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북 민족문화상징 통합 방안 연구

        신현욱(Shin, Hyun Wook)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08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

        본 논문은 우리 민족의 공통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 남북한 민족문화상징의 통합이라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남북한 문화 통합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남북한 민족문화의 개념과 민족문화 정책을 비교해 살펴보았으며, 남북한의 대표적인 민족문화상징을 남북한의 ‘언어’, ‘아리랑’, ‘문화재’, ‘천연기념물’, ‘민족명절’, ‘민속놀이’라는 6개 부분으로 한정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남북한의 민족문화상징이 분단이라는 조건에도 불구하고 남북 민족구성원들에게 여전히 공통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민족문화상징이 국가상징에 비해 통합이 용이하고 남북한 상징 통합을 확고히 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까지 담아 낼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한은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서로의 문화에 대한 차별화 된 시각이 존재하고 있는 바, 남북한의 민족문화상징의 통합에 있어서도 ‘민족정서를 바탕으로 한 남북한 문화통합에 기여’하고, ‘통일된 남과 북을 상징’할 수 있어야 하며, ‘민족구성원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보편성과 상대 문화를 인정하는 다양성을 담고’ 있어야 하며, ‘용이한 통합의 선택과 그에 상응하는 실천을 담보’해야 하고, ‘지속적이고 일상적인 논의 구조를 확보’해야 만이, 남북한이 서로에 대한 시각적 차이를 극복하고 남북 상징통합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이러한 원칙과 방향에 기반하여 남북한 민족문화상징 통합의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남북한 간의 언어통합은 ‘남북 공동 국어사전의 편찬’과 ‘컴퓨터 부호체계와 자판의 통일’, ‘남북 외래어의 통일’ 둘째, 우리 민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노래 ‘아리랑’의 통합은 ‘가사와 연주방법의 합의를 통한 음악적 통합’ 셋째, 남북한 민족명절의 통합은 ‘남북 공동 민족명절 선포 및 공동행사 개최’ 넷째, 남북한 문화재, 천연기념물의 통합은 ‘남북 교차 지정을 통한 통합 관리’ 다섯째, 남북한 민속놀이의 통합은 ‘남북 공동 민속놀이 선포’와 ‘명절맞이 민속놀이 대회 남북 공동개최’ 등이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a possibility to unify the South and North Korean culture in an effective and substantial way, by considering a unification of national cultural symbols in South and North Korea, which show the commonality of our nation. First of all, the concepts of national culture and the national cultural policies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have been compared each other, and the representative national cultural symbols have been analyzed in 6 categories such as ‘language’, ‘Arirang’, ‘cultural properties’, ‘natural monuments’, ‘national holiday’ and ‘ethnic play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embers of South and North Korea have still maintained the commonality of national cultural symbols, which has been led to a conclusion that these symbols are easier to be unified than the State symbols and also can promote the practical schemes to make the firm unification of national cultural symbols.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still have had some partial views towards each other’s culture due to the division of territory. The unification of national culture symbols, thus, should be made ‘to contribute to the South and North Korean cultural integration based on national sentiment’, ‘to represent the integrated South and North’, ‘to include the universality which all the members consent to and the diversity which helps people to recognize each other’s culture’, ‘to secure easy choice for unification and suitable actions’ and ‘to guarantee the structure of sustainable and everyday discussion’. South and North Korea will only then overcome the difference of the view towards each other and step forward more actively to unify the symbols. On this basis, some specific plans have been suggested in this research.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first, it has been proposed ‘to compile a common Korean dictionary’, ‘to unite the computer codes and keyboards’ and ‘to standardize the foreign words in both nations’. It, secondly, has been mentioned ‘to unify the lyrics and performing techniques of Arirang’, which is our most representative song, for a musical unification and thirdly ‘to declare the South-North joint national holiday’ for a unification of national holiday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forth plan suggested has been an ‘integrated management through the cross designation of South-North cultural properties and natural monuments’. Finally it has been emphasized ‘to declare the South-North joint ethnic plays’ and ‘to hold the contests’ for a unification of ethnic plays.

