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익 조정 여부에 따른 발생액 이상 현상의 차이

        김지홍 ( Jee Hong Kim ),고재민 ( Jai Min Goh ),김상일 ( Sang Il Kim ) 한국회계학회 2008 회계학연구 Vol.33 No.3

        기존의 연구들은 발생액이 현금흐름에 비해 이익 지속성이 떨어짐에도 투자자들은 이러한 차이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보여 주고 있다. 이처럼 자본시장이 발생액의 이익지속성에 대해서 과대평가하는 사실을 발생액 이상 현상이라 부르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발생액 이상 현상의 가장 주된 원인으로 경영자의 이익 조정 행위를 꼽고 있다. 본 연구는 Mishkin test를 활용하여 발생액 이상 현상이 기회주의적 이익 조정에 기인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익을 조정한 기업과 조정하지 않은 기업을 구분하여 이익 조정 기업에서 발생액 이상 현상이 더 크게 나타난다면, 자본시장이 기업의 이익 조정 행위를 가치 평가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발생액 이상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실증하는 것이다. 반대로 이익을 조정한 기업에서 발생액 이상 현상이 작게 나타난다면, 시장은 기업의 이익 조정을 효율적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기능적 고착화가 발생액 이상 현상의 원인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업 집단에서 발생액 이상 현상은 선행연구와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이익을 조정한 기업은 이익을 조정하지 않은 기업에 비해 이익 지속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발생액이나 재량적발생액 항목에서 유의하다. 셋째, 발생액 이상 현상은 이익을 조정하지 않은 기업에서만 발견할 수 있고, 오히려 이익을 조정한 기업에서는 발생액 이상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발생액 이상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 조정 여부를 명시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선행연구의 주장과는 달리 발생액 이상 현상이 이익조정의 산물이 아닐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발생액 이상 현상의 주된 원인으로 인정받고 있는 이익 조정에 대한 시장 비효율성의 주장에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Researchers have opposite perspectives for discretionary accrual. Some support its positive aspect in that it can deliver managers` private information for future performance, having a signalling effect. On the contrary, others doubt it since it reflect managers`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It has been the most popular metric measuring earnings management in a lot of earnings management study. Thus, discretionary accrual is still controversial among researchers. Specifically, some have a positive eye on discretionary accrual due to its additional explanation on earnings persistence, while others a negative eye because of its relatively lower explanation power than cash flow or non-discretionary accrual. In addition, some justify information content of discretionary accrual in that it explains stock returns significantly, while others belittle since the capital market overvalues it due to unawareness of earnings management. These differential perspectives are caused by earnings management. Chan et al. (2006) argued that discretionary accrual can be a leading indicator of future business if only manager does not manage earning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arnings managed firms and non-earnings managed firms after classifying earnings managed firms. Earnings management has not been clearly considered in prior studies, because they treated all firms into one portfolio. But in order to synthesize different opinions that seem to be contradictory, we attempt to divide all firms into two groups, earnings managed firms and non-earnings managed firms. After that, we investigate whether earnings persistence and market reaction are different in each group. If difference is found, we can show that discretionary accrual carries managers` private information in non-earnings managed firms, while it indicates managers` opportunistic activity in earnings managed firms. These synthetic study is carried out in two aspect, earnings persistence and market reaction. First, discretionary accrual with earnings managed firms would be able to explain future earnings relatively less, while it can account for future earnings better in non-earnings managed firms. Second, we try to investigate how the capital market evaluates each earnings persistence in two groups. Prior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that market participants do not catch that the accrual is less accountable for earnings persistence than cash flow. Accruals anomaly is such a phenomenon that the stock market overvalues accrual related to earnings persistence. Studies examining accruals anomaly attributed it to market inefficiency for earnings management and functional fixation is widely regarded as a hidden driver of market mispricing. Similarly, if market cannot recognize earnings management, accruals anomaly in earnings managed firms would be bigger than in non-earnings managed firms. But if market is efficient enough, it can identify earnings managed firms and there are no accruals anomaly or it would be much smaller in earnings managed firms. This can enable us to test market inefficiency for earnings management which has been ascribed to accruals anomaly.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ree findings. First, accruals anomaly for total accrual and discretionary accrual is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Market overvalues earnings persistence of total accrual, non-discretionary accrual, and discretionary accrual. But Korean stock market differs from US in that undervaluing for cash flow is not significant. Second, non-earnings managed firms show more strong earnings persistence. And this is significant for both total accrual and discretionary accrual. Third, accruals anomaly exists only for non-earnings managed firms. That is, non-earnings managed firms drive market mispricing and the market has an insight into earnings management. We can synthesize opposite perspectives of prior studies through these results. First, the higher earnings persistence in non-earnings managed firms implies that its discretionary accrual has managers` private information. However, the lower earnings persistence in earnings managed firms indicates that managers abuse it to exaggerate their performance. Second, discretionary accrual in earnings managed firms cannot account for stock returns, while that in non-earnings managed firms is associated significantly. This means that market can recognize the meaning of discretionary accrual whether it is the result of earnings management. Third, a lot of researchers have conjectured that market imperfection or functional fixation is responsible for accruals anomaly. But these results are in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in that the accruals anomaly is not caused by earnings management. Therefore, we suggest that researchers should be more careful in asserting that market inefficiency for earnings management is the main cause for accruals anomaly.

