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경비산업의 실효적 법개정 사안

        김태민 한국치안행정학회 2013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0 No.1

        민간경비산업은 미래 성장산업으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행정적으로도 협력치안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앞으로도 민간경비 영역은 더 넓어지고 다양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문적으로도 경호학 및 민간경비학이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방면에서 경비업관련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학계에서는 학문적 측면에서 민간경비 영역의 미시적이고 심층적 분석과 연구를, 업계에서는 민간경비산업의 발전과 아울러 기업의 이윤추구 측면과 산학연계형 연구들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각종 매스미디어에서는 노사분규현장 등에서 발생되고 있는 일명 ’용역깡패’라는 오명을 지적하고 있다. 민간경비산업을 규제하고 있는 「경비업법」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선진국형 민간경비산업의 제도화가 필요하고, 국민들이 실효성 있는 민간경비제도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민간경비산업을 규제하고 있는 「경비업법」 등에 대한 실효적 법개정 사안을 논의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실효적 법개정을 위해서 첫째, 실효성 있는 용어의 사용 및 현실화가 필요하다. 최우선적으로는 「(민영)보안산업법」 등과 같이 법제명 수정이 요구되고, 동법에 따라 사용되는 명칭을 보안요원(관), 보안안전지도사 등으로의 개정이 뒤따라야 한다. 둘째, 관련 법률의 통합이 필요하다.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의 통합을 추진하고, 「주택법」의 직영경비원도 흡수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경비업법」의 내용적 개정이 요구된다. 민간조사업 등과 같은 경비업무의 확대, 공인자격 제도 도입과 정착을 통한 전문화, 경비원에게 권한 부여, 기타 현실에 맞는 법규정의 수정보완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부차원의 규제정책 방향도 재고해야 한다. 규제정책은 강화차원으로 변모되어야 하고, 허가요건도 강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학․관 민간경비협의체의 구성을 통해 상호협력시스템을 체계화해야 할 것이다.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is receiving the attention of the world as a future growth industry. As the need and importance of cooperative public order are increasing, it seems that the area of private security will be widened and diversified in the future. In addition, security science and private security science are being deeply studied. However, the problems related to private security industry have been indicated continuously in various fields. The academy requests private security industry to propose microscopic, in-depth analysis and study from the aspect of science and industry requests private security industry to propose the study related to profit search and connection between industry and school as private security industry develops. Various mass media indicate the dishonor called 'gang' appearing in the field of labor dispute.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e problem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Act」 regulating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of advanced country type and national people request effective private security syst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ffective law revision issues like 「Private Security Industry Act」 regulating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For effective law revision, first, it is necessary to use and realize the effective term. First of all, the law name like 「Security Industry Act」 and the names like sheriff and security safety guide should be used according to the revised law nam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olidate related laws.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unification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Act」and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ct」 and search for the method to adopt the guard of 「Housing Act」. Third,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context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Act」.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works of guard as in private investigation industry, search for specialization through qualification adoption and settlement, grant power to guard and modify & reinforce the law practically. Government should reconsider the direction of regulatory policy. Regulatory policy should be reinforced and permission condition should be also reinforc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mutual cooperation system by organizing the private security consortium among industry, school and government.

      • KCI등재

        민간조사(탐정)제도의 도입방향- 경비업법 개정을 중심으로 -

        이상원 한국경호경비학회 2008 시큐리티연구 Vol.- No.17

        민간조사제도는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는 심부름센터, 흥신소 등의 기능을 대체하고 경찰기관 등 형사사법 기능을 보완하여 국민의 법률서비스의 길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민간조사관들의 실질적인 활동과정에서 시민의 사생활 침해의 가능성을 지닌 것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민간 경비의 한 분야에 속하는 민간 조사는 선진국에서는 경찰 및 민간 경비의 성장과 함께 발전해 왔으며 우리나라를 제외한 OECD 가입국에서는 민관조사와 관련된 법규를 제정하여 민간조사 제도를 발전시켜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민간조사법 제정을 위한 여러번의 노력이 있었지만 여러사정으로 민간조사제도가 시행되지 못했다. 2008년 9월에 제출된 이인기 의원의 경비업법 개정안은 국민들이 사실관계 조사가 필요하더라도 전문성과 시간적 제약으로 본인들이 할 수 없기 때문에 국가에서 전문자격을 취득한 민간조사관에게 사실 조사서비스를 맡겨 서 사생활 침해도 방지하고 영업의 적정성도 도모하고 민간조사업을 건전하게 육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본 연구는 국회에 제출된 경비업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바람직한 경비업법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법안의 문제점과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보완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민간조사제도가 도입되길 희망하면서 민간조사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국민, 학계, 관련기관의 공동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which is part of private security has developed together with police, and OECD countries except South Korea has developed the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establishing by the Private Investigation ACT.In Korea, there was several attempt to establish the Private Investigation ACT but it was not accomplished because of private security circumstances.In this study, the chapter Ⅰis introduction, theoretical background is in chapterⅡ, chapter Ⅲ is the operation of private investigation of the developed countries, analysis and direction of the Private Investigation ACT in chapter Ⅳ, and conclusion in chapter Ⅴ.To introduce the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it is required to discover the problem of the Private Investigation ACT mentioned in this article and to develop the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by collecting the opnion of citizen, academic world, and the related agency. It is necessary to associated interest and effort of citizen, academic world, and the related agency for introdection of the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 KCI등재후보

