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법의 해체와 회사법의 단행법화 등 분리입법에 관한 검토

        송호신 한양법학회 2024 漢陽法學 Vol.35 No.1

        The current Commercial Code is stipulated by grouping legal norm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Part 1, General Regulations of Commercial Law, Part 2, Company 3, Insurance 4, Sea, and Air Transport into on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mmercial Code. Each of these has a strong specificity, so a single principle governing the entire commercial law is not applied, and special legal principles in each field are governed and applied. At the time of the enactment of the Commercial Act in 1962, there was a claim of separate legislation that "the general rules of the Commercial Law and the provisions of the Commercial Law should be absorbed into the civil law, and the Company Law, Insurance Law, and Maritime Law should be enacted as separate laws, respectively," but separate legislation was not realized. Recently, the argument that the Commercial Code itself should be dismantled and legislated separately into the Company Law, Insurance Law, Maritime Law, and Air Transport Law is gaining strength. This is an argument that goes beyond separating the Civil Code and the Commercial Code, and that the Commercial Code itself is divided into several independent codes. The reason is that the Commercial Code have united disparate fields, and each of these part is subject to special court rules, so problems such as the establishment or conflict of relationships may arise when several part of the Commercial Act are grouped into one law. Each part of the Commercial Act is frequently revised according to the need for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and consistency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or legislation, which can affect each other within a single law code, resulting in inefficiency such as conflict or confusion of legal regulations and delaying legislation. It is reasonable to separate individual part and compile and legislate them into separate laws such as the Company Act, Insurance Act, Maritime Act, and Air Transport Act. The most active area of separate legislation is the area of corporate law, and the laws that are subject to separate legislation are not only companies, but also anonymous unions and joint ventures in the current commercial law, as part of partnership companies, and include them to be regulated together and the name shall be the corporate law. For corporations, a legal system shall be formed based o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principle within the corporate law. In public or listed companies, it is appropriate to prepare and legislate the Listed Stock Company Act separately. In the case of insuranc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legislate the current commercial law part 4 insurance part, namely Chapter 1 General Regulations and Chapter 2 Non-life Insurance