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성저항운동 훈련과 감각운동신경발달훈련이 지적장애 유아의 체중지지각 압력, 압력분포 및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정해익,SONGBRIAN BYUNG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nkle sensory motor training on foot pressure, pressure distribution over weight bearing angle and speed of ambulation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22, age between 4 to 6 years ol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 to two groups randomly, 11 children in group one who performed elastic resistance exercises and 11 children in group two who performed elastic balance pad, and performed 4 times a week for 16 weeks. The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The first, group 1, who used elastic resistance band exercis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oot pressure(p=0.016). Group 2, who used elastic balance pad, showed als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oot pressure(p=0.015). However, the differences of foot pressure change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p=0.698). The Second, group 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istribution of foot pressure over weight bearing line(p=0.011). Group 2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istribution of foot pressure over weight bearing line(p=0.001). However, the differences of distribution of foot pressure over weight bearing line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0.624). The Third, group 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peed of ambulation(p=0.001). Group 2 showed als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peed of ambulation(p=0.001). However, the differences of speed of ambulation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p=380). Therefore, the elastic resistance band exercise, which can give continuous resistance through out the movement pattern, and the balance mat exercise, which gives stimulus and facilitate the reflexive motor response, can be used for clinical rehabilitation to improve the dynamic gait ability fo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이 연구의 목적은 탄성저항 운동과 균형매트를 이용한 발목 감각운동발달훈련이 지적장애 유아들의 보행 시 입각기에서 발 표면위의 체중지지각위에서 발생되는 발의 압력, 압력분포 그리고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4세에서 6세의 지적장애유아들 22명을 선정하여 탄성저항운동을 한 실험군 11명 그리고 탄성 균형매트를 이용한 대조군 11명으로 나누어 주 4회 16주간 진행하였다. 실험 전-후의 결과는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탄성저항운동을 이용한 실험군의 발목 감각발달운동은 지적장애유아의 보행 시 종말 입각기 발 압력의 변화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p=0.016), 감각균형매트를 이용한 대조군 역시 발표면 체중지지각 위에서의 발 압력이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p=0.015). 그러나 두 군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탄성저항운동을 이용한 실험군에서는 체중지지각위에서 나타나는 발 압력의 분포의 변화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011), 감각매트를 이용한 대조군 역시 체중지지각위에서의 발 압력 분포 변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p=0.001). 두군 간의 발 압력 분포 변화의 차이 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탄성저항운동을 이용한 실험군의 발목 감각발달운동은 지적장애유아의 보행 시 보행속도의 변화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p=0.001), 감각균형매트를 이용한 대조군 역시 보행속도가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p=0.001. 그러나 두 군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발목 감각운동 시 지속적인 저항의 변화를 줄 수 있는 탄성저항 운동과 지속적이고 빠른 체중 이동 자극을 주는 균형매트의 운동들이 발과 발목의 고유수용성감각의 자극을 통하여 반사적 그리고 중추신경계의 작용을 촉진 시켜 발과 발목의 근 수축 정도와 보행속도에 효과를 줄 수 있어 임상에서 지적장애 유아들의 보행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발매트 적용이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피로도, 불편감, 하지 부종 및 피부온도에 미치는 영향

        황순희,전상은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매트의 사용이 수술실 소독 간호사의 멸균업무 중 발생하는 피로도 및 불편감, 하지부종, 피부온도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16명의 소독 간호사(나이 22-28세)를 대상으로 단일군 반복측정 설계를 이용하여 대조처치로 스틸발판을 적용하고 실험처치로 스틸발판 위에 발매트를 적용하였다. 대조처치에서 연속적으로 3일동안 첫 번째 멸균업무를 위한 손 씻기 직전 그리고 멸균업무 종료 직후에 피로도와 불편감 하지부종, 피부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처치 전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조처치와 실험처치 전후의 피로도와 불편감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 p=.033). 발목과 종아리 둘레의 차이로 본 하지부종 또한 두 처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011). 그러나 발등에서 측정한 피부온도의 차이는 두 처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351~.467). 결론: 본 연구 결과 스틸발판위에 적용한 발매트는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피로도 및 불편감, 하지부종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ot mats on reducing levels of fatigue, discomfort, lower extremity edema and skin temperature in scrub nurses during surgery. Methods: This study employed one group repeated measures design in which 16 scrub nurses (ages 22-38) stood on steel footstools (SF) during scrub as the conventional test and stood on SF with foot mats as the experimental test. Levels of fatigue, discomfort, lower extremity edema and skin temperature were measured before the first surgical hand scrub and right after the first surgery of the day for 3 consecutive days in both tests. Results: The changes in levels of fatigue and discomfor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ests (p<.001~.033). Edema, determined by the differences in circumferences of the ankles and calves before and after the surger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p=.001~.011). However, the change in skin temperature on the foot tops of both feet was not different between tests (p=.351~.46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using foot mats on top of the steel footstool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levels of fatigue, discomfort and lower extremity edema in scrub nurses during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