      • KCI등재

        중국 몽고족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 연구

        홍흠(Hong-Xin),곽암(Guo-Yan)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본 논문은 다양한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중국의 가장 대표적 소수민족인 내몽고자치구의 몽고족을 중심으로 그들의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를 설문조사를 통해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향후 몽고족의 대외 홍보 및 디자인에 응용 가능한 학제적 기초를 마련하고자한다. 본 논문은 객관적 자료를 위해 몽고족 및 타민족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 대부분 몽고족은 소수민족임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으며 소수민족을 대표하는 민족이라 인식하고 있다. 몽고족의 민족성은 사회성이 높고 장식하기 좋아하는 심미성이 있으며, 창의성, 신뢰성, 진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상징의 디자인요소 선호도에서는 색상은 청색, 문양은 성길사한의 인물 문양, 재질은 마노를 선호하였으며 상징의미는 평화가 가장 높았다. 문화상징 활용은 축제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류에 가장 많이 적용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런 문화상징을 내몽고의 정체성 확립 및 홍보를 위해 적극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몽고족 문화상징의 체계적 정립은 몽고족의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일로, 민족적 의미와 문화적 사명 아래 민족문화자원과 잘 결합되어 소수민족문화의 발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소수민족으로서 자부심을 고취시킬 것이다. This paper is about on the most representative ethnic of China Mongolian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o establish the understanding of national cultural symbol and the system of national identity, and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application of Mongolian communication and design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ity of the data, so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populations of Mongolian and other nationalities. The result is that the majority of the Mongolians believe that as the Mongolian people have a sense of pride, and the Mongolian nationality is a representative of china. Mongolian is a kind of aesthetic, creative, reliable, aggressive and like the decoration of the nation. The cultural symbols for design elements are cyan, Gen Gi Khan graphics, agate, and peaceful meaning and so on. The cultural symbols are used for celebration, as well as clothing accessories. The symbol of culture has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Inner Mongolia identity and the propaganda of the nation. The construction of Mongolian cultural symbol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Mongolian national identity. To combine the meaning of nation and the mission of culture with national cultural resources. It is not only to help the development of minority culture, but also to promote the sense of pride of ethnic minorities.

      • KCI등재

        하계 올림픽 엠블럼의 민족문화상징 연구

        이미정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types of national cultural symbols in the Olympic emblem and to examine what types of symbols were represented by period and country. The number of emblems to be analyzed in this paper ranges from the 10th Los Angeles in 1932 to the 32nd Tokyo Olympics in 2020, with a total of 21 summer Olympic emblem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were 4 natural symbols out of 6 introductory emblems, 5 ethnic symbols out of 7 establishment emblems, and 6 ethnic symbols out of 8 emblems of change expansion.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nited States, where three Olympics were held, all three national symbols were represented in the emblem. Second, all five symbols were represented in the 27th Australian Olympic Emblem. Third, in the United States, which was held more than once, all three times represented the national symbol, and in Australia, both the natural symbols. In Germany, England and Japan, the symbols were represented differently each time. Fourth, there are six countries where emblems are represented by only one symbol, and a total of nine emblems. Fifth, the national cultural symbol rankings were analyzed as 12 national symbols, 9 historical symbols, 8 artistic symbols, 6 natural symbols, and 4 lifestyle symbols. Therefore, the Summer Olympics emblem has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shows the world's traditions, cultures, and societies to the world through symbols. 올림픽 엠블럼은 올림픽 역사발전과 함께 한 시각이미지이며, 대회마다 개최국의 상징성과 의미를 담고 있는 동시에 올림픽이라는 동일 주제를 담은 이중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따라서 올림픽 엠블럼에 나타난 민족문화상징 유형을 분류하여 시대별, 국가별로 어떤 상징 유형이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석할 엠블럼은 1932년 제10회 미국 로스엔젤레스부터 2020년 제32회 일본 도쿄 올림픽까지이며, 하계 올림픽 엠블럼은 총 21개이다. 연구결과, 시대별 특성은 엠블럼 총 21개 중 도입기 엠블럼 6개 중 자연상징 4개, 확립기 엠블럼 7개 중 민족상징 5개, 변화 확장기 엠블럼 8개 중 민족상징 6개가 자장 많이 나타났다. 국가별 특성은 첫째, 3번의 올림픽이 개최된 미국은 3번 모두 민족상징이 엠블럼에 표현되었다. 둘째, 제27회 오스트레일리아 올림픽 엠블럼에서는 5개의 상징 모두 표현되었다. 셋째, 2번 이상 개최된 미국은 3번 모두 민족상징이 표현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는 2번 모두 자연상징이 표현되었다. 독일과 영국, 일본은 개최할 때마다 상징이 다르게 표현되었다. 넷째, 1개의 상징으로만 엠블럼이 표현된 국가는 6개 국가이며, 총 9개의 엠블럼이다. 다섯째, 국가별 민족문화상징 순위는 민족상징 12개, 역사상징 9개, 예술상징 8개, 자연상징 6개, 생활상징 4개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하계 올림픽 엠블럼은 국가별 특색을 지니며, 상징을 통해 세계인에게 자국의 전통과 문화, 사회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국가별로 조금씩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해방기 문학장에서 시문학의 자기 비판과 민족 문학론

