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찰한 방광암 증례

        이미화(Mi Hwa Lee),권덕문(Deok Moon Kwon)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22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Vol.6 No.1

        개요 : 방광암은 소변을 저장하는 장기인 방광에 악성세포가 생긴 질환을 의미한다. 방광암은 방광 내부의 상피세포에서 처음 발생한다. 60-70대에서 주로 발생한다. 남성의 위험도가 여성보다 3-4 배 가량 높다. 방광암에는 세 종류가 있고, 각기 다른 세포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중 방광암의 90% 정도는 이행세포암에 해당하고, 6-8% 정도가 평편세포암, 2% 정도가 선암에 해당한다. 원인은 이행세포암은 담배 연기, 주변의 화학물질과 같은 암을 유발하는 물질이 있다. 또한 특정 산업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되고, 최근에는 작업장 안정 법률 덕분에 매우 많이 감소 되었다. 방광암 환자 중 흡연 경험이 있는 사람은 절반에 불과하지만 흡연자들은 일반적으로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보다 2-4배 더 많이 방광암에 걸린다. 이외에 각종 화학 약품에 대한 직업적인 노출, 커피, 진통제, 감염, 결석, 인공 감미료, 방사선조사, 항암제 등이 원인이 된다. 증상은 방광암 환자의 80-90% 정도에서는 혈뇨로 나타나고 소변이 육안적으로 붉은색이 보일 수 있고 녹색으로 변할 수도 있다. 배뇨 시 방생하는 배뇨통, 정상보다 더 자주 소변을 보고 싶어 하는 빈번한 배뇨, 갑자기 소변이 마려운 느낌 절박뇨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고 방광암에 의해 요관 폐색이 발생한다. 진단은 요세포검사, 초음파검사, 전산화 단층활영(CT), 자기공영영상(MRI), 역행성 신우 조영술 등이 있고 방광경 검사를 시행하여 방광암을 확진하고 병의 진행 단계를 결정한다. 치료는 첫째, 종양이 방광 표면에만 국한되어 있는지 아니면 방광 근육, 방광 주위의 조직 또는 주변 골반 장기를 침범했는지 확인한다. 둘째는 종양이 림프절까지 전이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셋째는 종양이 원격 신체 부위로 전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요인에 따라 병기를 평가하면 이에 따라 치료 종류도 다르다. 표재성 방광암의 치료는 경요도 절제술이 기본이고 절제술 후 조직학적 징후 종양의 개수, 크기 재발 기간 등을 고려하여 방광 내 BCG, 항암제 등을 주입하는 치료를 고려한다. 방광 적출술을 시행하기도 하고 흔하게 재발하므로 추적검사를 시행 해야한다. 증 례 환자 : 55세 여자, 혈뇨로 산부인과 내원 시 괜찮다고 함, 비뇨기과 가니까 약만 줌, 본원에 내원해서 초음파 시행 과거력: 담석증 증상 : 3주 전부터 gross hematuria 초음파 영상: 방광을 충만된 상태에서 초음파를 시행하였고 방광 내 3.82*1.73cm mass 관찰되었으며 칼러 도플러에서 혈류 증가 소견이 나타났다. 결론 : 본 증례는 2018.11.02. 방광암 소견이 있어 대학병원에 전원 되었고 2021.03.29. 내원 시 환자의 소장으로 인공 방광을 만들 것을 관찰되었다. 앞서 방광암은 혈뇨가 관찰되면 반드시 방광초음파 검사를 하는 것이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고 방광을 확실히 충만시켜서 팽창된 상태에서 검사를 해야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Synopsis: Bladder cancer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malignant cells are formed in the bladder, an organ that stores urine. Bladder cancer first occurs in epithelial cells inside the bladder. It occurs mainly in the 60s and 70s. Mens risk is 3-4 times higher than womens. There are three types of bladder cancer, and they have different cell forms. About 90% of double bladder cancer corresponds to performance cell carcinoma, about 6-8% corresponds to flat cell carcinoma, and about 2% corresponds to adenocarcinoma. The cause is that performance cell carcinoma has cancer-causing substances such as tobacco smoke and surrounding chemicals. It is also associated with exposure to certain industrial chemicals and has recently been greatly reduced thanks to workplace stability laws. Only half of people with bladder cancer have experienced smoking, but smokers typically have bladder cancer 2-4 times more than those who do not smoke. In addition, professional exposure to various chemicals, coffee, analgesics, infections, stones, artificial sweeteners, irradiation, anticancer drugs, etc. are caused. Symptoms may appear as hematuria in around 80-90% of patients with bladder cancer, urine may appear visually red or turn green. Urination can be accompanied by symptoms such as urination, frequent urination that wants to urinate more often than normal, and urgency, which suddenly makes urine feel dry, and ureter occlusion occurs due to bladder cancer. Diagnosis includes urinary cell test, ultrasound, computerized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trograde shinwoo imaging, etc., and cystoscopy is performed to confirm bladder cancer and determine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The treatment first ensures that the tumor is confined to the bladder surface or has invaded the bladder muscles, tissues around the bladder or surrounding pelvic organs. Second, make sure the tumor metastes up to the lymph nodes.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 tumor has metastasizes to a remote body part, and the treatment type accordingly when evaluating the ordnance accordingly. Case Patient: Female 55 years old, she said its okay to have obstetrics and gynecology with hematuria, only the medicine because its urology. Ultrasound is performed on the main hospital. It was observed to make an artificial bladder with the patients small intestine Past History: GB stone Symptoms: Gross hematuria from 3 weeks ago Ultrasound image: Ultrasound was performed in a bladder full state and 3.82*1.73cm mass in the bladder was observed, and blood flow increased in Color Doppler. Conclusion: This case is from 2018.11.02. I had bladder cancer, and I was in Universal hospital. 2021.03.29. when visiting it was observed to make an artificial bladder with the patients small intestine. Previously, bladder cancer should be tested for bladder ultrasound when hematuria is observed. The bladder is full and needs to be checked in an inflated state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 KCI등재

