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닷가공간관리정책의 의제형성모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김영학(Kim, Young Ha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4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6 No.3

        바닷가공간의 가치변화는 삶의 질 변화에 편승하여 그 어느 때보다도 관심이 급부상하고 활용의 실익이 더욱 가중되어 바닷가공간관리정책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중흐름모형(MSF)을 적용하여 바닷가공간관리정책 형성과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바닷가공간관리정책의 형성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는 바닷가공간관리정책의 형성에 한정하고,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체제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여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도출은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세부적인 내용을 도출하였다. 첫째, 바닷가공간관리정책의 형성모형 및 분석 틀은 바닷가공간관리정책의 개념, 의제형성모형, 분석 틀의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둘째, 바닷가공간관리정책 형성의 분석 틀 적용은 다중흐름, 정책 활동가, 정책의 창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셋째, 바닷가공간관리정책의 의제형성 방향은 분석 틀 적용에 따른 한계와 의제형성방향 관점에서 언급하였다. The valuable change of shore space has been emerged from the necessity of Shore Spatial Management Policy due to an increase in the spotlight and benefits more than before under riding in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life quality. For that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sirable directions which reinforce the formation of Shore Spatial Management Policy in the future based on the outcomes that result from the analysis of formation process of Shore Spatial Management Policy using Multiple Stream Framework.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search range was limited to the formation of Shore Spatial Management Policy, and a descriptive and systematic approach was applied.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formation and analysis framework of Shore Spatial Management Policy shore was reviewed in terms of definition, agenda formation, and analysis framework. Second, the application of analysis framework conducted as a viewpoint of the multiple stream, policy entrepreneurs, and policy window. Finally, the desirable directions which reinforce the formation of Shore Spatial Management Policy were referred to the limitation of formation and the directions of agenda formation of Shore Spatial Management Policy.

      • KCI등재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결정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이종환(Lee, Joung Hwan),김기승(Kim, Gi Seung),최규명(Choi, Kyu Myeo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4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개념을 정립하고 현재 수행되고 있는 바닷가 관련 정책의 결정요인을 살펴본 후, 바람직한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결정모형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바닷가 공간으로 한정하고, 내용적 범위는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의의 및 구성체계, 변화 그리고 결정모형의 설계로 설정하였다. 조사방법은 주로 문헌조사를 통한 2차 자료를 수집하여 개념적 논의 대상과 요인을 도출하고,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분석모형을 설계하였다. 바람직한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결정모형은 정책변수, 집행변수, 환경변수로 구성된다. 그 내용을 보면, 첫째, 정책변수는 바닷가 공간관리정책 자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책이 도입된 목표와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책요인, 집행조직 요인, 정책대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책요인은 정책목표와 제도의 정합성으로, 집행조직 요인은 정책기관 담당자와 조직의 규모로, 정책대상 요인은 정책집단의 특성과 정책대상의 중요성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집행변수는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화, 의사결정, 네트워크를 말하며, 구체적으로 정보화 요인은 시스템의 혁신성으로, 의사결정 요인은 접근경로로, 네트워크 요인은 조직간의 협력구조로 구성하였다. 셋째, 환경변수는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상황의 변동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사회적 요인은 이해관계자로, 경제적 요인은 예산편성으로, 정치적 요인은 주민참여로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and suggest the model analyzing elements that affect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To accomplish this goal, the study object was the seaside space and the content scope was limited to the meaning and composition system of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change of paradigm, and design of determinant model. The research method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secondary data by literary review, deducted conceptional object, and designed determinant model of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The Determinant model of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has set the policy variable, execution variable, and environment variable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content is as follows. First, the policy variable is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itself, including the objective and content as well as being composed of the policy factor, executive organization factor and policy object factor. To be more specific, the policy factor, the execution organization factor, and the execution organization factor were composed of consistency of the policy objective and system,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olicy institution and size of the organ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policy group and the importance of the policy objects respectively. Second, the execution variable means the informationization, decision making and network needed during the procedure which is executing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In detail, the informationization factor, the decision making factor, and the network factor were composed of the innovativeness of the system, the approaching route and the cooperative structure between organizations respectively. Third, the environment factor means the change of the social, economical and political situation that affects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Specifically, the social factor, the economic factor, and the political factor were composed of the person concerned, the budget organization, and the citizen"s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