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방송산업의 향후 전망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곽소윤,유승훈,곽승준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6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이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고 , 공공분야에서 민간분야로의 무게 중심 이동 경향이 심화되며 방송과 통신 사이의 서비스, 사업자 간 융합이 활발해지면서 최근 들어 방송 산업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방송산업을 정의 및 분류하고 기존 자료에 근거하여 성장곡선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2020년까지의 디지털 방송산업을 전망한다. 그리고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산업 자체의 직접적인 산출효과 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산업이 경제 내 다른 부문의 산출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생산유발효과와 타 부문의 부가가치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나타내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산정한다. 주요 결과를 요약해보면, 2007년에 12조 2,623억원 규모이던 디지털 방송산업은 2020년에 23조 8,248억 원으로 약 2배의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2020년에 16조 8,179억 원의 타 산업 생산유발효과와 9조 4,584억 원의 타 산업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었다. Recently, existing analog broadcasting systems have been shifted to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and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move from public broadcasting sector to that of private. In additio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have become incorporated. With those phenomena, broadcasting industry becomes more important.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and classify the digital broadcasting industry and expects how the digital broadcasting industry will move on until 2020 by applying Gomperz model. It also estim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by using input-output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s. The total sales of digital broadcasting industry which was 12,262 billion won in 2007 will increase to 23,824 billion won in 2020. The amount of production-inducing effect will be 16,817 billion won in 2020. Also, value added inducing effect will be 9,458 billion won.

      • KCI등재

        사회과학연구 제28집 7호 : 영국 독립제작산업 진흥정책의 평가

        김도연 ( Doh Yeon Kim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영국은 세계 방송시장의 4.6%를 점유한 방송영상산업의 선진국이다. 특히 최근에는 방송 산업의 성장을 독립제작산업이 견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영국의 독립제작산업은 변화 하는 방송지형에 발맞추어 유료방송과 뉴미디어 부문의 매출을 높이고 해외 매출의 비중도 높이는 전략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런 모습은 영국 정부의 지속적인 독립제 작산업 진흥정책에 힘입은 바 크다. 영국은 이미 1980년대에 출판형 방송사인 <채널4>를 출범시켜 독립제작사의 수가 대폭 늘어나도록 하였고, 이어서 독립제작 쿼터 정책을 시행하여 외주제작 물량을 확보하도록 하 여 독립제작산업 발전의 토대로 삼았다. 이후 외주 제작 물량의 확보만으로 독립제작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한계가 드러나자, 영국 정부는 2003년 커뮤니케이션법 제정과 함께 독립제 작사의 ‘거래조건’ 조항을 제정하여 방송사의 저작권 소유 인센티브를 축소하고 저작권 소 유를 통한 부가 수입과 해외 수입원을 적극 개발하는 정책을 펼쳐 이후 영국 독립제작산업 에 소위 수퍼인드(Super-Indie)가 탄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거래조건’ 조항과 함께 시행 된 영국 규제기관 오프콤의 가이드라인은 독립제작사가 공공서비스방송과 동등한 조건으로 계약할 수 있도록 하여 독립제작산업 발전의 새로운 전기로 작용하였다. 이에 독립제작산업 은 영국 방송영상 콘텐츠 생태계의 필수적인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영국의 독립제작산업의 발전과정을 보면, 시장 상황에 적합한 정책의 시행이 산업 발전 에 즉각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2003 커뮤니케이션법과 ‘거래조 건’ 조항의 제정으로 콘텐츠 주문제작의 거래 주체인 공공서비스방송사와 독립제작사간의 거래의 세부 항목에 대해 규정하고 방송사가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PACT를 통해 오프콤 에 중재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립제작사는 수익을 급격히 늘릴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BBC의 창의적 경쟁의 창 정책은 독립제작 부문에 추가적인 지원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영국 독립제작산업은 이후 영국 콘텐츠 시장의 전반적인 변화를 주도하면서 영국 방송산업의 발전을 선도하는 존재로 자리하게 되었다고 하겠다. 영국의 독립제작산업 진흥 사례는 국내 정책 수립에도 귀중한 시사점을 준다. 적시에 적 절한 정책을 결정하여 일관성있게 추진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기대했던 정책성과를 거둘 수 있다. UK is an advanced country in audio-visual market occupying 4.6% of world market. Recently UK’s independent production sector has drove the growth of overall broadcasting industry. It has marked the high growth rate with revenue streams from pay TV, new interactive services, and foreign market. The positive outcomes are said to owe to the consistent policies to support independent production sector by UK’s government. They launched Channel 4 as the “publisher broadcasting” in 1982, and implemented ‘25% quota for independent producers’ policies in 1990, all to make independent production companies sustainable. They made the articles ‘terms of trade’ and ‘code of practices’ for public service broadcasters based upon 2003 Communication Act, to make the fair and balanced trade between broadcasters and independent producers. Super-indies have been born from the above policies, and more diverse revenue streams have been possible for independent producers. Now UK’s independent production sectors are evaluated as the integral industrial sectors among contents ecology system in UK. UK’s case shows that valid policies appropriate to the market situation can result in the industrial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enactment of 2003 Communication Act and articulation of ‘terms of trade’ address the detailed conditions for the trade among broadcaster and independent producers, allowing the latter appeal to Of com via PACT if the former did not follow the rule. BBC also has played a role to broaden the indepent production market by Windows of Creative Competition (WOCC) system. In result, UK’s independent production industry has lead the change of audio-visual contents market and occupied the position to lead the development of overall broadcasting industry. The case of UK’s promotional policies for independent industry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s to Korea. Making proper policies in time and implementing them consistently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long term outcomes wanted.