        Central Localization of the Neurons Projecting to the Urinary Bladder Meridian

        김정연,전홍재,이상룡,이창현,정옥봉,Kim Jeong-Yun,Jun Hong-Jae,Lee Sang-Ryoung,Lee Chang-Hyun,Chung Ok-Bong Society for Meridian and Acupoint 2000 대한침구의학회지 Vol.17 No.1

        Transsynaptic tracer이며 신경친화성 virus인 pseudorabies virus(PRV)를 방광(膀胱),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 및 중추(中極)에 주입(注入)한 후 4일간의 생존기간이 경과한 후 희생시켜 면역조직화학침액법(免疫組織化學染色法)에 의하여 뇌척수에 표지된 공통된 영역들을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광벽(膀胱壁),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 및 중추(中極)에서 척수에 투사된 영역은 흉수(胸髓), 요수(腰髓) 및 천수(薦髓)에 모두 표지되었으며 공통적으로 표지된 부위는 척수(脊髓)의 층판 IV, V, VII, IX, X영역에 표지되었으나 주로 강하게 표지된 공통된 영역은 층판 VII의 중간외측핵, 가슴기둥 및 층판 X영역이었다. 2. 방광벽(膀胱壁),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 및 중추(中極)에서 뇌(腦)에 투사된 공통된 영역은 연수(延髓)에서는 A1 noradrenalin cells/C1 adrenalin cells/caudoventrolateral reticular nucleus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솔기핵의 경우 아핵인 불명솔기핵, 창백솔기핵 및 큰솔기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다리뇌에서는 청색반점, Barrington's nucleus, A5세포군 및 삼차신경운동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중뇌에서는 눈돌림신경핵, 눈돌림신경섬유 및 다리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간뇌에서는 시상하부(視床下部)의 뇌실(腦室)곁핵과 시상의 뇌실곁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대뇌(大腦)에서는 septal nucleus, 피질(皮質)의 뒷다리영역, 마루엽, 이마엽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방광(膀胱)에서 투사되는 뇌척수의 영역과 방광유(膀胱兪)나 위중(委中)에서 투사되는 공통된 표지영역들은 방광(膀胱)과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그리고 그 경락(經絡)의 경혈(經穴)들이 어떤 상관성(相關性)을 가지고 연결(連結)되어 있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었다. 특히 방광(膀胱)과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에서 투사된 공통된 표지영역, 즉 배뇨중추인 Barrington's nucleus에 표지되는 것은 내장(內臟)-경락(經絡)이 central autonomic pathway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었음을 입증하는 중요한 결과(結果)라고 사려(思慮)된다.

      • 인체 요로상피암에서 angiogenin과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mRNA발현