        민간경비의 윤리에 관한 연구

        류채형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1 경찰학논총 Vol.6 No.2

        21세기를 윤리의 시대라고 지칭할 만큼 사회의 각 분야뿐만 아니라 국제적 차원에서도 윤리인프라의 구축이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민간경비의 경우 업무의 공공성, 민간경비 시장 및 역할의 확대, 시민의 기대수준 향상 등의 이유로 민간경비의 윤리성 문제는 일반적으로 민간 직업인에게 기대되어지는 것 보다 더욱 높은 수준의 윤리성이 요구되어 진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민간경비 윤리의 공공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합법적·합목적적·직업적 전문가 관점에서의 민간경비 윤리의식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병원의 노동쟁의과정에서 민간경비에 의해 자행된 폭력사건의 사례에 대해 당시 양측의 원인관계를 분석하고 민간경비의 비윤리적 행태 분석을 통해 오늘날 민간경비의 윤리에 대한 제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비업법 제3조와 제5조에 명시된 허가 및 결격사유에 대한 규정을 민간경비업자 및 민간경비원이 종사자로서의 기본적 윤리성을 판단할 수 있는 세부적 심사내용을 신설하여 보다 엄격하게 규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경비업법의 악용을 방지하기 위해 노동쟁의 현장에서의 경비업법 적용 범위를 보다 확대시켜야 하며, 제29조의 형의 가중처벌에 대해서도 특수경비원 뿐만 아니라 일반민간 경비원들에 대하여도 가중 처벌하는 내용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업 자체적인 노력도 물론 중요하지만, 거시적인 차원에서 경비협회 등을 통해 윤리강령을 제정하여 공식적으로 윤리강령에 대한 공동선언식과 같은 행사를 통해 민간경비원 스스로 윤리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더욱 다양하고 전문화된 서비스에 대한 시민의 요구를 적극 수렴하여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이미지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전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민간경비업이 단순노무직이 아닌 전문 직업인으로서 거듭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심리적 안정 확보를 통한 민간경비산업의 발전방안

        한상암(Han, Sang Am),황정훈(Hwang Jung Hoon),박한호(Park, Han Ho) 한국민간경비학회 201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1

