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의 재외동포 정책

        조정남 ( Chung Nam Cho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1

        일본은 천왕제가 확립된 명치유신 이후에는 일본의 대표적인 민족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천황을 ‘親’, 국민을 ‘臣’으로 하는 가족국가관을 중심으로 하는 ‘단일 민족론’을 창안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본격적인 제국주의세력화 해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타민족집단을 일본제국의 신민으로 받아드리게 됨에 따라 기존의 단일민족론에 대신하여 제국주의 특유의 민족이론인 ‘복합민족론’, ‘통합민족론’등의 다양한 제국주의 민족론을 통하여 그들 제국 내에 새롭게 편입된 식민지 민족들을 새로운 ‘일본 민족화’하려 했다. 그리나 그 후 1945년 전쟁에서 패배하자 그들은 단번에 제국주의민족이론을 벗어던지고 다시 그들 고유의 황국사관에 입각한‘단일민족론’으로 회귀하면서 전후의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고 나섰다. 일본의 재외 일본인(일계인)들에 대한 정책적인 대응도 그들의 전통적인 민족정책의 연장선상에 있다. 단일민족론이 지배하던 전전의 천황제 가족국가 시대에 이뤄진 해외이민들에 대해서는 해외에 나가 있지만 몸과 마음은 언제나 천황가의 신민이어야 한다는‘천황 신민론’의 입장에서, 1945년 패전 이후로는 해외 동포들에 대해서 일단 해외에 나갔으면 그곳 현지가 무엇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이른바 ‘수입국 중심주의’의 입장을 강조하는 등으로 재외동포정책을 유연하게 펼쳐기도 했다.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는 남미 특히 브라질 등의 일계 후손들을 일본으로 불러드려, 이들을 부족한 노동력으로 활용하는 등의 새로운 일계인 활용의 수단이 동원되기도 하고 있다. The Japanese diaspora, known as nikkei (日系), are Japanese emigrants from Japanand their descendants that reside in a foreign country. Emigration from Japan firsthappened and was recorded as early as the 12th century to the Philippines, but didnot become a mass phenomenon until the Meiji Era, when Japanese began to goto the Philippines, North America, and beginning in 1897 with 35 emigrants to Mexico. There was also significant emigration to the territories of the Empire of Japan duringthe colonial period; however, most such emigrants repatriated to Japan after the endof World War II in Asia.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of Nikkei and Japanese Abroad,there are about 2.5 million nikkei living in their adopted countries. The largest ofthese foreign communities are in Brazil, the United States, Peru and the Philippines. Descendants of emigrants from the Meiji Era still hold recognizable communities inthose countries, forming separate ethnic groups from Japanese peoples in Japan. After World War II, most of these overseas Japanese repatriated to Japan. TheAllied powers repatriated over 6 million Japanese nationals from colonies and battlefieldsthroughout Asia. On]y a few remained overseas, often involuntarily, as in the caseof orphans in China or prisoners of war captured by the Red Army and forced towork in Siberia. During the 1950s and 1960s, an estimated 6,000 Japanese accompaniedZainichi Korean spouses repatriating to North Korea, while another 27,000prisoners-of-war are estimated to have been sent there by the Soviet Union; see Japanesepeople in North Korea. In the 1980s, with Japan``s growing economy facing a shortage of workers willingto do so-called three ‘K’ jobs (きつい kitsui [difficult], 汚い kitanai [dirty], and 危險kiken [dangerous]), Japan``s Ministry of Labor began to grant visas to ethnic Japanesefrom South America to come to Japan and work in factories. The vast majority -estimated at roughly 300,000-were from Brazil, but there is also a large populationfrom Peru and smaller populations from Argentina and other Latin American countries. In response to the recession as of 2009, the Japanese government has offered ¥300,000for unemployed Japanese from Latin America to return to their country of origin withthe stated goal of alleviating the country``s soaring unemployment. Another ¥200,000is offered for each additional family member to leave.

