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화와 민속문화, 민속세계 -한국종교와 민속종교를 중심으로-

        강정원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1 No.-

        민속학의 연구대상인 민속은 포괄적으로 정의되거나, 특정 사회집단과 결부되어서 이해되어 왔지만, 현대화와 함께 새롭게 개념 규정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21세기를 맞이 하는 지금 특정 사회집단의 문화를 민속이라고 규정짓는 것은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 심각한 어려움을 가져 온다. 나는 이론민속학적 성격을 강하게 지니는 이 논문에서 민속을 민속성을 지닌 문화로 정의하며, 민속학은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한다. 아울러 급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세계를 민속학자들이 좀 더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세계’와 ‘생 활세계’, ‘자연세계’, ‘초월세계’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민속학자들의 주된 연구대상인 생활 세계는 체계세계와 민속세계로 구분된다. 아울러 생활세계는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교 육, 예술, 놀이, 의식주 등의 다양한 기능영역으로 구별되는데, 각 영역 별로 체계화되는 정도는 상이하다. 이러한 개념과 이론 도입은 민속학의 연구 영역을 분명하게 하는 데에 필요 하며, 민속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본 논문은 생활세계의 현대화를 거시적으로 논하고 있는데, 생활세계의 현대화가 민속종 교와 가지는 상관성에 대해서 논의의 초점을 맞춘다. 민속종교는 민속세계 내에 존재하는 신 앙과 의례체계인데, 자연종교 혹은 민족종교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민속종교는 체계세계 내 의 체계종교와 결합되며 시기 별로 상이한 통합양상을 보여준다. 나는 조선후기 종교를 민속 과 체계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한국종교’로 봐야한다고 이론적으로 제안하며, 이를 통해 효 과적으로 현재의 복잡한 종교현상을 통일된 체계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하며, 이 분석이론 속에서 한국 종교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조선후기에 한 체계로 정립되었던 한국종교 는 체계세계와 민속세계의 혼란을 가져 온 현대화(서구화)로 인해서 체계성을 상실하였고, 서구에서 도입된 체계종교의 확대와 전승되어 온 민속종교의 분리와 일부결합 등으로 이어졌다. 이는 가정신앙의 소멸과 공동체의례의 부분적 유지, 무속의 변동 등을 결과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체계 중심의 현대화가 민속세계의 일시적 붕괴를 가져 왔지만, 현대의 민속화를 동반하여, 현대 민속세계는 이전 민속세계와는 구분되지만 존재하고 있다. 즉 민속의 현대화 가 이루어진 것이다. 현대화가 일방적으로 민속문화와 민속세계 전체를 붕괴시키지 못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며, 민속문화도 현대화에 중요한 기여를 수행하였고 할 것이며, 향후 에도 발전하면서 끊임없이 현대화한다. The Object of the folkloristics has been changed from survivals to basic culture in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social group. I think, defining the study object traditionally does not help folklorists to study culture effectively in 21th century. Therefore folklorists have to study, I think, not folklore but culture, specially folkworld and culture in the ‘lifeworld’. The ‘world’ is composed of ‘lifeworld’, ‘natureworld’ and ‘transcendental world’, and lifeworld is divided to ‘systemworld’ and ‘folkworld’. The systemworld needs the folkworld, I think, and vice versa. The systemworld has normally no value per sep, value is produced in folkworld. It must be anchored in the systemworld to survive. The folkworld is not so stable, in which emotion and reason, tradition and modern conflict with each other. Its order maintains with the systemworld’ engagement once in a while. It says that the folkworld nees the systemworld. However the folkworld pursue stability normally with the power of culture, or folkculture.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modernization of the folkworld and folkculture. I think the folkworld is also modernizing with the modernization of the systemworld which manifests itself in state and market etc. Folkworld is experienced in daily life, but systemworld can be experienced through medium or symbol. We folklorists can study the folkworld, the connectionway of the two worlds, and culture. The folkworld is controlled and determined by culture. The modernization of Korea came true in the systemworld mainly. In this process the folkworld existed only and its subworld was destroyed critically. I argue that the concept “Koreareligion” is needed to analyze the religious situation from 19th century to now in Korea. In 19th century the religion in Korea was integrated, was divided to system religion and folk religion internally. The koreareligion was broken down with the colonization of Chosun. Principally the system part of the korearelion was substituted by the world religion, on the other hand the folkreligion remained at first time but disappeared slowly. Nowadays the folkrelion and systemrelion interact with each other but exist separately. Modernization does not mean the victory of the systemworld. The folkwolrd exists with systemworld together, because we, humanbeings are Folkloricus whose behavior is conducted with reason and simultaneously with emotion, value and tradition. I think,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engage in behavior simultaneously, or successively. The behaviour with reason makes the systemworld, the behaviour with value, emotion, tradition produces the folkworld. Lastly in my opinion the modernization process is realized in both world together.

