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칸유럽의 개념과 문화적, 역사적 특징 : 오스만화를 중심으로

        권혁재(Kwon, Hyok-Jae)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2

        발칸유럽이라는 개념은 지형적인 개념이라기보다는 오스만 제국의 유럽 또는 오스만화된 유럽이라는 정치적 의미를 가진다. 종교적, 민족적, 언어적으로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현재의 보이보디나 지역을 제외한 세르비아, 보스니아,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 루마니아, 알바니아, 불가리아, 터키의 유럽부분, 그리스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하나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은 500년간의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통해 남겨진 이 지역만의 공통성에 기인한다. 오스만 제국의 유럽확장에 종교적인 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잘못된 고정관념이 있으나, 실질적인 지배과정을 분석해 보면 종교보다는 정치적, 경제적 요인이 훨씬 지배적이다. 오스만 제국은 지배지역 통치에 있어 종교적 자유뿐만 아니라 해당지역의 문화적, 사회적 관습을 존중하였고 지역문화와의 융합을 통한 발칸지역의 오스만화를 추구하였다. 발칸지역의 대규모 종교개혁 역시 외부의 강압에 의한 개종이 아닌 내부적인 요인에 의한 개종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후 제국의 약화로 인해 자신들의 미래와 비전에 대한 불확실성에서 시작되는 탈오스만화는 지역주의를 넘어 민족주의로 발전하게 되고 이는 오늘날까지도 이 지역의 민족갈등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500년간의 발칸 지역 오스만화의 결과는 오늘날까지 발칸유럽만의 특성으로 발칸의 무슬림 지역뿐만 아니라 전체 남동부유럽 국가에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발칸지역의 오스만화와 탈오스만화의 과정과 특징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The Balkans is a geopolitical and cultural region of southeastern Europe. The peninsula has a combined area of 550,000 km2 (212,000 sq mi) and a population of over 50 million people. The region takes its name from the Balkan Mountains, which are uplifting from the eastern end of Bulgaria to the Bulgarian-Serbian border westwards. "Balkan" in Turkish means "a chain of wooded mountains". The concept of the Balkans or the Balkan Europe is political significance than geographic meaning. The Southeast European countries, that show religious, ethnic and linguistic diversity, characterized by Balkan Europe is the result of the Ottoman's occupation into the Balkans. The enlargement of The Ottoman Empire of Muslim is thought generally that a religious grounds account for a great part, but it is considered as political, economical factors by analyzing the domination de factor. The Ottoman Empire respected a religious freedom besides sociocultural customs and pursued the ottomanization through amalgamation with these regional constituent. An extensive reformation in Balkan is appraised to conversion as domestic sources not outside pressure. Main feature of the Ottomanization in Balkan, which has been progressed before the deterioration of the Ottoman began, is the institutional integration of local forms of domination and legal forms and was an active reform. Under the umbrella of the Ottoman Empire muslim elite group in Balkan designed for the future and vision of Balkan. The entottomanization in Balkans started because of their uncertainty to the vision in a decline of the empire has evolved as nationalism over the regionalism and it remains today as a key element of fierce nationalism and ethnic disputes in the Balkan region. Today, the assessment of The Southeast European nations, that properly belonged to the Balkan Europe, to The Ottoman Empire is a negative. But, the result of Ottomanization in the Balkan for 500 years is observed as their own peculiarities with distinction from other Europe nations. The Ottoman culture of the Balkan, which tried to blend with the European culture is in existence as community that the Balkan Europe owned in many different fields across religion, ethnic, and borders even today.