        곽명숙(Kwak, Myoung-Suk)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4

        해방기 정국에서 ‘조선문학가동맹’과 ‘중앙문화협회’는 이 시기의 문학 운동을 대표하는 문인단체였고 문학과 정치의 조응이 이루어진 장소였다. 중간파라고 부를 수 있는 문인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본고에서는 이 두 단체를 중심으로 해방기 문학장을 조망하되, 자아비판의 시적 형상화와 민족문학이라는 목표에 따른 민족의 전유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공간 속에서 정치나 종교, 학문, 예술의 장 등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으로 분석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은 고유한 투쟁목표와 이해관심들로 구성된다. 해방기 문학장은 정치적인 장에 강하게 종속되는 특수한 면을 가지고 있으나 정치 장으로 환원될 수 없는 이 시기 문학장의 고유한 목표와 관심을 살펴보는 관점이 중요할 것이다. 해방기 문학장에서 조선문학가동맹은 ‘인민성’에 기초를 둔 인민민주주의 문학을 내세우고 민족문학 건설을 목표로 적극적인 투쟁하였던 문학장의 행위자로서 역할을 하였다. 조선문학가동맹은 임화, 오장환 등의 기성 시인의 자기 고백과 더불어 전위시인으로 불리는 새로운 세대의 시인들의 반성적 언술을 통해 과거 청산과 새로운 미래에 대한 출발이라는 위치를 차지하려 하였다. 이는 시인의 자기 반성과 자아비판의 시적 형태로서 오류를 지울 뿐 아니라, 오류의 이윤에 공적 고백의 이윤을 더하는 언술행위라 할 수 있다. 해방기 문학장에서 부각된 중요한 주제는 민족문학론이었다. 민족국가의 건설이라는 지상과제와 연결된 이 문학론을 두고 각각의 입장들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었고, 그 과정에서 민족이라는 상징 권력을 어떻게 전유하려 하였는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선문학가동맹의 계급성 혹은 인민성에 입각한 민족문학론과 중앙문화협회의 민족문학론에서 상징 권력의 전유 양상을 살펴보면 해방 직후 ‘민족’이라는 개념은 변모해 가며 반외세 및 민족 자주의 성격이 강화되어 간다. 민족 개념을 선점한 것은 조선문학가동맹 측의 비평가들의 선도 비평이었지만 중앙문인협회의 작가들은 작품과 작품론에서 민족이라는 상징 권력을 적극적으로 포획해 나갈 수 있었다. 고전주의와 전통에 대한 전유는 예술과 학문의 장과 더불어 민족문화와 민족문학 건설이 요청되었던 해방기 문학장에서 순수문학의 기반이 되었던 것이다. In the Liberation Period, ‘Chosun munhakga dongmaeng[조선문학가동맹(Korea Writers Alliance)]’ and ‘Joongang munhwa hyeophweo[중앙문화협회(Central Culture Association)]’ were representative writer’s organization where literature and politics were intervened. Even though there were writers who can be called moderate wing,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selfcritic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transformed into poetic embodiment by focusing on those two organizations. In a society, some areas like politics, academics, art can be analyzed independently. And each individual area has its own purposes and interest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literature field was subordinated to political field. But we should focus on the intrinsic purpose or interest of literature field which cannot be attributed to political field. In this period Korea Writers Alliance putting basis on the people strived to establish national literature. This organization tried to be pathfinder of new era through self-critical statement of young poets as well as that of Im, Hwa[임화], Oh, Jang-Hwan[오장환]. They attempted to correct mistakes by poetic activity and believed that poetic activity can be paralleled with public statement. The key theme of literature field in the Liberation Period is national literature theory. This theory was connected to supreme task of national states. So every player struggled to be a representative of nation which functioned as most valuable symbolic power. Korea Writers Alliance preoccupied this capital by virtue of a progressive criticism. But the concept of nation or nationalism transformed into diverse directions. So Central Culture Association could achieve another aspect of nation by focusing on traditionalism or classicism putting foundation for pure literature movement of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朝鮮民族與滿—通古斯諸民族鹿神話傳說之比較