      • KCI등재

        이익조정 측정치로서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서승철 韓國公認會計士會 201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4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fulness of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as a measure of earnings management. This measure are compared to the discretionary accruals from the adjusted Jones model commonly used in previous studies. Comparison is performed by the logistic regression method which tests the incremental usefulness of measures. The rationale for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comes from the less lenient regulations of tax codes compared to financial accounting principles. Managers typically have more discretion in financial reporting than in tax reporting and can exploit such discretion to manage income that does not affect current taxable income. If firms manage the book income upwards without affecting the taxable income, such earnings management will generate book-tax temporary differences that increase a firm’s deferred tax. Deferred tax related measures, therefore,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as well as the degree of a firm’s earnings management. But deferred tax measures have information without earnings management. So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extend previous research on deferred tax as a measure of earnings management using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which is a improved measure The empirical tests are designed to confirm whether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are useful in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The incremental usefulness of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over the discretionary accruals estimated using the modified Jones model (1995) is another issue to be explored. The study sample is composed of 1,422 firm-year observation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during the period from 1999 to 2007 with a December fiscal year-end. We find that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are useful in discriminating the income increasing firms from control group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contain incremental usefulness over the discretionary accruals in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The paper contributes to the earnings management studies by providing alternative earnings management measures from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This study also paves a way to methodological improvement in the earnings management literature by providing an alternative detection tool free from measurement errors. 본 연구는 이연법인세변수 혹은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일시적차이가 이익조정의 대용치로서 유용성이 있다고 주장한 선행연구(Phillips et al. 2003; 최종서·문승엽 2005; 주인기 등 2005)의 결과에 착안하여 이연법인세변수의 한계점을 개선한 법인세비동반 발생액변수가 이익조정 측정치로서 유용성이 있는지를 실증 분석한다. 세법에 비해 기업회계기준 하에서 경영자의 재량성이 크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과세소득에는 영향이 없는 발생액을 이용하여 이익을 상향조정하면 이는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일시적차이를 유발하고 이 정보가 이연법인세에 반영된다. 하지만 일시적차이나 이연법인세에는 이익조정과 관련이 없는 정보도 같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익조정의 대용치로서 일시적차이를 개선한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통하여 이익조정집단을 적절하게 판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익조정현상의 검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재량발생액에 대해 증분적 설명력을 지니는지를 실증 분석한다. 분석방법은 단변량 분석(t-검정)과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인세비동반 발생액과 재량발생액은 각각 이익상향조정집단을 식별하는데 유용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은 이익상향조정 집단을 식별하는데 있어서 재량발생액에 대해 증분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세소득감소와 이익상향조정을 동시에 구사하는 집단의 식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선행연구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재량발생액을 통해서는 감지되지 않을 수 있으며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유용한 측정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법인세동반 발생액을 이용하여 과세소득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증가된 재무보고비용의 완화를 위해 과세소득에 영향이 없는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이익상향조정에 이용할 경우 그 효과가 서로 상쇄되어 재량발생액으로는 포착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익조정현상을 식별하기 위한 이익조정의 측정치로서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재량발생액과 더불어 보완적으로 이용될 경우 보다 적확한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량발생액의 추정오차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한 가지 대안 혹은 보완적 측정치로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의 이용이 유용함을 보여줌으로써 이익조정현상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익조정연구의 방법론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이연법인세 관련정보에 대한 공시의 질적 향상과 양적 증대가 재무제표정보에 대한 질적 평가의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회계정보 공시제도의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발생액 이익조정기준을 이용한 실질이익조정의 식별

        정도진(Jung, Do-Jin),진언백(Chen, Yan-Ba) 글로벌경영학회 201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0 No.4