      • KCI등재

        루마니아어의 다양성

        이문수(Mun_Suh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9 No.1

        비록 로마인들이 현재 루마니아영토에 해당하는 당시의 다키아지방 에 170여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체류했음에도 불구하고 로마 문화 및 라틴어의 보급이 매우 집약적으로 실행됐다는 것은 오늘날 루 마니아어가 남동유럽 및 발칸지역에서 유일하게 로망스어로 남아 있다 는 사실이 그 증거가 될 것이다. 루마니아어는 언어계보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인도·유럽어족 중에서도 이탤릭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이다. 부 언하자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제국의 민중들에 의해 구두로 표현됐 던 속라틴어로부터 유래된 언어들의 그룹인 로망스어군에서도 이탈리 아어와 함께 소위 동로망스어의 일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지역적으 로는 발칸 로망스어로 구분된다. 루마니아어의 언어학적인 특성을 고 려해보면 음성·음운적 및 문법적인 기본 구조는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 어들, 특히 이탈리아어와 매우 유사한 편이다. 그러나 루마니아어가 구 사되고 있는 발칸지역의 역사・사회·문화 및 지리적인 여건 등으로 인해 루마니아어는 일찍이 여타 자매 언어들과의 교류가 두절됐으므로 라틴 어의 정상적인 진화과정을 밟지 못했으며 그 공백을 발칸지역의 기층 어적인 요소들과 훗날 이 지역으로 이주해온 여러 민족들의 언어들로 부터 채울 수밖에 없었다. 그런 맥락에서 보자면 현대 루마니아어에 여 타 로망스어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다양한 면들이 내재돼 있다는 사 실은 당연한 이치일 것이다. 루마니아어가 지니고 있는 특성으로는 우 선 정관사의 전접어 형태나 또한 오늘날 여타 로망스어들에선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중성명사의 사용 및 음성․음운적인 면에서 순음화현상이 나 [i]모음화현상외에도 기타 몇몇 독특한 음소들(ă/ǝ/, â=î/ɨ/, ş/ʃ/, ţ/ʦ/)과 수많은 외래어휘의 존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대개 발칸 및 카르파트지역의 토착어적인 요소들이나 훗날 발칸지역 일대로 대거 이 주해와 정착한 민족들, 특히 슬라브 민족의 언어적인 영향에서 비롯한 것들로 간주되고 있다. 이와 같이 루마니아어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언 어임에도 불구하고 여타 자매 언어들과는 달리 발칸지역의 독특한 역 사 및 사회・문화적인 전통과 더불어 여러 민족들의 언어적인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면들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모습이 발칸 로망스어인 루 마니아어의 진면목이라고 사료된다. This article aims at a study on the diversity of Romanian.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genealogy, in a broader sense Romanian belongs to the Indo-European langueges family, especially to the Romance languages group which are derived from Vulgar Latin, whose structure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Classic Latin. However,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viewpoint, Romanian is classified into Balkan Romance. Each of the Romance languages has own characteristics due to the several reasons: first of all, to the language of the local native population, in our case Thraco-Dacian and secondly to the language of influential peoples immigrated later in this area, above all Slavonic etc. Among the features of Romanian, there are the neutral gender and the enclitic definite article. For example for the meaning 󰡐the field or the plain󰡑in English one says in Romanian the neutercâmpul but in the other Romance languages the masculineel campo,il campo,le champ etc. which are derived fromLatin the masculineille campus. Besides, one has to point out the fact that the Romanian alphabet system has some distinguishing characters from the other Romance languages, namely two vowel phonemes(ă/ǝ/, â=î/ɨ/) and two consonants(ş/ʃ/, ţ/ʦ/) etc. In addition, the Latin consonants cluster -ct/kt/-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of has been changed diversely in the modern Romance languages. For examples, the Spanish words noche, leche etc. or Italian notte, latte or Romanian noapte, lapte have the same Latin origin, namely nocte, lact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Romanian it is declared that the Latin velar plosive /k/ became bilabial /p/. As a matter of fact, in Romanian is popular the so called labialisation which is regarded as influence of the substratum. Respecting lexical aspect one can say that Romanian has so many heterogeneous elements influenced by the languages of Balkan areas with which it came into contact. For instance, from Slavonicda for yes orsută for hundred; from Hungarian hotar for border or hârdău for bucket; from Turkish hamal for porter or huzur for leisure etc. In conclusion we may say that Romanian preserves the greate parte of Latin structures in phonological andmorpho-syntactic aspects withsomefeatures due to the native laguage, namely the substratum and the influential language after Roman Empire, the so called superstratum. These are the true characters of the Romanian language which is considered as Balkan Romance.