        車海?(차해봉),公光哲(공광철)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2 No.-

        태고시기부터 만?퉁구스 제 민족 선민들은 중국 동북의 대ㆍ소흥안령으로부터 “삼강유역”의 광활한 원시삼림에서 수렵생활을 하며 살아왔다. 그들과 인접한 조선민족 선민들도 당시는 그들과 같은 수렵민족이었는데 사슴은 주된 수렵 대상이었으며 숭배하는 토템이었다. 원시선민관념의 발전은 대체로 자연숭배, 토템숭배와 조상숭배를 거쳤다. 조선민족과 만?퉁구스 제 민족도 예외 없이 이상의 숭배과정을 거쳤다. 조선민족과 만?퉁구스 제 민족 민간서사문학으로부터 보면 상술한 관념단계에서 나타나는 사슴은 우주동물ㆍ여성조상ㆍ천지(天地)사이의 사자(使者)를 상징한다. 비록 원시선민관념발전의 각 단계에서 사슴이 상징하는 의미는 서로 다르지만 모두 앞의 문화관념을 밑바탕으로 한다. 조선민족과 만?퉁구스 제 민족의 물질문화에는 사슴숭배의 흔적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데 좋은 예가 바로 녹용을 먹는 것이다. 녹용은 비록 약용가치가 있겠지만 사람들이 그것을 복용하게 되는 것은 사람들의 마음속 깊이 잠재하고 있는 죽음과 재생, 장생불로의 관념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사슴은 천신의 사자였으므로 샤만과 왕은 사슴의 신화적 상징을 이용함으로써 자신의 신권과 왕권이 ‘신수(神授)’의 의미를 지니도록 하였다고 본다.

      • KCI등재

        세계화시대의 민족정기 선양방안

        유영옥 한국보훈학회 2008 한국보훈논총 Vol.7 No.1

        과학기술이 선도하는 현대문명의 발달은 우리의 생활도 변화시켜 지구촌이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키며, 지구적 차원의 영역통합을 이루었다. 세계는 하나의 공동체가 되었고, 그 속에서 자유로운 상호협력과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주변 강대국들은 자신의 입지강화를 위해 애쓰고 있으나 남북으로 분단된 우리는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국가적 분열의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우리는 하나의 공통된 정신을 통하여 이 분열을 통합하고 강대국으로 발전해야 한다. 세계화라는 거센 폭풍 속에서 대한민국의 번영을 위해서는 국가적 전 략과 국가적 통합은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이것은 경쟁력의 강화와 구체적인 생존전략을 새롭게 강구해야 한다는 뜻이며, 역사를 통해 쌓아온 국가적 정체성이 세계화를 통해 위협 받을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21c의 세계화시대를 살아가면서 민족정기를 통한 강한 생존전략을 꾀하고 장기적인 세계화에 대비하여 국민통합을 통한 발전전략으로서의 민족정기 선양정책을 상징적인 방법에서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우리의 주변 국가들은 역사왜곡으로 우리의 민족정기를 혼란시키고 대한민국의 위상에 위협을 가하며 민족적 자부심을 떨어뜨리고 있다. 일류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우리의 정통성과 국민통합이 시급한 과제이며 국가발전에 대한 자부심속에 애국심은 발생하므로 국력신장으로 애국심함양에 노력해야 한다. 다변화하는 동북아 정세와 강대국 영향력을 벗어날 수 없는 분단 상황 속에서 다각적인 대국민통합노력이 있어야 하고, 그 노력의 핵심적 정신은 민족정기의 선양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민족정기 선양사업은 결코 단편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민족의 정기문제는 미래지향적인 문제이다. 세계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민족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국가와 민족에 대한 희생정신과 봉사정신, 나아가 애국심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민족정기를 선양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국가는 상징적인 민족선양정책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민족정기 선양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정책기구를 강화하여 국가의 굳은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또한 관련 보훈 법률을 단일화하여 형평성을 갖춘 보훈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하계 올림픽 포스터에 나타난 민족문화상징 연구

