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남녀 통합 컬렉션에 나타난 모호성의 미적 특성 - 2016 FW~2019 FW 버버리, 발렌시아가, 구찌 컬렉션을 중심으로 -

        김진형,김영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1

        패션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욕망을 담아내고자 하는 미적 도구로서 개인과 사회가 관심을 가지고 추구하 는 가치를 알아낼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다원화된 현대 패션의 변화 중 하나인 남녀 통합 컬렉션 의 진행은 동시대의 미적 가치를 담아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석은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난 해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해석을 위한 방법으로 포스트모더니즘과 모호성 이론을 도입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런던, 파리, 밀라노 컬렉션을 대표하면서 변화를 이끌어가고 있는 버버리, 발렌시아가, 구찌의 컬렉션 중 남녀 통합 컬렉션이 진행된 2017 SS 시즌부터 2019 FW 시즌까지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탈 경계, 다원성, 해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과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통해 창의적인 발상을 유도하는 모호성은 의미의 재구성과 확장이라는 내적 의미로 분석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 의 미적 특성과 엠슨의 모호성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 남녀 통합 컬렉션에서 나타난 변화에 대한 미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환상성과 표현 확장, 불확실성과 이질적 결합, 개별적 유희성이 도출되었다. 환상성과 표현 확장 은 이질적인 코드를 기반으로 시공간의 복합적 사용과 개인의 독특한 경험을 존중하면서 표현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확장하는 미적 특성을 말한다. 불확실성과 이질적 결합은 상호 다른 요소들이 인위적으로 결합되어 만들어진 미적 특성을 말하는 것으로 다양성과 가변성을 전제로 한다. 개별적 유희성은 서로 다른 표현 의미 가 동시에 발생하면서 나타난, 의외의 결과로 생기는 의외성과 재미를 말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된 개인의 취향에 대한 존중을 말한다. 이 연구는 모호성 관점으로 현대 남녀 통합 컬렉션의 미적 특성 분석함으로써 다변화된 현대 패션의 표현에 대한 대안적 탐구 방법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Fashion is an aesthetic tool to capture human desires, providing important clues to the values individuals and society are interested in and pursuing. The progress of the men's and women's integrated collections, one of the changes in diversified modern fash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capturing the aesthetic value of the contemporary era, and the interpretation of this requires an interpretation that deviates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A new way of interpretation was to introduce postmodernism and ambiguity theo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in a limited way from the 2017 SS season to the 2019 FW season, particularly for the men's and women's integrated collections of Burberry, Balenciaga and Gucci, who are leading the changes while representing the London, Paris and Milan collections. The study was analyzed with the inner meaning of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meaning, In this study, ambiguity was analyzed as the inner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meaning, and it induces creative ideas through postmodernism and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s,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ost-boundary, plurality and deconstruction.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and Empson's theory of ambiguity, the analysis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the modern coalescence collection resulted in fantasy and expressive expansion, uncertainty and heterogeneity, and individual amusement. The expansion of fantasy and expression refers 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ecognizing and expanding diversity of expression while respecting the complex use of space-time and individual's unique experiences based on heterogeneous codes. Uncertainty and heterogeneous combination refer to aesthetic properties created by artificially combined different elements, assuming diversity and variability. Individual amusement refers to the unexpectedness and fun that result from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different meanings of expressions.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alternative exploration methods for expression of diversified modern fashion through analysis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men's and women's integrated collections via ambiguity.