      • 민주화 10년, 발칸유럽의 문화갈등연구

        김정환(Kim, Jeong-Hwa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발칸의 민족주의는 종교적 근본주의와 배타적 인종주의 그리고 분리와 독립, 자치권의 확대, 영토 분쟁으로 얼룩진 정치문제가 동시에 복합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문제라 그 심각성이 국제적으로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 19세기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나타난 발칸유럽의 민족주의가 서유럽제국과 오스만터키제국으로부터의 독립운동을 전제로 발전한 반면, 20세기 후반 다시 표출된 민족주의는 국내와 인접국의 다수민족과 소수민족 사이의 갈등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냉전시대 폐막과 더불어 극적인 유혈사태를 동반한 민족적 분리주의의 부상이라는 결과를 초래하였 고, 지난 90년대 초부터 6차례(보이보디나 자치분쟁, 크로아티아 내전, 보스니아 내전, 알바니아 내전, 코소보 분쟁, 마케도니아 자치분쟁) 이상의 크고 작은 분쟁과 내전이 발칸유럽에서 발생하였다. 사회주의 유고지역 외 발칸유럽 국가 중에서 루마니아와 불가리아는 향후 소수민족분쟁의 소지가 큰 국가로 인식되고 있으며, 알바니아는 향후 사회주의 유고지역의 알바니아인 디아스포라(Diaspora)와 무슬림의 동향을 좌지우지할 잠재적 변수이자 막후 세력으로 지목되고 있다.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지역에 거주하는 150여만 명의 헝가리인은 루마니아內 제1의 소수민족 집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불가리아에는 역사적 산물로 80여만 명에 이르는 터키인들이 거주하고 있어 언제라도 제2의 코소보와 같은 민족간 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크다. 발칸유럽에서 일어나고 있는 민족갈등은 1)기존 다민족국가의 분열과 해체 속에서 새롭게 형성된 소수민족 또는 단위민족에 의한 민족자결과 분리 독립의 문제, 2)다수민족 국가들 내 기존 개별 민족들 간의 지역 경계․ 귀속 변경문제에 따른 민족갈등, 3)새로운 정치 주체의 형성 속에서 수반되는 다수민족 간 헤게모니 장악을 위한 민족갈등, 4)정치적․경제적 이해관계에 놓인 국가 간의 이민 또는 분쟁지역에서 유입되는 난민 등에 의한 新소 수민족갈등 등의 형태로 그 이유와 원인이 지역에 따라 복합적․동시다발적으로 얽혀 있는 양상이다. 발칸유럽 內의 이러한 소수민족 분쟁과 그 문화적 갈등을 억제․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1)민족주의의 극단적 현상을 용납하지 않는 성숙된 분위기의 조성과 능력 있는 중재자의 역할, 2)협상과 타협을 기초로 한 평화 협정과 조약의 체결, 3)다수․소수 민족간 또는 소수ㆍ소수 민족간 제휴와 연립 그리고 협력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 4)분쟁해 결과 평화유지를 위한 유럽 통합경찰의 설립, 5)분쟁당사국과 주변국의 분쟁해소 노력과 조건부 난민 처리, 6)유럽연합의 정책공조 필요성, 7)크고 작은 규모의 다양한 평화공동체 구상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민족간 분쟁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각 민족들은 민족적 자결권,이데올로기, 계층, 민족국가에 대한 국민의 충성 등을 검토하여 상황과 선호도에 따라 ‘억압(또는 억제)’, ‘민족간 동일성에 따른 재구성’, ‘권력 분배’,‘국가 건설’의 네 가지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억압’이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승리에 따른 다른 쪽의 선택일 수밖에 없다면, 민족주의의 구조주의적 모델에 따라 민족동일성을 재구성하거나 다민족 국가에서의 민족간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권력분배’ 또는 ‘제휴 민주주의’ 그리고 국제 중재자에 의한 새로운 ‘국가건설’은 긍정적 의미의 해결을 도모하는 한 측면이라 할 수 있겠다. With the beginning of 1990, the new democracies barometer is a multinational survey of post-communist countries of Eastern and Balkan Europe. The break-up of three ethnically complex federal republics (Soviet Union, Czechoslovakia Yugoslavia) in the early 1990s resulted in 14 new independent European countries. Especially, socialist Yugoslavia in Balkan Europe divided into five Slavic countries such as Slovenia, Croatia, Bosnia and Hercegovina, Macedonia, Serbia and Montenegro. These new states are based on specific nationalities, but it would be inappropriate to label them nation states because each has its very own minority problems. Yugoslavia was created as a country after World War I to unite several southern Slavic groups, previously in separate countries. This area is ethnically very complex, with six principle nationalities as Serb, Croat, Muslim, Slovene, Albanian, Macedonian (if includes Montenegrin, seven principle nationalities). The most numerous, Serbs, constituted 36% of the 1981 population (States's Year-book, 1981 census). Serbs, Croats, Slovenes and Macedonians have become the national bases of four new states. Each major ethnic group has a core area in which it forms nearly the entire population, but most groups are also scattered as significant minorities over a wide area and indeed constitute localized majorities in some areas of other republics. Muslim (a designation of a religious community as a nationality), Serbs and Croats are the three main groups in Bosnia and Hercegovina. Albanians provided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utonomous region in southern Serbia known as Kosovo, which thus far has not become an independent state. The Montenegrins, fewer in number and separated from Serbs only by history, have joined them in the federal country called Serbia and Montenegro (former-New Yugoslavia), which in quotation marks here identifies the rump state left after the four other republics seceded. The proportion of Serbs rose from 36% in the former Yugoslavia to 62.3% in the Serbia and Montenegro. Ethnic problems and minorities have reached explosive levels in post-socialist countries of Balkan Europe, particularly the socialist Yugoslavia. No single group formed a majority within it, although Serbian influence tended to predominate. Four of the country's republics have so far declared independence (Slovenia, Croatia, Bosnia and Hercegovina, Macedonia). Croatia's declaration in June 1991 sparked an uprising by the republic's minority Serbs, who constitute about 12.2% of Croatia's population. Serbian insurgents have since seized about one-third of the territory of Croatia and about two-thirds of Bosnia and Herzegovina, with help from the Republic of Serbia and the serb-dominated federal army. Bosnia and Herzegovina has an extraordinarily complicated history, marked by periods of indigenous principalities, Hungarian rule, Turkish conquest, and administration and annexation by Austria-Hungary. Most of the inhabitants are southern slavs and speak serbo-croatian, but they are divided by religion. Bosnia and Herzegovina made strenuous efforts to preserve ethnic balance in its government, with representation of Muslims, Serbs and Croats. It gradually loosened its ties with socialist Yugoslavia and ultimately declared its sovereignty, which wasnot accepted by Serb areas in the state. Finally, civil war resulted with activities in disgrace like ethnic cleansing or genocide. The problem of minorities in Serbia and Montenegro is exceedingly complex. The most problematic of all is the issue of Serbian-Albanian relations and of status of Kosovo Albanians. Since the establishing of the multi-party political system in the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Kosovo Albanians choose an option of self-isolation regarding political and public life, and built their own independent political field and a parallel government system.