        이미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7 No.-

        올림픽 포스터는 올림픽 역사발전과 함께 한 시각이미지이며, 역사상 유일하게 동일 주제로 120년 지속되어 온 디자인이다. 또한 대회마다 각각의 다른 국가적 상징성과 의미를 담고 있는 동시에 세계 평화의 제전이라는 동일 주제를 담는 이중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따라서 하계 올림픽 포스터에 나타난 민족문화상징 요소를 찾아 시대별, 국가별로 어떤 상징 요소가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시대별 특성은 하계 올림픽 포스터는 총 28개이며, 그 중 도입기 포스터 12개, 확립기 포스터 9개, 변화 확장기 포스터 7개이다. 도입기에는 생활상징이 가장 많이 표현되었으며, 확립기와 변화 확장기에는 각각 민족상징이 가장 많이 표현되었다. 국가별 특성은 첫째, 2번의 올림픽이 개최된 그리스와 오스트레일리아는 2번 모두 민족상징의 포스터가 표현되었다. 둘째, 오스트레일리아는 1개의 포스터에서 5개의 상징이 모두 표현되었다. 셋째, 2번 이상 개최한 프랑스와 영국, 독일은 개최 할 때마다 상징이 다르게 표현되었다. 넷째, 스웨덴과 대한민국, 스페인은 2개의 상징인 민족상징과 생활상징이 포스터에 표현되었다. 따라서 하계 올림픽 포스터는 개최국의 국가별 특색을 지니며, 시대의 흐름과 국가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The olympic poster is a visual imag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olympic history and is the only design in history that has been on the same topic for 120 years. Each game also contains a dual message that contains the different national symbols and meanings of each and the same theme of the festival of world peace. Therefore, we look at the elements of the national culture symbol shown on the summer olympics poster and tries to see what symbol elements were represented by age and count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total of 28 posters of the summer olympics, including 12 introduction posters, 9 establishment posters, and 7 expansion posters as age-specific characteristics. Life symbols were most frequently expressed in the introduction period, and national symbols were most frequently expressed in the establishment period and the expansion period. As country-specific characteristics, first there were two posters of national symbols in Greece and Australia where two olympic games were held. Second, symbols were differently expressed each time they were held in France, England and Germany held more than once. Fourth, Sweden, Korea, Spain were represented on the posters with two symbols: national and life symbols. Therefore, the summer olympics poster has country-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host country, and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countries.