        경영자는 회계원칙이 허용되는 범위 안에서 발생액을 이용하여 이익을 조정(발생액 이익조정,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하거나 실제 경영활동을 통해 이익을 조정(실질이익조정, Real Earnings Management)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들은 발생액 이익조정과 실질이익조정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생액 이익조정과 실질이익조정을 통합하여, 발생액 이익조정의 기준들(재량적 발생액, 이익의 횡단면 분포, 비재량적 이익)이 실질 이익조정의 식별에도 유용한지를 검증하였다. 실질이익조정의 측정변수로는 비정상적 영업현금흐 름과 재량적 비용 및 제조원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발생액 이익조정의 식별기준들에 따라 구분된 이익조정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실질이익조정 측정변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재량적 발생액과 비재량적 이익으로 구분된 이익조정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는 실질이익조정 측정변수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익의 횡단면 분포에 따라 구분된 이익조정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모든 실질이익조정 측정변수의 계수 값이 예측부호와 반대로 나타났다. 둘째, 발생액 이익조정의 식별기준들에 따라 구분한 이익 조정 여부의 더미변수와 실질이익조정 측정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집단 간 차이분석과 마찬가지로, 재량적 발생액과 비재량적 이익으로 구분한 이익조정 여부의 더미변수는 실질이 익조정 측정변수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익의 횡단면 분포로 구분한 이익조정 여부의 더미변수와 모든 실질이익조정 측정변수는 예측부호와 반대의 상관계수 값이 나타났다. 셋째, 이익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발생액 이익조정의 식별기준들에 따른 이익조정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고, 실질이익조정 측정변수와 통제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재량적 발생액으로 이익조정 여부를 구분한 경우, 모든 실질이 익조정 측정변수들이 예측부호와 일치하는 유의한 계수 값을 나타냈다. 반면에, 이익의 횡단면 분포로 이익조정 여부를 구분한 경우, 모든 실질이익조정 측정변수들이 예측부호와 반대의 계수 값을 가졌다. 그리고 비재량적 이익으로 이익조정 여부를 구분한 경우, 비정상적 영업현금흐름과 제조원가의 계수 값만이 예측부호와 일치하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 면, 발생액 이익조정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재량적 발생액은 실질이익조정을 식별하는 데에도 유용한 반면, 비재량적 이익은 비정상적 영업현금흐름과 제조원가로 나타나는 실질이익조정만을 식별하는 데에 제한적으로 유용하였다. 한편, 발생액 이익조정의 또 다른 식별기준인 이익의 횡단면 분포는 실질이익조정을 식별하는 데에 유용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spect whether the criteria which detect manager s earnings management in prior studies can distinguish the manager s real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from the real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he prior study, in this article we use DAC benchmark, Cross-sectional histogram benchmark and NDNI benchmark to do empirical analysis. To measure the real earnings management, following Roychowdhury(2006), we use abnormal cash flow from operation, abnormal discretionary expense and abnormal production cost as variables. The research method is: first, according the benchmarks we distinguish two groups, upward earnings management and earnings management without upward. To compare the real earnings management variables we do the t-test and Wilcoxon rank-sum test. Second, we in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upswing earnings management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he variation analysis result of real earnings management variables in the two groups, cross-sectional histogram benchmark can not distinguish real earnings activity very well, but the other two benchmarks can do. According to the prior studies, there is no earnings management in some of the earnings management firms which is distinguished by cross-sectional histogram benchmark. So cross-sectional histogram benchmark has the problem with validity when detect the earnings management. Seco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earnings management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variables, the logistic regression make sure cross-sectional histogram benchmark can not distinguish real earnings management very well. Moreover, there are no firm doing real earnings management in the earnings management firms which are distinguished by NDNI benchmark. The final conclusion is that in the benchmarks with earnings management in this study, DAC benchmark can detect real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best.