      • KCI등재

        <봄의 제전> 중 ‘희생의 춤’에 내재된 미적 특성 연구 : 5인의 안무가를 중심으로

        김현숙 영남춤학회 2023 영남춤학회誌 Vol.11 No.2

        This study is aimed on analyzing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Sacrificial Dance’ in <Le Sacre du Printemps> composed by Igor Stravinsky, focusing on the five choreographers who reinterpreted the ‘Sacrificial Dance’ by expressing the artistic beauty expressed through different choreography. Whe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five choreographers’ work is analyzed by analyzing the last scene that expresses death and the scene of unavoidable struggle as the victims approach the sacrificial death in <Le Sacre du Printemps>, the choreography of Vaslav Nijinsky express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pure beauty that induces the experience of the complete sense of freedom by being offered as a sacrifice to the god in heaven by fully embracing reality. Meanwhile, the choreography of Maurice Bejart expresses transcendental beauty of human beings, thereby convey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noble beauty. The choreography of Pina Bausch expresses acceptance of death and return to the earth according to nature’s providence, which impli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legant beauty. The choreography of Angelin Preljocaj is equipped with inherent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ragic beauty that expresses the image of mankind that refuses fate and does not compromise. Lastly, the choreography of Tero Saarinen can be deemed to have inherent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visual beauty through the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aesthetic studies aimed on the interpretation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작곡의 <봄의 제전> 중 ‘희생의 춤’을 재해석한 5인의 안무가를 중심으로 예술적 특성과 서로 다른 안무를 통해 표현한 예술미를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봄의 제전>은 음악이 가진 구성과 특이성으로 많은 안무가에게 재해석의 동기를 부여해 왔다. <봄의 제전>은 이교도들의 제사 의식으로 풍년을 기원하는 봄의 신에게 젊은 여인을 제물로 바친다는 내용으로 각각의 다른 형태로 작품화되었으며 다양한 미적 감각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같은 주제와 같은 음악의 특정 부분의 음악 악보에 근거하여 안무가들은 그들만의 안무 특성과 예술 철학적 특색 및 다양한 미적 표현을 하고 있다. <봄의 제전> 중 ‘희생의 춤’ 마지막 장면인 죽음을 표현하는 장면과 그 희생의 죽음을 향해 가는 어쩔 수 없는 몸부림의 장면을 분석하여 작품 속에 내재된 미학적 특성을 5인의 안무가별로 분석해 보면, 바슬라프 니진스키(Vaslav Nijinsky)의 안무는 현실을 완전히 받아들여 하늘의 신에게 제물을 바쳐서 완전하게 해방감을 느끼게 하는 순수미의 미적 특성, 모리스 베자르(Maurice Bejart)의 안무는 인간의 초월적 아름다움을 표현하였으며, 이는 숭고미의 미적 특성, 피나 바우쉬(Pina Bausch)의 안무에는 자연에 순응하며, 자연의 섭리에 따라 죽음을 받아들이고 땅으로의 회귀를 표현하였으며, 이는 우아미의 미적 특성, 앙젤랭 프렐조카주(Angelin Preljocaj)의 안무는 운명을 거부하고 타협하지 않는 인간의 모습 자체를 표현하는 비장미의 미적 특성, 테로 사리넨(Tero Saarinen)의 안무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영상미의 미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로 알 수 있는 5인의 안무가가 표현하고자 했던 예술미와 그것을 바탕으로 도출해 낸 미적 특성의 내용들이 앞으로의 미학적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박춘무의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미적 특성 - 2010 FW ~ 2017 SS 컬렉션을 중심으로 -

        박은경 ( Eun Kyung Par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4

        연구배경 최근 세계적으로 한국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 패션의 역사 기록과 특성에 대한 연구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와 국내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한국 중견 패션 디자이너 박춘무의 작품을 분석하고 디자인의 미적 특성을 밝혀 한국 현대 패션 역사의 일부를 기록하고 한국 패션의 정체성을 논의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인터넷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여 박춘무 디자이너와 그의 컬렉션, 디자인에 대한 기사와 리뷰를 수집하였고, 그가 뉴욕패션위크에 참가한 2010 FW~ 2017 SS까지의 컬렉션 사진자료를 수집하여 디자인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진 자료는 여러 패션전문 매체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컬렉션 주제와 영감, 조형 특성,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디자이너 작품세계의 미적 특성을 총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박춘무 관련 기사와 컬렉션 작품을 분석한 결과 그의 디자인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대표 디자인 특성은 무채색과 모노톤, 구조적 라인과 비정형적 라인의 조화, 소재 대비와 혼합에 의한 조형 표현, 미니멀리즘, 모호한 성의 표현, 스포티즘, 그리고 한국적인 미학의 이미지 표현으로 나타났다. 결론 30년의 역사를 지닌 브랜드 디자이너 박춘무는 비교적 일찍부터 해외 진출을 시도하여 성과를 거두었고, 상업성과 디자이너 감성의 조율을 통해 성장하였다. 그는 아방가르드와 모던한 디자인 감성을 기본으로, 최근에는 한국적 감성의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 박춘무의 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의 미적특성은 ‘컨템포러리 아방가르드’,‘한국적 미학의 아방가르드’로 결론내릴 수 있었다. Background Recently, the record and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is becoming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orks of Korean fashion designer Park Choonmoo, who is actively engaged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age, to reveal her design aesthetic features.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articles and reviews on Park Choonmoo and her fashion collection, using an internet search site. And study analyzed the design of collection from 2010 FW to 2017 SS in New York Fashion Week. Collection photograph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fashion media web sites and brand facebook. The collection theme, inspiratio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mages were analyzed.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Park’s design appeared as achromatic and monotone, harmony of structural line and irregular line, formative expression by mixture of material and material. Also images of minimalism, ambiguous sex expression, sportism, and expression of Korean aesthetics was appeared. Conclusion Park Choonmoo has been based on avant-garde and modern design sensibility, and recently she is trying to introduce Korean sensibil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shown in Park's collection appeared as ‘contemporary avant-garde' and ‘Korean aesthetic avant-garde’.

