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적 형식주의와 심리적 내재론

        신현주 ( Hyun Joo Shin ) 한국미학회 2013 美學 Vol.75 No.-

        심리철학에서 섬리적 내재론은 한 심적 상태의 내용이 전직으로 그 심적 상태의 소유자가 지닌 본래적 속성이나 그의 내부에서 발생한 사건 및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심리적 내재론의 등장과 함께 그것이 데카르트 이후의 지식, 언어, 심성에 관한 주요 이론들을 어떻게 지지해 왔으며 또 심리적 내재론에 바탕을 둔 이론들이 어떤 특징 및 장단점을 지니는가를 고찰하는 비판적 재구성 작업이 전개되었는데, 필자는 그러한 작업이 미학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미학 이론들 중 미적 형식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미적 형식주의는 ‘이차적 미적 지각(판단)’과 ‘일차적 미적 지각’이라는 두 종류의 심적 상태들 사이의 의존 관계에 대해 심리적 내재론의 전제를 가정하고 있음을 보이고, 더 나아가 형식주의의 규범적 주장은 문제 의 심리적 내재론걱 전제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형식주의가 미적 지각(판단)에 대한 내재론적 견해라면 그에 대비되는 외재론적 견해가 있을 것이다. 이에 필자는 그 견해의 모습을 간략히 설명한 후 미적 지각(판단)을 더 잘 설명하는 이론이 내재론인가 외재론인가에 대한 연구는 심리철학에서 활발히 진행 중인 심리적 외재론의 적용 범위에 대한 논쟁에 중용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one of the assumptions crucially operative ill aesthetic formalism is psychologically internalistic in character. Psychological internalism views that the content of an individual``s mental state is determined entirely by the intrinsic or internal properties of the individual. The debate between psychological internalism and externalism since the 1970s helps many philosophers realize that psychological intemalism is the basis of major theories of knowledge, language, and mind etc., and also that it shapes their characrensrics, merits and demerits. 1 believe that this project of ``critical reconsrtuction`` of past theories can be productively pursued in aesthetics as well, and rhus focus on aesthetic formalism with the intention of showing rhar it is based on psychological inrernalisrn. Aesthetic formalism argue.<; that what are aesthetically relevant in judging a work of an aesthetically are formal qualities of the work, and the assumption 1 find in the rheory holds that an individual``s ``aesthetic judgmem`` is the kind of judgement which is entirely dependent upon the phenomenal properties of the individual``s perceptual experience of formal qualities. 1 argue that this is an assump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orts of mental states, and since it claims that the content of an aesthetic judgment is entirely determined by the inrrinsic property of rhe individual. to be precise, the so-called qualia of the individual`s perceptual experience of formal qualities, it is committed to psychological internalism.

