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5 MV 의료용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광중성자의 선량 평가

        양오남(Oh-Nam Yang),임청환(Cheong-Hwan L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2 방사선기술과학 Vol.35 No.4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기존의 3차원입체조형방사선치료보다 표적체적에 최적의 선량분포를 구현하면서 주변 정상조직에 들어가는 선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료기법으로 현재 임상에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2011년 국민건강보험으로 인정되면서 그 이용이 대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10 MV 이상의 고에너지 광자선에 대한 방사선 치료 이용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광자선은 타겟, 편평화여과기, 콜리메이터, 그리고 다엽콜리메이터와 같은 원자번호가 높은 물질과 광핵반응을 통하여 광중성자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다엽콜리메이터 기반의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MU를 증가시켜, 결국 광핵반응에 의한 광중성자 발생률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ando 팬텀을 이용한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에 있어 3차원입체조형방사선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시 발생되는 광중성자의 선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자궁경부암 치료를 위해 Rando 팬텀을 이용하여 3차원입체조형치료계획과 세기조절방사선치료 계획을 수립하였다. 치료실에 Rando 팬텀을 셋업 하였고, 광자극 발광선량계를 복부, 흉부, 경부, 그리고 미간의 표면에 부착한 후 치료계획을 기반으로 15 MV 광자선을 조사시켰다. 측정은 각 측정위치에서 5회 반복 시행하였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로부터 측정된 광중성자의 선량을 3차원입체조형방사선치료와 비교했을 때, 복부, 흉부, 경부, 그리고 미간 측정 위치에서 각각 9.0 배, 8.6 배, 8.8 배, 그리고 14 배로 많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15 MV 광자선을 이용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가 조사야 밖에서 상당한 양의 광중성자를 발생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의료용선형가속기의 물리적인 특성상 광중성자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는 어렵겠지만 의료의 질적인 면이나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조사야 외 불필요하게 영향을 받는 정상조직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하겠다.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IMRT) have the ability to provide better dose conformity and sparing of critical normal tissues than three-dimensional radiotherapy(3DCRT). Especially, with the benefit of health insurance in 2011, its use now increasingly in many modern radiotherapy departments. Also the use of linear accelerator with high-energy photon beams over 10 MV is increasing. As is well known, these linacs have the capacity to produce photonueutrons due to photonuclear reactions in materials with a large atomic number such as the target, flattening filters, collimators, and multi-leaf collimators(MLC). MLC-based IMRT treatments increase the monitor units and the probability of production of photoneutrons from photon-induced nuclear rea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dose of photoneutrons produced from 3DCRT and IMRT technique for Rando phantom in cervical cancer. We performed the treatment plans with 3DCRT and IMRT technique using Rando phantom for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An Rando phantom placed on the couch in the supine position was irradiated using 15 MV photon beams.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s(OSLD) were attached to 4 different locations (abdomen, chest, head and neck, eyes) and from center of field size and measured 5 times each of locations. Measured neutron dose from IMRT technique increased by 9.0, 8.6, 8.8, and 14 times than 3DCRT technique for abdomen, chest, head and neck, and eyes, respectively. When using IMRT with 15 MV photonbeams, the photoneutrons contributed a significant portion on out-of-field. It is difficult to prevent high energy photon beams to produce the phtoneutrons due to physical properties, if necessary, It is difficult to prevent high energy photon beams to produce the phtoneutrons due to physical properties, if necessary, it is need to provide the additional safe shielding on a linear accelerator and should therefore reduce the out-of-field dose.