      • KCI등재후보

        산업정책적 관점에서 본 디지털 지상파방송 추진 동인 연구

        김대호(Daeho Kim) 한국방송학회 2003 한국방송학보 Vol.17 No.1

        이 연구는 디지털 지상파방송 추진 동인을 산업정책적 관점에서 미국, 유럽, 한국에서 전자산업의 역할에 대해 비교 분석한 논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새로운 미디어 도입 결정 때와 달리 디지털 지상파방송 정책결정이 산업정책이 주도하여 이루어졌으며, 특히 방송산업이 아니라 전자산업 입장이 주도하여 이루어졌다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더욱이 그 중심에는 초국가적 전자산업계가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유럽, 한국은 모두 Grand Alliance, DVB, 디지털 지상파방송추진협의회와 같은 기구를 통해 디지털 지상파방송 추진을 주도하도록 하였는데 여기서 전자산업계가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또한 컴퓨터 산업계 역시 방송정책 결정에 참여하였다. 이는 방송 정책이 이제 방송 산업계 내부만의 문제가 아님을 보여준다. 그것은 전자산업, 컴퓨터 산업, 정보통신 산업, 콘텐츠 산업 등 많은 관련 산업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해 당사자들의 참여의 폭도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 멀티미디어화에 따라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This study addressed the role of electronic industry in the US, Europe, and Korea in making the policy of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This study argued that industrial policy have a leading role in the policy making, in particular, electronic industry rather than broadcasting industry. Moreover, transnational electronic firms were the center of it through Grand Alliance of the US, DVB of Europe, Digital Terrestrial TV Association of Korea. This example showed that broadcasting policy is not the only broadcasting industry issue On the contrary, it has more relationships with electronic industry, computer industry,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contents industry. This trend could be accelerated more by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 방송통신산업의 경제효과 분석

        정군오(Kun-Oh Jung),김대송(Dae Song Kim)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社會科學硏究 Vol.26 No.1

        국내 방송통신산업의 연관 산업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는 산업연관표(2003년 발행)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 방송통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산업연관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방송통신산업의 규모 및 산업연관효과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 방송통신산업의 총산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고용효과도 다른 산업보다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따라서 국내 산업에서 방송통신산업 다른 산업에의 유발효과는 크며,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 다. The study is focused on carrying out an input-output 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 of the korea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industr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dustrial linkage effect shift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industry using input-output table. Input-Output analysis is widely used to evaluate economic impacts of th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industry. It provides policy makers with a comprehensive view of the economy, focusing on industrial interdependencies which exist in the econom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gross domestic outputs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industry gradually increased and the employment effects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industry are higher than the average of entire industry.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the overall induction effect of th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industry on the national market was very high, and majority of these induction effects were shown in a positive manner.