        전성수,장훈,김원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2

        연구목적: 혈관신생은 종양의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angiogenin과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등과 같은 여러 인자가 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광내 요로상피암 조직에서 angiogenin과 VEGF mRNA 발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이들 인자가 방광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방광암 조직 117예와 정상 방광 조직 17예를 대상으로 angiogenin과 VEGF mRNA 발현을 quantitative competi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C-PCR) 방법으로 정량화 하였다. 방광암과 정상 방광 조직, 방광암과 동일 환자의 주변 정상 방광 조직, 종양의 분화도 및 병기에 따른 angiogenin과 VEGF mRNA 발현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대조군의 정상 방광 조직이나 방광암 주변의 정상 방광 조직보다 방광암 조직에서 angiogernin과 VEGF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병기 Ta 방광암보다 병기 T1 또는 T2 이상의 방광암에서 anigiogenin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분화도 등급 I인 방광암 보다 등 급 III인 방광암에서 VEGF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방광암의 분화도에 바른 angiogernin 발현이나 방광암의 병기에 따른 VEGP 발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혈관신생 인자인 angiogenin과 VEGF는 방광암의 증식에 관여하며, 특히 방광암 세포가 악성화됨에 따라 VEGF 발현이 증가하고 angiogenin에 의한 혈관신생은 종양의 병기가 Ta에서 T1 이상으로 진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Purpose: Tumo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are angiogenesis-dependent, the Induction of which is mediated by several angiogenic factors including angiogenin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angiogenin and VEGF in the tumor tissues of patients with urothelial carcinoma. The correlation of these factors with tumor grade and stage was also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The quantification for the expression of angiogenin and VEGF mRNA was assessed in 117 human bladder tumor tissues and 17 normal bladder mucosae using quantitative competi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C-PCR). We compared the expression levels of angiogenin and VEGF mRNA between bladder tumor and normal bladder mucosae of controls, between bladder tumor and surrounding normal bladder mucosae, and according to tumor grades and tumor stages. Results: Angiogenin and VEGF mRNA expression in the bladder tumor tissue were significant1y higher than in the normal bladder mucosae of controls or surrounding normal bladder mucosae. Angiogenin expression in bladder tumor with stage T1 or above T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bladder tumor with stage Ta. VEGF expression in bladder tumor with grade II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bladder tumor with grade 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giogenin expression with regard to the tumor grade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EGF expression with regard to the tumor stages.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angiogenesis mediated by angiogenin and VEGF may be involved in the neoplastic growth of urothelial carcinoma. As the grade of bladder tumor cells worsened, the VEGF expression increased. And, increased angiogenesis mediated by angiogenin seems to play a role in the progression of stage Ta bladder tumor to stage T1 or stage above T2.

      • KCI등재

        근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방광 보존적 치료 결과

        유정일(Jeong Il Yu),박원(Won Park),오동렬(Dong Ryol Oh),허승재(Seung Jae Huh),최한용(Han Yong Choi),이현무(Hyon Moo Lee),전성수(Seong Soo Jeon),임호영(Ho Young Yim),김원석(Won Suk Kim),임도훈(Do Hoon Lim),안용찬(Yong Chan A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2

        목 적: 근침윤성 방광암으로 진단받고 방광 보존적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종양 반응 정도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9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방광암으로 진단 받고 방광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39명 중 편평상피암 환자 1명과 선암 환자 1명을 제외한 37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로는 남녀가 각각 33명, 4명이었으며 연령은 38∼86세(중앙값 67세)였다. 조직학적으로 모두 이행상피암이었다. 임상적으로 원발 병소 병기는 T2, T3, T4가 각각 19명, 13명, 5명이었다. 경요도방광절제술(TURB) 시 완전 절제와 부분절제가 각각 17명과 19명에서 시행되었고, 조직 검사만 시행된 경우가 1명 있었다. 항암화학방사선병용요법을 받은 환자가 24명, 유도 항암화학요법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가 8명, 방사선 치료만 받은 환자가 6명이었고 보조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은 환자가 18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10∼15 MV 광자선을 사용하였으며 하루에 1.8∼2.0 Gy로 전골반을 대상으로 45∼46 Gy를 4문 조사한 후 방광에만 국한하여 3차원 입체조형치료로 10.8∼22.0 Gy (중앙값 19.8 Gy) 추가하여 총 55.8∼67 Gy (중앙값 64.8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치료는 Cisplatin을 기본 으로 하여 2∼6회(중앙값 3회) 시행하였다. 각 변수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 은 Kaplan-Meier 법으로 산출하였고 두 군 간의 비교는 Log-rank test 이용하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의 다변량 분석은 Cox 비례위험 모델을 이용하였다. 유의수준 0.05 미만을 의미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치료 반응 평가는 치료 종료 후 3개월 전후에 시행한 요세포 검사, 방광 내시경 소견 및 복부골반 전산화단층촬영을 종합하여 판단하였는데, 완전 관해, 비완전 관해가 각각 16명(43%), 20명(54%)이었다. 대상 환자의 3년전체 생존율은 54.7%였고 중앙 생존 기간은 54개월(3∼91개월)이었다. 3년 무진행 생존율은 37.2%였다. 추적 관찰 중 24명(64.9%)이 재발하였는데 국소 재발이 17명(46%), 원격 전이가 6명(16%),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동시에 나타난 경우가 1명(3%) 있었다. 국소 재발의 구제 요법으로 근치적 방광절제술이 시행된 경우는 없었고 TURB만 시행하거나 항암화학치료가 병행되기도 하였다. 치료 후의 반응 정도가 전체 생존율(p=0.006)과 무진행 생존율(p=0.001)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인자였고, TURB의 정도가 전체 생존율(p=0.091)과 무진행 생존율(p=0.081), 방사선 조사선량이 무진행 생존율(p=0.07)에서 통계적 의의에 접근하였다. 결 론: 방광 보존적 치료 시 치료 후 반응 정도가 전체 생존율과 무진행 생존율에 있어 중요한 예후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URB를 가능한 충분히 시행하고 병소 부위에 방사선 조사선량을 높이는 것이 방광보존 치료에서중요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방광보존 치료 후 치료 반응 판정에서 완전 관해가 오지 않은 경우는 수술 등의 적극 적인 구제 치료가 필요하겠다. 향후 방광 보존을 위한 항암화학 방사선 병용치료 프로토콜에 따른 임상 경험을 더 쌓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umor response, overall survival, progression free survival and relate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subjected to bladder preserving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1995 and June 2004, 37 patients with muscle invasive (transitional cell carcinoma, clinically stage T2-4) bladder cancer were enrolled for the treatment protocol of bladder preservation. There were 33 males and 4 females, and the median age was 67 years (range 38∼86 years).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bladder (TURB) was performed in 17 patients who underwent complete resection. The median radiation dose administered was 64.8 Gy (range 55.8∼67 Gy). The survival rate was calculated by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An evaluation of the response rate was determined by abdomen-pelvic CT and cystoscopy at three months after radiotherapy. A complete response was seen in 17 patients (46%). The survival rate at three years was 54.7%, with 54 months of median survival (range 3∼91 months). During the study, 17 patients died and 13 patients had died from bladder cancer. The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 at three years was 37.2%. There were 24 patients (64.9%) who had disease recurrence: 16 patients (43.2%) had local recurrence, 6 patients (16.2%) had a distant recurrence, and 2 patients (5.4%) had both a local and distant recurrence. The survival rate (p=0.0009)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s (p=0.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compared to the response rate after radiotherapy. Conclusion: The availability of complete TURB and appropriate chemoradiotherapy were important predictors for bladder preservation and survival.