      • KCI등재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서영대(Suh, Young-Dae)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 No.33

        이 글은 조선후기의 대표적 유서인 李?光의 『芝峯類說』?洪萬選의 『山林經濟』? 李瀷의 『星湖僿說』?李圭景『五洲衍文長箋散稿』에 수록된 민속종교 관련 자료들을 살펴본 살펴본 것으로, 먼저 4종의 유서에서 민속종교 관련 항목들을 추출하여, 그 내용을 표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유서류에서 언급된 민속종교 관현 자료들의 성격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① 이들 유서들은 전대의 것이 후대의 것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면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게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저술 목적에 띠라 차이가 있다. 즉 『지봉유설』?『성호사설』『?오주연문장전산고』는 백과전서식 저술답게 민속종교의 다양한 측면을 전하는데 비해 『山林經濟』는 실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그 해결이란 실천적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② 이들 유서는 민속종교를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했다. 그것은 이들 유서가 기본적으로 유교적 관념에 기초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완전한 부정에는 이르지 못하고, 영험성의 일부를 인정해기도 했다. ③ 조선시대 민속종교의 신앙대상들, 즉 성황신?업신?질병신?金傳大王神?鄭得揚?關王神? 付根神등에 대한 유서류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④ 이들 유서류들은 귀신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관심을 보였는데, 그들의 귀신론은 기본적으로 성리학에 기초한 것이면서도 그 영험성으로 말미암아 민속종교의 귀신론을 일부 수용하고 있다. ⑤ 이들 유서류에서는 공동적으로 점복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개인의 운명에 관한 점복은 부정적으로 인식했고, 농사의 풍흉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이해하려 했다. ⑥ 이들 유서류에는 저주와 벽사에 관한 항목들도 상당수 있어, 이를 살펴보았다. ⑦ 무격은 민속종교의 성직자로서 민속종교의 핵심에 서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이들 유서류에서 공통의 관심사가 되었다. 이들 유서에서 무격은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그 영험성의 일부는 인정하고 있었다. 그렇다고 한다면 이들 유서류들은 비록 민속종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고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조선후기 민속종교의 다양한 사실들을 전한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유서류들은 향후 민속종교 연구에서 반드시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자료라 하겠다. At first, I extract materials on folk religion from four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Chosun dynasty-Lee, Ji-Bong-Ryu-Seol(『芝峯類說』) by soo-Kwang(李?光), San-Lim-kyung-Jae(『山林經濟』) by Hong, Man-Sun(洪萬選), Sung-Ho-Sa-Seol(『星湖僿說』) by Lee-Ik(李瀷), O-Ju-Yeon-Moon-Jang-Ju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by Lee, Kyu-Kyung(李圭景), and present these materials by tables. Second, I examined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these materials on folk religion. The conclusion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① There are common features and points of difference between these four encyclopedic literatures. One of common features are that all these four are encyclopedic works, but San-Lim-Kyung-Jae is more practical than another three. ②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regard folk religion as a negative culture, because these literatures based on Confucianism. But they did not deny miraculous virtues of folk religion. ③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give us many informations on gods and spitits of Korean folk religion, i.e, city gods(城隍神)?Yup-Sin(업신)?spirits of discase, god Kim-Bu(金傅大王神)?god Jung-Duk-Yang(鄭得陽)?god of King Kuan-u(關王神)?god Bu-keun(付根神) etc. So I review these gods and spirits referenced in encyclopedic literatures. ④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show much interest in ghost in common. The reason of interest is that authors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are all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and Sung Confucian was concern about ghost. The Sung Confucianism denied the ghost as personal being whom Korean folk religion regards to a kind of spirits. Instead of beliefs in ghost of folk religion, they insist on the ghost as Ki(氣), a kind of cosmic principle. But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acknowledge some parts of folk religion"s beliefs in ghost, because they admit the miraculous virtues of these parts. ⑤ There are many items on divination in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But they show dual attitude on divinations. The one is negative attitude to divinations on individual destiny and the other one is positive attitude to divinations on agriculture. ⑥ There are also many items on witchcrafts in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Through these items, I assumed pervasiveness of beliefs on witchcraft at that time. ⑦ Shamans, as religious specialist, are stand on a central position of Korean folk religion. So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concerned on Korean shaman. As Confucians, authors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did not regards shamans as positive one. But they did not deny miraculous virtues of shamans. In spite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have negative view points to, and include false informations Korean folk religion, I would like to emphasis on importance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to understand Korean folk religions, especially Korean folk religions of late Yi Dynasty.