      • KCI등재

        탈공산주의 동유럽 국가의 경제개혁과 민주화 평가 및 발전 방향

        김신규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우선 동유럽 국가를 지리적인 측면과 정치, 경제적인 측면에서 중동부유럽 북부국가군(Northern Tier of CEE)과 중동부유럽 남부국가군(Southern Tier of CEE)으로 구분한다. 이렇게 구분한 국가군에 대해 현재까지의 경제발전과 정치개혁의 결과를 파악하고 또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국가별로 각각의 진행단계를 평가한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국가군뿐만 아니라 개별국가의 이행의 수준 차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개별 국가가 안고 있는 과제가 무엇이고 향후 경제적, 정치적 발전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들 국가군의 거시경제 지표와 정치발전의 수준을 서유럽 국가들, 특히 유럽연합 국가군과 비교함으로써, 동유럽 국가들은 지리적인 측면에서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에 있을 뿐만 아니라 정치발전과 경제발전의 수준 역시 유라시아의 경계에 위치해 있음을 확인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USAID와 Freedom House, World bank, Eurostat 등의 통계 자료를 중심으로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 개혁 수준 그리고 거시경제 지표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확인하고 개혁 수준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한다. In this paper, I divide Eastern Europe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economic and political aspects such as Northern-tier of Central Eastern Europe(CEE), Southern-tier of CEE and Eurasian-tier states. After that I present the result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reform of each tiers and evaluate the progress of post-communist reforms by country. These assessments will show the differences of transition process of each groups of post-communist countries and make it clear what will be required of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s for each groups, Futhermore comparing the differences the level of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between west and east european states, I make sure that east european post-communist states are located in-between west europe and eurasian states in terms of geography and the level of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article, I'd try to give some suggestions for lee-develped countries to overcome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동유럽·발칸 민족분쟁과 공존 가능성: 21세기 코소보 사례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4 동유럽발칸연구 Vol.48 No.2

