`. But since it retains similarity of morph in the inventory of Josa, consequently the generation of `euneun` contributes to the optimization of lexicon.

      • KCI등재

        제주 방언 격조사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격조사 의미 해석 방법을 중심으로 -

        우창현 ( Woo Chang-hyun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70

        이글은 제주 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제주 방언 격조사 교육 방 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전제 하에 제주 방언 격조사의 문법 의미를 어떻게 해 석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제주 방언의 격조사 중에서도 해석 상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격조사와 부사격조사를 중심으로 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조사 의미 해석에 필요한 미명세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명세 이론 은 Koenig(1999)과 Pustejovsky(1991, 1995)의 논의를 참고하였다. 다만 이 논의에서는 기존 미명세 이론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여 조사와 같은 문범 범 주에 해당하는 형태들의 의미 해석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격조사의 의미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서술어 혹은 NP에 의해 중점이 부여되는 방식을 통 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제주 방언의 주격조사 `-에서`, `-라` 그리고 부사격조사 `-에`, `-이` 의 문법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부사격조사 `-에`, `-이`는 개별 문장에서 각각 `장소, 시간, 목적지(지향점), 대상` 등의 문법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at how to the grammatical meanings of the Jeju dialect particles are interpreted. This study focus especially on disputable case of the subjective one and adverbial one. I firstly trace to the underspecific theory which treats matter of the interpretation of grammatical meaning of case for reference of Koenig(1999) and Pustejovsky(1991, 1995). I suggest the meaning of case is not fixed but predicates intensively endows it`s meaning (with NP occasionally) according to this theory for which I apply widely to the extend that grammatical categories such as particles are involved in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The second, I clarify the grammatical meaning of subjective particles such as `-eseo`, `-ra` and adverbial particles such as `-e` and `-i` of Jeju dialect. I ascertain the fact that adverbial particles such as `-e` and `-i` have the meaning of `place, time, target place(the source of direction), object,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