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직민첩성과 조직성과간의 관계 : 전략적 민첩성과 실행적 민첩성을 중심으로

        김정규 ( Jung Gyu Kim ) 한국중견기업학회 2019 중견기업연구 Vol.6 No.1

        민첩성에 대한 연구는 경영관련 연구들 중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관심을 갖는 영역이다. 이중 조직민첩성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많은 관심이 몰려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조직민첩성 -> 조직성과라는 단순 구조 하에 놓여 있다. 하지만 기존 문헌을 자세히 살펴보면 조직민첩성은 전략적 수준에서의 개념과 실행적 수준에서의 개념이 구분되어야 하고 이들이 계층적으로 연계되어 조직민첩성을 구성하고 있음을 암시하는 연구들이 많다. 이 경우 조직민첩성과 조직성과와의 관계는 전략적 민첩성 -> 실행적 민첩성 -> 조직성과라는 프로세스 모형에 의해 설명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전략적 민첩성은 실행적 민첩성의 선행요인이었으며 조직성과는 실행적 민첩성에 의해 영향받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대한 토론과 한계는 논문 말미에 제시되었다. Studies on organizational agility has received increasing academic interests recently.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agility and firm performance is a core issue of the interests. However, existing studies on this relationship is very simple and limited by stating that organizational agility impacts firm performance. Literature clues that the relationship has to be elaborated such that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agility must be differentiated into strategic and implementing level, and these two sub-dimensions have to be employ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agility and firm performance.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agility and firm performance takes the causality of strategic agility -> implementing agility -> firm performance.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above issue.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s that strategic agility is an antecedent variable of implementing agility, and firm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implementing agility.

      • KCI등재

        반응적 공급사슬에서 민첩성 역량 선행요인, 민첩성 역량, 공급사슬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구 경북지역의 전자 및 통신, 전기 산업을 중심으로

        박찬권 ( Chankwon Park ),박성민 ( Sungmin Park ),김채복 ( Chaebogk Kim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7 로지스틱스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반응적 공급사슬을 구성하고 있는 산업의 기업체들을 대상으로 환경 불확실성 상황에 대응하고, 감지-반응 기업의 능력으로서 요구되는 민첩성 역량과 공급사슬 성과에 대한 연구이며, 민첩성 역량 선행요인들과 민첩성 역량 간의 관계 및 민첩성 역량과 공급사슬 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이다. 이들 간의 가설을 수립하고 검정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민첩성 역량 선행요인으로 환경 불확실성, 공급사슬지향성, 조직내 특성, 조직간 특성, 정보시스템을 선정하였으며, 민첩성 역량으로 유연성, 반응성, 신속성, 간결성을 선정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정결과 민첩성역량 선행요인으로 선정한 환경 불확실성, 공급사슬지향성, 조직간 특성, 정보시스템은 민첩성 역량인 유연성, 반응성, 신속성, 간결성에 대부분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민첩성 역량 선행요인들 중 조직간 특성이 민첩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며, 다음은 정보시스템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민첩성 역량은 공급사슬 성과로서 재무적 성과, 내부적 성과, 외부적 성과에 대부분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으며, 민첩성 역량들 중 공급사슬 성과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신속성과 간결성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자 및 통신, 전기 및 기구의 산업에서는 조직간 특성, 정보시스템, 환경 불확실성과 공급사슬지향성의 민첩성 역량 선행요인들을 제고하는 것이 신속성, 간결성, 반응성과 유연성의 민첩성 역량을 제고할 수 있고, 나아가 재무적, 내부적, 외부적 성과로서 공급사슬 성과 역시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며, 공급사슬 역량 관점에서 이들 요인들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였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agility capacity and supply chain performance required to respond to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situation of the enterprises constituting the responsive supply chain and as the ability of the sense - reaction enterprise.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ce factors of agility capacity and agility capac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lity capacity and supply chain performance. Th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selected environment uncertainty, supply chain orientati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ter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systems as the antecedence factors of agility capacity. Flexibility, responsiveness, promptness, and simplicity were selected as agility capacity.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supply chain orientation, inter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system selected as the antecedence factors of agility capac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flexibility, responsiveness, promptness, and simplicity as agility capacity. Among the antecedence factors of agility capacity, inter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agility capacity, the following are information system factors. In addition, agility capac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internal performance, and external performance as supply chain performance. Among the agility capacities, the promptness and simplicity influences on supply chain performance were proved to affect supply chain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gility capacity factors of inter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ystems,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supply chain orientation in the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electric and instrument industries. It can improve the agility capacity of promptness, simplicity, responsiveness and flexibility. In addition, we show that we can improve supply chain performance as financial, internal, and external performance, and we have integ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in terms of supply chain capacity.