        20세기 말 ‘코소보(Kosovo) 전쟁’은 21세기 ‘신냉전’ 서막을 연 국제 분쟁이자, 국제역학 구도에서 코소보의 지정학적, 지전략적 중요성을 국제 사회에 분명히 각인해 준 사건이었다. 국제관계사적 측면에서 코소보 전쟁이 남긴 일련의 시사점과 그 의미들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는 NATO의 전통적 ‘방어전략’ 개념을 ‘공격전략’ 개념으로 전환한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이다. 1999년 역외 국가를 향한 NATO의 전쟁 참여로 NATO는 21세기 미국 이해 지역에 있어 자국의 영향력을 추구할 토대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는 ‘러시아 제국의 부활’과 ‘푸틴의 등장’이라 할 수 있다. 1999년 코소보 전쟁 결과 러시아는 2000년 푸틴을 선택하였고, 그는 21세기 러시아를 냉전 시대와 같은 제국으로 부활할 것이라 약속하였다. 이것은 2014년 크름반도 합병과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이어졌다. 코소보의 지정학적 중요성이 확인됨에 따라 미국과 유럽은 유럽 평화에 있어 코소보의 영구적 평화 구축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코소보를 둘러싼 세르비아와 코소보 정부 간 평화 정착과 공존 가능성은 여전히 많은 장애물을 지닌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선 동유럽·발칸 민족분쟁 기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21세기 진행형인 코소보에서의 다양한 민족분쟁 양상과 그 특징들 소개 및 그 공존 가능성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 The ‘Kosovo War’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was an international conflict that ushered in the ‘New Cold War’ of the 21st century. And it was an event that clearly impress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n the geopolitical and geostrategic importance of Kosovo in the international dynamics. In terms of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re are two main implications of the ‘Kosovo War’. First, it was the first attempt to convert NATO's traditional concept of ‘defensive strategy’ into the concept of ‘offensive strategy’. The Kosovo War was the first war involving NATO in a country outside the region. And through this, NATO can be said t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pursuing its own influence in the Interest Sphere of United States in the 21st century. The second can be said to be the ‘resurrection of the Russian Empire’ and the ‘emergence of Putin’. As a result of the 1999 Kosovo War, Russia chose Putin in 2000, and he promised to revive Russia in the 21st century as an empire similar to that of the Cold War era. And this led to the annexation of the Crimean Peninsula in 2014 and the outbreak of war in Ukraine in 2022. As Kosovo’s geopolitical importance has been confirmed,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gree on the need to establish permanent peace in Kosovo for peace in Europ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still many obstacles to the possibility of peace and coexistence between the Serbian and Kosovo governments surrounding Kosovo today.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origins of national conflicts in Balkan Europe, I will introduce the various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conflicts in Kosovo in the 21st century, an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their coexistence.

      • KCI등재

        악순환의 고리?: 발칸 유럽, 이슬람 그리고 오리엔탈리즘

        오승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4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0

        본 논문은 동유럽에서 벌어지고 있는 오리엔탈리즘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들을 살펴보고 이를 비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리엔탈리즘은 원래 17세기 자본주의 부상과 함께 세계사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서유럽이 오리엔트 세계를 후진적이고 전제적인 세계로 비하시키며 선입감을 만들어 이를 확산시킨 것을 에드워드 사이가 비판한 현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유럽 맥락에서 이러한 오리엔탈리즘적 차별과 배제가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 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서구에 의해 동유럽을 대상으로 자행되는 차별뿐만 아니라, 동유럽 사람들이 같은 동유럽 사람들을 대상으로 행하는 차별과 비하의 시선을 고찰하고 있다. 이 차별적 위계질서 매김에서 가장 큰 피해자는 바로 발칸 유럽의 무슬림들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분명 동유럽 사람들임에도 불구하고, 9·11 사태 이후엔 ‘이슬람 테러리스트’로 묘사되는 등, 동유럽 내의 뿌리 깊은 오리엔탈리즘 희생자로 고통 받고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nesting orientalism” found widespread across Eastern Europe as well as Western Europe. The nesting orientalism is a coinage made by Milica Bakic-Hayden to describe the reproduction of orientalism not only against the people of Eastern Europe by their counterparts in the West, but also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same Eastern Europeans by the same Eastern Europeans. To take an example, within the sphere of Eastern Europe, those who are located more towards the West look down upon those who are more towards the East. The phenomenon has, far from disappeared, been reproduced as if nesting in new places. The paper looks into some of the historical instances of the nesting orientalism and criticize the discrimination made not only the Westerners but also by the Eastern Europeans against the Eastern Europeans.(Hanyang University)