      • KCI등재

        탈중화(脫中華) 민족형성 사례 연구

        박병석(Park Byoung Seok) 한국정치사상학회 2014 정치사상연구 Vol.20 No.2

        이 논문은 대일통(大一統, great unification)과 화이론(華夷論, sino-barbarian dichotomy)을 핵심으로 하는 중국 전통 정통론(正統論, orthodox theory)의 현대판인 중화인민공화국의 중화민족론(中華民族論, Chinese nation)의 확산으로 초래될 수 있는 한반도의 재중국화(再中國化, re-sinicization)를 제어하고, 그 위험성을 극복하기 위한 이론화 작업의 결과이다. 그 사례의 하나로 대만민족의 형성 문제를 다루었으며, 민족형성 담론 중 종족에서 민족으로의 전환을 다룬 종족상징주의(ethnosymbolism)에 기초하여 대만의 다종족에서 하나의 민족으로의 전환, 즉 민족형성 경로 문제를 분석하였다. 현재의 대만사회는 다종족 사회로서 앞으로 하나의 민족 공동체를 형성하려면 과거의 대만 역사를 공유하고, 공용어로서 ‘국어’(또는 ‘화어’)를 공유하고, 종족성을 극복하여 문화민족을 형성하고, 아울러 중화민족으로부터 분리하여 대만민족으로 전환하여 정치민족을 형성해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대만인은 현재의 ‘준민족’ 상태를 벗어나 온전한 하나의 대만민족을 형성하고 나아가 주권독립국가를 형성할 이론적인 근거와 정당성을 갖고 있으며, 그러한 권리도 갖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 국제사회의 승인이 전제되어야 하고, 그 가능성은 높지 않다. 대안으로서 ‘독립’을 유보하고 ‘국가’를 추구하지 않고 미래의 ‘중국연방’ 또는 ‘중화연방’ 등의 구성단위로서의 대만민족 공동체로 존재하거나 미래의 중화공동체 또는 아시아공동체에 주권을 양도한 대만민족 공동체로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 중화민족론의 대항 이론인 대만민족론은 미래 어느 시점에서 중화민족론에 대한 한민족론의 저항논리를 개발하는 참고 기준으로 삼을 만하다고 본다. This thesis is the result of a work of theorization to prevent and overcome the danger of re-sinicization of the Korea peninsula, which could be brought about by the expans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 theory of the Chinese nation, conceived as the modern version of traditional Chinese legitimate succession theory based on the concept of Great Unification and the concept of sino-barbarian dichotomy. The problems in the building of the Taiwanese nation are recounted as a case study. This is based on ethnosymbolism, using the theories of nation-building, which deals with the conversion of an ethnic group into a nation. An analysis conducted on how Taiwan can be converted from a multiethnic community into a single national community, in other words, the typical pathway problem for nation-building. At present, Taiwan is a multiethnic society. If it wants to form a national community, it has to take on dual tasks. First, it needs to deploy a common past history, using a “National Language”(國語, guoyu) as an official language, overcome its ethnic conflicts, and form a cultural nation. Next, it has to separate the Taiwanese nation from the Chinese one and form a distinct political nation. In this regard, the Taiwanese people have the theoretical basis, the legitimacy and the right to build a nation and embark on creating an independent sovereign state. But realistically,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PRC and the recognition of the UN, there is little prospect of this possibility being realized. Weighing up this choice, the Taiwanese people may choose to postpone their “independence” and seek not to form an independent state, choosing instead to be a member of the “China Federation” or the “Chinese Federation”, or delivering over its sovereignty to the Chinese or Asian community, so that a its national community exists without a state. It is suggested that the theory of Taiwanese nation, which is opposed to the theory of Chinese nation, is worth using as a reference to develop the logic for the theory of Korean nation having to resist the encroachment of the theory of Chinese nation at some point in the future.

      • KCI등재

        합스부르크 제국과 헝가리의 역사, 문화적 자기 이해

        이상협(Lee, Sang Hyup)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S

        헝가리의 민족 역사와 민족 문화 정체성에 대한 자기 이해를 합스부르크 제국과 연관하여 조사한 본 연구논문은 기 발표 논문인 “합스부르크 제국과 헝가리의 민족 문화 정체성 형성”을 바탕으로 하여 계속 연구된 것이다. 민족과 문화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는 “natio Hungarica”와 “magyar nemzet”의 두 용어로 집약하여 연구를 진행되었으며, 헝가리 민족 문화(magyar nemzet)의 자기 이해 연구에 있어서는 “magyar nemzet”가 내포하고 있는 범주와 범위 그리고 특징을 합스부르크 제국과의 상호관계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우선적으로 1848/49년의 독립전쟁 좌절에 따른 민족 정체성과 민족 문화의 핵과 상징의 변화에 관해 조사되었으며,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왕국”이라는 이중왕국의 틀속에서 그것이 어떻게 해석되고 이해되는 지를 연구하였고, 제1차 세계대전의 결과 맺어진 “트리아농 조약”에 따른 정체성의 혼돈과 축소변화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시기별 역사 속에서 민족 정체성과 민족적 상징의 변화가 20세기 중반 이후 즉 현재에는 어떻게 이해되고 평가되고 있는지를, 본인의 발표논문 “현재 헝가리인들의 민족적 자의식 분석연구”과 함께 합스부르크 제국과 현재의 오스트리아와 연관지어 연구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hungarian self-consciousness of national history and cultural identity in relation to the Habsburg empire, as a continuous research of the article, “The Habsburg empir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Hungarians’ national, cultural identity”, that has been already presented. The research has been processed by the two terms of “natio Hungarica” and “magyar nemzet” from the viewpoints of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y. In regard to hungarian self-consciousness of national culture, the characteristic involved in the category of “magyar nemzet”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history of mutual connection with the Habsburg empire on the other hand. First of all, the quests for the changes of the core and symbols of national culture and identity after fail of Independence War of 1848/1849 have been committed. The studies of the way in which how those things were interpreted and understood in the frame of “Austria-Hungary dual monarchy” have come next. Finally, I have researched the identical chaos that arose from the unhappy results of “Trianon Treaty”. This paper focuses on the standpoints of accepting the identical, symbolic changes at the turn of the century and in the earl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under the socialist regimes in mid twentieth and the democratic governments after 1989’s Transition (:rendszerváltás), based on the pre-released article, “A study on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the current Hungarians”, in relation to the Habsburg empire and modern Austria.

