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과후학교 정책 분석 및 발전방향 탐색

        이경호(Lee, Kyoung-H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방과후학교를 Cooper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최근 방과후학교가 확대 추진되면서 방과후학교를 둘러싼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과거의 역대 정부에서 현 정부까지 국가차원의 역점 사업으로 방과후학교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정책을 시도했지만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방과후학교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의 실태분석을 토대로 향후 방과후학교 정책을 어떤 방향으로 추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oper의 4차원 정책분석, 즉 규범적 차원(Normative-dimension), 구조적 차원(Structural-dimension), 구성적 차원(Constituent-dimension), 기술적 차원(Technical-dimension)에서 방과후학교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방과후학교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방과후학교가 추구하는 이념인 전인교육, 교육의 형평성, 교육복지, 그리고 평생교육 측면을 검토하였고,구조적 차원에서는 방과후학교의 교육과정,프로그램 운영방식,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연계 측면을 검토하였다.그리고 구성적 차원에서는 방과후학교를 운영하는 관리자,교사, 그리고 학부모 및 지역인사 측면을 검토하였고,기술적 차원에서는 강사 관리,의견수렴, 그리고 평가체제 및 컨설팅 지원 측면을 검토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Banggahuhakgyo critically and suggest the strategies of improvement on 'Banggahuhakgyo', the extra curriculum program by the rules of the benefit principal. It is designed to develop student's hidden talent and reduce extra academic education expenses and educational gap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Banggahuhakgyo program by the cooper's four dimension(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 and technical dimension) of educational policy theory and to suggest the strategies of improvement on Banggahuhakgyo program. The study proposes the strategies of improvement as follows; First, Banggahuhakgyo program should provide whole-person education and equal education opportunities for secondclass students. Also it should refashion itself into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the local society. Second, Banggahuhakgyo program should provides students with various programs to give whole-person education. Also it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bottom-up method in the governance and make cooperation system with the local society to provid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ird, Banggahuhakgyo program should be executed by helping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with th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Also the parents is needed to take part in Banggahuhakgyo programs actively. Finally, Banggahuhakgyo program should be managed under the high standards. These standards will be maintained by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consensus of the interest groups, and training for lecturers.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이후 사교육과 방과후학교 참여 양상의 변화 분석: 방과후학교의 사교육 경감 효과를 중심으로

        김성식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2 방과후학교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사교육과 방과후학교 참여 양상의 변화를 사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통계청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9년과 2020년의 사교육 및 방과후학교 활동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방과후학교는 참여율과 비용 면에서 2019년에 비해 2020년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사교육은 감소하기는 했으나 곧바로 예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사교육 참여 학생들의 1인당 지출 비용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교육비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에서는 방과후학교 참여 학생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보다 사교육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방과후학교 참여 학생들에 한정할 경우 방과후학교 비용과 사교육비는 동시에 증가하는 경향도 있었다. 코로나19 이후에는 사교육비에 대한 가구 소득의 영향력이 좀 더 증가하였고, 방과후학교 비용과 사교육비의 동시 증가 현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방과후학교가 운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교육 참여만 이루어지게 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방과후학교의 기능이 약화되고 사교육을 통한 교육격차 가능성이 증가하였다는 것을 함의한다. 이런 점에 기초하여 앞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을 극복하는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방과후학교 운영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 차이

        신현아(Hyun-A Shin),장윤옥(Yoon-Ok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8