      • KCI등재

        세무적 관점의 발생액 구성요소를 통한 이익조정행태에 따른 이익구성요소의 지속성 차이

        서승철(Seo, Seung Cheol)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47

        본 연구는 발생액의 낮은 지속성에 대한 원인규명을 목적으로, 발생액을 법인세비동반 발생액, 법인세동반 재량발생액 및 법인세동반 비재량발생액으로 세분하여 이익조정행태에 따른 이익구성 요소간 지속성의 차이를 실증분석한다. Sloan(1996)이 현금흐름에 비해 발생액의 지속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그 원인이 발생액의 추정과정에 포함된 재량성때문이라는 실증결과를 제시한 이후, 그 원인에 관심을 둔 후속연구가 적지 않게 진행되고 있다. Sloan(1996)의 연구를 확장한 Xie(2001)는 발생액을 재량발생액과 비재량발생액으로 구분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발생액의 낮은 지속성이 재량발생액에 기인한 결과를 근거로,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이 발생액의 낮은 지속성의 원인이라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이는 재량발생액의 낮은 지속성이 재량발생액 자체의 속성 때문인지 재량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 때문인지에 대해 분명하게 검정되지 않은 추론에 의한 단순한 주장에 가깝다. 이에 본 연구는 이익상향조정을 위해서는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보다 효율적인 반면, 이익하향조정을 위해서는 이용될 동기를 찾기가 어렵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세무적 시각에서 구분된 이익구성요소간 지속성의 차이를 재량발생액을 통한 이익상향조정집단과 하향조정집단으로 구분한 이익조정행태별로 실증분석함으로써 관련 선행연구를 확장한다. 분석방법은 차기이익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집단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관되게 영업현금흐름에 비해 발생액의 차기이익에 대한 지속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인세비동반 발생액과 법인세동반 재량발생액의 낮은 지속성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집단별 분석결과는 이익상향조정 집단에서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의 지속성이 영업현금흐름의 지속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데 반해 이익하향조정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이익상향조정을 위해서는 유용한 수단이나 이익하향조정에는 이용될 동기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법인세동반 발생액의 지속성은 모든 집단에서 영업현금흐름의 지속성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법인세동반 재량발생액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발생액의 낮은 지속성이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이익조정에 기인하며, 이익조정행위가 없다면 지속성측면에서도 발생액의 질이 낮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발생액의 낮은 이익지속성의 원인규명 관련 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수단의 선택과정에 세금비용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이익조정현상과 관련된 연구 및 재무보고비용과 세무보고비용의 상충관련 연구의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low persistence of accruals relative to that of cash flows is due to the firm"s earnings management and the persistence of accruals relative to that of cash flows may not low without earnings management using accruals. The extent to which current earnings performance persist into the future is shown to depend on the relative magnitudes of the cash flow and accrual components of current earnings. Sloan(1996) suggested that the persistence of accruals relative to cash flows is low due to discretion of accruals. Also, Xie(2001) suggested that the persistence of accruals relative to cash flows is low due to the firm"s earnings management. I extend Xie"s study(2001) in two ways to conform cause of the low persistence of accruals. First, I decompose accounting earnings into cash flows from operations and total accruals. In turn, I decompose total accruals into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 and accruals with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 And then, I decompose accruals with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 into discretionary part and indiscretionary part. Second, I divide the sample into two sub-samples based on discretionary accruals in order to distinguish income-increasing firms from income-decreasing firms. The firms with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are defined as income-increasing firms while the firms with negative discretionary accruals are considered income-decreasing firms. Discretionary accruals are estimated using the modified Jones-model (1995). And then, I analyzes the persistence of the three accrual components relative to cash flows by earnings management group. The sample consists of non-financial firms(1,422 firm-years) with December fiscal years traded over Korean Stock Exchange during the period from 1999 to 2007. To identify cause of the low persistence of accruals, I use regression analyses. In the full sample,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persistence of accruals relative to cash flows is low owing to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 and discretionary accruals with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Also,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between income-increasing firms and income-decreasing firms in the persistence of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 More specifically, I document that the persistence of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 relative to that of cash flows is low for income-decreasing firms while the persistence of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 relative to that of cash flows is not low for income-increasing fir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w persistence of accruals relative to that of cash flows is due to the firm"s earnings management and the persistence of accruals may not low relative to that of cash flows if firms do not manage reported earnings using accruals.

      • KCI등재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과 이익지속성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학 연구 Vol.28 No.4

        <P>&nbsp;&nbsp;본 연구는 세금비용이 수반되지 않는 발생액(이하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과 이익지속성과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한다.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은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세금비용의 부담이 없으므로 이익상향조정을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이며 선호되는 수단이다(Phillips et al. 2003; Calegari 2000). 엄격한 세법에 비해 경영자의 재량성이 많이 부여된 기업회계 기준(GAAP)하에서 발생액의 재량적 조정이 수월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이익상향조정이 수행되고 있다는 실증결과를 제시한 Phillips et al.(2003)의 연구와 이익조정이 이익지속성을 떨어뜨린다는 선행연구를 결합함으로서 관련연구를 확장한다.</P><P>&nbsp;&nbsp;경영자가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통하여 이익을 상향조정한다면 법인세비동반 발생액과 차기이익의 공분산이 감소되어 이익지속성이 감소될 것이다. 이에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큰 기업에서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의 차기이익에 대한 지속성이 낮은지를 검증한다. 결과가 예상과 일치한다면, 이는 경영자가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이용하여 이익을 상향조정한다는 선행연구의 주장을 지지하는 것이다.</P><P>&nbsp;&nbsp;경영자가 수행할 수 있는 이익조정은 그 유형에 따라 세금비용이 수반되지 않는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이용할 수도 있고 세금비용이 수반되는 법인세동반 발생액을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떠한 수단을 선택할지에 대한 판단은 차별적일 것이다. 하지만 이익상향조정을 위해서는 세금비용이 증가되지 않는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보다 선호되지만 이익감소목적으로는 사용될 유인이 없다는 데 근거하여,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의 크기를 통해 본 연구에서의 분석을 위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한다.</P><P>&nbsp;&nbsp;분석방법은 차기이익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양(+)인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이익지속성이 낮으며, 이러한 결과가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익상향조정을 위한 수단으로 법인 세비동반 발생액이 이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이익상향조정에 대한 대용치로서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P><P>&nbsp;&nbsp;본 연구는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이익조정이 이익지속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실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관련선행연구를 확장한 것이라 할 수 있다.</P><P>&nbsp;&nbsp;이익조정수단으로서 발생액을 요소별로 구분하고 전통적 이익조정연구에서 간과했던 조세요인을 고려하여 분석한 본 연구는 이익조정현상의 보다 정밀한 파악 및 이익조정연구의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P>