Chapter 3 personal insurance, or to integrate various special insurance laws such as the current insurance business law and insurance supervision along with the provisions of the current commercial law part 4 insurance law. In the case of maritim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maritime part of Chapter 5 of the current Commercial Act, that is, Chapter 1 Marine Enterprise, Chapter 2 Transportation, and Charter Chapter 3 Maritime Risk, or to establish basic regulations on maritime transport in the current Commercial Act, and to make various individual special laws related to maritime based on international treaties. If all parts of the commercial law are dismantled and the corporate law, insurance law, maritime law, and air transport law are separated and independent, the remaining parts are the areas of the general rules of the commercial law and the commercial law. This part can be absorbed into the civil law, but rather, it is desirable to separate and independently make it the basic law of the commercial law. 행 상법전(商法典)의 편제는 제1편 상법총칙, 제2편 상행위, 제3편 회사, 제4편 보험, 제5편 해상 및 제6편 항공운송의 성격이 다른 법규범들이 상법이라는 법전의 틀 안에 하나로 묶어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편들은 각 편마다 특수성이 강하여 상법 전체를 규율하는 하나의 원리가 적용되지 않고, 편마다 각 분야의 특수한 법 원리가 지배⋅적용된다. 1962년 상법의 제정 당시에 “상법총칙과 상행위법 규정은 민법에 흡수시키고, 회사법⋅보험법⋅해상법을 각각 단행법으로 제정하자”는 분리입법의 주장이 있었으나, 단행법화는 실현되지 못하였다. 최근 상법전 자체를 해체하여 상법총칙⋅상행위편을 비롯하여 회사법⋅보험법⋅해상법⋅항공운송법으로 분리 입법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이는 민법전과 상법전을 분리하는 입장에서 더 나아가 상법전 자체도 여러 개의 독립된 법전으로 나누자고 하는 주장이다. 그 이유는 상법의 편들은 이질적인 분야를 하나로 묶어 놓았는데 이들 편들은 각각 특수한 법원리가 적용되고 있어, 상법 여러 편들이 하나의 법전으로 묶여 있을 때에는 그 관계의 설정이나 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법의 각 편들은 지속적인 경제발전과 사회의 여건 변화 및 국제적 환경이나 법제의 정합성이라는 필요에 따라 각각 빈번한 개정이 이루어지는데, 하나의 법전 내에서는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어, 법률규정의 충돌이나 혼동 등 비효율이 발생하고 입법이 지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별 편들을 분리하여 회사법⋅보험법⋅해상법⋅항공운송법 등의 단행법으로 편찬하여 나누어 입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본다. 분리입법의 움직임이 가장 활발한 분야는 회사법 영역인데, 단행법화되는 법률은 회사 뿐만 아니라 현행 상법 2편 상행위의 익명조합과 합자조합을 동업기업의 일환으로 파악하고 이를 포함하여 함께 규율하도록 하고 명칭을 기업법으로 하도록 한다. 또한 주식회사에 대해서는 기업법 내에 중소규모의 회사를 원칙으로 하는 법체계를 구성하도록 한다. 공개회사나 상장회사의 경우 상장주식회사법을 별도로 마련하여 입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 보험편의 경우, 현행 상법 제4편 보험 부분 즉 제1장 통칙과 제2장 손해보험 제3장 인보험을 그대로 분리하여 입법하거나, 현행 상법 제4편 보험법의 규정들과 함께 현행 보험업법 및 보험감독 등 각종 특수한 보험법들을 통합하여 단행법화하는 방안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해상편의 경우, 현행 상법 제5편 해상 부분 즉 제1장 해상기업과 제2장 운송과 용선 제3장 해상위험의 부분을 그대로 분리하여 단행법화하거나, 현행 상법의 상행위법에 해상운송에 대한 기본규정을 정하고, 나머지 해상법의 각 분야의 부분은 국제조약에 기초한 해상관련 각종 개별 특별법을 만드는 방안을 잘 따져보아 결정해야 할 것이다. 항공운송편의 경우, 분리입법하여 항공운송법이라는 단행법을 만들거나, 육상⋅해상⋅항공운송을 모두 규울하는 단일한 운송법을 입법하도록 하거나, 현행 항공사업법 내에 항공운송 규정을 삽입하는 등 다양한 방법의 분리입법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위의 모든 상법의 부분들이 해체되어 회사법⋅보험법⋅해상법⋅항공운송법 등이 분리⋅독립한다면, 남아 있는 부분은 상법총칙과 상행위법의 영역이다. 이 부분을 민법에 흡수시킬 수도 있지만...