        본 논문은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면서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1,2,3학년 382명이며, 조사도구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수강한 방과후학교 수업의 일반적 특성, 그리고 학습몰입 척도와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사용한 결과 방과후학교 특기ㆍ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이 교과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지도교사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몰입 정도가 높은 중학생들이 학습몰입 정도가 낮은 중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교육과정, 지도교사, 교육시설만족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몰입 정도가 높은 중학생들에 있어서는 특기ㆍ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이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교육과정과 교육시설만족도가 높았으며, 학습몰입 정도가 낮은 중학생들에 있어서는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과 특기ㆍ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 간에 방과후학교 교육과정과 교육시설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schoo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degree of flow of after school.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a survey was conducted includ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tudy object,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after school class, learning-flow scale, and after school satisfaction scale. The subjects were 382 students who were selected at random from middle school students. Cronbach’ α and MANOVA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special-abilityㆍaptitude class were more satisfied for after school instructors than the students with subject class. Second, the students with the degree of high learning-flow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after school class curriculum, instructors, and educational facility than the degree of low learning-flow students. Third, among the students who were high in learning-flow, the students with special-abilityㆍaptitude class were more satisfied with after-school class curriculum and educational facility compared to the students with subject class.

      • KCI등재후보

        민간참여 방과후학교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김수동(Kim, Soo D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4 방과후학교연구 Vol.1 No.1

        방과후학교가 장기적으로 계속 발전하기 위해서는 운영 프로그램의 질 제고와 현장 학교의 업무 부담 경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의 이론적, 실제적 배경과 비전, 목적, 전략 및 다양한 참여주체별 역할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의 구체적 실태를 파악하고, 요구, 성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육성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22개 대학의 법인(2012년의 1차 사업에 선정된 기관)의 사회적기업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초, 중, 고 현장 담당 교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초, 중, 고 담당 교원(67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함으로써,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의 다각적인 운영 실태와 성과 2가지 및 문제점 3가지를 도출하였다. 또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의 개선방안을 ① 육성사업 성격 명료화, ② 육성사업의 질관리, ③ 육성사업의 구체적 특성 확인, ④ 자체 수익모델 개발 노력, ⑤ 수요자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 ⑥ 효율적 운영 모델 개발, ⑦ 지나친 양적 확대와 수익성 확장 경계의 7가지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4가지로 제시했다. In order to secure a long term development of after- school,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programs and the business burden reduction of the field elementary & secondary schools are needed. For that purpose, the theoretical, practical background, & the vision, goals, strategies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need to be affirmed and a variety of participation subjects need to confirm their own rolls. Also, in order to affirm the concrete current status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elicit needs, outcomes, problems &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the survey of the teachers in charge in th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s of the field which participate in the 22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s is practiced.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67 teachers in charge in th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s of the field. And by analysing survey results, many kinds of current status, 2 products, 3 problems are derived by the researcher. After that, 7 improvement strategies such as ① manifestation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s character, ② quality control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③ a specific character affirmation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④ effort for self profit model development, ⑤ program development reflecting demander needs, ⑥ efficient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management model development, ⑦ warning of excessive quantitative enlargement & profit enlargement, are suggested. Finally, 4 conclus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방과후학교 운영충실도를 적용한 정책성과 분석