      • KCI등재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과 이익지속성

        서승철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학 연구 Vol.28 No.4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earnings persistence and earnings management using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Prior studies document that managers tend to increase earnings using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Also previous studies insist that earnings management affects earnings persistence to the extent that managed earnings distort time-series property of earnings over time.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using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on earnings persistence. Although various means to earnings management can be taken, we focus on a case where a manager makes premature recognition of future revenue or delayed recognition of expenses using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Such earnings management causes the covariance between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and next-period annual earnings to decrease. Then the persistence of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which is defined as the covariance between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and next-period annual earnings divided by the variance of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becomes smaller for firms with smallercovariance earnings than for those with larger-covariance earnings. Thus, we hypothesize that earnings are less persistent for firms with positive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than for firms with negative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The firms with positive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are defined as incomeincreasing firms while the firms with negative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are considered control firms. The sample consists of non-financial firms(1,422 firm-years) with December fiscal years traded over Korean Stock Exchange during the period from 1999 to 2007.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earnings are significantly less persistent for firms with positive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than for firms with negative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Also the lower persistence of earnings for firms with positive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is attributable to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agers use accruals without current period tax implications to manage income upward in ways that do not affect current taxable income. 본 연구는 세금비용이 수반되지 않는 발생액(이하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과 이익지속성과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한다.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은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세금비용의 부담이 없으므로 이익상향조정을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이며 선호되는 수단이다(Phillips et al. 2003; Calegari 2000). 엄격한 세법에 비해 경영자의 재량성이 많이 부여된 기업회계기준(GAAP)하에서 발생액의 재량적 조정이 수월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이익상향조정이 수행되고 있다는 실증결과를 제시한 Phillips et al.(2003)의 연구와 이익조정이 이익지속성을 떨어뜨린다는 선행연구를 결합함으로서 관련연구를 확장한다. 경영자가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통하여 이익을 상향조정한다면 법인세비동반 발생액과 차기이익의 공분산이 감소되어 이익지속성이 감소될 것이다. 이에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큰 기업에서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의 차기이익에 대한 지속성이 낮은지를 검증한다. 결과가 예상과 일치한다면, 이는 경영자가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이용하여 이익을 상향조정한다는 선행연구의 주장을 지지하는 것이다. 경영자가 수행할 수 있는 이익조정은 그 유형에 따라 세금비용이 수반되지 않는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이용할 수도 있고 세금비용이 수반되는 법인세동반 발생액을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떠한 수단을 선택할지에 대한 판단은 차별적일 것이다. 하지만 이익상향조정을 위해서는 세금비용이증가되지 않는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보다 선호되지만 이익감소목적으로는 사용될 유인이 없다는데 근거하여,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의 크기를 통해 본 연구에서의 분석을 위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한다. 분석방법은 차기이익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양(+)인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이익지속성이 낮으며, 이러한결과가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익상향조정을 위한 수단으로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이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이 이익상향조정에 대한대용치로서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법인세비동반 발생액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이익조정이 이익지속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실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관련선행연구를 확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익조정수단으로서 발생액을 요소별로 구분하고 전통적 이익조정연구에서 간과했던 조세요인을고려하여 분석한 본 연구는 이익조정현상의 보다 정밀한 파악 및 이익조정연구의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이익조정과 임직원 평균근속연수