        민간경비 산업의 수단이 인력을 기반으로 한 형태에서 감지센서와 CCTV 등의 기계경비로 변화함에 따라 적은 인력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감시할 수 있게 되었고, 기계경비를 통한 인건비의 절약은 이윤을 추구하는 민간경비산업에서 전략적인 수단이 된지 오래다. 또한 기계경비와 관련한 보안시장의 확대와 기술의 발달은 손익분기점을 더욱더 낮춤에 따라 사업자의 입장에선 값싼 경비재화로 가입자를 유치시킬수 있어 민간경비산업을 성장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한편, 치안 재화와 관련하여 물리적 서비스에 치중한 공경비가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패러다임을 선택하였다. 이는 공경비 마저도 물리적치안서비스제공뿐 아니라 시민들에게 만족감을 제공하고자하는 것에 기인한다. 민간경비의 경우에서도 물리적 경비활동의 제공이 생명, 신체, 재산의 보호를 책임지지만 고용주에게 생명, 신체, 재산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진 못하였다. 이러한 원인은 경비업체가 담당하는 경비활동만으로 모든 침해를 감당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통적인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계경비의 일반화에 따른 악의적인 해킹의 위험성과 경비대상에 대한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경비만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안정감을 형성하는 경비활동으로 물리적, 정신적 만족감을 제공하는 경비활동을 제시함으로써 민간경비 산업의 고객지향적 체제를 구축하는데 본 연구에 취지가 있으며, 이를 위해 융합적 경비시스템의 활성과 경비주체와 객체간의 상호정보의 교류, 공동치안책임의 형성과 인력을 활용한 대응체제 등을 제시하여 민간경비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Tools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based in manned security has been changed to machine-aided guard such as sensors and CCTV so that only few labor was able to overlook a wide area, Also expense of labor-saving through using machine-aided guard became the profit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long been a strategic method. In addition, expenses associated with mechanical security service industries's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more and more lowered the break-even point. So with this cheap guard goods, operators are able to attract subscribers and it played a large role to grow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Meanwhile, the public guard in connection with a security of goods attaching too much importance to the physical Service has chosen paradigm of community policing. Even public guard as well as providing physical security services want to provide the satisfaction to the citizens. The activities of private security guards responsible for providing a life, body and the protection of property. However, they couldn't offer employer's peace of mind for life, health and wealth. For this reason, the security company responsible for the security activities can not afford every infringement all alone. As well as it only provides electronic security systems that is used in a common generalization of the risk of the malicious hacking and expense of physical security on the targ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customer-oriented system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to by forming a peace of mind and security activities to provide physic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for this we looked for the ways to present the development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such as active fusion security syste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using security personnel responsible for the4) formation of a joint response system.

      • KCI등재후보

        근대 이전의 한국 민간경비제도 고찰

        김우준(Kim, Woo Ju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의 조사ㆍ분석을 통하여 고대 연맹국가시대,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1863년 이전)라는 시대적 구분을 기준으로 각 시기별로 주요한 민간경비제도들을 소개하고그 특징점을 분석ㆍ정리하였다. 고조선의 위만이 거느린 유이민 세력과 부족민, 하호, 노비의 활동에서 고대 연맹국가시대의 민간경비 활동상을 추론할 수 있었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신라, 백제에서 공통적으로 귀족이 보유한 사병적 경비조직이 신변경호, 시설경비 등의 기능을 수행했음이 확인되었다. 통일신라기에는 장보고가 이끈 청해진세력은 보안산업의 기능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었고, 신라 하대에는 각 지방의 호족들이 사병을 보유하여 경비를 담당하였고, 지역의 호부층과 농민이 중심이 된 향촌의 자위조직이 형성되어 자율방범활동을 펼친 기록도 있다. 고려시대에는 무신집권기의 사설 경비 기구라 할 수 있는 도방, 가병, 마별초 등이 민간경비 기능을 수행하였으며, 고려말 조선초의 시기에 귀족ㆍ권력가 집단이 보유한 사병 집단은 왕조 교체의 주된 배경이 될 정도였다고 분석된다. 조선시대 초기에도 왕족 및 귀족이 사병을 보유하여 자경활동을 하였으며, 계유정란 등 정치사적 주요 사건에도 권세가의 사병ㆍ경비집단이 관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타 영조대의 꼭지단이나 흥선대원군이 부렸던 무력 집단에 관한 사료에서 조선시대에도 여러 형태의 민간경비 내지 사적 경비집단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의 설명이나 주장은 대부분 추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추후 후속 연구를 통하여 정밀하고 철저한 고증을 거쳐서 확인해 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으나, 많은 역사적 스펙트럼 속에서 민간경비사적으로 의미있는 사료들을 발췌ㆍ고증하여 후속 연구의 편의를 도모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considering about korean private security systems in pre-modern era; Go Joseon(old Joseon) period, Three kingdoms period, Koryo period, early Joseon period. In the Go Joseon(old Joseon) period, drifting people group led by Wiman could considered as a kind of private security group. And lower class people or slaves took a role as private security resources. It could be ascertained that private army group possessed by aristocrats performed as private security resources in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Chang pogo established Cheonghaejin(quasi-private naval base) on Wando Island and swept the pirates from the seas and led the overseas trade of East Asia Sea. In the late of unified Silla period, local aristocrats, the riches and peasants had a neighborhood crime prevention guard organizations as vigilante corps. In the Koryo dynasty military official administration, special organizations(for instance, Dobang, Mabyoulcho, Choi’s House troops) performed as a role of private security group. From late Koryo to early Joseon, private army group possessed by aristocrats contributed to open new dynasty(Joseon) era. In the Joseon period, some royal families and aristocrats possessed their own private army groups and held vigilance activities. Records of some critical political events like the Kaeyou-Jungran(a coup d’etat in 1453) testified that some royal families and aristocrats possessed their own private army groups. Focusing on historical scientific deduction, documentary researching method and domestic review of advanced research could be mentioned as limitations or flaws, but it has academic contributions and meaningfulness considering to construct the base of future studies, despite lack of related research.