        신혜숙(Shin, Hye Sook),민병철(Min, Byeongcheol)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방과후학교 운영충실도를 활용하여 수학성취도에 대한 방과후학교 성과를 분석하였다. 방과후학교 운영충실도의 하위요소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만족도조사 활용도, 학교장 지원정도, 전담부서 운영여부)과 참여자의 반응성(방과후학교 참여율)으로 정의하고, 방과후학교 운영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운영충실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운영충실도는「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분석」연구(2012)의 수학성취도와 학생및 학교 정보와 연계하여, 방과후학교 운영충실도와 관련이 있는 학교변인을 탐색하고 운영충실도에 따른 정책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방과후학교 운영충실도는 각 하위요소별로 설립유형과 남녀공학여부, 학교소재지, 학교별 사교육 참여율, 학교평균부모학력수준과 일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둘째,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학생은 참여하지 않는 학생에 비하여 높은 수학성취도를 보였다. 셋째, 방과후학교 효과는 학교마다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를 방과후학교 운영충실도가 설명하지는 못하였다. 넷째, 방과후학교 운영충실도는 학교별 학력격차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후 방과후학교의 운영충실도에 대한 정보를 학생 수준에서 수집할 것, 방과후학교의 성과를 평가함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성과준거를 활용할 것, 그리고 학교급별로 성과분석을 수행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fidelity of program implementation (FOI) in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programs in high schools on student math achiev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fter-school is actually being operated, and how the treatment effects differ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us. To this end, the literature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we defined FOI, as quality of delivery (the level of reflection of results of satisfaction survey, the principals’ support on after-school programs, whether or not operating own department) and participation responsiveness. And based on this definition, after-school survey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fter then, data on study'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related information on student and school background from “Status and Level of School Education(general high school),”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FOI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olicy. Each element of FOI show somewhat meaningful relationship to school location, establishment type, co-educational type, school average ratio of private school, and average SES (in terms of parents’ education leve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after-school showed higher mathematics achievement than students who did not. After-school effects vary significantly across schools, but that difference was not explained by FOI. Finally, some component of FOI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to academic gap of eac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I should be measured and considered in evaluating educational policies, FOI should be gathered at the student level, and similar studies should be performed for each school leve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방과후학교학회 10년간 학술지 연구 동향과 추이 분석- 2012년부터 2022년까지를 중심으로 -

        양애경,양윤이,정현용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2 방과후학교연구 Vol.9 No.2

        ‘방과후학교연구’는 창간 1권 1호 이후 2022년 2월 9권 1호까지 93명의 연구자가 6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2021년 10월에 KCI 등재후보지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방과후학교학회 창립 10주년을 맞이하여 2012년부터 2022년 2월까지 ‘방과후학교연구’ 학술지의 연구 동향과 추이를 분석하여 방과후학교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방과후학교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60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방과후학교연구’의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주요 연구주제는 ‘방과후학교의 발전방향’, ‘방과후학교 모형’, ‘지역사회 참여 방과후학교’, ‘초등돌봄교실’, ‘외국의 방과후학교’, ‘어린이집, 유치원, 특수학교 대학의 방과 후 활동’, ‘COVID-19 이후의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실태 조사’ 등 8개로 분류되었다. 가장 많이 발표된 연구주제는 ’지역사회 참여 방과후학교’ 다음으로 ‘초등돌봄교실’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았다. 향후, ‘방과후학교연구’의 발전과 현장성 강화를 위해 연구방법과 연구분야의 다양화와 많은 연구자의 참여가 요구되고, 방과후학교의 질 제고를 위해 지역사회와 연계·협력 방안 등의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방과후학교

        허경철(Huh, Kyung Chul),양애경(Yang, Ae Kye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4 방과후학교연구 Vol.1 No.1

        우리나라의 ‘방과후학교’ 는 2006년부터 기존의 방과후 교육활동을 혁신적으로 도입·추진해오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해 왔다. 방과후학교에서 어떠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인가도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의 취약점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그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방과후학교는 학교의 공식적 교육과정에 어떠한 방법으로든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며 그러한 의미에서의 방과후학교 도입의 의의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의 범람 현상을 완화시켜준다. 방과후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의 넘쳐 나는 요구를 분담함으로써 학교 교육과정의 부담을 완화시켜준다. 둘째, 방과후학교는 공식 학교 교육과정이 충실하게 달성할 수 없는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교육목표들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육 시간만을 통해서는 도저히 달성할 수 없는 것들이다. 이러한 부분들을 방과후학교에서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서 그 성취를 의미 있게 도울 수 있다. 셋째, 방과후학교는 공식 학교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한 계기를 마련해 준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설정, 운영하는 것은 학교 교육과정의 질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Since 2005, our nation’s ‘After-school’ has innovatively changed established after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Then it has started to phase in and push ahead with the activities and has sought growth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o the present. It is advisable for educational after-school programs to set the direction that is to analyze and to supplement the weakness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On the side of school curriculum, it is as in the following to describe the significance of after-school introduction in the sense of how after-school helps formal education. First, after-school alleviates inundation phenomenon of school curriculum. It eases the burden of school curriculum by sharing a superabundance of demands. Second, after-school contributes greatly to achieve the goal that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can not fully reach. The goals of education can not be attained only with time of education that formal education provides. After-school can help meaningfully that by dealing intensively. Third, after-school provides opportunitie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formal education. To set after-school programs in the desired direction is can be a chance to develop in the better direction.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의 연구 경향 및 방과후학교 연구 과제