      • KCI등재

        동아시아 연구를 위한 한국종교민속론의 시각

        편무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동아시아의 범주에 관한 학제적 논의가 충분하지 않은 가운데 한국의 종교민속학에서는 이미 시급한 문제로 다가 왔다. 불교민속론의 발전적 모색을 위해서는 동북아시아의 불교민속에 국한된 연구를 지양하고 동남아시아나 서남 아시아의 불교민속을 포함한 총체적 국면을 봐야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종교민속론이 나아가야할 방향이라는 종 교민속연구회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여기서는 동아시아고대학회 제현의 고견에 귀 기울이기로 하였다. 종교민속연구가 결코 한국에 국한된 종교민속만을 다루는 것이 아닌 것처럼 동아시아고대학회 역시 동아시아를 논 의의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는 또 다른 언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래서 동아시아라는 광역의 문화 영역과 어떤 종교민속이 각각 날실과 씨실이 되어 만나는 접점을 연구의 시발점 으로 삼아야 함을 전제로 내세웠다. 지금까지의 비교 연구가 개별적인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으나 이제부 터는 가령 문양이나 세시풍속에서 발견되는 종교민속을 통해 동아시아 전체를 조망하는 문화횡단에 도전해야 한다 . 그러기 위해 주목해야 하는 것이 종교민속학적 관점인데 이것은 종교민속 현상과 동아시아가 함께 만든 자수의 감상법과도 같은 것이다. 한편 사회과학이나 인문과학의 다른 영역들처럼, 문화관련 영역에서도 동아시아로 뻗어나가야 한다는 방향성에는 일단 아무도 의문부호를 달지 않는다. 그러나 인문과학이 생각하는 동아시아의 범주는 사회과학과 일치하지 않을 뿐더러 인문과학 내부에서조차 미묘한 차이가 있다. 편의적이고 통상적이라는 판단 기준은 학술적으로는 무책임하 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교민속학의 특징에 비추어 볼 때, 한자와 중화를 축으로 생각하던 과거의 발상이 과연 지 금과 앞으로의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는지 의문을 갖게 되었다. 고려해야할 점은 또 있는데, 그것은 문화과학의 이론으로 중심과 주변의 주종관계가 아닌 전체와 부분의 유기적 관 계로 봐야한다는 점이다. 역사 과학에서는 토인비가 “유기적인 전체”라 표현하였다. 전체와 부분에 의한 문화구조 는 그 어느 것도 중심일 수 없고 늘 주변일 수도 없다. 인도의 범아일여(梵我一如, Brahman-Atman-Aikya) 사상 에 수렴되는 이론이라 할 수도 있겠고, 현상학에서도 관련된 논저는 연구사의 중요한 줄기를 이룰 정도이다. 그와 같은 사상적 맥락에 입각했을 때 중국은 불교의 경유지이면서 재활성 지역이고 고구려 역시 경유지이자 재활성 지 역이라는 관계성에는 차이가 없다. 마찬가지로 인도는 불교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지만 엄격히 말하면 리그베다 사 상이나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타교가 재활성된 지역이므로 같은 흐름의 관계성은 연속해서 꼬리를 무는 식이다. 한 마디로 전체가 유기체적 관계라는 인식이 중요한데 그렇게 본다면 불교는 무에서 유로 창출되었다기 보다 불교이 전부터 거듭된 재활성의 도달점이자 새로운 시작이었다. 무도 없고 유도 없다는 고대 인도의 원초적 사상 역시 그 렇게 사유되지 않았을까. 이와 같이 본다면 한자에 대한 확고부동한 가치 부여와 문화권 설정은 재고되어야 한다. 그래서 종교민속학에서는 동아시아를 아시아의 동부 지역이라는 본의로 되돌려놓고 종교민속 전반을 고찰하고자 한다. 거기서부터 종교와 어떤 민속과의 관계를 검증해야 하며, 불교는 물론이려니와 유교나 도교 가톨릭 개신교 공히 이러한 입장과 관점은 공유되어야 한다. 이상은 동아시아와 종교민속의 관계에 국한된 논술이지만 역사학이나 문학 또는 고고학이나 지리학 해양학 등 다 양한 연구 분야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동아시아고대학회는 각 분야가 생각하는 동아시아의 범주가 무엇 인지 살펴본 연후에 학회로서의 총체적 입장을 밝힐 필요가 있다. While the existing research of topics associated with East Asiais not adequate, clarifying Korean folklore of religion has become an urgent task. For more understanding Buddhist folklore, we must examine Northeast Asia along with Southeast and West Asia. Similar to how research on religious folklore is not limited to Korea, the Association of East Asia Ancient Studies has conducted research in the field of East Asia. Conventional East Asian studies still retain the model of seperate fields of study with respect to East Asia. Now, we must cross-culturally conduct research on one specific cultural phenomenon. For this reason, this paper discusses the necessity to investigate some folkloristic phenomena employing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oubt that cultural studies must consider East Asia Studies, similar to th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disciplines. The range of perspective used in East Asian Studies. however, is not integrated with the social sciences. Subtle variations can be found even within humanities. Criteria of judgment, that are convenient and ordinary, continue to be used without significant academic responsibil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question arises whether previously effective Sino-centered thought continues to be relevant in the global era. Another aspect needs to be considered. Cultural structures must be perceived as an organic relation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s, and not as examples of master-servant relations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Arnold J. Toynbee also described it as an organic whole. Nothing can be a center or a periphery in the cultural studies, as they are composed of wholes and their parts. This theory converges with the Indian philosophy of Brahman-Atman-Aikya. Phenomenological arguments also account for an important part of the theory. In this intellectual context, China can be perceived as a stopover and a revitalizing region, and Koguryo as well. Likewise, though India is known as the birthplace of Buddhism, India also revitalized the Rigveda and Zoroastrianism of Persia. These relationships are impermanent.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see the whole as an organic link. Buddhism emerges from a combination of the constant revitalizations that occured before its arrival and its own new beginings, instead of simply emerging out of nothingness. I think the ancient Indian philosophy stating that there is no nothingness or being was also conceived in a similar manner. Therefore, we must reconsider Sino-centric thinking. It is necessary to redefine East Asia as the eastern part of Asia and take religious folklore into consideration. From that point of view, we must verify a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folklore. Additionally, this viewpoint has to be shared with not only Buddhism, but also Confucianism, Daoism, and Christianity. These are the featur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 and religious folklo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verse fields such as history, literature, archaeology, geography, oceanography, and so on. For these reasons, the Association of East Asia Ancient Studies should declare a perspective as an academic conference, after reviewing a range of East Asian Studies in other areas of research.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 민속종교의 반응과 대응 : 의례에서 ‘불순한’ 객체의 힘과 최소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심일종 ( Sim Il Jo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비평 Vol.40 No.40