      • KCI등재
      • 비평의 예술과 교육적 기능 : 1930년대 김환태 비평을 중심으로

        박미령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3 No.-

        본 연구는 1930년대 한국의 비평가, 김환태를 중심으로 비평의 예술과 비평의 교육적 기능이 ‘언어’와 ‘자국어’의 표현과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다.김환태를 중심으로 박용철, 박영희, 윤기정, 김문집 등의 비평은 일제하의 문단에 “세계 설명”이라는 자각을 하게 하였다. 비평은 곧 예술로서 인간성의 성숙과 세계관을 넓히는 데 박차를 가하였던 것이다. 특히 이데올로기적 표현중심의 KAPF의 경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순수문학의 금자탑을 세운 것은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전거로 주목하고 있는 사실이다.순수문학은 새로운 세계를 설명하고 수용할 것을 전제한다. 새로운 세계로 열려있는 지평에서 ‘자국어’에 대한 관심과 예술적 표현에 무게를 두고 영원불멸한 가치를 창조하기 때문에 자연과 인간 세계, 그리고 인간 관계의 창조를 주장한다. 이는 성리학적 측면에서 통섭의 원리를 원용하고 있는 것이다. 김환태는 참신한 비평적 국면을 설정하여 순수문학의 기치를 확고히 하였다. 특히 인상주의 비평과 유미주의(예술지상주의) 비평, 그리고 형태주의 비평을 통하여 ‘열정’, ‘관조’, ‘공감적’, ‘미적 태도’, ‘미적 경험’, ‘변별력 있는 주목’, ‘활동’ 등을 성리학Neo-Confucianism적 바탕에서 수용하여 조화를 이루고 있는 비평의식을 정립하고 실천하였다.비평은 성숙된 개성의 발견, 즐거움과 쾌락의 전달, 공감적 감각을 실생활의 변화를 가져다 주는 것임을 감안할 때, 비평은 그 시대의 ‘성숙된 인간성의 창조’, ‘열정과 즐거움의 공간 창조’, ‘실생활의 질적 변화와 창조’라는 교육적 기능을 함축하고 있는 장르임을 알 수 있다.1930년대 김환태의 비평은 순수문학의 터전을 바탕으로 인상주의와 예술지상주의, 형태주의의 요소를 수용하여 그 시대와 사회에 교육적 기능을 발휘하였다. 특히 당대의 비평의식에 미적 태도, 미적 경험, 열정, 관조 등에 대해 주목하고 세계관의 설정과 주관의 성숙을 논구함은 성리학의 이원적 요인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비평의 교육적 요건은 시대와 민족, 그리고 제반 환경의 교육적 기능을 자각하고 실천한 것으로 현재 우리의 교육 현장에 되살려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how the criticism and its educational function have influence on the expression and development of ‘language’ and ‘native language’ focusing on a Korean critic, Kim Hwan-Tae's critiques in 1930's.The critiques of Kim, Hwan-Tae along with Park, Yong-Cheol, Park Young-Hee, Yoon, Gi-Jeong and Kim, Moon-Jip have come to realize “the explanation of the world” under the Japanese literary world. His critiques put spurs to the maturity of humanity and the expansion of the world perspective. The particular point is that his critiques erected a monument of the pure literature which understands and accommodates a new world away from the tendency of KAPF focused on the ideological expressions, which is an important refere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The pure literature is based on the presumption that it explains and accommodates a new world. Opening a prospect to the new world, it has interests in ‘the native language’ and puts more weight on the artistic expression and creates a permanent value. That's the reason it insists on creating the nature, the humankind, and the human relations. It claims the principle of convergence from the aspect of neo- Confucianism. Kim Hwan-Tae established the banner of the pure literary by taking a new, critical attitude. In particular, he founded a harmonized sense of criticism by accepting enthusiasm, contemplation, sympathetic and aesthetic attitude, aesthetic experiences, discriminating attention, and some activities on the basis of Neo-Confucianism through Impressionism criticism, Aestheticism criticism, and Formalism criticism.Considering the fact that criticism brings the discovery of mature personality, the delivery of joy and pleasure, and the change of real life by sympathetic senses, it is a genre that implies some pedagogical functions ; the creation of mature humanity, the creation of space for passion and pleasure, and the qualitative change and creation of real life.The criticism of Kim Hwan-Tae demonstrated the educational functions by accepting the elements of Impressionism, Aestheticism, and Formalism with the view of Neo-Confucianism. It was also based on the grounds of Korean pure literature in 1930's. In particular, the attention of aesthetic attitude and experiences, enthusiasm, contemplation in the era's sense of criticism and the in-depth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world perspective and the maturity of the subjectivity have kept with the dualistic characters of the Neo-Confucianism. This thesis has realized and practised the pedagogical function of criticism and should be revived in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자연과 환경 교육으로서의 미술 - 미술교육과정상의 문제점 분석 및 해결을 위한 이론적 고찰 -

        김창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6 No.-

        The ultimate purpose of school education is to satisfy the need both in each person and society. Ecological crisis is one of the urgent issues over the world. The elementary school in South Korea has not properly handled on this global issue through art education even though there has been a rapidly growing concern on the issue in it's society. This trouble has been related with the following facts. First, the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in art education which related to nature and environment are centered on a view of anthropocentric nature. Second, the concept of art as educational means for understanding of beauty in nature and environment is based upon formalism in aesthetics. Third, a view of anthropocentric nature also has been influencing on learning and teaching in art education. Epistemology we have on nature broadly includes anthropocentric view of nature and ecological view of nature. In the anthropocentric view of nature the criteria fo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nature in the world is centered on human's need. And the purposes of art education in this view of nature focus on how to understand nature as useful sources for human life, on how to use them properly, and on developing the attitude to conserve and take care of them. Instead, in ecological view of nature, the criteria fo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nature in the world is based upon the relationships among things in nature. And human being is considered as one of things in nature. Art educational approaches to nature focus on understanding of things in nature as living organism, on seeing nature not as materials and means for human's need but as beings like friends of human, and on developing the attitudes to keep the relationships with those friends. Formalism in aesthetics deals with characteristics of external shape of things only focusing on graphic elements such as lines and colors and their compositional relationships. Inner contexts to the thing are totally excluded. Therefore understanding of nature in art education in this aesthetics do not deal with internal understanding of nature. Environment aesthetics deals with external and internal understanding of things focusing on their relation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ecological view of nature. Along with these, the fact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which affect the practice of art education for nature are creativity-centered art practices, the effects of modernistic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changing environment for school art education by the ongoing development in modern science and rapid economy. In spite of all obstacles mentioned above, problems could be lessened by school teachers' efforts to develope their understanding in theoretical knowledge on epistemology, aesthetic approaches to nature, and school environments, which related with art and education. 21세기가 직면한 인간 삶의 가장 거대한 문제는 지구 환경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인간 사회의 문제는 교육에서의 역할 분담을 요구하여 왔다. 그러나 현재의 초등미술교육은 이러한 역할의 적절한 수행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초등미술교과의 자연과 환경교육은 형식적이고 비효율적인 교육 논리와 방법, 그리고 반 생태적 교육 환경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미술교과 교재와 교육실천에 관련한 제 환경과 같은 미술교육과정에서의 문제와 자연, 인간, 그리고 미술교육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문제점, 그리고 실천과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는 자연에 대한 생태중심의 시각에서, 자연과 환경에 대한 미술교육과정과 미술교육활동과 관련한 제 환경적 요인들이 자연과 환경의 이해와 실천에 미치는 문제점에 대한 고찰에 그 초점을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