      • SCOPUSKCI등재

        방사선치료시 두경부 림파절 종양내 간질액 압력의 변화 양상

        조문준(Moon-June Cho),김재성(Jae-Sung Kim),이인태(Intae Lee),김준상(Jun-Sang Kim),김기환(Ki-Hwan Kim),장지영(Ji-Young J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Purpose :To determine if the tumor intersitial fluid pressure (TIFP) and/or its chang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lymph node in head and neck area can predict radiotherapy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 In 26 biopsy proven metastatic lymph node patients in head and neck area with accessible by direct inspection and palpation, and of sufficient thickness (> 1 cm) to permit accurate needle placement, we measured TIFP at cervical lymph node before and during radiotherapy. Tumor size was measured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Results :The mean preradiotherapy TIFP was 24.7 mmHg. Preradiotherapy TIFP had margin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umor size (p=0.06). Preradiotherapy TIFP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umor size decreased (p=0.009). Preradiotherapy TIFP was not different between complete response group and group with partial or less respone (p=0.75). Radiotherapy outcome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 with above and group with below than average TIFP (p=0.229). TIFP decreased 36 mmHg in complete response group and 29.7 mmHg in group with partial or less respone. Conclusion :The mean TIFP was elevated with 24.7 mmHg. Preradiotherapy TIFP had margin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umor size (p=0.06). TIFP decreased 36 mmHg in complete response group and 29.7 mmHg in group with partial or less respon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wo groups. 목 적 : 두경부 악성 림파절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중 종양내 간질액 압력을 측정하여 종양내 간질액 압력 및 이의 변화가 갖는 임상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26명의 전이성 두경부 악성 림파절 환자를 대상으로 육안적으로 확인 가능하며 접근이 가능한 부위에 위치하고 주사침 끝이 적절히 위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1 cm 이상의 충분한 두께를 갖는 경부 림프절에서 방사선치료 직전 및 방사선치료 중에 종양내 간질액 압력을 측정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촉지하여 임상적으로 측정하고 방사선과적 검사로 측정을 확인하였다. 결 과 : 방사선치료 전 TIFP는 25명에서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평균치는 24.7 mmHg였다. 방사선치료 전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치료 전 TIFP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marginal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06), 치료 전 종양 크기가 크면 치료 후 TIFP의 감소가 큰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43). 방사선치료 중 9명에서 TIFP의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이들의 방사선치료 전과 치료 후 TIFP변화는 평균 12.5 mmHg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9). 치료 전 TIFP가 평균치 이상인 환자군과 이하인 환자군 사이에 방사선치료 결과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229). 방사선 치료 후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군과 부분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군 사이에 치료 전 TIFP의 차 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75). 방사선치료 후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군의 TIFP의 치료 전과 치료 중 비교시 평균 36 mmHg 감소하였으며 부분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군은 29.7 mmHg 감소하여 현재까지는 두 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75) 결 론 : 방사선치료 전 TIFP의 평균치는 24.7 mmHg였으며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치료 전 TIFP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marginal하게 유의하였다(p=0.06). 방사선치료 후 부분 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환자군의 치료 전과 치료 중 TIFP를 비교시 평균 29.7 mmHg로 감소하였으나 완전관해를 보인 군은 36mmHg의 더 큰 감소를 보였으나 현재까지는 두 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는 않았다(p=0.75).

      • KCI등재후보

        대동맥림프절 종양에 대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양성자치료, 양성자회전치료의 선량 비교평가

        김정훈(JungHoo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4 방사선기술과학 Vol.37 No.4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양성자치료의 치료계획장비를 이용하여 방사선회전조사와 같은 치료계획을 양성자 치료에 사용하여 대동맥 주위 림프절 종양에 대해 양성자회전치료와 양성자치료,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이용하여 선량 평가를 하였다. 대동맥주위 림프절 종양 환자 9명을 대상으로 양성자회전치료, 양성자치료,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방사선치 료계획을 세워 각각의 선량 체적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선량 평가를 하였다. 양성자회전치료의 치료계획방법 으로는 250~120까지 5도 간격으로 48개의 빔을 사용하였으며, 양성자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각각 2~3, 4~5개의 빔을 사용하였다. 모든 방사선 치료계획 시스템은 Eclipse planning system(Varian Medical system, Inc., Palo Alto, CA, USA)을 사용하였으며, 양성자회전치료는 아직 개발이 안된 치료장치이므로 치료계획방 법에서 기계적, 물리적인 요소를 양성자치료계획과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선량분석방법으로는 정상장기(간, 신장, 소장, 위, 십이지장)와 종양의 선량 체적 히스토그램(dose-volume histogram: DVH)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인자인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ies(NTCP), organ equivalent dose(OED)와 mean dose를 각각의 치료계획방법을 비교 분석 평가하였다. 그 결과 양성자회전치료가 복부에 위치한 small bowel, duodenum, stomach의 볼륨 90%가 받는 선량에서의 결과는 다른 치료계획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NTCP의 결과에서 양성자회전치료가 liver를 제외한 나머지 장기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복부에 위치한 정상장기에 받는 선량이 다른 치료계획에 비해 높아 치료계획 시 주위가 요하며, 물리적, 기계적인 요소는 양성자치료와 동일하다는 전제조건으로 양성자회전치료와 유사한 장비가 제작되어 상용화 되었을 때에 본 연구의 결과와는 다를 거라 사료된다. 현실적으로 아직 불가능한 치료방법이지만 앞으로 추가적인 양성자회전치료의 연구와 기술개발이 되어 상용화가 되면 기존의 특수방사선치료인 세기조절방사 선치료, 양성자치료, 세기조절회전치료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방법이 될 거라고 사료된다. To test feasibility of proton arc therapy (PAT) in the treatment of para-aortic lymph node tumor and compare its dosimetric properties with advanced radiotherapy techniques such as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and conventional 3D conformal proton beam therapy (PBT). The treatment plans for para-aortic lymph node tumor were planned for 9 patients treated at our in-stitution using IMRT, PBT, and PAT. Feasibility test and dosimetric evaluation were based on comparisons of dose volume histograms (DVHs) which reveal mean dose, D 30% , D 60% , D 90% , V 30% , V 60% , V 90% , organ equivalent doses (OEDs),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 homogeneity index (HI) and con-formity index (CI). The average doses delivered by PAT to the liver, kidney, small bowel, duodenum, stomach were 7.6%, 3%, 17.3%, 26.7%, and 14.4%, of the prescription dose (PD), respectively, which is higher than the doses delivered by IMRT (0.4%, 7.2%, 14.2%, 15.9%, and 12.8%, respectively) and PBT (4.9%, 0.5%, 14.12%, 16.1% 9.9%, respectively). The average homogeneity index and conformity index of tumor using PAT were 12.1 and 1.21, respectively which were much better than IMRT (21.5 and 1.47, respectively) and com-parable to PBT (13.1 and 1.23, respectively). The result shows that both NTCP and OED of PAT are gen-erally lower than IMRT and PB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AT is better in target conformity and homogeneity than IMRT and PBT but worse than IMRT and PBT for most of dosimetric factor which indicate that PAT is not recommended for the treatment of para-aortic lymph node tumor.

