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지원 <삼종형수록대부금성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희공묘지명(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忠僖公墓誌銘)>의 구조와 서술전략 : 정조 <錦城尉朴明源神道碑銘幷序>와의 비교를 통해

        정순희(Sun hee Jeong)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3 No.-

        박지원은 정조의 명에 따라 을 쓴다. 그 묘지명은 정조의 와 비지류의 구성 요소, 구성의 전개 과정, 어휘에서 상당히 비슷하다. 두 작품은 주제상으로도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에서는 박명원이 어떻게 '충희(忠僖)'로운 삶을 살았는지를 보여주고, 에서는 박명원이 정조에게 어떤 '은인(恩人)'인지를 보여준다. 이때 '충희'와 '은인(恩人)'은 각각 신하와 임금의 입장에서 박명원을 규정한 말일 뿐, 박명원을 중심으로 보면 같은 말이다. 에서 박명원은 할아버지(영조(英祖))로 인해 아버지(사도세자)를 잃은 정조의 '슬픔'을 깊이 슬퍼하고, 사도세자의 묘 이장을 실현시킴으로써 정조의 '슬픔'과 실천적으로 연대한다. 그 '슬픔'과 연대의 과정이 바로 '충희'와 '은인'으로 명명된 박명원의 삶이라는 말이다. 박지원은 을 통해 박명원과 정조 사이의 이해와 연대를 보여주며, 동시에 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박지원 자신과 정조 간의 이해와 연대도 함께 보여준다. 박지원은 또한 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정조와 대립하기도 한다. 에서 정조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박명원의 저작이라고 밝힌다. 이것은 '문체반정(文體反正)'을 염두에 둔 정조의 도발이다. 이에 대해 박지원은 박명원의 에서 자신의 8촌형 박명원에게 글쓰는 재주는 없었노라고 밝히며 정조와 대립한다. 박명원은 박지원과 정조에게 각각 다르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이다. 박지원과 정조는'문체반정'과 관련된 대표적 신하와 임금으로서, 자의식 강한 '작가(作家)'로서, 박명원의 행적을 담는 비지류 산문을 통해 연대하고 대립하는 것이다. Ji-won Park inscribes Myojimyeong for Myeong-won Park, which iSamjonghyeongSurokdaebuGeumseongwiGyeomohwidochonggwanJeungsichungheegongMyojimyeong>. It is similar to of King Jeongjo as well as composition, development process and word of Bijiryu. Two work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topic. Myeong-won Park shows us how to live a faithful and happy life in Myojimyeong, and gratitude for King Jeongjo as a savior. Specifically, 'ChungHee' and 'savior' are words used to define Park Myeong-won from vassal and king, but they are the same words based on Myeong-won Park. In Myojimyeong, Myeong-wonPark deeply grieved for King Jeongjo who lost his father(Prince Sado), and practically band together with King Jeongjo's sadness by moving the grave of Prince Sado. Solidarity with the sadness is Park Myeong-won's life designated as 'ChungHee' and 'savior'. Ji-won Park shows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between Myeong-won Park and King Jeongjo as well as between he and King Jeongjo. Furthermore, Park Ji-won sometimes conflicts with King Jeongjo between Myojimyeong and Myeong-won Park. In Shindobimyeong, King Jeongjo determines that 『YeolhaIlgi』 is Myeong-won Park's writing. This is a provocation of King Jeongjo based on Munchebanjeong. Ji-won Park is opposed to King Jeongjo on this because he determines that Myeong-won Park, a third cousin, does not have a talent in writing in Myojimyeong. Myeong-won Park is a person who influence differently t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are a vassal represent and king related with Munchebanjeong and self-conscious writers. In addition, they band together and conflict through Bijiryu prose which includes track of Myeong-won Park.

      • KCI등재후보

        李압(土+甲)의 생애와 연행에 대한 一考察 - 燕行記事를 중심으로-

        안소라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7 No.-

        By the late 18th century, the Qing Dynasty had maintained national stability over 100 years governing China. Lee Ap (1737-1795) visited the late Imperial China several times when the negative attitude towards Qing China had changed to a more acknowledging and accepting one. Lee Ap who was a scion of the founding member had the full confidence of King Youngjo and Jungjo on the strength of his family stature, and his mother's side was Bannam Park family and on the friendly terms with Park Ji-won. He was raised by relatives since he lost his parents at age of three, and his basic knowledge of China was probably due to them. In 1777, he wrote Yeonhaengkisa, which is a realistic depiction of his notes. In Yeonhaengkisa, he was not biased in favor of China and made close obser vations of straight facts. He was also aware of the prevalent problems in China.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him and the Yeonam Faction (Park Yeonam Ji Won and the adherents of his philosophy). It seems that he also had features of Yeonam faction because he had a close relation with Yeonam. He kept an eye on other nations and considered which countries he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He especially showed a friendly attitude to the West, but unfortunately some descriptions of the West were erased deliberately due to special circumstances of this period. 18세기 후반의 청나라는 중국을 지배한 지 백 년이 지나,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던 중이었다. 즉, 李(1737-1795)의 연행은 유효기간이 지난 북벌이란 논의가 점차 북학이라는 논의의 틀로 확정되어 가고 있는 과정 속에서 진행되었던 것이다. 이압은 공신의 후손으로서 집안의 후광에 힘입어 영조와 정조의 신임을 두텁게 받았고, 외가는 연암 박지원과 같은 반남 박씨 가문일 뿐 아니라 박지원과는 가깝게 지내던 집안이었다. 그는 3살 때 부모를 여의고 친족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자랐는데, 친족들이 연행을 많이 다녔기 때문에 중국에 대해 어느 정도의 관심과 지식을 갖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압은 1777년에 동지 겸 사은 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와 『燕行記事』를 남겼다. 『燕行記事』를 살펴보면, 이압이 연행기간 동안 중국 사회에 대해 편향되지 않으면서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예리하게 관찰하고, 중국 사회에서 드러나고 있는 문제점 등도 인식하고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압의 행보는 이 시기 연암 일파로 분류되는 사람들에게 보이는 의식과 상통되는데, 이압 역시 연암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연암 일파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압은 또한 중국을 통해 다른 나라들도 주시하면서, 어느 나라에 대해 더욱 주의하고 대비해야할지도 생각하는 모습도 보인다. 특히 서양에 대하여는 우호적인 태도를 취하였는데, 이 시기 특수한 상황 때문에 서양에 대한 기술 가운데 의도적으로 삭제된 부분이 있는 것은 아쉬운 점이다.