        본 연구는 전지구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감염병인 코로나19[COVID-19]가 불러일으킨 영향력이 종교행위는 물론이고 향후 종교 내지 종교연구의 방향성과 좌표에 끼칠 변화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다룬 주요한 의례는 일상 속에 ‘스며들어 있는 종교(diffused religion)’로서의 민속종교(folk religion)가 처한 운명에 대해서였다. 즉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 한국의 민속종교 의례와 의례 주체들의 반응을 관찰하고 이 상황에 대응하는 논리에 주목해 보고자 한 연구다. 연구의 방법론은 몇몇 민속종교가 처한 현재적 상황을 비교의 측면에서 다루되, 코로나19 상황에서 민속종교 각 의례 디자인(ritual design)에 관한 기본적 가정과 일반적으로 공식화되어 있는 의례의 “지침(guidelines)”을 기반으로 비교하고 논의하였다. 한편 이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촘스키(Noam Chomsky)의 소위 “최소주의 문법이론(Grammatical Theory of Minimalism)”혹은 ‘생성문법의 최소이론’으로 불리는 언어이론의 경제성과 최소주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개념들을 민속종교 의례행위의 최소주의적 행태의 분석과 해석에 응용·적용하여 논하였다. 언어학에서의 최소주의 이론은 코로나19시대 의례의 자질점검(Feature-checking)의 수준과 변화를 종교주체들의 실천적 반응과 대응의 양상으로 논의를 전개시키는 데 유용하였다. 그 덕분에 의례가 변화되는 지점을 의례 대상, 의례주체, 의례 관계 그리고 감정이라는 부분들에 주목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코로나19 감염병 속에서도 주기적/순환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민속종교 의례의 현장은 “눈에 띄는” 그러나 한편으로 ‘눈에 띄지 않지만’ 실존하는 과학적 지식의 구성물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민속종교의 대다수 현장은 이 ‘불순한’ 객체인 코로나19 감염병 바이러스의 힘에 굴복하고 있었으나 그렇다고 전적으로 민속종교 의례를 전복시키기 못하고 있었다. 그래서 각 의례가 취하는 최소주의 전략과 최대의 효과 사이에 상관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과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 단위의 공동체가 제대로 된 과학지식에 근거한 종교정보의 도움을 통할 때 이 종교적 재난은 일상의 탈에서 질서를 회복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changes in the direction of religions and religious studies as well as religious actions caused by COVID-19, an infectious disease that is prevalent worldwide. The rituals here mainly concern the fate of folk religion as a “diffused religion” in everyday life.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reactions of Korean folk religious rituals and ritual subjects in the COVID-19 era and pay attention to the logic responding to this situation. This study compares and discusses the basic assumptions on the design and formalized guidelines of folk religious rituals in the COVID-19 situation. On the other hand,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applied and applies Noam Chomsky’s “Grammatical Theory of Minimalism” or “Minimum Theory of Generative Grammar” to the analysis and minimalist behavior of folk religious rituals. The theory of minimalism in linguistics is useful in developing discussions on the level and change of feature-checking of rituals in the COVID-19 era as a practical response of religious subjects. It is possible to pay attention to the points where rituals change, such as objects of rituals, subjects of rituals, ritual relationships, and emotions.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site of folk religious rituals, which are progressing periodically and cyclically despite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was “not noticeable” but on the other hand,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existing scientific knowledge. In addition, most of the sites of folk religion were succumbing to the power of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virus, which is an “immortal” object, but were not able to overthrow folk religious rituals entirely. Therefore, although it is not irrelevant between the minimumist strategy and the maximum effect of each ritual, this religious disaster coul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order from daily life through the help of religious information based on proper scientific knowledge.