      • KCI등재

        신고전주의에 나타난 발레의상의 미적 특성

        조민정 ( Cho Minj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2 No.-

        신고전주의는 한 나라에 국한된 예술사조가 아니라 그 영향력은 서양 전역으로 범위가 매우 크며, 미술사뿐 아니라 사회 전반과 다른 예술 분야에 다양한 양상으로 전파되고 나타난 시대사조이다. 본 연구는 1820년대의 19세기 초의 신고전주의의 예술과 복식의 미적 특성을 고찰하고, 발레의상에 나타난 신고전주의 미적 특성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건축, 회화, 조각, 복식 등의 예술에 나타난 신고전주의적 미적 특성은 객관적 조화와 단순성, 실용성, 고대 이상의 연상성, 인체의 관능미로 구분하였다. 발레의상의 신고전주의적 미적특성은 발레의상에서의 빠니에, 톤느레를 제거하고 수직적인 실루엣, 장식의 배제로 조화로운 형태의 구성 원리의 외관에서 파악된 조화와 단순성의 미적 특성과, 발레예술의 기술적, 기능적 본성을 위하여 쉬운 움직임을 위해 짧아진 스커트 길이와 높은 굽의 신발 대신 슬리퍼의 착용, 그리고 몸짓의 표현을 위해 몸에 붙는 얇은 옷 착용으로 나타난 발레의상에서의 기능의 실용성, 고전, 그리스·로마 시대의 복식 스타일과 한 겹의 얇은 머슬린으로, 로브의 발레의상으로 나타난 고대 이상의 연상성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그 시대의 사회문화와 인간생활을 대변하는 발레의상의 신고전주의는 조형 예술을 복식으로 표현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하려는 발레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Neo-Classicism is not the art trend which is only limited to one country but its influence is very vague throughout all western countries and it is the art trend that has influenced not only the arts but also the society at large and other field of arts. In this study,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al arts and fashion are considered and suggested the comparisons with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ballet costum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al arts such as architecture, paintings, sculpture and fashion are classified with objective harmony, simplicity, practicality, functional utility and association with ideal antiquity. Neoclassic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ballet costume are perpendicular silhouette with discarding panier and tonnelet, simplicity from elimination accessory, wearing slippers instead of high heels for ballet`s technique and association with ideal antiquity wearing robe style of ballet costume. The ballet costume that represents the social culture and human life of the age in Neo-Classicism, it expressed formative arts into fashion and suggested new direction of creating something new for ballet.