        홍순욱 한국관리회계학회 2017 관리회계연구 Vol.17 No.3

        This paper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Earnings management includes both accrual earnings management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Accrual earnings management uses discretionary accruals as measured by the Modified Jones Model (Dechow et al. 1995) and Performance Matched Model (Kothari et al. 2005), which are commonly used in accounting studies. Real earnings management is measured using the method of Roychowdhury (2006) and Zang (2012). Earnings management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variable for internal ethics of a company. Companies that make a lot of earnings management are perceived as unethical. Employees would not want to work long in an unethical company. Therefore,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is expected to be relatively short for a company with a lot of earnings management. To verify this, this study analyzes KOSPI companies from 2005 to 2016.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accrual earnings management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are in a negative relation. In other words,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of unethical companies, which make a lot of earnings management seems to be shorter no matter whether it is accrual earnings management or real earnings management. This paper has contributed to the study of the employees of companies that are rarely done in accounting studies. The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a company are often determined by management, however, employees are the major part of a company. In a changing era, need for the research on company employees is coming into the picture. 본 논문은 이익조정이 임직원 평균근속연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이익조정은 발생액 이익조정과 실제 이익조정을 모두 포함한다. 발생액 이익조정은 회계학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정Jones모형(Dechow et al. 1995)과 성과통제모형(Kothari et al. 2005)으로 측정한 재량적발생액을 사용한다. 실제 이익조정은 Roychowdhury(2006)와 Zang(2012)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이익조정은 기업의 내면 윤리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변수로 알려져 있다. 이익조정을 많이 하는 기업은 윤리적이지 못하다고 인식된다. 윤리적이지 못한 기업에서 임직원은 오랫동안 근무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익조정을 많이 하는 기업의 임직원 평균근속연수는 짧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임직원 평균근속연수 데이터가 제공되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비금융업 KOSPI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결과 상관관계분석, 단변량분석, 회귀분석 결과 모두 일관되게 발생액 이익조정(, ) 및 실제 이익조정(, )과 임직원 평균근속연수는 유의한 음(-)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발생액 이익조정이든 실제 이익조정이든 이익조정을 많이 하는 윤리적이지 못한 기업의 임직원 평균근속연수는 짧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공헌점은 회계학 연구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기업의 임직원에 대해 연구했다는 점이다. 기업의 성과 및 특성은 경영자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기업의 대다수를 구성하는 것은 직원이다. 변화하는 시대 흐름 속에서 기업의 직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반면 수집 가능한 자료의 한계로 임원과 직원을 구분해서 분석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 KCI등재

        발생액 이익조정과 실제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대체적인가, 보완적인가?

        박영규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6

        Managers have some incentives to manipulate earnings intentionally and have two tools to manage it. Those are accrual based earnings management (AEM)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REM). Most of studies have been previously disparate. Managers show opportunistic behavior of increasing earnings with these tools. Graham et al. (2005) finds that managers prefer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over accrual based manipulation because the real earnings management have direct effects on cash flows. Cohen and Zarowin (2010) explain two reasons why managers have an preference of real earnings management over accrual based earnings manipulation. First, real earings manipulation is safer from inspection of audit and regulator than accrual based strategy. Second,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is the last option to increase reported income. Sometimes only accrual based manipulation is not enough to meet the threshold which manager want to perform. According to these reasons, managers are likely to regard two manipulation as complimentary methods. But Zang (2012)’s study investigate tradeoffs between two methods. She concludes that managers utilize the two manipulation as substitutes. According to Cohen and Zarowin (2010)’s comment about a preference for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a cost of earnings manipulation, these make firms regard two as complementary rather than substitution relation.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accrual based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in this study, we try to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Big4 audit firms and audit tenure which is proxy variables of audit scrutiny on the level of accrual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in Korean firms. Several previous researches have already showed that Big4 and audit tenure controls the degree of accrual based earnings management in firms. Audit scrutiny i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the degree of manipulation through boosting accruals. Audit scrutiny does not have effect on real earnings manipulate. The influence of it on accruals based earnings manipulation may have in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real earnings management. If two manipulation strategies are substitutionary relationship, high scrutiny get managers to increase the amount of real earnings management because it is hard for them to manipulate accruals. If one is complementary thing of the other, the effect of audit scrutiny on real earnings management is changed. We suggest an hypothesis below. Hypothesis: The quality of audit influences the degree of real earnings manipulation. The study finds followings through empirical analyses. First, Big4 audit firms decreases both the degree of accrual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in firms. second, audit tenure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extent of discretion accruals as a proxy for measure of accrual based earnings management. Based on these empirical evidences, we conclude that manger use two tools of earings manipulation simultaneously to increase earnings. in other words, two methods of managing earings are not substitutionary but complementary relation. It is rational result considering that concentrating on one, it increases cost of manipulation. In addition, we run one more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the dependent variable is AEM (REM) including REM (AEM)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e find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m, suggesting that those are complementary relation rather than substitutionary relation. It is different result of Zang (2012)’s study which try a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the dependent variable is AEM with unexpected REM find the negative relation. 재량적 발생액을 의도적으로 증가시켜 장부상 이익을 부풀리는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이 여러 연구들에서 발견된다. 감사인 유형과 계속감사기간은 이러한 발생액 이익조정을 통제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최근 들어 발생액을 부풀리는 이익조정방법뿐만이 아니라 실제 영업활동을 통해 이익을 증가시키는 현상이 관측된다. 즉, 경영자는 이익을 부풀릴 수 있는 두 가지의 이익조정 도구(발생액 이익조정과 실제이익조정)를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 유형과 계속감사기간이 발생액 이익조정뿐만 아니라 실제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다. 외국계 회계법인과 전략적 제휴를 맺은 회계법인(Big4)을 감사인으로 선임한 기업들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발생액 이익조정과 실제이익조정 모두가 낮은 수준이다. 이에 반해 계속 감사기간(Tenure)이 길수록 발생액 이익조정을 줄이는 영향력은 존재하지만 실질이익조정을 감소시키는 역할은 명확하지 않다. 외국법인과 전략적 제휴를 맺은 외부감사인 또는 동일 감사인에게 장기간 감사를 받게 된다면 발생액을 이용해 장부상의 이익을 조작하기는 어려워 질 것이다. 그렇지만 경영자들이 회계상의 이익조정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실제이익조정을 선택하지는 않는다. 추가적으로 실제이익조정정도가 발생액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양(+)의 관계를 확인했다. 이는 경영자들이 두 이익조정을 보완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재확인시켜주는 증거이다