      • KCI등재

        방송산업에서의 경업금지계약에 관한 고찰 -미국의 판례와 이론을 중심으로-

        진도왕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2 스포츠와 법 Vol.15 No.4

        This paper analyzes the U.S. judicial and legislative prohibitions on the enforcement of non-competition contract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The U.S. courts have long tried to provide a legal basis for non-competition contracts specified in broadcasting industry, taking account of uniqueness of that industry. Unlike other industries, broadcasting employers use non-competition contracts to protect investments in their broadcasting employees, rather than intellectual property known as trade secrets. Suppose that an broadcasting employer provides education, training, and advertising in order for a broadcasting employee raise name-recognition and improve the persona in the market. This serves to create the employer’s business legitimate interests by increasing audience ratings. Non-competition contract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are generally designed to enable broadcasting employers to reap the reward of their investments. Considering that viewer and listener trend is rapidly becoming changed, however, enforcing non-competition contracts may cause irreparable harms to broadcasting employees in the sense that their popularity and reputation is likely to be lost during the period of the noncompete unless he takes employment with a competitor. This implies that non-competition contracts may serve to block the entry of broadcasting employees into the market for broadcasting employment. Moreo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at the broadcasting employee’s popularity has been created as a result of his employer’s investment like advertising efforts. Sometimes, it could be attributed to his own personality and ability. In this way, the U.S. judicial trend has moved toward broadcasting employee protection from broadcasting employer protection. This judicial trend has become spread in the U.S. through legislative prohibitions on the enforcement of non-competition contract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이 논문은 미국의 방송산업에서의 경업금지계약 법리를 살펴본다. 미국의 각 법원은 방송산업과 방송 관련 직업의 특징을 감안하여 그에 맞는 경업금지계약의 법리를 구성하려고 노력하였다. 다른 산업분야와 달리, 방송 산업분야에서는 회사의 영업비밀 등의 지식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 보다는 인적 자본에 제공한 투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편으로 경업금지계약을 사용한다. 가령, 방송사는 아나운서의 인지도를 높여 청취율・시청률을 올리기 위해 해당 아나운서에 대한 교육, 직업훈련, 홍보 등의 투자를 하는데, 이러한 방송사의 투자를 보호하기 위해 경업금지계약이 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방송사의 투자비용 회수라는 이익과 그것을 보호하는 데에 따른 아나운서의 침해되는 이익을 비교형량하게 되는데, 이 지점에서 미국 법원은 아나운서라는 직업의 고유한 특징을 대폭 반영하고 있다. 특히, 아나운서 등과 같은 직업의 경우 이미지나 인지도, 명성 등이 곧 직업의 본질로 작용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빠르게 변하는 대중의 취향이나 기호를 감안해 볼 때, 경업금지계약은 아나운서의 방송 시장으로의 재진입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면이 없지 않다. 게다가 아나운서 등 방송종사자들이 대중으로부터 얻게 되는 인지도나 명성이 오로지 방송사의 투자의 결과라고만 볼 수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나운서 본인의 자질이나 부단한 노력에 따른 부분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미국의 몇몇 개별 주들이 방송산업에서의 경업금지계약의 원칙적 금지를 입법화한 이유는 이러한 종류의 계약이 앞서 설명한 방송 관련 직업들의 구체적 특징들을 충분히 반영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는 법적 장치로 판단한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법제도나 그에 관한 법리들은 그 사회의 사회적・경제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므로, 미국 방송 산업분야에서의 경업금지계약에 관한 법리들을 우리 법의 현실에 그대로 옮겨 놓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다만, 우리나라의 방송산업이나 방송시장이 급속도록 확대되는 추세에 놓여 있고 방송사들 간의 경쟁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방송산업이 확장되고 방송사간의 시청률・청취율 경쟁이 치열해지면, 자연히 아나운서 등의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 것이고, 앞서 언급한 투자비용의 회수를 담보하기 위해 경업금지계약이라는 법적 장치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될 것이다. 그러므로 방송 산업분야에서의 경업금지계약을 바라보는 시각을 정립할 필요가 있는데, 여기에 미국의 사례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민용식(Yong Sik Min),임응순(Eung Soon Lim),곽소윤(So Yoon Kwak) 한국아시아학회 2008 아시아연구 Vol.10 No.3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살펴본다. 아울러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방송산업의 공급지장효과 및 물가파급효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은 모두 방송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방송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산업의 1엔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9653엔 만큼 유발하며, 타 산업의 부가가치를 0.5323엔 만큼 유발한다. 한편 방송산업에서 1엔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타 산업에서는 1.7383엔의 생산차질이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방송산업 산출물의 가격이 10% 상승했을 때, 국민경제 전체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5596%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which have been rarely used. These analyses pay particular and close attention to the broadcasting industry of Japan by taking it as exogenous rather than endogenous. Some interesting findings emerge from the study. First, the production of 1.0 ye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induces the production of 0.9653 yen and the value-added of 0.5323 yen in other industries. Second, the supply shortage of 1.0 ye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disables other industries to produce 1.7383 yen. Finally, an increase of 10% in price level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raises the overall price level by 0.5596%.