      • KCI등재

        현상학적 미학의 특성과 의미

        김희봉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6 No.-

        본 글의 목적은 현상학적 미학의 역사를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현상학적 미학이론들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드러나게 된 미학적 경험의 근본적 특징과 의미를 일차적으로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토대로 현상학적 미학이론들이 공유한 근본적 의도와 목적을 개략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논의는 미적 대상의 객관성을 어떤 방식으로 정립하려했는지의 관점에서 다양한 현상학적 미학자들의 생각과 견해를 살피는데 초점을 맞췄다. 물론 감정이나 정감적 요소인 체험의 내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제외한 이러한 제한된 시도가 현상학적 미학의 전체적 모습을 밝히기에 충분치 않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이러한 시각에 근거해 우선 현상학적 미학이 형성하게 된 사상사적 배경, 즉 현상학 일반에 있어서의 후설의 근본의도에 대해서 그리고 반성적 계기가 된 심리학적 미학에 대해서 살피고자 한다. 그런 다음에 이러한 공통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다양한 현상학적 미학자들의 이론과 방법들을 다루고자 하는데, 단지 내용적으로 열거하지 않고 미적 대상의 구성문제와 관련한 측면들만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물론 이 논의과정에서 미적 체험과 미적 대상의 관계뿐만 아니라. 미적 대상과 예술작품의 관계에 대해서 특별히 주목해 다루었다. 끝으로 분석된 내용들을 토대로 현상학적 미학의 통일된 모습을 제시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사상적 내용들이 어느 정도 함께 공유한 것으로 여겨지는 특성과 의도를, 즉 방법론적 특성, 미학적 경험의 고유성 제시, 그리고 인간과 세계에 대한 새로운 조망 등 세 가지를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뮤지컬 <헤드윅>의 미적 특성을 적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설지현,주영주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공연예술 뮤지컬 <헤드윅>에서 모티브를 얻어 네일아트 디자인 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독창적인 네일아트 디자인 방식을 시도하고자 한다. 현대의 네일아트는 미적 가치를 넘어 예술적 가치를 느낄 수 있게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예술적 작품성을 추구하는 독창적인 네일아트 디자인 방식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 무대분장, 네일아트의 개념과 작품의 역사와 내용을 알아보고 선행연구를 분석한다. 둘째, 전반적인 작품의 배경을 분석하고, 5개의 넘버를 선정하여 분석한다. 셋째, 분석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넘버 별로 5개의 미적 특성을 도출하여 작품을 제작한다. 연구의 결과로 총 5개의 ‘도전적 저항’, ‘유희적 쾌락’, ‘공격적 관능’, ‘열망적 관능’, ‘비정형적 해체’ 미적 특성을 도출하였고, 그에 따른 총 5개의 네일아트 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를 통해 현대의 트렌드가 뮤지컬 <헤드윅> 속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는 것과, 작품 속 미적 특성은 시대적 배경에 의해 하위문화의 미적 특성을 따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독창적인 네일아트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시도하였고, 폭 넓은 디자인을 제시 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공연예술 작품 분석을 통한 미적 특성을 도출 하고, 그에 따른 독창적 네일 아트 디자인의 실질적 사례가 될 것이다. 이로써 후에 네일아트 디자인을 위한 다양한 방향으로 디자인 응용의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1960년대 스타일을 반영한 현대 뷰티 디자인의 조형적 및 미적 특성

        김소현(So Hyun Kim),신세영(Sae Young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현대인들은 계속되는 경기 침체와 눈부신 속도로 변화하는 현대 문명의 이질감 속에서 과거 문화가 주는 친숙함과 편안함에 주목하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레트로 디자인은 역사적인 모든 요소들의 절충과 융합을 통해 다각적 형태로 나타남으로서 단순히 트렌드의 재생이 아니며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 시키기 위한 표현 수단의 의미를 가지므로 20세기 말에서부터 지금까지 지배적인 문화 현상으로 떠오른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다. 그중에서도 전반적인 분야에서 삶의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패러다임들이 대변혁한 시기인 1960년대의 디자인은 현대에 끊임없이 재현되어 왔다. 이에 이 연구는 현대에 재현된 1960년대 뷰티 디자인을 분석하여 조형적 특성과 미적특성에 관해 연구한 것으로, 각종 문헌과 선행연구 등을 통해 1960년대의 전반적인 사회적 배경과 예술적 배경, 뷰티 트렌드에 대해 고찰하였다. 인터넷 자료와 각종 서적의 이미지 자료를 수집하여 현대에 재현된 1960년대 뷰티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특성을 분석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현대 디자인 자료는 2000년대 이후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총 1080장 중 전문가 집단을 통해 840장의 이미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형태, 패턴, 컬러의 조형적 특성의 분석을 통해 현대의 뷰티디자인은 화려한 장식성, 유기적 복합성, 다원적 확장성, 개성적 재현성의 미적특성으로 1960년대 트렌드가 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뷰티 트렌드 연구의 가이드라인과 기초 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1960년대뿐 아니라 시대별 뷰티 디자인의 분석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뷰티 트렌드 분석 및 뷰티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People living today tend to focus more on past culture because they are in the age of uncertainty which is economic depression and modern civilizations. Retro trend in design is not only a repetitive phenomena, it is a very complex form of trend that leads cultural phenomenon since 20th century to fulfil consumers`` satisfaction. Innovative design in particular in 60s, constantly reproduced in modern days that influenced on life environments in general such as society, culture and science. In research for these reasons, tries to shed a new light on trends in 60s, which is reproduced in modern days to investigate formative and esthetic characters in beauty design. In sequence, makeup and hair design that reflect retro trend and 60s design by analysing various internet data and publications. Data of modern design used in analysis is the design data is done after 2000s and select 840``s image by an expert group. Consequently, 1960``s trend was revived in beauty design of modern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lamorous fanciness, organic complexity, pluralistic scalability, individuality reproducibility through formativ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form, pattern, color.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e guideline and baseline date for beauty trend research by analysing formative and esthet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hopefully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 beauty trend research and beauty industry.