      •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자궁경부암의 재 방사선치료

        김진희(Jin Hee Kim),최태진(Tae Jin Choi),김옥배(Ok Bae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3

        목 적 :저자들은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받고 골반 내에 재발하여 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률, 부작용 등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7년 1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고 추적 관찰 중 골반내에 재발하여 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진단당시 병기로는 Ia 1명, Ib 5명, IIa 5명, IIb 3명, IIIb 2명, IVa 2명으로 평균연령은 57세(37∼79세)이었다. 재발기간은 6개월에서 122개월로 평균 58개월이었다. 재발부위는 7명에서 자궁경부, 10명에서 질부, 1명에서 골반내 림프절에 재발하였다. 12명은 외부방사선치료와 강내 방사선치료를, 4명은 외부방사선치료와 자입방사선치료를, 2명은 외부방사선치료단독를 시행하였다. 재 방사선치료의 외부방사선량은 2,100∼5,400 cGy이었고 방사선총량은 3,780∼8,550 cGy이었다. 재발 후 추적기간은 8개월에서 80개월로 평균 25개월이었다. 결 과 :재 방사선치료 직후 전체 18명 중 14명(78%)에서 국소 제어가 되었으며 재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2년 무병생존률은 53.6%이었다. 재발부위에 따라 2년 무병생존률이 질에 재발한 환자 10명에서는 71.4%, 자궁에 재발한 환자 7명에서는 28.5% (p=0.03)를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 방사선총량에 따라 2년 무병생존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6,000 cGy 71.8%, ≤6,000 cGy 25% p=0.007). 재 방사선치료 후 20개월 이상 추적 관찰된 환자 10명중 7명에서 무병생존 중이다(7/18, 39%). 외부방사선치료와 강내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가장 좋은 생존률을 보였다. 재 방사선치료 후 실패양상은 국소 재발이 국소 제어 안된 4명을 포함한 7명(39%)에서 자궁 및 질에 재발하였고 2명에서 원격 전이되어 사망하였다. 부작용으로는 장출혈이 3명에서 있었으며 수술을 요하는 장폐쇄가 2명, 방광손상에 의한 혈뇨가 1명, 2도 방광염이 2명, 연부 부종이 2명, 질부조직괴사가 1명에서 있었으나 자연 치유되었다. 재 방사선치료총량이나 재발기간에 따른 부작용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경우, 재 방사선치료는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나 심각한 부작용을 줄이는 노력이 더 요구된다. Purpose : To evaluate treatment results in terms of local control, complications and survival after reirraidiation in recurrent cervical cancer following definite radiation therapy. Mate ria l a nd me thods : From November 1987 through March 1998, eighteen patients with recurrent cervical cancer following definite radiation therapy were subsequently treated with reirradiation at Keimyung Univers ity Dongsan Medical Center. In regard to the initial FIGO stage, one patient was stage Ia, five were stage IIa , three were IIb, two were IIb and two were IVa. The age range was 37 to 79 years old with median age of 57. The time interval from initial definite radiation therapy to recurrence ranged from 6 to 122 months with a median of 58 months . The recurrent s ites were the uterine cervix in seven patients, vagina in ten and pelvic lymph node in one. Reirradiation was performed with external radiation and intracavitary radiation in twelve patients , external radiation and implantation in four and external radiation alone in two. The ra nge of external radiation dose was 2,100∼5,400 cGy and the range of the tota l radiation dose was 3,780∼8,550 cGy. The follow- up periods ranged from 8 to 20 months with median of 25 following reirradiation. Results : Fourteen of eighteen patients (78%) had loca l control just after reirradiation. The two year disease free survival (2YDFS) rate was 53.6%. There were statistically s 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2YDFS according to both recurrent s ite (2YDFS 28.5% in uterine cervix, 71.4% in vagina, (p=0.03)) and the total dose (2YDFS 71.8% in >6,000 cGy , 25% in ≤6,000 cGy, p=0.007). Seven of ten patients who were followed for more than 20 months rema in alive and disease free (7/18, 39%). Patients treated with external radiation and intracavitary radiation had a higher rate of 2YDFS. Seven patients including 4 patients with no local control experienced local failure in the uterus or vagina and two patients died with distant metastas is . Complications included rectal bleeding in 3 patients , bowel obstruction treated with surgery in two, hematuria in one, radiation cystitis in two, soft tissue swelling in two and vaginal necros is spontaneously healed in on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total dose or the time to recurrence from initial radiation. Conclusion : In patients with recurrence following definite radiation therapy in the uterine cervical cancer, reirradiation may be effective but requires an effort to reduce radiation induced severe complications.