      • KCI등재

        민족의 실체성에 관한 철학적 검토

        박동천(Dong-chun Park) 한국정치학회 2008 한국정치학회보 Vol.42 No.3

        민족의 기원에 관한 원초론과 근대론의 대립은 민족주의 운동에 가담하는 시각과 민족주의를 상대화하는 시각의 차이로 해명할 수 있다. 나아가 민족의 본질을 역사 안에서 생성되고 변화하는 정치적 공동체로 보느냐 아니면 역사를 관통해서 정체성을 유지하는 혈연 공동체로 보느냐는 문제는 혈연을 상징으로 이해하느냐 아니면 자연의 소산으로 이해 하느냐는 문제로 연결된다. 본고는 민족이라는 것이 일차적으로 정치적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위에, 혈연이나 인종과 같은 정치 이상의 의미가 첨가된 상징적 공동체라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사회 집단의 실체성과 관련하여 물리주의적 강박관념에서 벗어나야 하고, 사회집단의 경계라는 것이 어떤 식으로든 인위적으로 그어질 수밖에 없음을 논증한다. 그리고 막스 베버의 입장에서 앤서니 스미스나 신용하의 원초론을 비판한다. 베버는 주어진 사회 구성원들이 보이는 행태의 의미를 민족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정도만큼, 다시 말해서 민족이 라는 개념이 구성원들에게 규범적으로 작용하는 정도만큼, 민족은 실재한다고 했다. 즉, 고대 사회와 근대 사회 사이에 민족적인 연관을 굳이 강조하려는 민족주의자들의 태도는 어떤 식으로든 위신을 높여보려는 의도와 결부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베버의 입장은 민족의 실체성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모든 사회 집단의 실체성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시각을 정립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단서이다. The difference between primordialism and modernism about the origin of nations can be reformulated as one between committing oneself in the cause of nationalist movements and putting it in perspective. Furthermore, the question whether the n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its nature to be apolitical community that comes and goes in historical contexts or one with such deeper or pre-political ties as consanguinity, language, culture, religion, etc. that maintains identity through history is related to another question whether the blood tie, as it is called, itself is a symbolic or a natural communality. This paper argues that the nation is a symbol in terms of which a certain form of political solidarity at its base projects itself to be something prior to and beyond a mere polity. Two epistemological points are made and suggested: 1) It is essential to deliver one’s frame of conception out of what I would call the physicalist obsession, in order to come to grips with the way in which the symbolism of nation take effect in human behaviors; 2) Drawing boundaries of any social collectivity is a matter that has to do with whatever form or extent of conventional or willful decision by human beings. Then, primordialists like Anthony Smith and Yong Ha Shin are critically discussed in a Weberian perspective. Weber said that a nation exists insofar as human behaviors of a given society can be meaningfully understood by being described in terms related to the nation, and the concept of nation carries normative weight on to the individual members. The nationalists’ insistence on the ethnographical connection between premodern societies and modern nations is at least in part mixed with their wish to thereby enhance prestige. These Weberian insights can serve to bring into light what kind of entities social collectivities in general are, among which the nation certainly is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