      • KCI등재

        보스니아 난민 문제 현황과 난민 정책에 관한 연구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refugee populations and the legitimacy of international law as a resolution for the refugee problem is studied with focus on Bosnia. Subsequently, the corresponding strategies employ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 and UNHCR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practicality and efficacy. Countries in Eastern Europe have experienced various national problems and conflicts with the advent of democratization and liberalization beginning in 1989. For this study, Bosnia was selected among the countries of Eastern Europe due to its relatively recent experiences involving mass ethnic massacres for example, and the exploding refugee problem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the civil war which lasted 3 years and 8 months (ending in March 1992).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n the Chapter II,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efugee situation in Bosnia is explained in terms of it originating from the collapse of the Federation of Socialist Yugoslavia. The subsequent civil war is discussed as is the progression of the conflict. In the Chapter III, the legitimacy of international law as a resolution for the refugee problem in Bosnia is analyzed,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Dayton Agreement, which brought about the end of the civil war. The intervention of the UNHCR for the refugee relief is also examined. In Chapter IV, the correspond strategi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solutions to the refugee problem in Bosnia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Temporary Protection Policy of the UNHCR. Moreover, mutual assistance efforts and application of policies between the UNHCR and EU are investigated. 20세기 이후 들어와 국제 사회의 여러 곳에는 내전과 정치적 불안 그리고 경제적 어려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른 난민 문제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더불어, 현재 한반도 지역을 비롯해 대량 난민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높은 지역들 또한 계속해서 급증하고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선 보스니아를 주요 사례로 선택해 발칸유럽에서 발생한 대량 난민의 발생 배경과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법적 정당성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UNHCR와 EU 등 국제사회가 선택한 대응 전략은 무엇이었고, 그 실효성은 어떠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1989년 동유럽의 민주화 이후 보다 많은 민족 문제와 다양한 민족 갈등이 촉발되고 있는 발칸유럽의 여러 국가들 중, 본 논문의 주요 사례로 선택한 보스니아는 1992년 3월부터 시작된 약 3년 8개월간의 장기간 내전으로 인해 대량 인종 학살과 대규모 난민 문제를 직접 경험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본 논문에선 우선 보스니아에서의 난민 발생 배경을 사회주의 유고 연방 붕괴와 이후 발생된 내전의 확대에서 비롯되었음을 설명하고, 그 내용과 전개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보스니아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개입 및 국제법적 정당성을 내전 종결을 위한 ‘데이턴 합의안’의 내용과 UNHCR 개입 및 난민 구호 정당성에서 찾고자 한다. 이와 함께, 유고 지역 및 보스니아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대응 전략 취지와 전반적 내용을 UNHCR의 ‘임시 보호(Temporary Protection) 정책’ 수립과 이에 대한 EU의 공조 및 정책 적용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보스니아 난민 문제 현황과 난민 정책에 관한 연구