      • KCI등재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 시 주변 정상장기 피폭선량을 이용한 암발생확률 평가

        이주아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ancer incidence rate and provide basic data by measuring the photoneutron dose generated during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and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used in radiation therapy for prostate cancer. The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albedo neutron dosimeter for neutron measurement was placed on the Rando phantom in the abdomen and thyroid and photoneutron dose generated was measur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7 portal) was measured to be higher than volumetric rotational radiation therapy in both abdominal and thyroid locations. When the cancer incidence rate was evaluated using the nominal risk coefficient of ICRP 103, the cancer incidence rate due to exposure to the colon and thyroid during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was 9.9 per 1,000 people, and volumetric rotational radiation therapy for 1,000 people. It was 3.5 per person. Based on the principle of ALARA (As low as reasonably archievable), it is considered to be a guideline for minimizing the exposure dose to normal organs in the establishment of a radiation treatment plan.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 시 사용되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부피적회전방사선치료시 발생하는 광중성자선량을 측정하여, 암 발생률을 평가하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Rando phantom에 중성자 측정용 광자극발광선량계를 복부와 갑상선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생하는 광중성자선량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세기조절방사선치료(7 portal)가 부피적회전방사선치료보다 복부와 갑상선 위치에서 모두 높게 측정되었다. ICRP 103의 명목위험계수를 이용하여 암 발생확률을 평가하였을 때, 세기조절방사선치료시 대장과 갑상선의 피폭으로 인한 암발생확률은 1,000명 당 9.9명 이었으며, 부피적회전방사선치료시는 1,000명 당 3.5명이었다. ALARA(As low as reasonably archievable)원칙에 의거하여 방사선치료계획 수립에 있어서 정상장기들의 피폭선량의 최소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송과체부 종양에서 시험적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연실(Yeon Shil Kim),유미령(Mi Ryung Ryu),정수미(Su Mi Chung),김문찬(Moon Chan Kim),윤세철(Sei Chul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뇌중심부에 위치한 종양의 치료에 수술적 절제는 높은 치사율과 합병증을 동반한다. 조직학적 진단을 얻지 못한 뇌중심부 종양의 치료로 20∼30 Gy의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방사선에 대한 반응 정도로 조직학적 유형을 예상하여 적절한 치료 방침을 정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조직학적 진단 없이 영상적 진단 하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송과체부 종양환자 30명의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방사선치료의 유용성 및 방사선치료로 치유 가능한 종양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3년 3월부터 1995년 8월까지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송과체부 종양으로 조직학적 진단을 얻지 못하고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연령범위는 7∼69세(중앙값 16세)였으며 종양의 위치는 송과선(pineal gland) 18명(60%), 뇌하수체상부(suprasellar) 4명(13.3%), 송과선과 뇌하수체상부(pineal gland & suprasella) 2명(6.7%), 송과선와 주변 뇌실(pineal gland and paraventricle) 6명(20%)이었다. 20∼30 Gy/ 2∼3주의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CT 혹은 MRI를 추적 검사하여 방사선 반응성에 따라 최종 치료방침 및 방사선조사범위를 다시 결정하였다. 총방사선치료선량 범위는 40.8∼59.4 Gy였으며(중앙값 : 50.4 Gy) 환자들의 중앙추적 기간은 36.5개월이었다(4∼172개월). 결 과 : 시험적 방사선치료 후 28명(93.3%)의 환자에서 임상증상이 호전 혹은 안정되었고 영상학적 검사상 19명(63.3%)에서 부분관해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전체환자의 2년 생존률과 5년 생존률은 각각 66.7%, 55.1%였다. 시험적 방사선치료 후 임상 증상, 방사선 영상학적 반응정도에 따른 생존률의 차이는 없었다. 연령, 원발종양의 위치, 활동수행정도(KPS≥70), 방사선치료 종료 후 최종 반응정도, 방사선조사야가 단변량분석에서 생존률과 무병생존률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였다(p<0.05). 결 론 :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63.3%의 환자에서 영상학적으로 종양의 반응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뇌중심부 종양의 임상적 조직학적 양상은 매우 복잡 다양하여 초기 방사선 반응성만으로 조직학적 진단의 유추 및 완치여부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향후에는 이와 같은 종양에서 1차적 시험적 방사선치료의 적용보다는 좀더 정확하고 비침습적인 조직학적 진단방법의 개발과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assess the treatment results of 30 patients with pineal region tumors who were underwent radiation therapy under the diagnosis by either CT or MRI. There was no histological verification. We analyzed the prognostic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 free survival (DFS) rates.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30 patients with pineal region tumors were treated between March 1983 and August 1995. After a trial radiation therapy of 20∼30 Gy/2∼3 weeks, the patients were evaluated for their clinical response and radiological response by either CT or MRI and the final treatment direction was then decided. According to their response to the trial radiation therapy and the involved site, radiation treatment was given in various fields i.e., local, ventricle, whole brain and craniospinal field. The radiation dose ranged from 40.8 to 59.4 Gy (Median 50.4 Gy). The median follow up was 36.5 months (4∼172 months). Results : An improvement or stability in the clinical symptoms was observed in 28 patients (93.3%) after the trial RT. Nineteen patients (63.3%) showed a partial or complete response by CT or MRI. The two-year and five-year survival rates of the patients were 66.7% and 55.1%,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radiological response was abserved after the trial RT.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the primary site, the performance status (KPS≥70), the degree of response after completing RT and the RT field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s (p<0.05). Conclusion :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eal region tumors are quite complex and divers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histological diagnosis and the possibility of radiocurability only with the initial response to RT. We think that the development of less invasive histological diagnostic techniques and tailored treatment to the histological type of each tumor are needed.