      • KCI등재

        방광보살 신앙의 기원과 전개

        김아름(Kim, Areum)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6 美術史學 Vol.- No.32

        방광보살에 대한 영험기는 북송 端拱 2년(989)에 승려 常謹이 찬한『地藏菩薩像靈驗記』卷第1「梁朝善寂寺畵地藏放光之記」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 현세에서의 이익과 부녀자들의 안산에 대한 영험을 중심으로『삼보감응요략록』,『각선초』,『사십첩결』,『불조강목』 등 중국과 일본의 여러 문헌에 전해져 내려왔다. 이에 일찍이 많은 학자들의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기존의 학설을 검토하며 방광보살을 둘러싼 여러 문제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헌에 전해지는 방광보살상은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을 그린 것이지만 현재 중국과 우리나라에 전해지는 관음·지장병립상을 방광보살로는 볼 수 없다. 그것은 중국과 우리나라의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의 결합이 망자를 추선하고 내세에서의 안락을 바라는 반면, 방광보살은 현세에서의 이익과 부녀자의 안산을 위해 신앙되었으며 현재 중국과 우리나라에는 방광보살상이라 전해지는 작품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각선초』,『사십첩결』,『아사박초』등 방광보살과 관련한 다수의 문헌은 일본의 것이며,『中宮御産部類記』,『御産御祈目錄』등에는 궁궐의 중궁이나 후궁의 태자 출산시 안산을 기원하며 방광보살을 공양하였다는 내용, 공양문을 昌禮하거나 방광보살진언 각 7천 번을 외우고 水, 花, 飮, 食 등을 바치는 등 방광보살을 공양하는 행법에 대해서도 꽤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어 일본에서는 중국 및 우리나라와는 달리 방광보살 신앙이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방광보살의 기원과 성격, 그리고 일본에서 체계화된 방광보살 신앙의 여러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memoirs of deity experience on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appeared in Writings on the Miracles of the Ksitigarbha Bodhisattva Image for the first time, and they have been handed down in the literature in China and in Japan such as Sambogameungyoryakrok, Gakseoncho, and Asabakcho. Thus, there was a lot of discussion as to it from many scholars long ago, and this study explored existing theories and various problems surrounded with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As a result,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image handed down in the literature was a drawing of Avalokitesvara and Ksitigarbha, but the Iconography of Avalokitesvara and Ksitigarbha handed down to China and Korea could not be regarded as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While it was hoped that combination of Avalokitesvara and Ksitigarbha in China and Korea would hope for a memorial service for the deceased and comfort for the next world,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was believed for benefits for the current world and woman’s easy dele very and currently there is no work regarding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image both in China and in Korea. On the other hand, because serving methods of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was concretely elaborated in Asabakcho and Junggungeosanburyugi, Eosaneogimokrok, etc., in a perspective that wishing for prince safe delivery from the queen or seraglios in the palace with serving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voicing serving codes, 7,000 time memorizing of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words served with flowers, drinks and foods, etc., the belief of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was found to be rampant in Japan. Accordingly, this study can be found meaningful in that explored wer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belief in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and the process and various aspects of systemizing the belief of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in Japan.