        김철민(Kim Chulmi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20세기 이후 들어와 국제 사회의 여러 곳에는 내전과 정치적 불안 그리고 경제적 어려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른 난민 문제 발생이 빈번해 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더불어, 현재 한반도 지역을 비롯해 대량 난민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높은 지역들 또한 계속해서 급증하고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선 보스니아를 주요 사례로 선택해 발칸유럽에서 발생한 대량 난민의 발생 배경과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법적 정당성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UNHCR와 EU 등 국제사회가 선택한 대응 전략은 무엇이었고, 그 실효성은 어떠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1989년 동유럽의 민주화 이후 보다 많은 민족 문제와 다양한 민족갈등이 촉발되고 있는 발칸유럽의 여러 국가들 중, 본 논문의 주요 사례로 선택한 보스니아는 1992년 3월부터 시작된 약 3년 8개월간의 장기간 내전으로 인해 대량 인종 학살과 대규모 난민 문제를 직접 경험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본 논문에선 우선 보스니아에서의 난민 발생 배경을 사회주의 유고 연방 붕괴와 이후 발생된 내전의 확대에서 비롯되었음을 설명하고, 그 내용과 전개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보스니아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개입 및 국제법적 정당성을 내전 종결을 위한 ‘데이턴 합의안’의 내용과 UNHCR 개입 및 난민 구호 정당성에서 찾고자 한다. 이와 함께, 유고지역 및 보스니아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대응 전략 취지와 전반적 내용을 UNHCR의 ‘임시 보호(Temporary Protection) 정책’ 수립과 이에 대한 EU의 공조 및 정책 적용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refugee populations and the legitimacy of international law as a resolution for the refugee problem is studied with focus on Bosnia. Subsequently, the corresponding strategies employ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 and UNHCR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practicality and efficacy. Countries in Eastern Europe have experienced various national problems and conflicts with the advent of democratization and liberalization beginning in 1989. For this study, Bosnia was selected among the countries of Eastern Europe due to its relatively recent experiences involving mass ethnic massacres for example, and the exploding refugee problem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the civil war which lasted 3 years and 8 months(ending in March 1992).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n the Chapter II,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efugee situation in Bosnia is explained in terms of it originating from the collapse of the Federation of Socialist Yugoslavia. The subsequent civil war is discussed as is the progression of the conflict. In the Chapter III, the legitimacy of international law as a resolution for the refugee problem in Bosnia is analyzed,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Dayton Agreement, which brought about the end of the civil war. The intervention of the UNHCR for the refugee relief is also examined. In Chapter IV, the correspond strategi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solutions to the refugee problem in Bosnia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Temporary Protection Policy of the UNHCR. Moreover, mutual assistance efforts and application of policies between the UNHCR and EU are investigated.

      • KCI등재

        후고 폰 호프만스탈의 오스트리아유럽 담론 - 코스모폴리타니즘인가? 제국의 노스탤지어인가?

        탁선미 ( Tak Sun-mi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7 獨逸文學 Vol.58 No.2

        1990년대 남동유럽 지역에서 다시 발화한 민족 간 갈등 및 분쟁은 민족국가를 규범으로 하는 사회구성체의 원리가 적어도 이 지역에서는 평화로운 국제정치 질서의 토대가 되기 어렵다는 것을 드러냈다. 냉전 시기에 망각되었던 이 지역의 민족분쟁은 사실 1 세기 이상을 거슬러가는 뿌리 깊은 것이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의 동유럽과 발칸은 첫째, 제국주의로 확대된 독일 및 러시아의 패권적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로 전환된 오스만과 합스부르크 제국의 충돌, 둘째, 이들 강대국들의 제국주의적 패권주의와 향토에 토대를 둔 피억압 민족들의 저항적 민족주의의 충돌, 셋째, 이들 피억압 민족들의 저항적 민족주의가 독립국가를 목표로 삼으면서 피억압 민족들 상호 간에 점화된 갈등과 충돌이 중첩되던 공간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과 그 이후 집중적으로 개진되었던 호프만스탈의 오스트리아-유럽 담론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라는 위기 앞에서 다민족·다문화 남동유럽 지역공간의 정치적 특수성을 이해하고 탈민족적 정치문화 공동체의 비전을 모색한 하나의 흥미로운 사례이다. 이 논문은 호프만스탈의 오스트리아-유럽 담론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을 통해, 이 담론이 한편에서 다민족·다문화적 유럽정치공동체의 비전을 제시하지만 다른 한편 독일문화 중심의 `하나의 유럽`으로 귀결됨으로써 오스트리아의 현실적 상실을 보상하는 제국적 노스탤지어이기도 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Der Balkan, die Peripherie Europas, wo sich fremde Volker und Sprachen, Religionen und Kulturen kreuzen und treffen, hat in den 1990er Jahren wieder einmal so spektakular auf sich aufmerksam gemacht wie vor etwa 80 Jahren beim Aufbruch des Großen Kriegs. Vor dem Aufbruch des 1. Weltkriegs galt der Balkan sowohl fur das aufstrebende Deutsche Reich, das Zarenreich, das Habsburger Reich als auch fur das zerfallende Osmanische Reich als die Buhne fur eine weltpolitische Machtprobe. Diese weltpolitischen Konflikte waren noch durch die lokalen nationalen Unabhangigkeitbestrebungen der nun aufgewachten Sudslawenvolker uberlagert und wirkten sich um so komplizierter aus. Hugo von Hofmannsthal, der geniale Modernist und Asthet im Wien der Jahrhundertwende, außert sich uberraschenderweise oft und engagiert zu dem Großen Krieg, uber die deutsche Nation und Kultur, die Aufgaben Osterreichs und die Zukunft Europas. In seinen zeit- und kulturpolitischen Reden und Essays nimmt er eine Friedensvision fur Europa in Aussicht, indem er von den historischen Erfahrungen des osterreichischen Reichs ausgehend fur eine transnationale Organisation des Staates pladiert. Seine transnationale gesamteuropaische Vision entpuppt sich aber bald als ein nostalgischer Tagtraum, denn er bringt die multiethnisch-europaische Idee ohne weiteres mit dem Fuhrungsanspruch der deutschen Kultur in Verbindung. Diese Ambivalenz und Doppelbedeutung seiner osterreichisch-europaischen Idee werde ich in diesem Aufsatz darlegen, um sie als einen interessanten, aber zugleich umstrittenen Losungsversuch der Volkerkonflikte auf dem Balkan und in Osteuropa zu deuten.