      • SCOPUSKCI등재

        직장암의 근치적 수술 후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의 순서에 대한 고찰

        김경주(Kyoung Ju Kim),김종훈(Jong Hoon Kim),최은경(Eun Kyung Choi),장혜숙(Hyesook Chang),안승도(Seung Do Ahn),이제환(Je Hwan Lee),김진천(Jin Cheon Kim),유창식(Chang Sik Yu)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1

        목 적 : 근치적 수술을 시행받은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치료로서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시행시, 방사선 치료와 화학요법의 시행 시점에 따른 부작용과 치료 실패양상, 생존율을 비교하고자 전향적 무작위 3상 임상연구를 시행하여 가장 적절한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순서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AJCC 병기 2기 및 3기의 직장암 환자 313명을 대상으로 조기 방사선치료군(arm I)과 지연 방사선치료군(arm II)으로 나누어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 병용치료를 시행하였다. 화학요법은 5- FU 375 mg/m2/day와 leucovorin 20 mg/m2/day를 방사선치료와 동시치료 기간에는 3일간씩, 화학요법 단독 기간 동안에는 5일간씩 총 8회를 정맥주사하였고 방사선치료는 전골반 영역에 45 Gy/25 fractions/5 weeks를 시행하였다. 이 중 1998년 6월까지 등록된 228명을 대상으로 중간 분석을 시행하였고 228명중 두명의 환자는 이차적인 원발종양의 발생으로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Arm I은 1회차 화학요법과 동시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arm II는 화학요법을 2회 마친 후 3회차와 동시에 시행하였다. 중앙추적관찰기간은 23개월이었다. 결 과 : 국소재발은 arm I에서 11명(9.7%), arm II에서 9명(8%)이었고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원격전이는 arm I에서 22명(19.5%), arm II에서 35명(31%)으로 의미있게 arm I에서 낮게 나타났다(p=0.046). 그러나 3년 무병생존율(70.2% vs 59.2%, p=0.2)과 3년 생존율(89.4% vs 88.0%, p=0.47)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방사선치료중 RTOG grade 1 이상의 백혈구 감소는 78.3%에서 관찰되었고 방사선치료 후 화학요법 기간 동안에는 79.9%에서 관찰되었으나, RTOG grade 3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은 각각 2.1%, 6%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저위전방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하루 10회 이상의 설사를 한 환자는 arm I에서 71.2%, arm II에서 42.6%로 의미있게 arm I에서 높았으나(p=0.02) 이러한 부작용은 보조적인 치료로 회복되었다. 결 론 : 근치적 절제술 후 그 순서에 관계없이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써 국소재발율을 낮출 수 있었다. 원격전이는 수술 후 조기 방사선치료군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뚜렷한 원인은 밝힐 수 없었고 향후 추적 관찰이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치료는 대부분의 환자가 큰 부작용 없이 마쳐 비교적 안전한 치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치료순응도는 좀 더 높아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side effects, pattern of failure, and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patients with stages II and III rectal cancer who had undergone curative resection were randomized to early radiotherapy group (arm I) or late radiotherapy group (arm II) , then we inten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sequence of the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1996 to March 1999, 313 patients with curatively resected stages II and III rectal cancer have been randomized to early or late radiation therapy group and received combined chemotherapy (5- FU 375 mg/m2/day, leucovorin 20 mg/m2 , IV bolus daily D1- 5, 8 cycles) and radiation therapy (whole pelvis with 45 Gy/25 fractions/5 weeks). Arm I received radiation therapy from day 1 with first cycle of chemotherapy and arm II received radiation therapy from day 57 with third cycle of chemotherapy after completion of first two cycles. Preliminar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228 patients registered up to Jun 1998. Two out of the 228 patients were excluded because of double primary cancer. Median follow- up period was 23 months. Results : Local recurrence occurred in 11 patients (9.7%) for arm I and 9 patients (8%) for arm I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p=0.64). However, distant metastasis was found in 22 patients (19.5%) for arm I and 35 patients (31.0%) for arm II and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46). And neither 3-year disease- free survival (70.2% vs 59.2%, p=0.2) nor overall survival (89.4% vs 88.0%, p=0.47)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incidence of leukopenia during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was 78.3% and 79.9% respectively but leukopenia more than RTOG grade 3 was only 2.1% and 6.0%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diarrhea more than 10 times per da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for arm I than for arm II (71.2% vs 41.6%, p=0.02) but this complication was controlled with supportive cares. Conclusion : Regardless of the sequenc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after curative resection for rectal cancer, local recurrence rate was low with combined chemoradiotherapy. But distant metastasis rate was lower in early radiation therapy group than in late radiation therapy group and the reason is unclear. Most patients completed these treatments without severe complication, so these were thought to be safe treatments but the treatment compliance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편도암에 대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예비적 결과