      • KCI등재

        한국 민간경비 실태분석을 통한 운영체제 발전방안

        이강문(Lee, Kang Moon),송영남(Song, Young Nam) 한국민간경비학회 201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1

        국민의 치안요구가 증가하면서 민간경비업체가 성행하고 있지만, 일부 대형 경비업체를 제외하고 상당수 경비업체가 영세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일부업체는 불법행위도 저지르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민간경비 산업의 역할 증대의 필요성 및 사회학적 배경에서의 범죄의 다양화는 물질적 풍요를 통한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시민안전에 대한 위협도 상대적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가족의 해체현상, 생활수준의 계층화, 노사갈등, 체제불만 등으로 오히려 사회 범죄는 증폭으로 나타났다. 치안 사각지대의 확대로 인하여 민간경비제도를 현실에 맞게 개선 발전시켜 나갈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 하게 되었으며, 특히 개인적 법익 중 생명과 신체에 대한 안전 욕구는 더욱 증가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국민의 치안요구가 증가하면서 민간경비업체가 성행하고 있지만 일부 대형 경비업체를 제외하고 상당수 경비업체가 영세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일부업체는 불법행위도 저지르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치안서비스에 있어 경찰의 한계와, 국민의 요구(Needs)및 바람(Wants)을 충족시켜주기 위해 한국 민간경비산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제도와 운영상 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한국 민간경비산업의 발전에 대하여 고찰하여 제도적 장치를 마련함으로서 현 실정에 맞는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법•제도적 측면에서 민간 경비업에 대한 진입장벽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를 위해 경비업자의 허가 및 자격기준을 강화하여야 한다. 또한 경비업무를 현실에 맞게 그 유형과 직무를 구체화하여야 한다. 둘째, 업무 운영적 측면에서 민간경비원 채용에 있어서 선발 및 자격기준, 교육 등 전반적인 실무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 인재 활용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훈련 측면에서 경비원 신임교육에 있어서 현실적인 시간과 실무중심의 교육과목이 배정되어야 하며, 위기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질적 발전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직무교육에 있어서는 업계의 현실을 반영하여 경비업자가 아닌 전문 교육기관에서 연중 정기적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제도적 보완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경비지도사 교육에 있어서도 경비원 교육 담당자에 합당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보수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치안환경적 측면에 있어서 공경비인 경찰과의 협력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상호 수평적•보완적 관계가 정립되도록 민간경비 자체 질적 향상이 이루어져야 하고, 민간경비에 대한 경찰의 시각적 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any problems related to the private security in Korea emerges in company with its growth. Hidden behind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of private security in Korea are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which should be solv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original example of private security system. In these contexts,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development measures of private security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e development ways that make up for the imperfection of current private security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achieved that Legal Criteria is to be improved and the measure plan that can secure security company founder's work ethics should be suggested. Second, the supervision system is to be done in quality for the purpose of the permission for security business. The supervision department in the police should be operated efficiently by being expanded and in the long term, the independent agency to cover administrative duties related to the private security should be founded. Third, the education system for private security personnels and security counsellors should be actualized and the specialized and practical training should be given to them. Fourth, the Expert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enforced to test private security personnels' ability, qualification, and work ethics. Fifth, it is necessary to break down Cut-Throat Competition and petty business. So Company Ranking System and Standard Pric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nd the function of Korea Security Association is to be reinforced. Finally, the measures of cooperation between private security and police should be proposed, which will be achieved through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private security itself.