      • KCI등재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미적특성 비교

        양정원(Joung Won Yang),이미숙(Mi Suk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문화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경극과 일본의 가부키와 함께 한국의 가면극 복식에 초점을 맞추어 삼국의 전통공연복식의 외적 조형성과 복식에 내재된 가치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통공연복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서 우리공연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 및 관련 서적을 중심으로 한·중·일 전통극의 발전과 특징을 살펴본 후, 양유미, 이미숙에 의해서 연구된 한·중·일 삼국 전통극 복식의 미적특성을 토대로 삼국 전통극의 복식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과 내재적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조형성의 공통점은 카프탄의 비구축적인 형식, 중첩착장에 의한 부피감의 연출 등이다. 둘째, 조형적 특성의 차이점은 가면극은 H형 뿐 만아니라 A형의 실루엣도 나타났던 반면에 경극과 가부키는 복식의 형태는 전반적으로 H형 실루엣이었다. 착용방식에서는 삼국 모두 겹쳐 입는 방식을 취하지만 가부키의 중첩착용은 표의류를 여러 벌 중복 착용하여 습색의 미를 연출한다는 점에서 가면극, 경극의 경우와 차이를 보였다. 가면극 및 가부키 복식은 거의 대부분이 직령 우임으로 착장시 깃의 비대칭적 균형을 보이는데 반해 경극은 비대칭의 깃의 형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복색의 경우 가면극은 흑백의 대비배색, 소색(素色), 원색 사용이 많은 반면에 경극과 가부키 복색은 다양한 문양과 조우하여 다양한색 배색의 색채미가 돋보였다. 또한 가면극 복식이 무지(無地)가 지배적으로 사용되었던 반면에 경극, 가부키 복식은 옷의 전면에 다양한 문양이 표현되어 장식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조형적 특성의 가장 큰 차이점은 화장법에서 찾을 수 있다. 가면극은 가면이라는 도구표면에 분장을 한 반면에, 경극과 가부키는 얼굴 표면에 추상적인 형태의 도면화장을 하였다. 경극의 도면화장은 성격화장인 검보, 미화화장인 단 배역의 준반으로 구분되며, 가부키의 경우는 성격화장인 구마도리와 미화화장인 온나가타의 백색화장이 특징적이다. 넷째,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내재적 특성의 공통점은 감춤의 미와 비움의 미가 삼국의 전통극 복식에서 보편적인 가치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내재적 특성의 차이점은 가면극의 벽사의 미와 경극·가부키의 상징의 미, 가면극의 해학적 관능미와 가부키의 은폐적 관능미, 경극의 위용적 과장미와 가부키의 숭고적 과장미, 가면극의 소박의 미와 경극·가부키의 장식의 미가 각각 대별된다. 한편 전통극에 나타난 독자적인 특성은 가면극의 해학의 미와 가부키의 습색의 미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국가와의 문화비교를 통하여 객관적 시각에서 우리의 전통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자국문화의 정체성 제고에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performing arts throug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analyzing the external plasticity of the three countries` traditional performing costumes and the immanent values focusing on the Korean mask drama along with Beijing Opera of China and Kabuki of Japan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cedented studies and the related books around the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plays at first and then di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lastic characteristics and immanent properties represented on the three countries` traditional play costumes based up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ose countries`s traditional play costumes researched by Yang, You-mee and Lee, Mi-suk.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mmon grounds of the formativenes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play costumes are the unconstructive style of the kaftan and the creation of a sense of volume by overlapped wearing. Second, the difference of the plastic characteristics is whereas the mask dramas showed the H-line and the A-line silhouette, the costume styles of Beijing Opera and Kabuki were generally of H-line silhouette. The way of wearing is that all three countries took the means of wearing clothes in layers, but the overlapped wearing of Kabuki showed a difference from the cases of the Mask drama and Beijing Opera in terms of creating a beauty of ‘Seubsaek’ by overlapped wearing of several pieces of outer coats. Whereas most of the costumes of Mask drama and Kabuki were straight collars with the right gore to show asymmetrical balance of the collars when wearing, Beijing Opera prominently showed asymmetrical collars. In case of the colors of the costumes, while Mask drama used contrast colors of black and white, achromatized colors and primary colors, the costumes of Beijing Opera and Kabuki set off brilliancy of multi-colors and color scheme encountering various patterns. Whereas solid and plain fabrics were dominantly used for the costumes of Mask dance, a wide array of patterns were expressed on the front of the clothes of Beijing Opera and Kabuki to show strong decorative properties. Third, the greatest differentiation of the traditional play costumes of Korea, China and Japan can be found in the method of makeup. While they put on makeup on the surface of a tool, a mask, in the Mask dance, they put on abstractive makeup on the surface of a face in the Beijing Opera and Kabuki. The facial makeup of Beijing Opeara is classified into ‘Gumbo’, a character makeup and ‘Junban’, beautified makeup for a minor role, and in case of Kabuki, ‘Gumadori’ of a character makeup and ‘Onnagata’ of beautified makeup are the distinguishing features. Fourth, for the common ground of immanent nature of the traditional play costume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beauty of concealment and the beauty of void were shown as universal values in the three countries` traditional play costumes. Fifth, the differences shown in the comparison of the immanent properties of the three nations` traditional play costume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the beauty of exorcism of Mask drama and the beauty of symbolism of Beijing Opera and Kabuki, humoristic voluptuous beauty of Mask drama and a cover-up voluptuous beauty of Kabuki, splendid beauty of exaggeration of Beijng Opera and the sublime beauty of exaggeration, the beauty of simplicity of Mask drama and the decorative beauty of Beijing Opera and Kabuki while the independent nature shown in the traditional plays can be the beauty of satire of Mask drama and the beauty of ‘Seubsaek’ of Kabuki.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through the comparison of cultures of Eastern Asian countries and anticipate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its