      • KCI등재

        위성방송 사업의 경쟁 형태와 규제 정책에 관한 연구

        손승혜(Sohn Seunghye) 한국방송학회 2004 한국방송학보 Vol.18 No.1

        이 연구는 위성방송 기술을 초기에 도입한 미국, 일본, 영국과 프랑스를 사례로 위성방송의 진입과 확장에서 인접 산업간(inter-industry) 경쟁과 산업내(intra-industry) 경쟁의 범위와 형태, 그리고 관련 규제 정책을 살펴보았다. 안정적인 독과점 체제를 유지해 온 방송 시장에 케이블과 위성방송은 새로운 경쟁자로 등장했으며, 그 중 후발 주자인 위성방송은 서로 다른 형태의 시장 구조와 사업 모델을 가지고 다채널 유료 프로그램 공급업의 경쟁 구도를 바꿔 나가고 있다. 사례로 된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는 모두 각기 다른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서로 다른 형태의 방송 산업 경쟁 구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이 연구의 결과는 인접 산업간, 산업내 경쟁 구도가 위성방송의 시장 진입과 사회적 확산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들 국가에서 모두 이러한 인접 산업, 산업내 경쟁의 범위와 형태를 판단하는 규제 기관의 정책 원칙이 현재의 경쟁 관계를 형성하도록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업 성과의 효율성과 수용자 선택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수준의 인접 산업간, 산업내의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정책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competition in terms of its boundaries, patterns, and related regulatory policies in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direct broadcast satellite television(DBS) services. Various technologies have increased the inter-industry and the intra-industry competitio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which had long enjoyed oligopolistic advantages in the market. DBS, as a late mover in the market, is transforming the television industry with diverse business models and advanced services. Four countries, the United States,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were selected as the cases due to their relatively stable conditions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ndustry. They have their uniqu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widely different broadcasting market structur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both inter-industry and intra -industry competition play critical roles in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DBS in every market. High cable penetration rates and strong terrestrial television services are among the major factors which influence the direction of the DBS development. It is also clear that the policies of the regulatory institutions have been the significant forces in building the current market structur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regulatory guidelines to maintain appropriate inter-industry and intra-industry competitions in order to provide financial efficiencies for broadcasters as well as diverse choices for audiences.

      • KCI등재

        방송산업의 구조변화와 규제 쟁점

        김영주(Kim Young Ju)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09 경제규제와 법 Vol.2 No.1

        현재 한국의 방송산업은 제한된 시장 안에서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는 구조이다. 이 글은 한국 방송산업의 특성과 경제적 성과를 살펴보고, 현재의 규제체계(진입규제, 소유규제, 내용심의 등), 방송법 개정안에 나타난 규제완화의 주요 내용들, 이를 둘러싸고 나타나고 있는 쟁점들을 고찰하고 있다. 최근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소유규제 완화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는 방송법 개정을 둘러싸고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방송법 개정과 같은 변수들이 앞으로 방송산업의 구조 뿐 아니라 우리 사회의 여론다양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소유규제 완화(특히 신문과 방송의 교차소유 허용 등) 문제가 주된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 방송법 개정 관련 논의의 대부분은 소유규제 완화를 통한 경쟁체제의 도입이 과연 우리 사회에 필요하고 바람직한 것인가의 문제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특히 여론다양성, 산업활성화 등이 주된 논쟁 지점이다. 규제완화의 수준과 범위의 문제, 사회적 합의와 같은 절차적 정당성 등도 주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그 논쟁은 아직 진행 중이다. There is keen competitio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nevertheless market size is limited in Korea. This article examin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economic performance and current regulation system(specially entry regulation, ownership regulation, content regulation etc.) of the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Until recently, proposals to amend the Broadcasting law have been debated fiercely. Revision of Broadcasting Act could be a decisive factor in public opinion diversity and industrial structure. So the point of dispute is about ownership deregulation, especially permission of cross-ownership(between newspaper company and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y). It is focused whether ownership deregulation is necessary and desirable in our society. Above all, diversity of public opinion and revitalization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are most important point of issues. The scope of deregulation and social consensus are also serious issues. The controversy is still in progress.