      • KCI등재후보

        민간경비원의 법적 지위와 형사책임의 범위

        김준성(Kim, Jun Su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1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1

        21C가 시작된 오늘날, 민간경비분야는 유망한 인력산업으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2001년 민간경비업의 업무영역에 특수경비업무를 추가한 「경비업법」의 개정은 민간경비분야의 발전을 더욱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제 민간경비업은 예전의 단순한 인력경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국가의 중추 인력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많은 인력들이 민간경비분야에 종사를 하고 있으며, 실제로 민간경비원들은 공경비(경찰)의 사각지대에서 직·간접적으로 방범 및 치안유지에도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민간경비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높지 않은 편이다. 또한 실무상 민간경비원의 권한 등도 일반인과 큰 차이가 없는 정도에 불과하다. 사실 일선 현장에서 공경비(경찰)의 사각을 커버하는 민간경 비원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민간경비원의 업무상 권한과 지위는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공경비와 사경비이 협력경비체제 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에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법적 지위와 업무상의 권한 및 형사상의 책임범위를 검토하여 민간경비원의 법적 지위와 권한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측면에서 입법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는 민간경비원의 사기진작뿐만 아니라 거시적 차원에서의 국가 경쟁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경비업법 제7조의 규정에 “단, 경비업자는 경찰과의 방범 및 치안협력활동을 위한 경우에 한하여 준경찰관(準警察官)에 해당하는 정도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라는 자구를 추가하는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of twenty first century, private security fields take center stage as labor forces. Especially, 「Security Industry Act」 that was revised and made the special security tasks subjoined to the private security sectors in 2001 seems to cause the private security fields to be developed more than before. Nowadays, the private security sectors don't means simple manpower, but play a pivotal role as the labor forces in the nation. It is certain that so many people work in the private security sectors and the private security personnel work on positive lines for maintenance of the public order or crime prevention in the dead zone of the police so called public security directly or indirectly.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 private security personnel, however, is not quite high nowadays and the authority of them is almost as same as that of citizens. Even though private security se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ad zone of the police, the authority and the social status of private security personnel are not guaranteed in the nation. That could causes the cooperation between the private security and the public security to be hindered and national development to be impeded. In this study, I would try to reconsider the legal status of private security personnel and the scope of their penal responsibilities and find a way for legislational measure to improve their legal status and social authority. I also believe that this study can help increase the moral of private security personnel and the national competition in macroscopic level. In its final analysis, I suggest that the article seventh of Security Industry Act should be revised and added to private security personnel's measures to save themselves.

      • KCI등재

        민간경비원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상원(Lee Sang W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0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9 No.-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간경비가 급속하게 성장함으로 인해 정부기능이 지속적으로 이양되고 있으며, 앞으로 민간경비의 영역은 넓어지리라고 예상된다. 그러나 민간경비산업의 양적 성장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질적 성장일 것이다. 민간경비가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민간경비근무자들이 전문가로서 활동 할 수 있도록 전문교육을 시키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경비근무자의 교육훈련 실태를 분석해보고 바람직한 교육훈련Program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개선된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는 한국의 교육훈련제도를 분석, 미국, 호주, 일본 등 선진국의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를 참고로 하여 현장업무에서 필요한 실무위주의 과목과 이론 과목을 접목하여, 일반신임 경비원 교육훈련은 13과목에 30~33시간을 제시하고, 특수경비원 교육훈련은 24과목에 95시간을 제시하였다. 이외에 민간경비교육훈련의 개선방향으로 경비협회부설 한국시큐리티 아카데미의 설립과 통일된 교재에 의한 체계적 교육훈련의 필요성, 1개 강의실 당 30~35인의 교육생 수용에 의한 교육훈련의 효율성 제고, 전문 시큐리티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To obtain a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for private security, the private officer should have professional training.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resent resonable training program by analysing private security officer training system. To present improved training program, the author analysed Korean security training system with considering of American's, Australia's and Japan's. In this study, the chapterⅠ is introduction, theoretical background is in chapterⅡ, chapterⅢ is training system in other countries, problem of current training program and its development is in the chapterⅣ, and conclusion is in chapterⅤ.

      • KCI등재

        민간경비원의 셀프리더십과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주상(Park, Ju Sa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11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8 No.-