      • KCI등재

        한국기독교민속론의 가능성에 대한 종교학적 탐구

        신광철 ( Kwang Cheol Shin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최근 한국 민속학계의 논의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 가운데 하나가 ‘한국 종교민속연구회’가 주도하고 있는 ‘종교민속론’이다. 종교민속론 중에서도 새로운 시도로 주목되는 것이 ‘기독교민속론’이다. 기독교민속론은 한국기독교의 정체성을 논하는 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독교민속론은 기독교 신자들의 믿음과 관련된 의례나 행태를 있는 그대로 기술함으로써, 그들의 신앙의식의 구조를 서술해내는 작업이다. 기독교민속론은 기독교사와 민속학이 어우러지는 지점에서 의미가 형성되는 담론이다. 한국기독교인들의 독특한 신앙행태와 신앙의례는 나름의 역사적 맥락을 통해 축적된 현상이다. 그 현상을 기술하고 의의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기독교사, 한국종교사, 민속학 및 인류학의 학제간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One of the recent discourses noteworthy in Korean folklore field is ‘the religious folklore theories’, especially ‘Christian folklore theories’ suggested by ‘the research group of Korean religious folklore theories’. Christian folklore theor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iscussions about the identity of Korean Christianity. Christian folklore theories describe the structure of Christians’ faith consciousness by narrating ritual and behavior linked to their faith as they are. Christian folklore theories are discourses which form system of meaning by encompassing Christian history and folklore. The uniqueness of Korean Christians’ faith and rite aspects is a phenomenon accumulated in their own historical context. We have to make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among Christian history, the history of Korean religions, folklore, and anthropology in order to describe and catch the meaning of the phenomenon.

      • KCI등재

        한국 기독교 민속신앙론은 어떻게 가능한가?: 인지종교학의 관점이 말해주는 것

        심형준 ( Shim Hyoung Jun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3 No.33

        이 글의 목표는 기독교민속신앙을 토착화의 틀로 바라보는 문제와 인지종교학 표준모델로 볼 때 이것을 어떻게 다르게 설명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한국 기독교 민속 혹은 기독교 토착화를 논하는 기존의 연구는 세계종교 패러다임에 입각해서 ‘민속종교’, ‘민속신앙’, ‘민간신앙’, ‘혼합주의’, ‘샤머니즘’, ‘한국적 기독교’ 등등으로 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세계종교와 대비되는 민속종교 혹은 민간신앙은 하나의 ‘단일한 실체’로 상정되었고, 종종 샤머니즘 혹은 미신과 비슷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민속 혹은 민간신앙으로 규정되는 신행은 과거부터 해당 지역에 전래되어 온 것으로 그 민족 혹은 국가의 ‘고유한 특성’(배타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특정 지역에서 고유한 것으로 여겨지는 믿음과 실천은 다른 지역에서 비슷한 패턴으로 쉽게 발견되곤 한다. 한국 개신교 새벽기도 사례를 통해서 이를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신행에서 다소 간의 차이가 확인되지만, 그것은 ‘본질적인 차이’가 아니다. 이러한 특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틀로 필자는 인지표준모델에 입각한 기독교민속신앙론을 제시한다. 그리고 기독교민속신앙론은 한국의 특수성이 아니라 인류 차원의 일반성에 입각한 ‘한국적 차이’를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viewing Christian folk beliefs as a framework of indigenization, and how it can be explained differently in view of the standard model in the 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Christian folklore or Christian indigenization was based on the World Religions Paradigm, and they would try to explain it in terms such as ‘folk religion’, ‘folk belief’, ‘folk faith’, ‘syncretism’, ‘shamanism’, ‘Christianity peculiar to Korea’, etc. A folk religion or folk faith contrasted with World Religion was supposed to be a ‘single entity’ and often understood to be similar to shamanism or superstition. And it is believed that the beliefs and practices defined as folk faith or folklore have been passed from the past, and have the ‘inherent characteristic’ (exclusive one) of the nation or state. However, beliefs and practices, which are perceived to be unique in certain areas, are often found in similar patterns in other areas. It can be confirmed simply through the example of Korean early morning prayer. There is some discrepancy in such practices, but it is not an ‘essential difference’. As a framework to explain these characteristics, I propose Christian Folk Belief Theory based on the cognitive standard model. And Christian Folk Belief Theory can explain the substance of ‘Korean difference’ based on the generality of mankind rather than the specificity of Korea.