      • KCI등재

        메타인지가 구성원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역할확장 자기효능감과 학습민첩성의 직렬다중매개를 중심으로

        권기정,신제구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ee metacognition and it’s positive effect on employee agility. Also it aim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through the cascading multi-mediating effect through the role breadth self-efficacy and learning agility in such a relationship. In order to solve the common-method bia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time la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clearly verified by applying the position and the length of time worked with the supervisor as control variables. In testing the hypothesis, 478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whom worked at the company has more than 300 office workers in various industries were analyzed. As the result, firstly metacogni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loyee agility. Second, role breadth self-efficacy was found to positiv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employee agility. Third, learning agility was found to mediate metacognition and employee agility positively(+). Fourth, metacognition serially mediates role breadth self-efficacy and learning agility, and the positive(+) effect on employee agility was verified. In addition, metacognition had a greater effect on member agility when passing through role breadth self-efficacy and learning agility rather than the direct effect on employee agility.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 개인의 메타인지가 구성원 민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효성을 확인하고, 그러한 관계에서 구성원의 역할확장 자기효능감과 학습민첩성을 경유하는 직렬다중매개 효과를 통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동일방법편의를 해결하고자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시차를 두고 측정하였고, 직급과 상사와 근무한 기간을 통제변수로 적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의 검증에서는 300명 이상의 다양한 업종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수집한 47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메타인지는 구성원 민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역할확장 자기효능감은 메타인지와 구성원 민첩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됐고 셋째, 학습민첩성은 메타인지와 구성원 민첩성을 정(+)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메타인지는 역할확장 자기효능감과 학습민첩성을 직렬 매개하여 구성원 민첩성에 대한 정(+)의 영향이 검증됐다. 또한 메타인지는 구성원 민첩성에 대한 직접효과 보다 역할확장 자기효능감과 학습민첩성을 경유할 때 구성원 민첩성에 대한 영향이 크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경영학 분야에서는 실증 연구가 부족했던 메타인지에 대해 최근의 조직 이슈와 관련 있는 구성원 민첩성과 인과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성과측정시스템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학습과 민첩성의 매개효과