        박금주(Geumju Park),이상욱(Sang-wook Lee),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n Kim),송시열(Si Yeol Song),윤상민(Sang Min Youn),박성호(Sung Ho Park),박동욱(Dong-wook Park),안승도(Seung Do A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3

        목 적: 편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예비적 임상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1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2명의 편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5명, 근치적방사선치료는 7명에서 시행되었고, 이중 6명의 환자가 cisplatin을 기본으로 하는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으로 치료를 받았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9명의 환자에서 동시차등조사가속치료(simultaneous modulated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가 이용되었다. 근치적치료의 경우 일회선량 2.4 Gy 씩 총 72 Gy, 그리고 수술 후 치료의 경우 일회선량 2.2 Gy 씩 총 61.6 Gy의 방사선량이 조사되도록 하였다. 전체 환자의 추적 관찰 기간은 24∼80개월(중앙값 34개월)이었다.결 과: 전체 대상 환자 12명 모두 치료 중단 없이 계획된 치료를 수행 받았다. 방사선치료 종료 후 11명의 환자에서완전반응을 보였고 한 명의 환자에서 잔존림프절종양이 발견되어 구제 경부곽청술을 시행하였으나 3개월 후 국소림프절종양이 재발하였다. 완전 반응을 보인 11명의 환자는 마지막 추적 관찰 시점까지 국소림프절 재발 및 원격전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 기간 중 급성 합병증은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3도 이상의 구강 점막염,인두염과 구강건조증이 각각 3명, 3명, 6명에서 관찰되었다. 결 론: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편도암의 치료에 있어서 초기 종양반응과 국소제어면에서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치료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궁극적인 종양반응과 만성 합병증을 알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대상과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 Purpose: We wanted to present the preliminary results of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for the treatment of tonsillar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2 patients who underwent IMRT for tonsillar cancer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November 2002 and February 2007. Seven patients (58%) received definitive treatment, and five (42%) were treated in the postoperative setting. Among the definitively treated patients, 6 patients received cisplatin-based chemotherapy regimens. Simultaneous modulated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 (SMART) was used in nine patients. The prescribed dose was 72 Gy at 2.4 Gy/fraction for the definitively treated cases and 61.6 Gy at 2.2 Gy/fraction for the postoperative case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4 months. Results: All twelve patients completed treatment without interruption, and eleven showed a complete response. One patient had persistent loco-regional disease after treatment. The three-year estimates of loco-regional control,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were 91.7%, 91.7%, and 100%. The worst acute mucositis was Grade 1 in four patients, Grade 2 in five patients, Grade 3 in two patients and Grade 4 in one patient. Grade 3 xerostomia was observed in six patients. Conclusion: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was shown to be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tonsillar cancer. Further studies with a larger number of patients and a longer follow-up period are needed to evaluate the ultimate tumor control and late toxicity of IMRT for treating tonsillar cancer.