      • 침윤성 방광암 환자에서 방광 보존 치료

        윤선민(Seon Min Youn),양광모(Kwang Mo Yang),이형식(Hyung Sik Lee),허원주(Won Joo Hur),오신근(Sin Geun Oh),이종철(Jong Cheol Lee),윤진한(Jin Han Yoon),권현영(Heon Young Kwon),정경우(Kyung Woo Jung),정세일(Se Il J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3

        목 적 :침윤성 방광암 환자를 대상으로 TURBT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과 유도 항암화학요법 (neoadjuvant MCV chemotherapy) 후 방사선 항암화학 병용요법(cisplati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을 받은 환자 에서 치료의 적응도, 국소 반응율, 방광 보존율과 생존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0월부터 1998년 6월까지 TURBT 시행 후 병리 조직검사 상 침윤성 방광 이행상피암으로 진단 받은 병기 T2-T4, Grade II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과정은 TURBT 후 4주 간격으로 2회의 유도 MCV (methotrexate, cisplatin, vinblastine) 복합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그 후 cisplatin과 방사선 동시 병용요법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15 MV X- ray를 사용하여 하루 1.8 Gy씩 39.6∼45 Gy를 전 골반에 4∼5주간에 걸쳐 조사하였 다. 치료 종료 후 방광내시경을 통해 관해율을 판정하여 완전 관해인 경우 1∼2주 후 보강 방사선조사를 cisplatin과 병용하여 19.8 Gy를 시행하였다. 부분 관해인 경우 근치적 방광 절제술을 예정하였고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항암제 병용 강화 방사선치료를 받도록 하였다. 환자의 추적관찰기간은 34∼67개월로 중앙값이 49.5개월이었다. 결 과 :총 26명의 환자가 유도 항암화학요법을 위해 등록되었으며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항암화학 병용요법을 완료한 환자는 21명(81%)이었다.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항암화학 병용요법 후 방광내시경을 통해 완전 관해 판정을 받은 환자는 21명 중 7명(33%)이었고 부분 관해 환자는 14명(67%)이었다. 완전 관해 환자 중 강화 항암제 병용 방사선 19.8 Gy를 받은 환자는 7명 중 6명(85%)이었고, 이들 중 5명(14%)은 재발 없이 방광을 보존하였다. 부분관해 환자중 1명이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받았으며 3명이 TURBT와 2회의 MCV 항암요법을, 10명이 추가의 항암화학 방사선 병용요법을 받았다.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받은 1명은 수술 소견상 방광 내 종양이 존재했으나 수술 후 재발이 없었다. 전체 21명의 환자중 12명(58%)이 방광을 보존하면서 생존하고 있고 8명이 방광암으로 사망하였으며 1명이 다른 질병으로 사망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 생존기간은 27개월이며, 5년 생존율은 55% 였다.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항암제 방사선치료 후 완전 관해 환자의 경우 5년 생존율은 80%, 부분 관해 환자 14%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항암제 병용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grade 3 이상의 혈액학적 부작용의 빈도는 각각 백혈구 감소증 6명(29%), 혈소판 감소증 1명(4%)이었으며 이로 인한 화학요법의 지연은 1명(4%)에서 관찰되었다. 결 론 :침윤성 방광암 환자에서 유도 항암화학요법 및 항암제 병용 방사선치료를 적용하여 방광 보존율 및 5년 생존율에 있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완전한 TURBT와 유도 MCV 항암요법과 cisplatin 방사선 병용요법에서 완전관해 여부가 방광보존가능성과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생각되고 만약 완전관해를 이루지 못하면 근치적방광적출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Purpose : To assess the tolera nce, complete response rate, bladder preservation rate and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muscle- invading bladder cancer treated with selective bladder preservation protocol. Method and Materials : From October 1990 to June 1998, twenty s ix patients with muscle- invading bladder cancer (clinical stage T2- 4, N0- 3, M0) were enrolled for the treatment protocol of bladder preservation. They were treated with maximal TURBT (tra 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 and 2 cycles of MCV chemotherapy (methotrexate, crisplatin, and vinblastine) followed by 39.6∼45 Gy pelvic irradiation with concomitant cisplatin. After complete urologic evaluation (biopsy or cytology), the patients who achieved complete response were planed for bladder preservation treatment and treated with consolidation cisplatin and radiothera py (19.8 Gy). The patients who had incomplete response were planed to immediate radical cystectomy. If they refused radical cystectomy, they were treated either with TURBT followed by MCV or cisplatin chemothera py and radiotherapy. The median follow- up duration is 49.5 months . Result : The patients with stage T2- 3a and T3b- 4a underwent complete removal of tumor or gross tumor removal by TURBT, respectively. Twenty one out of 26 patients (81%) successfully completed the protocol of the planned chemo- radiothera py. Seven patients had documented complete response. Six of them were treated with additional consolidation cisplatin and radiothera py. One patient was treated with 2 cycles of MCV chemothera py due to refusal of chemo- radiotherapy. Five of 7 complete responders had functioning tumor- free bladder. Fourteen patients of incomplete responders were further treated with one of the followings : radical cystectomy (1 patient), or TURBT and 2 cycles of MCV chemotherapy (3 patients), or cisplatin and radiotherapy (10 patients). Thirteen patients of them were not treated with planned radical cystectomy due to patients ' refusal (9 patients) or underlying medical problems (4 patients). Among twenty one patients , 12 patients (58%) were alive with their preserved bladder, 8 patients died with the disease,1 patient died of intercurrent disease. The 5 years actuarial surviva l rates according to CR and PR after MCV chemotherapy and cisplatin chemoradiotherapy were 80% and 14%, respectively (p=0.001). Conclusion : In selected patients with muscle- invading bladder cancer, the bladder preservation could be achieved by MCV chemotherapy and cisplatin chemo- radiotherapy. All patients tolerated well this bladder preservation protoco. The availability of complete TURBT and the respons ibility of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chemoradiotherapy were important predictors for bladder preservation and survival. The patients who had not achieved complete response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chemoradiotherapy should be immediate radica l cystectomy. A randomized prospective trial might be essential to determine more accurate indications between cystectomy or bladder preservation.