      • KCI등재후보

        1920년대 민세 안재홍의 민족론과 그 추이

        이경미(Lee Kyung Mi)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0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9 No.2

        본 논문에서는 1920년대 민세 안재홍의 민족론이 어떤 형태를 띠고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신간회운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운동논리로 나타났는지를 추적하였다. 먼저 ‘진취와 반동’이라는 국제인식이 동아시아를 무대로 적용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계급과 민족’이라는 문제의식과 연계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식민지조선에 대한 사유로 이어지면서 ‘초계급적 민족통론’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민세의 초계급적 민족론이 신간회의 전개과정과 맞물리면서 ‘민족단일’‘수도병진’‘갑을병립’이라는 세 가지 운동논리로 나타난 추이를 살펴보았다. 민세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는 반동의 추세가 거세지는 상황으로 돌아가고 있지만, 동시에 러시아혁명이 표방한 인류해방이라는 가치 또한 앞으로 셰계사를 이끌어갈 진취의 추세를 형성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세계의 흐름은 ‘대외적’인 피압박상태에 놓여있는 식민지상황에서는 계급과 민족 양 의식을 동시에 각성하여 ‘계급을 아우르는 민족통일’을 실천시키는 계기가 된다고 보았다. 이것이 민세의 초계급적 민족론을 지탱한 기본인식이다. 이러한 인식 하에 그는 신간회를 비타협적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양 진영의 협동을 통해 초계급적 민족통일을 실천하는 민족단일당으로 발전시키려고 했다. 이처럼 ‘민족단일론’은 초계급적 민족론의 다른 표현이었지만, 운동의 확대와 함께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간의 협동이 흔들리면서 그의 논리는 단일을 유보한 ‘병립론’으로 변해갔다. This paper examines An Jae-hong’s concept of the nation in the 1920s and its practical aspect in the process of Shin’ganhoe Movement(新幹會運動). First of all, I mentioned that he recognized the international society as the conflict between ‘the progressives and the conservatives(進取와 反動)’. And such recognition seemed to be connected with his perception of ‘class and nation(階級과 民族)’ problem in the East Asia, and Korea under the colonial rule. Under this situation, consequently, this idea was revealed as the concept of so-called ‘trans-class national unification(超階級的民族統一)’. In the next chapter, I described that his idea of trans-class national unification was appeared with practical Shinganhoe Movement in the idea of ‘the unitary nation(民族單一)’, ‘the progress of each other’s way(數道竝進)’, and ‘the compatibility of both ways(甲乙竝立)’. He thought that the idea of human liberation asserted by the Russian Revolution was still important and it would be the general trend in the world history, even though the conservative trend seemed to be growing after the World War I. Furthermore, he considered that such a flow of the world history would serve as a momentum for the colonial nation under the ‘externally’ oppressed condition to awaken both of class and nation consciousness. Therefore, he expected that it would help to fulfill the national unification combined all classes in Korea. This is his fundamental idea of trans-class national unification. In this sense, he tried to develop Shinganhoe into the national unitary party(民族單一黨) through the cooperation between the uncompromising nationalist and socialist. In short, the concept of the unitary nation(民族單一論) was another expression of trans-class national unification. However, as the cooperation between nationalism and socialism faltered, his argument was gradually changed from the unitary nation into the compatibility of both ideology.