      • KCI등재후보

        성문상부암의 방사선치료

        남택근(Taek-Keun Nam),정웅기(Woong-Ki Chung),조재식(Jae-Shik Cho),안성자(Sung-Ja Ahn),나병식,(Byung-Sik Nah) 오윤경(Yoon-Kyeong O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Purpose : A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role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surgery for treating a supraglottic carcinoma in terms of the local control and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 1986 to Oct. 1996, a total of 134 patients were treated for a supraglottic carcinoma by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surgery. Of them, 117 patients who had completed the radiotherapy formed the base of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redistributed according to the revised AJCC staging system (1997). The number of patients of stage Ⅰ, Ⅱ, Ⅲ, ⅣA, ⅣB were 6 (5%), 16 (14%), 53 (45 %), 32 (27%), 10 (9%), respectively. Eighty patients were treated by radical radiotherapy in the range of 61.2∼79.2 Gy (mean : 69.2 Gy) to the primary tumor and 45.0∼93.6 Gy (mean : 54.0 Gy) to regional lymphatics. All patients with stage Ⅰ and ⅣB were treated by radiotherapy alone. Thirty-seven patients underwent surgery plus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range of 45.0∼68.4 Gy (mean : 56.1 Gy) to the primary tumor bed and 45.0∼59.4 Gy (mean : 47.2 Gy) to the regional lymphatics. Of them, 33 patients received a total laryngectomy (±lymph node dissection), three had a supraglottic horizontal laryngectomy (±lymph node dissection), and one had a primary excision alone. Results : The 5-year survival rate (5YSR) of all patients was 43%. The 5YSRs of the patients with stage Ⅰ+Ⅱ, Ⅲ+Ⅳ were 49.9%, 41.2%, respectively (p=0.27). However, the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with stage I (n=6) was 100%. The 5YSR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plus radiotherapy (S+RT) vs radiotherapy alone (RT) in stage Ⅱ, Ⅲ, ⅣA were 100% vs 43% (p=0.17), 62% vs 52% (p=0.32), 58% vs 6% (p<0.001), respectively. The 5-year actuarial locoregional control rate (5YLCR) of all the patients was 57%.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stage Ⅰ, Ⅱ, Ⅲ, ⅣA, ⅣB was 100%, 74%, 60%, 44%, 30%, respectively (p=0.008).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S+RT vs RT in stage Ⅱ, Ⅲ, ⅣA was 100% vs 68% (p=0.29), 67% vs 55% (p=0.23), 81% vs 20% (p<0.001), respectively. In the radiotherapy alone group, the 5YLCR of the patients with a complete, partial, and minimal response were 76%, 20%, 0%, respectively (p<0.001). In all patient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N-stage, surgery or not, and ag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and that the N-stage, surgery or not, and the ECOG performance index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locoregional control. In the radiotherapy alone group,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radiation response and N-stag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survival rate as well as locoregional control. Conclusion : In early stage supraglottic carcinoma,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is an equally effective modality compared to surgery plus radiotherapy and could preserve the laryngeal function. However, in the advanced stages, radiotherapy combin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for laryngeal preservation or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In bulky neck disease, all the possible planned neck dissections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or before radiotherapy should be attempted. 목 적 : 성문상부암에서 방사선 단독치료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국소종양제어율과 생존율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134명이 성문상부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단독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고 이 중 계획된 방사선량을 조사 받은 1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997년의 AJCC 병기분류체계에 의하여 재분류하였고 병기 Ⅰ, Ⅱ, Ⅲ,ⅣA, ⅣB의 환자 수는 각각 6 (5%), 16 (14%), 53 (45%), 32 (27%), 10 (9%)이었다. 전체 환자 중 80명은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로 원발병소에 61.2∼79.2 Gy (평균 : 69.2 Gy), 경부림프절에 45.0∼93.6 Gy (평균 : 54.0 Gy)를 조사하였다. 전체 환자 중 병기 Ⅰ과 ⅣB 환자는 모두 방사선 단독치료를 시행하였다. 37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원발병소 절제부위에 45.0∼68.4 Gy (평균 : 56.1 Gy), 경부 림프절에 45.0∼59.4 Gy (평균 : 47.2 Gy)를 조사하였다. 수술방법으로서 33명은 전후두적출술(±경부림프절 청소술), 3명은 부분후두적출술(±경부림프절 청소술), 나머지 1명은 원발병소만의 절제술이었다. 결 과 :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43%이었다. 병기 Ⅰ+Ⅱ와 Ⅲ+Ⅳ의 5년 생존율은 49.9%, 41.2%이었으나(p=0.27), 병기 I (n=6) 환자의 종양특성생존율은 100%이었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S+RT)과 방사선단독 치료군(RT)의 5년 생존율은 병기 Ⅱ에서 100% 대 43%, 병기 Ⅲ에서 62% 대 52%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0.17, p=0.32), 병기 ⅣA에서 58% 대 6%로 S+RT군의 생존율이 유의한 차이로 양호하였다(p<0.001). 전체 환자의 국소종양 제어율은 57%이었다. 병기별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Ⅰ, Ⅱ, Ⅲ, ⅣA, ⅣB에서 각각 100, 74, 60, 44, 30%이었다(p=0.008). S+RT군과 RT군의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Ⅱ에서 100% 대 68%, 병기 Ⅲ에서 67% 대 55%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29, p=0.23), 병기 ⅣA에서는 81% 대 2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80명의 환자 중 방사선치료반응에 따른 국소종양제어율은 완전관해, 부분관해, 부분관해미만 군에서 각각 76, 20, 0%이었다(p<0.001). 전체환자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N 병기, 수술 여부, 나이였고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는 N 병기, 수술 여부, ECOG 활동도였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에서 다변량 분석결과 생존율과 국소종양제어율 모두에 유의한 인자는 방사선치료 후 종양반응과 N 병기였다. 결 론 : 조기 병기의 성문상부암에서는 통상적인 방사선단독치료로 후두기능을 보존하면서 수술군과 대등한 종양제어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진행된 병기의 경우에는 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 또는 후두기능의 보존적 측면에서의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진행된 림프절 병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방사선치료 전 또는 유도화학요법 후 계획된 경부림프절 청소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방사선 치료의 국내 현황과 미래