        조현연 ( Hyun Yun Cho ),김순기 ( Soonkee Kim ),김민성 ( Min Sung Kim ),최현정 ( Hyun Jeong Choi ),김달곤 ( Dal Gon Kim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성과측정시스템(PMS)과 조직학습, 민첩성,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하였다. 오늘날의 경영환경은 국제화와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치열한 경쟁과 함께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러한 경영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고, 새로운 위협과 기회를 찾아내기 위하여 역동적인 역량을 개발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급격한 경영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역동적 역량 가운데 하나인 민첩성은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경영성과를 향상시 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많은 기업은 PMS로부터 큰 경제적 효익을 얻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진단PMS에 너무 의존하기 때문이라 보았다. 진단PMS는 성과표준과 차이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고, 그 차이를 수정함으로써 조직목표를 달성하도록 동기부여한다. 진단PMS는 불리한 차이와 실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반면에 상호작용PMS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이니셔티브를 개발하도록 하며, 새로운 전략의 출현을 가능하게 한다. 상호작용PMS는 시장을 감시하고, 새로운 기회를 추구한다. 따라서 조직의 정책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며, 다양한 조직의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필요로 한다. 경영성과의 개선을 위해서는 진단PMS와 상호작용PMS가 모두 필요하다. 본 연구는 PMS와 민첩성의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모든 설문항목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1점은 설문항목을 전혀 강조하지 않는 것으로, 7점은 매우 강조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거래소에 상장된 400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이메일 등의 방법으로 회수하였다. 총 95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율은 23. 75%이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PLS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높은 경영성과를 보인 집단은 PMS와 조직학습, 민첩성 변수 모두 가장 높은 값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장 낮은 경영성과를 보인 집단은 이 변수들의 값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영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진단PMS과 상호작용PMS, 조직학습, 민첩성을 모두 갖춰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상호작용PMS와 경영성과간의 관계에서 포트폴리오민첩성이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상호작용PMS와 포트폴리오민첩성간의 관계에서 조직학습이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운영민첩성과 전략적민첩성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보면, 기업들은 예측하기 힘든 시장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민첩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성과향상을 위하여 상호작용PMS와 조직학습, 포트폴리오민첩성이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를 얻는 데는 PMS의 선행요인, 예를 들면 경영전략이나 조직문화 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필요가 있고,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기업들 간의 민첩성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도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PMS), organizational learning, agilities and performance.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is increasingly competitive and rapidly changing due to globalization and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order to identify opportunities and threats from such turbulent environment and respond to them appropriately, many companies are putting effort into developing dynamic capabilities. As a type of dynamic capability of organization that helps companies rapidly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 agi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staining competitive advantage and enhanc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Also, Many companies have not yielded the expected economic benefits from PMS. Accounting researchers indicate that this failure is partly due to continuous reliance on traditional diagnostic PMS. The diagnostic PMS provides motivation and direction to achieve goals by focusing on and correcting deviations from preset standards of performance. This focuses on mistakes and negative variances. The interactive PMS stimulates the development of new ideas and initiatives and guides the emergence of new strategies. It closely monitors the markets and seeks to new opportunity. Therefore, it is needed to question underlying policies and to debates on various organizational problems. We think that both diagnostic and interactive PMS are need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identifying relationship between PMS and agilities. All of questionnaire item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prior studies, and were measured on seven-point Likert-type scale from 1(non-agree) to 7(agre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e-mailed questionnaire survey in Korea manufacturers randomly selected from Korea Exchange. A total of 95 useable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a response rate of 23. 75%. PLS method is used for the hypotheses tes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st performance group had the highest values of variable PMS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agilities. The lowest performance group had the lowest values of these variables. Therefore, the companies for improving performance need to establish diagnostic PMS, interactive PM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agility capabilities.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portfolio agility on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ve PMS and performance was existed. Interactive PMS has been positively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agility, and these variables effected on performance. However, operational and strategic agility didn`t effect on performance. From these results, many companies are finding it necessary to achieve portfolio agility in responding to unexpected changes in the market environment. Especially, companies should be used the interactive PM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portfolio agilit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due to excluding antecedents of PMS such as strategy and organizational culture etc. Further research may be able to uncover the limitations and test the difference of agilities between Korea and other nation.