      • KCI등재

        조선의 건륭 칠순 진하특사와『열하일기』

        구범진 ( Bum Jin Koo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論叢 Vol.70 No.-

        In 1780 a Choson embassy led by Pak Myongwon was invited to visit Chengde, or Yorha, and honor Qianlong`s seventy-sui birthday. A detailed record of this embassy is provided in Pak Chiwon`s Yorha ilgi, where Pak describes the encounter between the Choson emissaries and the Panchen Lama in great detail. To date, Pak`s Yorha ilgi has been read as a faithful historical record and a disinterested account of the Choson emissaries` experiences in Chengde. However, when we compare Pak`s account with various other historical records of his time, it becomes clear that Yorha ilgi is far from an objective account. The famous account of the statues of Buddha is a case in point. Pak Myongwon and his fellow emissaries received the statues from the Panchen Lama as gifts. They interpreted the statues as gifts given upon Qianlong`s orders. Consequently, they decided to carry them all the way back to Choson where they were severely criticized for violating the strict Neo-Confucian injunctions against Buddhism. Pak`s Yorha ilgi was written in defense of Pak Myongwon`s actions in the face of this political criticism. In Yorha ilgi, Pak argues that the encounter with the Panchen Lama took place under circumstances far beyond Pak Myongwon`s control. A close reading of Yorha ilgi alongside other historical documents reveals that Pak Chiwon deliberately blurs the line between eyewitness account and second-hand report by leading his readers to confuse the date of a significant event in which Qianlong met the Panchen Lama in public. As a minor figure who was not endowed with diplomatic powers, Pak Chiwon was absent from many of the events he reported on. Yorha ilgi should not be read at face value, as if it were an objective historical record, but in historical context alongside other historical documents.

      • KCI등재

        임진왜란 후 청난공신(淸難功臣) 선정에 관한 연구

        김일환 한국사학사학회 2022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6

        임진왜란은 조선왕조의 사회적 기반을 붕괴시켜 나갔다. 오랜 전란의 고통에 빠진 백성들의 삶은 철저히 파괴되었다. 왜적에게 살해되거나 굶주림과 질병으로 쓰러졌다. 설상가상으로 백성들은 전쟁 수행에 필요한 물자 조달을 위해 가혹한 수탈과 부패 관리들에 의한 착취에 시달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탈출구를 찾을 곳은 민중반란 외에 해결책이 없었다. 내포(內浦)에서 일어난 이몽학(李夢鶴)의 난은 이러한 시대 상황과 흉흉한 민심을 타고 발생한 민중 반란 사건이다. 이몽학의 난은 규모도 크고 봉기에 성공하여 내포지역 5개 고을이 점령되어 조선왕조의 존립을 위협할 정도의 민란이었다. 따라서 임진왜란이 종식되자 조선왕조정부는 임란 극복에 공헌한 수훈자들에 대해 공신 책훈을 실시하면서 이몽학의 난 진압에 수훈한 인물들도 공신 책봉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것이 청난공신(淸難功臣)이다. 하지만 청난공신의 책봉은 호성(扈聖), 선무(宣武)공신과 마찬가지로 많은 논란으로 인해 쉽게 끝나지 못했다. 공신 책봉을 보는 정치적 입장이 상이함에 따라 국왕 선조와 대신, 또 대간(臺諫) 간에 조성된 첨예한 대립으로 공신 책봉은 난산(難産)에 난산을 거듭할 수 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공신 책봉을 가급적 축소하려는 대간들과 정훈(正勳)에 거론된 인물을 포함해 가급적 널리 포상하려는 선조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였기 때문이다. 전란 후에 추락한 민심을 수습하고 왕권에 대한 지지세를 확장하는데 공신 책봉을 활용하려는 선조의 의도가 신하들과 충돌한 것이다. 이러한 논란을 극복하고 공신 책훈이 완결된 것은 선조가 책봉의 명을 내린 지 4년이 되어서야 가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