      • KCI등재

        신문 방송 겸영 논쟁에서 적용된 경쟁/산업적 관점과 다양성/공익적 관점 : 미국, 독일, 한국 사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정윤식 문화방송 2012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3 No.3

        미국, 독일, 한국의 신문과 방송 兼營 논쟁에서 정치관과 미디어 규제 패러다임은 그 맥락이 일치한다. 보수정권과 정당은 신문 방송 겸영, 뉴미디어 방송 도입 등을 주장하면서 경쟁/산업적 관점을 지지했다. 진보정권과 정당은 신문과 방송 겸영과 뉴미디어 도입을 반대하면서 다양성/공익적 관점을 대변했다. 신문매체는 신문 방송 겸영을 지지하면서 경쟁/산업적 관점을 지지했고, 반대로 지상파방송 및 공영방송은 신문 방송 겸영을 반대하면서 다양성/공익적 관점을 지지했다. 미국, 독일, 한국 공히 경쟁/산업적 관점과 다양성/공익적 관점 모두 자신의 관점들이 여론 다양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디어 규제 패러다임으로서 경쟁/산업적 관점과 다양성/공익적 관점은 공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 규제 패러다임 논쟁 과정에서는 공익, 경쟁, 다양성과 같은 선언적 레토릭이나 직관적 인식보다는 다양성 지수와 같은 계량적 접근방식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신문 방송 겸영과 같은 여론 형성에 영향력이 강한 부문에서는 다양성 지수나 전체 미디어시장에서의 영향력 등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료방송이나 방송과 통신의 융합 등 그 영향력이 적은 분야는 관련 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계량적 접근방법이 개발된다 하더라도 결국 정치적·사회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미디어 규제 패러다임으로서 경쟁/산업적 관점과 다양성/공익적 관점은 정치, 사회적 이해와 미디어 역학 관계 속에서 앞으로도 상호충돌, 대립할 것이지만 가장 이상적인 것은 다른 관점을 수용하고, 규범조화적인 접근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As usual, political philosophy and media regulatory paradigm is same context in newspaper-broadcasting cross ownership debates. Conservative government, party and interest group supported ‘competition/industry oriented perspective’, newspaper-broadcasting cross ownership and New media broadcasting system. On the contrary, Progressive party and interest group opposed newspaper-broadcasting cross ownership and New media broadcasting system. Their supporting theory and paradigm was ‘diversity/public interest oriented perspective’. ‘Competition/industry oriented perspective’ and ‘diversity/public interest oriented perspective’ asserted that their perspectives would contribute to media diversity and public opinion diversity. AS media regulatory paradigm, ‘competition/industry oriented perspective’ and ‘diversity/public interest perspective’ will coexist. In media regulatory paradigm debates, a quantative approach such as diversity index will need to be developed rather than rhetoric, intuitive or qualitative approach. In media regulatory paradigm debates, political-social consensus will be requisite for media reform. ‘Competition/industry oriented perspective’ and ‘diversity/public interest oriented perspective’ will be conficted with each other due to political social interest and media dynamics. The ideal type will be compromising approach between two pespectives and admit another perspective.

      • KCI등재

        <복면가왕> 이후 한국 포맷 산업의 현황과 확장 전략 :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홍원식,김창숙,김숙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6

        본 연구는 방송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방송 포맷 사업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최근 미국시장 진출에 성공하고 있 는 국내 방송 포맷 사업의 현황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방송 포맷 사업의 확장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국 시장을 연구의 중점 분석 대상으로 제시 하고 이를 실무 전문가들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살펴보았다. 총 7명의 방송 포맷 유통 실무자들의 인터뷰를 통하여, 본 연구는 <굿닥터>와 <복면가왕>의 사례 이후 미국 시장의 진출을 방송 포맷 사업의 시작점으로 강조할 만큼 방송 포맷 사업의 향후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는 모습을 확인하였으며, 최근의 국내 방송 포맷이 미국에 성공한 이유에 대해서는 국내 포맷이 갖는 신선함과 함께 <굿닥터>와 <복면가왕> 모두 보편적 방송 프로그램의 익숙한 속성이 자 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답을 얻었다. 다수의 응답자들은 향후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미국 스튜디오들과 쇼 러너(Show Runner)들에 대한 충분 한 학습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마켓 활동 및 개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국내 포맷 산업이 확장하기 위해서는 포맷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이 프로그램 형태로 형 상화된 포맷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작가 및 제작 스태프의 명성, 프로그램의 브랜드, 프로그램의 제작 방식, 프로그램 촬영 스튜디오 등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모든 지적 재산의 요소들로 확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expansion of Korean TV format business after the big success of <The Masked Singer> in the US broadcasting market. This study conducted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ienced staffs of broadcasting companies. Through the interviews, this study found that the interviewees expect that Korean TV format business will have a big growth thanks to the big success of <The Masked Singer> and <Good Doctor> in the US. On the other hand, they pointed out that the Korean TV industry still does not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system and distinct features of the US market. The interviewees insist that in oder to expand the TV format business in the US, Korean TV industry needs to make a more ac tive market promotion and build up dynamic networks with US studios and show runners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s of the TV business value chain of the U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Korean TV industry needs to be more flexible for being ready to meet various needs of contents-brand in the various world markets including the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