      • KCI등재

        환경 불확실성 상황에서 Smart SCM 관점의 민첩성 역량이 공급사슬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찬권,김채복 한국기업경영학회 2018 기업경영연구 Vol.2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uncertainties faced by individual firms and supply chain members on the agility capacity of Smart SCM and the effect of agility capacity on supply chain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First, hypothesis tests between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agility capabilities revealed that environmental uncertainty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part of the agility capacity. Specifically, customer (demand) uncertainty has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flexibility and responsiveness, supplier uncertainty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management capability and flexibility, competitor uncertainty is related to, (Industry) uncertainty has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managerial ability, responsiveness, and promptness.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 between agility capacity and supply chain performance, agility capacity has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Specifically, management capability and flexibility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performance, and reactivity and promptness have a positive (+) effect on both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and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Finally, the analysis of perceptual differences according to size of firm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research items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agility capacity. In order to respond to and respond to environmental uncertainties to companies in the supply chain, it is necessary to enhance management capability, flexibility, responsiveness, and rapid capability as agility capability in terms of Smart SCM. Process performance and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SMEs with comparatively small enterprises have relatively low perception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agility capacity in terms of Smart SCM compared with large enterprises, and need support for SMEs' agility capacity enhancement for SMEs. This support for SMEs' agility capacity will ultimately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mart SCM of the supply chain. 본 연구는 개별기업 및 공급사슬 구성원이 직면하게 되는 환경 불확실성 요인들이 Smart SCM 관점의 민첩성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민첩성 역량이 공급사슬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기업규모(매출액)에 따른 환경 불확실성, 민첩성 역량의 지각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환경 불확실성과 민첩성 역량들 간의 가설검정 결과 환경 불확실성 요인들은 부분적으로 민첩성 역량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세부적으로는 고객 불확실성은 유연성과 반응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급자 불확실성은 경영능력과 유연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쟁자 불확실성은 경영능력, 유연성, 신속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술(산업) 불확실성은 경영능력, 반응성, 신속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민첩성 역량들과 공급사슬성과 간의 가설검정 결과 민첩성 역량들은 공급사슬성과에 대부분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세부적으로는 경영능력과 유연성은 외부 고객만족성과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반응성과 신속성은 내부 프로세스 성과와 외부 고객만족 성과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항목들에 대하여 기업규모(매출액)에 따른 지각 차이를 분석한 결과 환경 불확실성, 민첩성 역량의 대부분의 연구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공급사슬 상의 기업들에게 환경 불확실성에 대한 반응 및 대응을 위하여서는 Smart SCM 측면의 민첩성 역량으로서 경영능력, 유연성, 반응성, 신속성 역량의 제고가 필요하고, 이러한 민첩성 역량의 제고는 공급사슬성과인 내부 프로세스 성과와 외부 고객만족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기업의 규모(매출액)가 비교적 작은 중소기업은 대기업들과 비교 시 환경 불확실성과 Smart SCM 측면에서의 민첩성 역량에 대한 지각이 비교적 낮게 나타나 중소기업들에 대한 Smart SCM의 민첩성 역량의 제고를 위한 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민첩성 역량 제고 지원은 최종적으로 해당 공급사슬의 Smart SCM의 역량 구축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정부기관의 민첩성에 대한 환경격변성의 영향 및 조직성과에 대한 민첩성의 영향에 관한 연구

        김종근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1

        As various studies on agility have recently been conducted among private businesses, the role of agility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However, the study of government agencies ' agility is very sluggish, and it is understood to be due to the perception that they are not facing much environmental turbulence. In this study, it was therefore an empirical study to determine that agility is an effective means of managing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of government agencies, especially in order to focus on agility’s mediating roll between environmental turbulence and Government agencies’ performance. A brief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The study presented two research hypothesis, those related to the mediating effects of agility. For hypothesis testing, the three study variables(environmental turbulence, agility,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re assumed to be single or multi-dimensional, and were analyzed for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s of agility were deri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hen the parameters were assumed at a single dimension, but they were not consistent results when they were assumed in multiple dimensions. It is understood to be due to the inability of the discriminatory relationship to be established between items, and it is deemed necessary to proceed with this study in the future. This study has several causes. First, the areas of agility research, which was mainly conducted for private businesses, were extended to areas of government agencies.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its agility as an effective response to environmental uncertainties faced by government agencies. At the same time, it can be assessed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environmental factors, ag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future research. 최근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민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됨에 따라 환경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역량으로서 민첩성의 역할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정부기관에 대한 민첩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진한 상황이며, 이는 정부기관이 처해있는 환경적 격변성이 높지 않다는 인식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첩성이 정부기관의 환경적 불확실성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수단임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환경격변성과 조직성과 간 민첩성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2개의 연구가설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민첩성의 매개효과와 관련된 가설로서, 가설검증을 위해 3개 연구변수들(환경격변성, 민첩성, 조직성과)을 단일차원과 다차원으로 가정하여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단일차원으로 연구변수들을 가정할 경우 민첩성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도출되었으나, 다차원으로 가정할 경우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이는 차원들 간 차별적인 관계설정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며,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기여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기존에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주로 진행되었던 민첩성 연구의 영역을 정부기관의 영역으로 확장하였다. 특히 정부기관이 처한 환경적 불확실성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역량으로서 민첩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탐색적 차원이기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 민첩성 및 조직성과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을 통해 향후 연구에 대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휴대전화기 문자 쓰는 속도와 손의 민첩성과의 상관관계