      • KCI등재

        중등학교 교과서의 민족 개념에 대한 연구

        이대희(Lee, DaeH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중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의 개념을 민족에 대한 최근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객관론과 주관론으로 민족을 설명하는 것이 전통적인 시각이지만 1980년대 이후 시민민족론과 종족적 민족론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고 그것은 각각 근대론과 근대론을 비판하는 스미스가 대표한다.교과서에서는 최근의 이론적 경향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해서 민족을 객관론과 주관론으로 설명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고 그 결과 민족을 초역사적이고 선험적인 존재로 파악하고 있다.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의 개념은 전체적으로 보면 종족적 민족론에 가깝지만 종족과 민족을 동의어로 이해하면서 특히 혈연을 강조하고 있어서 종족적 민족론보다 더욱 근본적인 입장이다.민족의 이러한 이해는 교육과정에서 민족정체성을 강조하는 ‘민족화’교육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한편으로는 세계화와 다른 한편으로는 다문화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민족화 교육과 함께 민족 개념에 대한 올바른 지식의 전달도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cept of nation represent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 the light of recent theories on the nation. The nation has been conventionally explained o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basis, which is replaced from 1980s by the models of civic nation and ethnie nation represented respectively by the modernist theory and A. Smith who is critical of the modernist theory.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remain explaining the nation o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basis without reflecting the recent theoretical trend. The result is that the nation is understood as a transcendent entity in the textbooks. The concept of nation throughout the textbooks is close to the model of ethnic nation, but is more fundamental than it because the nation is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ethnie and the blood in particular is emphasized. This conception of nation is matched by the ‘nationalizing’education which stresses the consolidation of the national identity. To adopt students properly both to globalization and to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educate correct knowledge on the nation.

      • “맑스(Marx)”에서 “스탈린(Stalin)”으로 - 맑시즘 민족론을 통해 본 소비에트 민족정책의 역사적 계보-

        구자청 ( Ja Jeong Koo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3 사총 Vol.80 No.-

        In a heuristic search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 Soviet nationality policy, this study traces the ideological genealogy of Marxist engagement with nationalism in the work of key Marxist thinkers, including Karl Marx, Friedrich Engels, Rosa Luxemburg, Otto Bauer, V. I. Lenin and I. V. Stalin. I argue that the original Marxist engagement with nation and nationalism was a “turning upside down” of Hegelian nation, which features a discriminative distinction between “historic” and “non-historic” nati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velopment. I argue that this distinction was inverted by the ensuing “national turn” of Marxism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 problematic process which was initiated by Otto Bauer, whose vindication of “non-historic” nations radically redesigned the old Marxist view on the national question. I finally argue that this national turn of Marxism culminated in the Bolshevik nationality policy with two ironic results: a privileged status of “non-historic” nations in the name of “oppressed” nations, and a creation of titular nationalities in the name of national liberation. Thus, I conclude that the Soviet nationality policy, by “nationally” turning upside down orthodox Marxism, achieved what the original Marxism purported “to dialectically aufheben”: a reincarnation of Hegelian nation.

      • KCI등재

        “맑스(Marx)”에서 “스탈린(Stalin)”으로 - 맑시즘 민족론을 통해 본 소비에트 민족정책의 역사적 계보 -

        구자정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3 사총 Vol.80 No.-

        In a heuristic search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 Soviet nationality policy, this study traces the ideological genealogy of Marxist engagement with nationalism in the work of key Marxist thinkers, including Karl Marx, Friedrich Engels, Rosa Luxemburg, Otto Bauer, V. I. Lenin and I. V. Stalin. I argue that the original Marxist engagement with nation and nationalism was a “turning upside down” of Hegelian nation, which features a discriminative distinction between “historic” and “non-historic” nati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velopment. I argue that this distinction was inverted by the ensuing “national turn” of Marxism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 problematic process which was initiated by Otto Bauer, whose vindication of “non-historic” nations radically redesigned the old Marxist view on the national question. I finally argue that this national turn of Marxism culminated in the Bolshevik nationality policy with two ironic results: a privileged status of “non-historic” nations in the name of “oppressed” nations, and a creation of titular nationalities in the name of national liberation. Thus, I conclude that the Soviet nationality policy, by “nationally” turning upside down orthodox Marxism, achieved what the original Marxism purported “to dialectically aufheben”: a reincarnation of Hegelian nation.