      • KCI등재

        죽음의 현장에서 행해지는 대중적 추모와 민속종교 담론 -강남역과 구의역의 ‘일시적인 추모’를 중심으로-

        이연호 한국종교학회 2018 宗敎硏究 Vol.78 No.3

        Temporary memorial refers to mass mourning that temporarily appears and then disappears at a place where an unfortunate death takes place, and it is characterized by a permanent sculpture or regular memorial service, or can also be completed with just the mourning. May and June 2016 in Seoul, Korea, there was temporary mourning performed for a woman in her 20s who was murdered by a man at exit 10 of Gangnam Station and a 19-year-old laborer who was killed being stuck between a screen door at platform 9-4 of Guui Station as the interest of the media and masses were concentrated in it. The most common memorial items at both places were flowers and post-it notes and because of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victim who had cup-noodles in his possessions and that the victim died one day before his birthday, there were various types of food placed at Guui Station as well. Temporary memorials at the two places are similar to the mass mourning of the US and Europe where people also place flowers and items at sites of unpredicted and unfortunate deaths. However, these two cases were different from that of foreign cases in that there were much more post-it notes than items, and that various messages were expressed including simple memorials to demands for reforms on social hypocrisies that was the cause of the death. Even after the mourning at Gangnam Station and Guui Station, small temporary memorials have continued for wrongful deaths, deaths caused social inequality, and especially for young children and teens who died too early. People who believe that they are in the same socioeconomic situation take the initiative or participate in temporary memorials by identifying with them or their families and friends. That which is pursued by the individuals who participate and create such phenomenon cannot be expressed precisely simply with adjectives such as ‘social’, ‘political’ or ‘economical’. Therefore, studying Korean temporary memorials in which the unspecific multitude react to replace life at risk back to everyday life in the scope of ‘folk religion’ can be meaningful work. In the term folk religion, religion refers to the common person and folk traditions are always formed with the combination of that which is local, that which is common, and that in which the old meets the new. Religion that people today talk about are more often related more to personal religion rather than an institutionalized religion. The issue here is the concept of religiosity. In Korean folk religion discourses, there is a discourse that prescribes the basic elements of religiosity as an interpretation system and practicing system. This paper apply it in actual cases of temporary memorials and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emporary memorials in Korea are religious phenomenon falling under the scope of folk religion.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in the scope of materials and that the use of concepts is arbitrary, this provisional conclusion requires a series of processes for future supplementation and revisions. ‘일시적인 추모’는 불운한 죽음이 발생한 장소에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사라지는 대중적 추모를 가리키는 용어로, 항구적인 조형물이나 정기적인추모제로 이행하거나 또는 그 자체로 완결이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2016년 5월과 6월 강남역 10번 출구와 구의역 9-4 승강장에서는 남성에게이유 없이 살해당한 20대 여성과 작업을 하다 스크린도어에 끼여 사망한19세 근로자에 대해 미디어와 대중의 관심이 집중된 대규모의 일시적인 추모가 행해졌다. 두 장소 모두의 주된 추모 물품은 꽃과 포스트잇이었고, 소지품에서 컵라면이 발견되고 사망 다음날이 생일이었던 희생자의 특별한사정 때문에 구의역에서는 여러 종류의 음식물들도 눈에 띠었다. 두 곳의추모는 예기치 못하고 불행한 죽음이 일어난 현장에 사람들이 꽃이나 물건을 가져오는 미국이나 유럽의 대중적 추모와 그다지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물건보다는 포스트잇의 수량이 훨씬 많고, 단순한 추모사에서 죽음의 원인이 된 사회적 모순의 개혁 요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메시지가 표출되었다는 점에서 외국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한국에서는 강남역과 구의역 추모 이후에도 억울한 죽음이나 사회적 불공정으로 인한 죽음, 특히 미처 인생을 살아보지도 못한 어린이와 청소년의죽음에 대해 소규모의 일시적인 추모가 계속되고 있다. 사회⋅경제적으로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희생자를 그들이나 그들의가족 또는 친구와 동일시하며 일시적인 추모에 앞장서거나 또는 참여한다. 그러한 현상에 참여하고 동시에 그 현상을 만들어 낸 개인들이 추구하는것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등과 같은 형용사만으로는 정확하게 표현해 낼 수 없다. 그래서 위험에 처한 일상적 삶을 다시 일상으로 돌려놓기위해 불특정 다수의 대중이 반응하는 한국의 일시적인 추모를 ‘민속종교’라는 범주 안에서 고찰해보는 것은 유의미한 작업이 될 수 있다. 민속종교(folk religion)에서의 folk는 보통 사람들을 뜻하고, 민속적 전통은 언제나 지역적인 것과 보편적인 것 및 옛 것과 새 것의 만남 속에서 형성되며, 현대인들이 말하는 종교는 제도적 종교보다는 오히려 개인적인 종교성을 가리키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종교성이라는개념이다. 한국의 민속종교 담론에는 종교성의 기본 요소를 해석 체계와 실천 체계라는 최소한의 요소로 규정하는 견해가 있다. 이 글에서는 그것을취해 일시적인 추모의 실제 사례에 적용해 본 다음, 한국의 일시적인 추모는 민속종교의 범주에 속하는 종교적 현상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자료의 범위가 제한적이고 개념의 사용이 자의적인 만큼, 이 잠정적 결론에는 필연적으로 추후 보완되고 수정되는 일련의 과정들이 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의 의례 매뉴얼과 민속종교