      • 비근침윤성 방광암 진단에 따른 보험금 지급에 대한 고찰 I - 보험가입시기에 따른 KCD 적용 관련 문제를 중심으로 -

        박민영 ( Minyoung Park ) 한국손해사정학회 2021 손해사정연구 Vol.22 No.-

        명칭과 달리 기존의 표재성 방광암 환자의 상당수가 재발 및 침윤성 종양으로 진행하므로, 최근에는 표재성 방광암(superficial bladder tumor)이라는 용어보다는 비근침윤성 방광암(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이라는 용어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방광암의 70-80%는 첫 진단시 비근침윤성 방광암(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으로 확인되며, 그 중에서 약 20%-25%의 환자들이 근침윤성 방광암(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으로 진행함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 고위험 비근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5년 재발 위험율은 최대 80%, 병기 진행의 확률은 최대 50%까지 이르는 것으로 보고한다. 그러므로 이를 충실히 반영한 진단 기준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기존의 병기 확정에서 꾸준하게 지적되어 온 문제는 방광암의 경우, 병리 의사들간 진단 일치율이 전반적으로 매우 낮았던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학적 등급이 예후를 판단하고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데 필수적이므로 심각한 문제화 될 수 밖에 없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병리의사와 임상의사 및 기초 과학자들의 많은 노력 끝에 1998년 새로운 등급체계가 발표되어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나, 보험금 지급과 관련하여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현재 방광암의 진단은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른 진단서를 기초로 방광암 진단을 받은 보험가입자들이 보험사에 보험금(암보험)을 청구하게 되는데, 종양이 근육조직을 침범하지 않은 비근침윤성 방광암의 경우, 악성 종양이 아닌 경계성 종양 내지 상피내암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보험금 지급이 거절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분쟁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비근침윤성 방광암에 대하여 고찰한 뒤, 비근침윤성 방광암의 보험가입시기에 따른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KCD) 적용에 있어 타당한 기준을 제시해 보고, 금융분쟁조정위원회 조정결정서(제2019-5호)를 중심으로, 향후 분쟁해결을 위한 합리적 방법을 모색해 보는 것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Considerable bladder cancer recurrences and progressions have been identified even in superficial bladder cancer patients. Therefore, the term of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is replacing the term of superficial bladder cancer recently. In the first diagnosis, 70-80% of bladder cancer patients are identified as confirmed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patients. Among them, about 20-25% of patients are reported to have bladder cancer progressions. In addi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cancer recurrence rate is approached to 80% and cancer progression rate is approached to 50% in high risk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patients. Accordingly, the diagnostic criteria reflecting this is crucially important. In previous pathologic staging confirmation of bladder cancer, the low diagnostic accordance rate among pathologists was indicated consistently. It is a serious issue. Because, pathologic staging confirmation of bladder cancer is essential for risk stratification and treatment decision. Finally, 1998 WHO/ISUP Consensus Classification(new pathologic staging & grading classification) was published.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several problems regarding payment of insurance. At present, the diagnosis of bladder cancer is concluded in accordance with KCD(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There have been increasing cases and disputes refusing to pay insurance money due to not invasive cancer but borderline malignancy or intraepithelial carcinoma. Hence, I will present the valid method for KCD application according to buying insurance time and progress discussion about conflict solution.