        김홍원(Kim, Hong Won)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5 방과후학교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4년 6월까지 수행된 방과후학교 연구물들의 연구 경향과 추후 보다 중점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방과후학교 연구 과제를 살펴보았다. 학술지 논문, 석․박사 논문, 기관 보고서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방과후학교 연구가 이루어진 영역을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성과분석, 국제비교, 정책적 논의, 변인 간의 관계 분석, 민간참여(위탁운영, 대학사회적기업), 평가, 성격, 지도방안 및 모형, 운영체제, 예산, 기타 등의 영역으로 구분한 다음에, 분석대상별로 각 영역에서 어떤 연구들이 어느 정도의 비율로 수행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향후 보다 중점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방과후학교 연구 과제로 방과후학교 성과분석 연구, 정책 수립 및 적용 과정 연구, 지역사회 자원의 발굴․연계․활용 방안 연구, 방과후학교의 환경과 교육적 효과 연구, 방과후학교 평가 연구, 방과후학교 재정 운영 연구, 방과후학교 국제비교 연구, 방과후학교 개념 및 성격 연구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prior researches on after-school from 2006 to June 2014, and attempted to suggest study tasks in the future. Papers of academic journals, doctor s and master s theses, and research reports were included. Investigated was the percentage of researches on the following topics: reality and improvement plan, after-school education effect, international comparison, policy discussion,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private institution participation, evaluation, conceptualization and theory, instruction methods, operating system, budget and finance, and others. Based on the result, I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several topics such as after-school education effect,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using and combining regional resources, environment of after-school education and its effects, evaluation, budget and finance, international comparison, conceptualization and theory.

      • KCI등재

        방과후학교의 장애요인 및 극복 과정ㆍ전략과 정책 연구 과제 탐색

        김수동(Kim Sood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3

          최근에 방과후학교의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지만, 방과후학교에 대한 어느 정도의 기피와 부정적 견해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것에 대한 두 가지 중요한 이유가 있다. 첫째, 1996년-2007년까지 지난 12년 동안 방과후학교는 법률적, 제도적 지원 없이 실행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방과후 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체계적 연계 없이 실행되었다는 것이다. 즉, 방과후학교는 주로 학교를 중심으로 실행되었다. 이 연구는 방과후학교의 5가지 장애요인을 운영방식의 문제, 프로그램 운영의 문제, 강사 확보 및 관리의 문제, 물적 조건상의 문제 및 교육수요자 측면의 문제로 보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과후학교 정책의 환경과 장애요인들을 면밀하게 점검하였다. 그 다음에 그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극복 과정ㆍ전략들을 구안하였다. 아울러, 향후 연구가 필요한 몇 가지 정책 연구 과제들을 탐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자는 9가지의 정책 연구 과제들을 제안하고 설명했다.   Recently, though the necessity of after school is recognized, there are some escapes and negative opinions on after school. There are two important reasons for it. First, during the past 12 years, after school is implemented without systematic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Second, after school is implemented without systematic connection with the provincial community. That is, after school is mainly implemented school-centered.<BR>  5 obstacles to the activation of after school include problems about implementation method of after school, program implementation, lecturer selection and management, physical condition, educational use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of all, the environment & obstacles of after school policy need to be monitored specifically. And then various process & strategies to overcome present obstacles have to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it, many policy oriented research tasks must be searched & researched. Also, 9 policy research task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