        최종성(Choi, Jong-S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7 역사민속학 Vol.0 No.52

        관혼상제를 다룬 의례 매뉴얼의 출간과 필사가 일제강점기에 범람을 이루었다. 그러한 의례 매뉴얼은 대개 의례준칙, 사례서, 축문집, 종교예식서, 일용예식서 등 5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런 5종의 의례 매뉴얼은 목표와 내용이 서로 달랐지만, 당대 일반인들의 일상적인 민속과 종교의 형성에 깊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상통하는 면이 있다. 당시 의례 매뉴얼은 엘리트 지식인의 지적인 성과물이기보다는 전근대의 예서와 문집에서 폭넓게 발췌하고 시대적 변화에 맞춰 첨삭을 가하는 수준에서 편집 · 발간된 것이며, 근대 인쇄술의 원조로 특정 계층에 제한되지 않고 폭넓게 유통되었다. 의례 매뉴얼은 깊이보다는 넓이를 강조하고 체화보다는 참조를 중시하는 민속지식을 대량으로 보급시키고 확산시켰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례 매뉴얼에 대한 질적인 분석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그것이 얼마나 일반인들에게 참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양적 이해라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의례 매뉴얼의 이해를 통해 당대는 물론 이후 20세기 민속의례 및 민속종교의 방향과 특질을 읽어내는 통로가 마련되길 기대한다. Many kinds of ritual manual books for the four ceremonies (coming-of-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were published and transcrib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itual manuals are classified by 5 different types: ‘ritual standards’, ‘ritual books for the four ceremonies’, ‘ritual books for the written prayers’, ‘religious ceremonial books’, and ‘general manners books’. All of them contributed much to the formation of folk rituals and religions, even though the purpose and contents of each book were different. The ritual manuals were not intellectual results of elites, but rather compilations of pre-modern ritual books and contemporary manners. These were widely spread among the people with the help of modern printing techniques. The ritual manuals aimed at common readers who wanted to look for ritual references easily. They were not just made for the special upper class. We can understand the contexts and characteristics of folk ritual and religion of the 20<SUP>th</SUP> century by comprehending the ritual manual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A Comparison of Protestant Christianity and Folk Religiosity in Japan and Korea