      • KCI등재

        근대 일본의 국적제도와"일본인"의 설정: "혈통주의"와"단일민족론"에 근거한 변용 과정

        임경택 ( Kyung Taek Y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 韓國文化人類學 Vol.45 No.2

        이 글은 일본 국가가 어떠한``일본인``이미지를 설정하고 또한 그 이미지를 어떠한 방식으로 사회제도를 운용할 때의 근거로 삼아 왔는지에 대해 제도를 둘러싼 담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국적제도 혹은 국적법의 변천과 그것과 관련된 담론들을 분석하였다. 국적상의 일본인은 1899년의「국적법」에 의해 최초로 설정되었는데, 이 법은 근대 호적법과 한 덩어리가 되어 제도상의 일본인을 확정하는 중요한 장치가 되었다. 이 국적과 관련된 호적제도·가족제도·천황제를 연결하는 것이 국가가 제시한 구도였고, 이것들을 잇는 키워드가``혈통주의``였다. 즉 가족이란 혈통으로 맺어져 있고, 천황은 만세일계의 핏줄이다. 혈통주의가 메이지 시대의 국가 체제를 확립하는 데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장치로서 기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외국인의 귀화제도는 독립된 법률이 아니라이「국적법」에 포함되었고, 국가의 지침과 관련된 방향에서 논쟁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패전 직후에 대두된``단일민족론``은 소수민족을 회피하였고, 특히 이 배경하의 귀화제도는``생활양식의 일본인화``,`` 민족의식의 포기``를 의미하게 되었다. 또한 일본인=일본 민족=일본 국민이라는 단일민족론적 인식에는 변함이 없지만, 출생에 관해서만큼은 순혈성의 중시가 완화되었다. 그러한 점에서 1984년의「국적법」개정은``일본인 의 설정을 새롭게 파악하게 된 하나의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discourses related to how the Japanese state system has established the image of ``Japanese``and how the Japanese state system uses the image as the foundation for Japanese social institutions. This article also analyzes how those discourses are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institution and laws for nationality ``Japanese``in Japanese nationality was first set-up by "the Nationality Act"in 1899. This act became an important device with "the Family Registration Act"to determine the institutional definition of what is`` Japanese``. The intention of the state was to connect family and family registration to the Imperial system through the concept of the nation formed from the same blood, jus sanguinis. That is, family members are connected by blood, and the Emperor is descended from the eternal blood line. This consciousness of the nation formed from the same blood was important in establishing the state system during the Meiji period. The institution of naturalization for foreigners was not a separate act but a part of this Nationality Act. Discussion about naturalization was also carried out under the guidelines provided by this Nationality Act. After the World War II, the concept of a single-ethnic nation has made minorities invisible. The requirements for naturalization also meant that foreigners should learn Japanese life style and give up their original ethnic consciousness in this context. In this way, even without Japanese blood, the concept of Japanese=Japanese Nation= Japanese Nationality was established. Thus, "the Nationality Act"of 1984 can be considered as a measure which establishes the concept o``f Japanese``in a new way.