        허승재(Seung Jae H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4

        목 적: 최근 국내 방사선 치료의 발전 경향, 시설 장비와 인적 현황 등 인프라와 특징을 조사하고, 국내 방사선종 양학분야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려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도 방사선종양학과 전공의 지도 감독에 관한 실태 조사를 위하여 2006년 7월, 전문의, 전공의, 의학 물리사, 간호사, 방사선사 등 인력 및 치료 장비 인프라 조사와 함께 향후 확장 계획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61개 기관의 치료 시설 등급 결정은 IAEA 조사연구에서 사용한 기준에 따라서 분류하였다. 결 과: 2006년 7월 현재 한국에 설치된 방사선종양학과는 61개 병원이며, 132명의 전문의와 50명의 전공의를 포함하여 선량계산사 및 의학물리사 64명, 방사선사 369명 간호사 130명 등 745명의 인력이 2004년도 기준으로 28,789명 신환의 방사선치료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방사선치료기는 메가볼티지 치료기가 104대 설치되어 있고 선형가속 기가 96대, 코발트 원격치료기 2대, 토모치료기 3대, 사이버나이프가 2대, 한 대의 양성자 치료기가 설치되어 있다. 강내치료 장치는 41개 병원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 35개 병원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기, 6개 병원에서 저선량률 강내치료 장치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국내 61개 병원의 IAEA기준에 따른 분류에서는 level 0이 2곳, level 1이 15곳, level 2가 19곳이고, level 3 즉 강도조절 방사선치료, 정위적 방사선치료, 수술 중 방사선치료가 가능한 시설이 25곳 으로 매우 높은 질의 치료를 시행함을 보여준다. 결 론: 최근 치료시설과 방사선치료 관련 인적 인프라는 현저한 증가 추세에 있다. 즉, 선형가속기의 증가와 함께 코발트 치료기는 현격한 감소를 보이며 토모치료기, 사이버나이프 등 첨단 치료 장치가 증가하는 경향이다. 한국의 메가볼티지 치료기의 숫자는 인구 백만 명당 2.1대로서 향후 방사선치료의 필요성과 적응증이 계속 증가되는추세에 있어서 치료기의 증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Purpose: An analysis of the infrastructure for radiotherapy in Korea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baseline plan in 2006 for future develop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61 radiotherapy centers. The survey covered the number of radiotherapy centers, major equipment and personnel. Centers were classified into technical level groups according to the IAEA criteria. Results: 28,789 new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in 2004. There were 104 megavoltage devices in 61 institutions, which included 96 linear accelerators, two Cobalt 60 units, three Tomotherapy units, two Cyberknife units and one proton accelerator in 2006. Thirty-five high dose rate remote after-loading systems and 20 CT-simulators were surveyed. Personnel included 132 radiation oncologists, 50 radiation oncology residents, 64 medical physicists, 130 nurses and 369 radiation therapy technologists. All of the facilities employed treatment-planning computers and simulators, among these thirty-two percent (20 facilities) used a CT-simulator. Sixty-six percent (40 facilities) used a PET/CT scanner, and 35% (22 facilities) had the capacity to implement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Twenty-five facilities (41%) were included in technical level 3 group (having one of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stereotactic radiotherapy or intra-operative radiotherapy system). Conclusion: Radiation oncology in Korea evolved greatly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recently and demand for radiotherapy in Korea is increasing steadily. The information in this analysis represents important data to develop the future planning of equipment and human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