        Sung Gun Kim 한국선교신학회 2018 선교신학 Vol.50 No.-

        본 연구는 일본과 한국에서 기독교의 수용과 발전에 대조적 유형이 존재하는 것에 주목하여 이 두 이웃 나라에서 개신교와 일반 대중의 종교성을 비교함으로써 동아시아의 ‘종교성’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한국의 경우 근대화의 정신과 개신교 양자가 결합한 것이 중상층(‘엘리트 종교성’)에게 매력을 준 반면에,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한국적 종교성(무속신앙)과 오순절 성령운동 기독교의 결합은 중하층(‘대중 종교성’)에게 한층 매력적인 것이었다. 보수적 개신교(장로교 혹은 순복음교단)와 무속신앙(민속 종교의 실천) 양자의 관계가 자연스러운 한국에서 신약성서의 축사(귀신쫓기)와 치병의 행위를 강조하는 기독교의 성령운동적 형태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일본의 경우 민속 종교와 무속신앙을 믿는 일반 대중은 천리교, 금광교, 창가학회 같은 이른바 ‘신종교’에 이끌렸다. 특히 1960년 이래 이 신종교들은 치병은 물론 가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공하였다. 일본의 상황에서 기독교는 사무라이(무사) 계급을 주로 개종시켰는데, 이들은 여전히 유교적 에토스(‘엘리트 종교성’)를 놓지 않았다. 이로부터 기독교는 주로 일본 사회의 교육받은 ‘상류’ 계층의 사람들로부터만 계속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Considering the contrasting pattern of the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Christianity in Korea and Japan, the present study aims to compare Protestant Christianity and people’s religiosity in these two neighboring countries, and shed some light on the current debate on religiosity in East Asia. In Korea,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ve Protestantism (Presbyterian or Pentecostal) and shamanism (folk religious practice) is perfectly natural, Pentecostal forms of Christianity that emphasize the New Testament’s practice of exorcism and healing made considerable advances. Contrarily, in Japan, ordinary believers of folk religion and shamanism (“mass religiosity”) went to join the so-called ‘new salvation religions,’ such as Tenrikyo, Konkokyo and Soka Gakkai, which offered solutions to poverty, as well as healing in the 1960s.

      • KCI등재

        전근대 무속 담론과 민속종교에서의 유교와 무속의 관계

        한승훈 국립민속박물관 2020 민속학연구 Vol.0 No.46

        This paper claims that there was a competition between Confucianists who tried to take the initiative on rituals, and shamans who wished to maintain their independent religious territory in the field of premodern popular religion. As modern intellectuals does, premodern Confucianists suggested a discourse which contrasts the ancient archetype and current states of shaman. On the one hand, they respected descriptions on sacred shamans in classical literatures, on the other, they tried to suppress shamans in their times and belief in them.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model for it was the case of a heroic local governor Ximen Bao(西門豹), who eliminated shamans who had allied with indigenous forces. A focus in the narratives on iconoclasm by local governor was whether they were cursed or not, because they abolished the rituals by shamans. It was a barometer which shows whose religious power was superior, Confucianists or shamans. Unlike the official discourses which claimed Confucianists’ ascendancy, unofficial narratives often described shamans’ triumph. The shamans’ dominant position was remarkable especially in access to the ‘intimate deads’. Although shamanistic elements were gradually excluded from ‘the field of official religion’, they maintained their independent territory in ‘the field of popular religion.’ 이 논문은 전근대 민속종교의 장에서 의례적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유자 측과 자신들의 독자적인 종교적 영역을 유지하려고 했던 무당 측 사이의 경쟁 관계가 형성되어 있었음을 주장한다. 근대 지식인들의 한국 무속 담론은 일반적으로 고대의 원형과 당대의 현상을 대비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전근대의 유교적 지식인들 또한 이와 유사한 레토릭을 제시하였다. 그들은 한편으로 고전 문헌에 나타나는 신령한 무당에 대한 기술을 존중하면서도, 당대 무당들과 그들에 대한 신앙을 통제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한 이념적, 실천적 모델이 된 것은 영웅적인 지방관이 토착세력과 유착한 무당들을 퇴치하였다는 서문표의 사례였다. 지방관의 성상파괴 서사 속에서 주목받은 것은 무당이 주도한 의례를 폐지한 지방관이 그로 인해 저주를 받았는지의 여부였다. 이것은 해당 상황에서 유자와 무당 가운데 누구의 종교적 권능이 더 우월한가를 평가하는 척도였다. 이 경쟁 관계에서 유자의 일방적인 우위를 주장하는 공식 담론과는 달리, 야사 전통에서는 오히려 무당 측의 승리에 대한 서술 또한 나타난다. 특히 친밀한 망자에 대한 접근권에 있어 무당의 우위는 두드러진다. 공식종교의 장에서 무속적 요소가 점진적으로 배제되었던 것과는 달리, 민속종교의 장에서 무속은 그 독자적인 영역을 유지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