      • KCI등재

        직장암 환자의 골반 방사선치료에서 벨리보드 하위 경계 위치 변화의 영향

        윤홍인(Hong In Yoon),정윤선(Yoonsun Chung),김주호(Joo Ho Kim),박효국(Hyo Kuk Park),이상규(Sang Kyu Lee),김영석(Young Suk Kim),최윤선(Yunseon Choi),김미선(Misun Kim),이하윤(Hayoon Lee),장지석(Jeesuk Chang),차혜정(Hyejung Cha),성진실(Jins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4

        목 적: 방광압박도구(bladder compression device) 추가에 따른 벨리보드(belly board) 하위 경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조사체적(irradiated volume) 내의 각 장기의 체적 차이 및 선량체적히스토그람을 분석하여 벨리보드의 하위 경계의 위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5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직장암으로 수술 전이나 후에 방사선치료를 위해 벨리보드만 사용하여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경우와 방광압박도구를 추가하여 전산화 단층촬영을 재 시행한 1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중앙나이는 64세(범위, 45∼75세)로 조직학적으로 선암 진단을 받고, 수술 전 혹은 후에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받았다. 방광압박도구 사용 전후 각 체적과 조사체적비의 평균비교 및 복강과 골반강의 조사체적의 합과 소장의 체적비와 방광의 체적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방광압박도구 추가 후 벨리보드 하위 경계는 치골결합 부위에서 허리엉치관절 부위 상방으로 올라갔다. 방광압박도구 사용 후 소장의 조사체적은 174.3±89.5 mL로 사용 전 조사체적 373.3±145.0 mL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01), 복부골반강(abdominopelvic cavity)의 조사체적도 사용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282.6±218.7 mL vs. 1,571.9±158 mL, p<0.001). 방광압박도구 사용 전과 후의 치료체적 안의 방광 체적은 사용 후가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222.9±117.9 mL vs. 153.7±95.5 mL, p<0.001). 방광압박도구 사용 후 복부골반강 대 방광의 조사체적비는 33.5±14.7%로 사용 전 조사체적비인 27.5±13.1%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0.001),복부골반강 대 소장의 조사체적비는 방광압박도구 사용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3.9±7.6% vs. 24.2±10.2%, p<0.001). 결 론: 방광압박도구를 추가함으로 인해 벨리보드의 하위 경계를 허리엉치관절 부위 상방으로 올리는 것이 복부골반강 내 방광의 체적을 증가시켜 소장의 조사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ocation changes in the inferior border of the belly board (BB) aperture by adding a bladder compression device (BCD). Materials and Methods: We respectively reviewed data from 10 rectal cancer patients with a median age 64 years (range, 45∼75) and who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CT) simulation with the use of BB to receive pelvic radiotherapy between May and September 2010. A CT simulation was again performed with the addition of BCD since small bowel (SB) within the irradiated volume limited boost irradiation of 5.4 Gy using the cone down technique after 45 Gy. The addition of BCD made the inferior border of BB move from symphysis pubis to the lumbosacral junction (LSJ). Results: Following the addition of BCD, the irradiated volumes of SB and the abdominopelvic cavity (APC) significantly decreased (174.3±89.5 mL vs. 373.3±145.0 mL, p=0.001, 1282.6±218.7 mL vs. 1571.9±158 mL, p<0.001, respectively). Bladder volume within the treated volume increased with BCD (222.9±117.9 mL vs. 153.7±95.5 mL, p<0.001). The ratio of irradiated bladder volume to APC volume with BCD (33.5±14.7%) increased considerably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a BCD (27.5±13.1%) (p<0.001), and the ratio of irradiated SB to APC volum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BCD (13.9±7.6% vs. 24.2±10.2%, p<0.001). The ratios of the irradiated SB volumeand irradiated bladder volume to APC volume negatively correlated (p=0.001).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ddition of BCD, which made the inferior border of BB move up to the LSJ, increased the ratio of the bladder to APC volume and as a result, decreased the irradiated volume of SB.