      • KCI등재

        4분기 이익조정과 이익지속성

        백원선 ( Won Sun Paek ) 한국회계학회 2008 會計學硏究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3분기까지의 이익조정유인에 따라서 4분기 순이익을 이용한 이익조정과 이익지속성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회계정보의 적시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2000년부터 분기보고서가 공시됨에 따라 분기이익 정보의 유용성에 관한 관심이 늘게 되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순손실 또는 순이익 감소를 회피하기 위하여 경영자는 연차이익 또는 분기순이익을 상향조정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익상향조정은 당기 분기순이익과 차기 연차이익간 공분산을 감소시키거나 당기 분기 순이익의 분산을 증가시킨다. 이익지속성은 당기 분기 순이익과 차기 연차이익간 공분산을 당기 분기 순이익의 분산으로 나눈 것이므로 이러한 이익상향조정은 이익지속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당기 3분기까지의 경영성과가 악화되어 4분기의 이익상향조정유인이 높은 기업의 이익지속성은 그렇지 않은 기업의 이익지속성에 비하여 낮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하여 이익상향조정유인을 두 가지로 정의하고 그에 따라 표본기업을 구분하였다. 첫째는 이익수준에 따른 구분으로서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순손실 보고여부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순손실 보고집단을 또다시 4분기 순이익을 이용한 이익상향조정에 따라 연차이익이 양(+)인 집단과 음(-)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둘째는 이익변화에 따른 구분으로서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순이익이 전년 동분기에 비하여 증가 또는 감소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순이익 감소집단은 전년에 비하여 연차이익이 증가한 집단과 감소한 집단으로 추가구분하였다. 이익조정수단으로는 총발생액과 재량적 발생액을 사용하였는데 재량적 발생액은 산업별-연도별-분기별 횡단면 수정 Jones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02년부터 2005년 사이에 거래소에 상장된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12월 결산법인 1,017개 기업-년으로 구성되었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가설의 예측대로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순손실을 보고한 집단의 4분기 순이익의 지속성은 그렇지 않은 집단의 4분기 순이익의 지속성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4분기 순이익의 지속성 감소는 주로 재량적 발생액에 기인하였다. 그러나 이익상향조정유인을 전년 대비 순이익감소여부에 따라 정의한 경우에는 4분기 순이익의 이익지속성이 이익상향조정유인에 따라 구분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3분기까지의 경영성과에 따라서 4분기 순이익을 이용한 이익조정유인이 존재하며, 그러한 이익상향조정은 이익지속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익상향조정을 이익수준으로 정의하는 경우와 이익변화로 정의하는 경우 질적인 차이가 있으며, 적어도 본 연구의 표본에 대하여는 이익수준에 따라 이익상향조정유인을 정의한 경우에 이익지속성의 차이를 적절히 포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earnings persistence and earnings management through fourth-quarter earnings, depending on operating performance over the first three quarters of the same fiscal year. Since 2000, Korean GAAP has required public firms to disclose quarterly reports to improve timeli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This disclosure requirement is expected to make information users evaluate distinct role of fourth-quarter earnings relative to cumulative earnings over the first three quarters for the same fiscal year. Previous studies have documented that managers tend to increase earnings to avoid net loss or earnings decreases. Such earnings management in turn affects earnings persistence to the extent that managed earnings distort time-series property of earnings over tim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through the fourth-quarter earnings, conditional on earnings-increasing incentives, on earnings persistence. When a manager faces poor performance during the first three quarters, s/he has incentives for inflating fourth-quarter earnings to report annual earnings at a target level. Although various means to earnings management can be taken, we focus on a case where a manager makes premature recognition of future revenue or fictitious revenue. However, inference below does not change for cases of omitted or delayed recognition of expenses. Such earnings management causes either the covariance between current-period fourth-quarter earnings and next-period annual earnings to decrease or the variance of current-period fourth-quarter earnings to increase. Then the current-period fourth-quarter earnings persistence, which is defined as the covariance between the current-period fourth-quarter earnings and the next-period annual earnings divided by the variance of the current-period fourth-quarter earnings, becomes smaller for firms with smaller-covariance earnings or larger-variance earnings than for those with larger-covariance earnings or smaller-variance earnings. Thus, we hypothesize that earnings are less persistent for firms with worse operating performance for the first three quarters than for firms with better operating performance for the first three quarters. We partition sample firms into two groups based on incentives for earnings management in two ways. First, the sample firms are partitioned on the basis of whether they report net loss or profit for the first three quarters. The net lossreporting firms are further classified into two groups: (i) net losses on the first three quarterly reports and net loss on their annual reports and (ii) net losses on the first three quarterly reports but net income on their annual reports. Second, they are partitioned based on whether they report earnings decreases for the first three quarters of the same year. The earnings-decrease firms are further grouped into two: (i) earnings decreases on the first three quarterly reports and earnings decreases on annual reports (ii) earnings decreases on the first three quarterly reports but earnings increases on annual reports. We adopt total accruals and discretionary accruals as a means to earnings management and discretionary accruals are estimated from the crosssectional modified Jones model by two-digit industry, year and quarter.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 (1,017 firm-years) with December fiscal years traded over Korean Stock Exchange during 2002-2005. Empirical findings generally support our hypothesis. Fourth-quarter earnings are significantly less persistent for firms that report net losses for the first three quarters than for firms that report net income for the first three quarters. Further, lower persistence of the fourth-quarter earnings is more prominent for firms that report net losses for the first three quarters but net income annually than for firms that report net losses for the first three quarters and net loss annually. The lower persistence of the fourth-quarter earnings is mainly attributable only to discretionary accruals; the persistence of nondiscretionary accrual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On the other hand, when the sample firm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ased on increases or decreases of earnings, the results are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ose discussed above. Specifically, the persistence of the fourth-quarter earning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rnings-increase firms and earnings-decrease firms for the first three quarters of the same year. Further, whether firms report earnings increases or decrease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ersistence of the fourth-quarter earnings and their components for the earnings-decrease fir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exists incentives for earnings management through fourth-quarter earnings, conditional upon operating performance for the first three quarters and annually. And to the extent that such earnings management introduces noise into the fourth-quarter earnings, it causes either the covariance between current-period fourth-quarter earnings and next-period annual earnings to be smaller or the variance of earnings to be larger so that it affects persistence of the fourth-quarter earnings. However, inconsistent results for earnings management of earnings increases and decreases suggest further exploration for which incentive for earnings management better describes reality.