        박은정,박장미,배은주,용미현,김경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휴대전화기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손에 손상을 받은 경험이 없는 47명의 인제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 후에 Nine Hole Pegboard Test(Smith & Nephew Rehabilitation Division version)와 대상자의 휴대전화기로 일정한 문장을 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문자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은 t-검정과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피어만 상관계수(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령과 문자 쓰기 속도와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문자 쓰기 속도가 더 빨랐다. 성별과 오른손 민첩성과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며 여자가 남자 보다 민첩성이 더 높았다.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손의 손상이 없는 성인에서 휴대전화기의 문자 쓰는 속도와 손의 민첩성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그러나 연령에 따라 문자 쓰는 속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 오른손 민첩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능적인 손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와 손 기능에 문제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문자 쓰기 활동이 손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 dexterity and writing message speed with cell-phone.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47persons with normal hand function in Inje University. After general interview, it examined by using Nine-Hole Pegboard Test (Smith & Nephew Rehabilitation Division version) and writing message speed with own cell-phone. Data from 47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of SPSS(10.0)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hand dexterity and writing speed. Results : As younger, the hand dexterity was speedy a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writing message speed with own cell-phone(p<0.05). Women's hand dexterity were speedy than men's a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right hand dexterity(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and dexterity and writing message speed with cell-phone.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riting message speed without hand injury was not affected in hand dexterity. Bu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and dexterity and writing message speed on sex and age. So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writing message speed with hand injury, how does it reflect on improving hand function in field work.

      • KCI등재

        공급사슬지향성과 실시간 기업(RTE) 측면에서의 민첩성 역량이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찬권,이희천,서영복 한국산업경영학회 2018 경영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management environment and demand agility in order to cope with changes in demand and supply ch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orientation and agility capability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gility capacity on supply chain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hypothesis tests were conducted. First, as a test of hypothesis H1, strategic supply-chain orient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all of the sub-factors of agility. As a test of hypothesis H2, structural supply chain orientation appears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most of the detailed factors of agility. In addition, as the test of Hypothesis H3, the managerial ability has a positive (but not significant) effect on the detailed factors of supply chain performance. As a test of hypothesis H4, flexibility appears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most of the detailed factors of supply chain performance. As a test of hypothesis H5, reactivity appears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all of the sub-factors of supply chain performance. As a test of hypothesis H6, agility appears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most of the detailed factors of supply chain performance. Finally, as a test of hypothesis H7, concurrency appears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all of the sub-factors of supply chain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the competitiveness factors of an aggressive industry in terms of the individual companies that should construct reactive supply chain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of innovative products. The supply chain orientation of the firms can increase the agility, Of the total population.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orientation, agility capacity, and supply chain performance is comprehensively analyzed. 본 연구는 공급사슬 관점에서 경영환경의 변화와 수요변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개별기업들에게 민첩성 능력이 요구되며, 혁신적 제품의 제조에 따라 반응적 공급사슬을 구성하고 있는 산업의 기업체들을 대상으로 민첩성의 역량 요인들에 대한 규명과 공급사슬지향성과 민첩성 역량들 간의 관계 및 민첩성 역량이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가설을 수립하고 검정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설 H1의 검정으로서 전략적 공급사슬지향성은 민첩성의 세부요인들 모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가설 H2의 검정으로서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은 민첩성의 세부요인들 대부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가설 H3의 검정으로서 경영능력은 공급사슬 성과의 세부요인들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설 H4의 검정으로서 유연성은 공급사슬 성과의 세부요인들 대부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가설 H5의 검정으로서 반응성은 공급사슬 성과의 세부요인들 모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설 H6의 검정으로서 신속성은 공급사슬 성과의 세부요인들 대부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며, 마지막으로 가설 H7의 검정으로서 간결성은 공급사슬 성과의 세부요인들 모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혁신적 제품의 제조에 따라 반응적 공급사슬을 구성하여야 하는 산업의 기업측면에서 개별기업이 보유하여야 하는 민첩성 역량 요인을 규명하였고, 해당 기업의 공급사슬지향성은 민첩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민첩성 역량의 제고는 공급사슬 성과의 제고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급사슬지향성, 민첩성 역량, 공급사슬 성과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였다.