        한국의 민간경비 산업은 짧은 역사에 비하여 양적 성장과 외형이 괄목할 만큼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21세기 유망 산업이라는 민간경비업의 외형적 성장 이면의 실체를 살펴보면, 몇몇 업체를 제외한 영세성, 업체간의 과다경쟁, 인적자원의 자질 문제, 높은 이직률 등의 질적문제가 내재되어 있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최근 민간경비 산업의 환경은 서로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이렇게 심화 된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객이 만족할 수 있고, 또한 다시 선택할 수 있는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민간경비 산업의 양적 발전과 함께 질적인 발전도 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고객지향적인 마케팅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민간경비원에 대해 경영학이나 마케팅 영역에서 논의되고 있는 고객지향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문헌적 연구를 통해 셀프리더십과 감정노동의 고객지향성에 대한 영향 관계를 파악함으로서 민간경비원의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키고, 잠정적으로 고객만족과 서비스 향상에 기여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 민간경비원의 고객지향성의 평균은 4.86(7점 척도)으로 중간 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 직종의 고객지향성에 대한 연구와 비슷한 수치이나 아직까지 민간경비 분야에 대한 고객 지향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라 이 연구결과만으로 논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내면감정노동의 평균은 4.79로 앞서 언급한 타 직종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민간경비원의 고객지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41), 민간경비원이 관련 부서에서 근무한 총경력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β=.25), 마지막으로 셀프리더십의 평균은 3.51로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도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4).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security guard's customer orientation by recognizing the security guard's customer orienta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and to improve the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the customer satisfaction by meeting the customers needs from their perspective. Among randomly selected 250 security guards who were working in priveate security enterprise in Seould and were consent with this experiment, the target was set as 218 security guards who submitted their questionair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form of questionnaire from July 22nd to August 6th, 2011. As the research tool, this study used some tools to measure the customer orientation, the self-leadership, and the emotional labo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dow 18,0 according to this study's purpos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curity guard's customer orientation was 4.86 point in average, and for the relevant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self-leadership was 3.51 point, the expressive emotional labor of 4.19 point, the internal emotional labor of 4.79 point. Second, As the result co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ecurity guard's customer orientation and relevant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customer orientation had positive corelation with the factors of self-leadership, the whole carrier period, the internal emotional labor(r=.44-.60, p<.001). Third, For influential factors on the security guard's customer orientation, the internal emotional labor was the highest influential(β=.41), and followed the carrier period(β=.25), and then the self-leadership(β=.24). So the security guard's customer orientation could be explained as 36%.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elf-leadership, the inner emotional laber, the whole career were directly influential factors on the security guard's customer orientation. Tha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security guard's customer orientation.

      • KCI등재후보

        대구세계육상선수권 대회의 안전활동에 대한 경찰과 민간경비의 인식분석

        박영주(Park, Young Ju) 한국민간경비학회 201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1

        국제행사의 개최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크기 때문에 많은 국가들은 국제행사를 개최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국제행사의 개최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시민과 행사참여자가 서로 불편함이 없이 안전하고 성공적인 국제행사를 치루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구세계육상선수권 대회의 질서유지업무에 직접 참여한 경찰과 민간경비를 대상으로 안전영역과 질서영역 그리고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평가결과 경찰과 민간경비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안전성, 질서의식, 서비스 등의 측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보통이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안전측면에 있어서 경찰은 경찰주도의 안전관리가 이루어 졌다고 인식하였으며, 민간경비는 민간경비주도의 안전관리가 이루어졌다고 인식하고 있어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시민응대의 친절성에 있어서도 경찰은 경찰집단이 시민응대에 친절하였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민간경비보다 높았으며, 민간경비는 민간경비가 시민응대에 친절하였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경찰보다 높았다. 이번 대구세계육상선수권 대회는 경찰과 민간경비가 함께 안전활동에 참여한 최초의 국제대회로 앞으로 수익자부담의 원칙에 의해 민간 경비의 참여가 활성화될 것이란 점을 고려한다면 경찰과 민간경비의 안전, 질서, 서비스 활동에 관해 집단별 인식을 평가한 이 연구는 민간경비에 과제를 부여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즉, 민간경비는 공기관에서 경호경비에 관하여 믿고 담당할 수 있다는 신뢰를 주어야 할 것이기에 안전활동과 관련한 체계적 교육을 실시와 더불어 보다 친절하게 시민에게 다가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Since there are so many economic effects by hosting the international events, many countries want to hold international events.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holding the international event is that the safety of attendants at the event and the public. So this study's purpose is to evaluate the IAAF world championships in Daegu and to investigate the notion of police officers and private security guards who participated in and work the IAAF world championships in Daegu about the safety, order and providing services. When it comes to the study, the consciousness of the safety, order and providing services is more than normal the two groups and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police officer group and private security group. In the part of the safety, the police officers thought that the police were intensively responsible for the safety management, however the private security guard thought that they were intensively responsible for the safety management. Also, the kindness to the public, the police officer grub thought that they are more kind to the public than private security guards on the other hand, the private security group thought oppositely. The IAAF world championships in Daegu is the first international event that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took part in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game. So This study suggest followings. first the private security try to earn the police's trust about their role. second, the police and the private security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a part of education and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