      • KCI등재

        상법상 상인 및 상행위 규정에 관한 일고찰 -기본적 상행위를 둘러싼 입법을 중심으로-

        손영화 ( Young Hoa Son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1 상사판례연구 Vol.24 No.2

        The commercial law as a fundamental law applied to company life relations has the significance of existence in spite of a tendency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civil law and a tendency the merchant of the commoner. Commercial law revision makes ends meet in an IT technique and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commerce and a new commercial transaction in these days. The revision of the commercial law that surrounded the basic commercial transaction that made ends meet in 2010 reflects such an economic reality, and is going to protect the business person concerned by the transaction. A commercial transaction of the broadcast has solved by revision of the commercial law and the corporation law in Germany and Japan. In other words, it is settled by the method to select the merchant-related right or wrong as by presence or absence of necessity ``of a management organization equipped with for the method of the`` merchant in HGB Article 1 Clause 2 in Germany. In the corporation with broadcast as business, it is to a merchant unless a small personal merchant makes broadcast business. In the case of Japan, all corporations which ran the broadcasting which was not so-called basic commercial transaction came to treat the merchants as a merchant in corporation law. In the case of our country, the broadcasting to manage with the facilities of merchant or corporation form is seen merchant by commercial law conventionally. The right or wrong that an expert is a merchant becomes the problem. It is a common view in Japan and Germany as well as our country to deny merchant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expert like as a lawyer and a doctor. However, the opinion to have to accept merchant characteristics of the expert in Japan and Germany is insisted on as existence emphasis recently. The opinion particularly insist on that huge general hospital has a merchant characteristics. We must deny general merchant characteristics of the expert at the standpoints such as traditional public interest characteristics. But there is necessity to affirm the merchant characteristics exceptionally. It must be settled by a legislation. It is the direction where one background of the legislation in Japan and Germany extends a merchant concept for consumer protection by the business(called a commercial transaction or a civil affair business). In other words, if the protection necessity of the consumers who are the trading partner of an expert like as a doctor and the broadcast is big, we have to solve this necessity by revision of the commercial law. It is the direction where one background of the legislation in Japan and Germany extends a merchant concept for consumer protection by the business(called a commercial transaction or a civil affair business). In other words, if the protection necessity of the consumers who are the trading partner of an expert like as a doctor and the broadcast is big, we have to solve this necessity by revision of the commercial law. It seems to be a meaning than extending a merchant concept to non profit corporation to adopt the concept of the consumers in civil law. In addition, it is thought with what can be settled by a supplement legislation and the fair execution of the consumer basic law.

      • KCI등재

        중국 통일민법전 제정의 의의와 전망

        김준영,김인식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외법논집 Vol.40 No.2

        본 논문에서는 2014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통일민법전 제정논의와 그 쟁점을 고찰하고, 특히2015년 발표된 ‘민법총칙 초안’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여 민법전 제정에 대한 고민과 향후 입법과정을 전망하였다. 중국의 민사법은 논리적인 일관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입법되기 보다는 시대가 요구하는 실질적인 필요성에 따라 단행법이 차례로 제정되어서 오늘날 통일민법전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건국초기부터 통일민법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1954년, 1962년, 1979년, 2002년까지 네차례의 민법전 제정 시도가 있었고 다시 2014년부터 현재까지 민법전 제정 작업이 진행 중에 있다. 즉 각 민사 단행법을 유기적으로 통합한 체계적인 ‘통일민법전’의 제정을 입법자와 법학자들은작금의 최대 민사입법 과제로 삼고 있다. ‘통일민법전’ 입법의 첫 번째 단계인 ‘민법총칙(초안)’은 단순히 단행법으로 분산되어 있는 중국 민사법률을 통합하여 제정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민사 영역들에 대하여 법률적으로, 제도적으로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를 고민한 결과물이자 ‘시대정신’의 반영으로 평가된다. 즉 자연과환경의 보호, 장기나 정자 등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새로운 물(物)의 법률문제, 사이버 공간의민사법적 문제, 노령화시대의 새로운 의사능력 및 감호제도 등은 향후 인류가 마주하고 해결해야할 문제들 반영하고 있다. 한편 통일민법전 입법을 통하여 낙후되었던 법률문화를 선진화하고 경제규모와 국제적 위상에 상응하는 민사법제도를 확립하여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려는 의지를 엿볼수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 major issues of Unified Civil Law Code Draft which China is trying to legislate since 2014, and the prospects of the legislation process. Civil law in China was not legislated in logical consistency, but several special laws were legislated separately by practical needs. Even though China tried to legalize a ‘unified’ Civil Law in 1962, 1979 and in 2002, China doesn’t have a unified Civil Law system even until now. In 2014, China has been trying to legalize a unified Civil Law system again. Making general provisions of the Civil Code is the first step of legislating unified Civil Law. However, this is not just a combination of separated laws, but an organic integration of them. In this process, China is trying to resolve new problems of civil laws that surfaced; such as; resolving the conflict between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property rights, treating the intangible property rights, or institutionalizing organ donation or sperm donation and so on. Meanwhile, even though China has become a leading nation, its law system is still behind time. Through legalizing unified Civil Law system, China is also trying to upgrade its law-making system and legal environment.