      • 코소보-세르비아 관계 정상화를 위한 EU의 역할과 한계: ‘유럽화’에서 ‘발칸화’로

        윤성욱 ( Sungwook Yoon ) 한국유라시아학회 2023 세계와 유라시아 Vol.1 No.2

        본 연구는 EU가 세르비아와 코소보의 ‘유럽화’, 다시 말해 EU 회원국으로 가입을 희망한다는 사실을 협상의 레버리지로 활용하여 양측의 관계 정상화를 시도해 왔으나 이러한 EU의 역할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코소보 전쟁 이후 발칸 반도에 불안정한 평화가 조성되었지만 2008년 코소보의 독립 선언으로 세르비아와 코소보 간 갈등은 언제든지 다시 폭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이에 EU는 2011년 세르비아와 코소보 간 관계 정상화를 위한 대화를 중재하여 왔고, 2023년 2월 EU 중재안에 대한 양측의 합의를 이끌어냈다. 그러나 중재안 이행을 위한 세부 사항에 대한 합의 도출에 실패하면서 협상의 촉진자로서 EU의 역할에 대한 비판도 점차 커지고 있다. 양측 간 갈등의 근본적인 문제는 민족주의적 갈등이며, 세르비아와 코소보가 인식하는 ‘관계 정상화’는 그 인식 자체에 차이가 있음에 EU의 ‘유럽화’ 전략은 그 한계가 명확하다. 오히려 2022년 말 양측간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세르비아와 코소보 문제는 또다시 ‘발칸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발칸 반도에서 갈등의 재점화가 EU에게 직접적 안보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발칸 반도에서 양측간 갈등의 종식과 궁극적으로 평화 정착은 EU 안보의 측면에서 필수적인 사안이다. 그럼에도 양측간 관계 정상화가 ‘재 발칸화’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EU의 역할과 역량이 제한적이라는 점은 EU가 안고 있는 고민임이 틀림없다.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EU’s role in normalising the relations between Serbia and Kosovo by utilising their intention of joining the EU, that is, ‘Europeanisation’ as a leverage is limited. The conflict between Kosovo and Serbia has been likely to explode at any time particularly after Kosovo’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2008, even though unstable peace has been established in Balkan Peninsula after the Kosovo war. The EU has stepped in to mediate for normalisation of their relations since 2011, and two sides have tentatively agreed on a proposed EU’s plan on February 2023. However, Kosovo and Serbia failed to reach a final deal on an annex on implementing the plan, which makes the EU’s role as a facilitator in this negotiation have come under stronger criticism. This shows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ir conflict is nationalist conflict; furthermore, the EU’s strategy of ‘Europeanisation’ has it clear limitation, in that two sides have distinctinve difference in their recognition of ‘normalisation of relations’. In fact, the Kosovo-Serbia problem tends to be re-Balkanised as their conflict was intensified in the late 2022. Having considered re-ignition of conflict in the Balkan Peninsula can be a direct threat to the EU’s security, an end of conflict and the establishment of peace in this region is essential for the EU. Nevertheless, ‘re-Balkanisation’ of normalisation of their relations and the EU’s limited role and capabilities for its solution are the EU’s conc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