      • 거세비육 한우의 방광 내 결석 존재와 방광염 발생

        김의형,정기용,양병철,조상래,장선식,최성복,김현주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17 한국수정란이식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한우 사육은 소비자의 요구와 동시에 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급육 생산을 목표로 사육되고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의 사양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거세비육을 하는 농 가에서 요로결석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요로결석은 비육후기 복통 및 배뇨장 애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증체량 감소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폐사에 이르기도 한다. 본 연 구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동일한 연령과 사양 프로그램으로 사육되던 거세비육우 22개월령 24두 중 1두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여 수의사가 현장에서 진단을 하였다. 해당 가축은 전형적인 요로결 석 증상을 보였으며 배뇨를 못하는 요도폐색 증상을 나타내어 긴급도축을 하였다. 그러나 긴급도 축 2주 후 나머지 23두 중 1두에서 동일한 증상이 추가로 발생하여 긴급도축을 하였으며 수의사 가 도축장에 동행하여 방광과 요도내에 결석유무를 확인하여보았다. 해당 긴급도축우의 방광을 확 인하여 본 결과 방광근육 출혈 및 방광내에 결석존재와 결석으로 인한 요도폐색을 직접 확인하였 다. 2두의 긴급도축 후 남은 22두의 거세 비육우에서는 30개월령 출하 시기까지 더 이상의 요로결 석 임상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동일 연령과 사양 프로그램으로 비육된 축군에서 방광 내 결석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나머지 22두의 출하시에 도축장에 동행하여 방광 내 결석유무 를 확인하였다 22두 중 개체에 따라서 결석 크기와 형태 및 양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11두(50%)에 서 방광 내 결석을 확인하였다. 결석 성분분석결과 Carbonate apatite 20%,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struvite) 80% 성분으로 이루어진 결석과 Calcium Oxalate Monohydrate 50%, Uric acid 50% 성분으로 구성된 2종의 결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3두에서는 방광내에 혈액, 방광조직 출혈, 점막비후 등 육안적으로 이상소견을 확인 후 조직학적 검사결과 염증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방광 내 결석이 발견된 11두 전 두수에서 방광염증이 확인되었으며, 방광내에 결석이 발견되 지 않은 11두 중 2두에서 방광염증이 확인되었다. 방광 내 결석존재와 방광염증 발생에 있어서 유 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시 방광 부피가 비뇨기계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Jihae Lee),서현숙(HyunSuk Suh),이경자(Kyung-ja Lee),이레나(Rena Lee),김명수(Myungsoo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목 적: 국소적 전립선암에 대한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시 3차원 입체조형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또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를 시행하면 직장의 부작 용이 현저히 감소하지만 비뇨기계 부작용의 발생률은 감소하지 않는다. 방사선 치료로 인한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 은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만성 비뇨기계 부작용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비뇨기계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방광을 채운 상태에서 방사선치료를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 경우 방사선 조사야에 포함되는 방 광의 면적이 줄어들어 부작용이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시 방광의 부피가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전립선암으로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과 실험군이 각각 21명씩 포함되었다. 대조군은 본 연구가 계획되기 전에 방광 조절을 하지 않고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무작위로 추출하였고, 실험군은 치료 1시간 전 450 ml의 물을 마셔 방광을 채운 상태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이었다. 모의치료시 설계용 CT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방광의 부피를 측정하였고, 실험군에서는 방사선 치료 기간 동안 초음파로 매주 방광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결 과: 모의치료시 초음파로 측정한 방광의 부피와 CT로 측정한 방광의 부피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r=0.679) 방광 부피를 측정하는 데 있어 초음파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군에서 같은 양의 물을 마셔도 방광의 부피는 환자에 따라 차이가 컸고(범위 22∼352 ml), 방사선치료 기간 동안 방광의 부피는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모의치료시 방광의 부피가 컸던 환자는 치료기간 중에도 방광의 부피가 큰 경향을 보였다. 실험군의 방광 부피는 평균 299±155 mL이었고 대조군은 평균 187±155 ml로, 일정량의 물을 마시면 방광 조절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방광 부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9), 실험군에서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이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방광의 부피가 클수록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의치료시 CT로 측정한 방광의 부피가 150 ml 이상이면 1등급과 2등급의 비뇨기계 부작용이 현저히 감소하였다(p=0.023). 치료 기간 중의 방광 부피에 따른 부작용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방광의 부피가 클수록 1등급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00 ml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등급의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결 론: 방광을 채우고 방사선치료를 할 때 치료 기간 중 방광의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방광 조절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비뇨기계 급성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의치료시 방광 부피가 150mL 이상인 경우 부작용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전립선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를 할 때 방광을 채우는 것이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 and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were found to reduce the incidence of acute and late rectal toxicity compared with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RT), although acute and late urinary toxicities were not reduced significantly. Acute urinary toxicity, even at a low-grade, not only has an impact on a patient’s quality of life, but also can be used as a predictor for chronic urinary toxicity. With bladder filling, part of the bladder moves away from the adiation field, resulting in a small irradiated bladder volume; hence, urinary toxicity can be de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bladder volume on acute urinary toxicity during RT in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orty two patients diagnosed with prostate cancer were treated by 3DCRT and of these, 21 patients made up a control group treated without any instruction to control the bladder volume. The remaining 21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eated with a full bladder after drinking 450 mL of water an hour before treatment. We measured the bladder volume by CT and ultrasound at simulation to validate the accuracy of ultrasoun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we measured bladder volume weekly by ultrasou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o evaluate the variation of the bladder volume. Result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bladder volume measured by CT and ultrasound was observed. The bladder volume in the experimental group varied with each patient despite drinking the same amount of water. Although weekly variations of the bladder volume were very high, larger initial CT volumes were associated with larger mean weekly bladder volumes. The mean bladder volume was 299±155 mL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opposed to 187±155 mL in the control group.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less acute urinary toxicities than in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trend of reduced toxicity was observed with the increase of CT bladder volume. In patients with bladder volumes greater than 150 mL at simulation, toxicity rates of all grad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patients with bladder volume less than 150 mL. Also, patients with a mean bladder volume larger than 100 mL during treatment showed a slightly reduced Grade 1 urinary toxicity rate compared to patients with a mean bladder volume smaller than 100 mL. Conclusion: Despite the large variability in bladder volume during the treatment period, treating patients with a full bladder reduced acute urinary toxicities in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We recommend that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undergo treatment with a full blad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