      • KCI등재

        민사거래와 상사거래의 구별 및 적용법조의 판단기준

        김동훈(Kim, Dong-Hoo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1 No.2

        사법상의 거래와 관련하여 실무상으로도 자주 부딪히는 문제는 당해 거래가 민사거래인가 상사거래인가 또 그와 관련하여 민법상의 규정을 적용할 것인가 아니면 상법상의 특칙을 적용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법 중 특히 상행위법은 민법에 대한 특칙이라고 볼 수 있는데, 해당 거래가 이러한 특칙 적용의 대상이 되는가가 자주 쟁점이 되고 있다. 민법과 그 특칙으로서 상법이 스위스나 이탈리아 민법전처럼 하나의 법전안에 있는가 또는 많은 유럽법전에서와 같이 독자적인 법전으로 구분되어 있는가 하는 것은 생각보다 결정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닐 것이다. 민(民)에 대한 상(商)의 특성과 그에 따른 별도의 법적 취급의 필요성은 불가피한 일이며 실무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 보면 현재의 민법전 특히 독일법계 즉 판덱텐체계는 중세시대의 주석학파와 주해학파로 거슬러 올라가는 로마법의 연구에서 출발한 학문법이며 대학에서의 강의와 연구를 통해 체계화된 법이다. 이에 비해 상법의 제도들은 철저히 실무적 필요성에 입각하여 자생적으로 발전해온 것이며 19세기까지 이렇다할 학문적 체계화의 대상도 되지 아니하였다. 그리하여 철저히 자율적으로 발전해온 상법의 제도들이 19세기에 들어와 입법화되면서 민법과의 관계성 속에서 여러 특칙들이 마련되었다. 이 과정에서 상법적인 제도들은 민법의 규범적인 것들과 때로 충돌하기도 하고 또 유치권제도에서 보듯 서로 이질적인 것들이 관계성 속으로 자리잡기도 하였다. 판례를 분석해보면 형식적으로 당해 거래가 민사적 법률행위인가 아니면 상행위인가에 따라 정해지기 보다는 당해 거래가 상사적 특질을 갖고 있는가 또는 상사적 취급이 요청되는가라는 실질적 판단을 하고 있다. 본 글은 이러한 쟁점에 관한 다수의 판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그러한 판단기준을 개관해봄으로써 이에 관한 개별적 제도에 관한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표적 기준을 열거해보자면 상거래의 신속성, 거래안전의 확보, 당사자의 자율확대, 영리성의 보장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사적 특칙보다 민법의 일반규정의 원칙적 법리가 적용되어야 할 사안을 구별하는 것도 사법학에 주어진 중요한 과제이다. One of the legal issues in the private transactions is if the transaction has civil or commercial character and regulations of civil or commercial code is to be applied. Regulations of commercial code are mostly special rules to the ones of civil code. Formally there are two kinds of system on how to regulate of civil and commercial transactions. One is that like swiss or italian code civil and commercial regulations are ruled in one code(code unique) and the other is dual system, which means civil and commercial law have their own codes separately. But it has no decisive meaning and it is inevitable to treat differently civil and commercial trad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s. Historically the civil code originates from roman law which is received in the Middle Ages and researched in the universities. In contrast the commercial law has autonomically been developed by practical necessity and not dealt as a object of academic studies for a long time. These commercial ideas and institutions are legislated in the 19th century and it’s relation to civil law has emerged as a important legal issue. The analysis of cases reveals that the court has put stress on the judgement if the transac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transactions distinguished to civil ones, not the fact that the transactions is formally civil or commercial according to the codes. The important criteria are speed of trade, security of trade, enlargement of party autonomy, guarantee of profit etc. In addition we have to distinguish the cases which is to be dealt by principles of civil law rather than the special rules of commercial c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