      • KCI등재
      • KCI등재

        중학교 역사의 민족 정체성 교육 비판 - 교수요목기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강진웅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4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혈통 중심적 단일민족론에서 벗어나고자 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혁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는 여전히 근원주의적 관점에 기댄 민족 정체성 교육을 고수하고 있다.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우리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들은 실질적으로 종족과 같은 것으로 민족을 묘사하면서도 민족이 종족적 차원을 넘어서는 초역사적 실재라는 것을 주장하거나 암묵적으로 전제해 왔다. 혈연과 종족을 중심으로 하여 민족 구성의 원초론적, 객관론적 관점과 민족의 영속론적, 주관론적 이해가 지배하는 가운데 한민족의 우수성을 설파하는 논리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 신화와 사실, 영속적 민족과 서사, 두 얼굴의 민족이라는 논제들을 중심으로 교수요목기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가 어떻게 민족 개념과 이론의 견지에서 민족 정체성을 담론화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역사적 사실과 정치적 신화를 구분하고 신화화의 사회적 과정을 함께 들여다봄으로써 민족의 기원과 발전에 관해 그동안 주류의 위치를 점했던 근원주의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근대주의적 관점과의 교감 속에서 미래지향적인 역사 및 민족정체성 교육을 성찰해 본다. Our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have held national identity education based upon the fundamentalist approach to nation in spite of the 2007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ion that tried to overcome exclusive nationalism consolidated by political discourse of a single-race nation. The primordialist and objectivist viewpoint of nation’s origin based upon blood ties and ethnicity along with the perennialist and subjectivist understanding of nation still have an important effect on our history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natio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syllabus period curriculum and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this article explores how our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have justifiedKorean national identity in termsof the theory of nation. By doing so, it suggests the future-oriented history and national identity education that incorporates modernism into the alternative perspective of nation and nationalism.

      • KCI등재

        북한 역사학계의 고대사 인식과 민족론

        이경섭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6

        The ancient history system of the history circles in North Korea had defined the period before the Three Kingdoms as "ancient" since the publication of Lee Ji-rin's A Study on Gojoseon. Since then, the focus had been on researches to supplement the issues around Gojoseon's central place and territory. After the excavation of Dangun Tomb in 1993, researches were conducted to adjust the chronological system of Sanghan in Gojoseon and ancient states(Buyeo, Guryeo, and Jinguk). Many researches were concentrated on the Dangun myth and the theories of ancient tribes. The problem is that an attempt emerged in the process to the royal line of Gojoseon based on such pseudographs Gyuwonsahwa, Dangigosa and Dangunsegi. Furthermore, the concept of ethnic group changed according to political and social relations home and abroad in North Korea, and it was the same with the perception of ancient tribes. As a result, they invented a new anthropological concept called "Old Joseon-type people" and a new historic studies term called "Bakdaljok." In North Korea, historical studies has been characterized by the strong tendency of being used as a means of advocating the legitimacy of the regime until recent years, being subjected to the political plans in its isolation from the world systems. With the continuous summit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A. and the activation of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opening of North Korea, however, there is a definite need to focus on which direction will be taken by historical studies in North Korea. Since North Korea's perception system of ancient history has had some similar aspects to the positions or arguments of the pseudo-history circles in South Korea, it is required to keep these points in mind in preparation of mutual exchanges in historical awarenes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북한 역사학계의 고대사 체계는 리지린의 『고조선연구』 이래 삼국시대 이전을 ‘고대’로 규정하고 있다. 그 이후 고조선의 중심지와 영역 문제를 보완하는 연구가 중심이었는데, 1993년 단군릉 발굴 이후에는 고조선의 상한과 고대 국가(부여·구려·진국)들의 編年 체계를 조정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단군 신화와 고대 종족론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집중되었다. 그러나 문제는 이 과정에서 『규원사화』·『단기고사』·『단군세기』와 같은 僞書에 근거한 고조선 王系의 복원 등을 시도한다는 점이다. 나아가 북한의 민족 개념은 국내외의 정치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변화하는데, 고대의 종족 인식 또한 이에 따라 변화하였다. 그 결과 인류학적 개념으로는 ‘조선옛류형사람’의 창출과, 역사학에서는 ‘박달족’을 발명한다. 이렇듯 최근까지 북한의 역사학은 세계체제에서 고립된 상황 아래 정치적 기획에 종속된 채 체제의 정당성을 옹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 측면이 강하다. 그러나 현재 남북과 북미 정상회담이 연속적으로 개최되고, 향후 남북한의 교류와 북한의 개방이 활성화 되어간다면 북한의 역사학이 어떠한 방향을 설정할 것인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의 북한 고대사 인식체계는 남한의 유사역사학계의 입장이나 주장과도 비슷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지점들을 유념하면서 남북한 역사인식의 상호 교류를 준비해야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