      • KCI등재

        유형별 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의 장기예측치 발표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고재민(Goh Jaimin),김수인(Kim Sooi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8 국제회계연구 Vol.0 No.81

        일반적으로 회계학 연구에서 이익조정은 발생액을 이용해 장부상 이익을 직접 조정하는 발생액 이익조정과 경영 의사 결정을 변경하는 실물 이익조정으로 구분된다. 이 중 실물 이익조정은 발생액 이익조정에 비해 장기 경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무분석가가 실물 이익조정의 장기간의 부정적 영향과 이로 인한 정보 불확실성을 이익 예측치 발표에 반영한다면, 발생액 이익조정에 비해 실물 이익조정이 커질수록 장기예측치 발표를 회피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발생액 및 실물 이익조정의 규모가 커질수록 재무분석가가 장기예측을 발표하는 경향이 감소하는지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발생액 이익조정은 재무분석가 장기예측치 발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실물 이익조정이 커질수록 재무분석가의 장기예측치 발표 경향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실물 이익조정이 커질수록 재무분석가의 장기예측치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실물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 장기예측치 발표를 위축시키는 경향은 재무분석가의 능력이 뛰어나거나 예측치 발표 대상이 되는 기업의 경영자 능력이 뛰어날수록 감소하였고,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그 경향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무분석가들이 발생액 이익조정보다 실물 이익조정을 해석하는 데 더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likelihood of financial analysts’ long-term forecast is differentially affected by real and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Prior studies document that, compared to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the negative effect of real earnings management on long-term business performance is remarkable. This aspect of real earnings management would lead analysts reluctant to provide long-term forecasts for firms engaged in large real earnings manag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real earnings management is performed, the less analysts announce long-term forecasts, however, we cannot fi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and the likelihood of long-term forecasts of analysts. Second, analysts provide pessimistic long-term forecasts for real earnings management. Our findings imply that financial analysts have more difficulties in figuring out the implication of real earnings management than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when producing long-term foreca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