      • KCI등재

        정부기관의 민첩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편유통을 중심으로

        김종근 한국유통경영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1

        Agility has been recognized by various researchers as an effective management capability for uncertain environments, suggesting that agility plays a role as a major source of managerial superiority and can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the empirical research on this issue is insufficient and the empirical research including the conceptual study on agility is still insufficient. Basically,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Kim(2016). The purpose of Kim(2016)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gility and to develop agility scale i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I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gility is a study of whether it plays a role as an important management means of government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verify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gility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t the 1% significance level. However, when the ag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re assumed to be multidimensional, a slightly different result was obtained. If performance against competitors is a dependent variable, only employee capacity and flexible structur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If new business performance is a dependent variable, only value and policy, flexible structure and cooperative structu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gility dimension, which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performance variable, is a flexible structure, which is similar to the view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presented flexibility as a key concept of agility. 민첩성은 불확실한 환경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역량으로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 인정받고 있는데, 그들은 민첩성이 주요한 경영우위원천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미흡하며, 특히 민첩성에 대한 개념적 연구를 포함해서 실증적 연구가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기본적으로 본 연구는 김종근(2016)의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의 성격이 강하며, 해당 연구에서는 정부기관의 민첩성 척도 개발 및 진단이 주요한 연구목적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민첩성이 정부기관의 중요한 관리수단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연구대상은 우정사업본부의 종사원이며, 회귀분석을 통해 단일차원 및 다차원으로 구분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민첩성과 조직성과 모두 단일차원으로 가정할 경우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관계를 검증할 수 있었으나, 민첩성과 조직성과 모두 다차원으로 가정할 경우 다소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경쟁사대비 성과를 종속변수로 가정한 경우 종업원 역량과 유연한 구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으며, 신사업 성과를 종속변수로 가정한 경우 가치와 정책, 유연한 구조 및 협력적 구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성과변수의 종류와 상관없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민첩성 차원은 유연한 구조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민첩성의 핵심개념으로서 유연성을 제시한 기존 연구들의 견해와 유사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공급사슬네트워크의 민첩성과 운영성과에 관한 연구

        이정호(Lee, Joung-Ho) 한국물류학회 2021 물류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공급사슬네트워크의 민첩성에 대한 기반적 구조를 밝히고 민첩성이 운영성과를 유도하는 과정을 규명한다. 구체적으로 공급사슬네트워크의 민첩성을 개념화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공급사슬네트워크의 민첩성의 운영성과에 대한 영향력을분석함으로써, 공급사슬네트워크가 경쟁환경에 적합한 역량을 획득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문헌적 고찰을통한 이론을 기반으로 공급사슬네트워크의 민첩성을 조작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가설과 함께, 공급사슬네트워크의 민첩성이 운영성과를 유인하는 방식에 관한 가설을 설정한 후, 표본으로 선정된 사업부 단위의 234개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이들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정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급사슬 관리자에게 공급사슬네트워크의 민첩성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서 전체 공급사슬에 걸쳐 프로세스를 연결하는 것이 높은 수준의 운영성과를 가져다준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공한다. 이는 기업이 공급사슬네트워크에 민첩성을 체화할 때 내부 및 외부 프로세스 연결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업이 일단 내부 및 외부 프로세스연결성과 관련한 공급사슬네트워크의 취약성을 확인하면 공급사슬네트워크의 민첩성이 이를 감소시키거나 개선시키는 활동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notion of ag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its dimensions on operational performance. Drawing on literature streams in process-based perspective and dynamic capability theory, this study develops and tests the constructs and operational measures of ag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and models the nomological set of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that form the basis of the proposed theory. This study then develops and tests a model describing the outcomes of ag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and its influence on operational performance. Using data from 234 operational managers, this study tests for the effects of ag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on exploitation activity and exploration activity and for the effects of ag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on operational performanc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possible and desirable for firms to strengthen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practices simultaneously in order to enhance the ag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and improve operational performance.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s for managers on the value of process connectivity when embedding ag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Specifically,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improving the mutual understanding of processes between a buyer and its suppliers enables managers to detect failures more quickly,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gility of the supply chain network and its responsiveness to their environmental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