      • KCI등재후보

        화장품 패키지디자인과 뉴트로 트렌드의 콜라보레이션 미적 특성 연구

        허정윤 ( Jung-Yoon Heo ),주영주 ( Young-Joo Joo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기능적 가치보다는 감성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의 패턴을 통해 뉴트로 디자인과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 화장품 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을 분석하여 뉴트로와 화장품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바탕으로 미적 특성을 도출해 화장품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뷰티마케팅 활동의 시너지 효과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과 범위로는 화장품 패키지디자인, 콜라보레이션, 뉴트로 트렌드 분야의 선행연구 및 국내·외 주요 인터넷 사이트의 정보, 전문 서적 등 문헌 연구 및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개념과 특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콜라보레이션 유형과 그에 따른 미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한 기반을 제시하기 위하여 주체적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국내 화장품 브랜드 중 15년 이상 된 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2021년까지 뉴트로 트렌드에 맞춰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 표본을 한정하였으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뷰티업계 10년 이상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 5명을 선정하여 부적합한 디자인을 제외한 사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뉴트로 트렌드 콜라보레이션에 미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미적특성 6가지 중 3가지가 공통적으로 도출됐다. 첫째, 패키지디자인의 색채는 단순성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패키지디자인의 형태는 브랜드의 개성을 강조하는 상징성이 나타났다. 셋째, 과거의 캐릭터나 프레임을 그대로 차용하는 모티브로 재구성하여 재현성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뉴트로 디자인과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면 소비자들에게 기대 이상의 만족감과 감동을 주고,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에 많은 영향을 주며 브랜드의 가치가 상승하여 브랜드의 충성도가 높아지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brands that have collaborated with NewTro designs through patterns of consumers who value emotional values rather than functional values. The aim is also to enhance cosmetic brand values by deriving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creating a synergy effect in beauty marketing activities. As a research metho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based on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such as cosmetic package design, collaboration, and prior research on NewTro trends, information on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net sites, and specialized books. To present the basis for deriving the collaboration type and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the types were classified by subjective criteria. The samples were limited from 2018 to 2021 and included domestic cosmetic brands. Looking at the features common to the NewTro collaboration trends, first, the color of the package design represents simplicity; second, the package design’s symbolism emphasizes the individuality of the brand; and third, reproducibility was demonstrated through reconstructing it as a motif that borrowed the character or frame of the past. In this way, the collaboration with NewTro designs provides consumers a sense of satisfaction and impression beyond expectations, greatly influences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s, and plays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the brand’s value by increasing the brand’s loyalty.

      • KCI등재

        톰 브라운 컬렉션에 나타난 융복합 그로테스크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12년 F/W 컬렉션 이후를 중심으로 -

        반미선,노윤선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1

        The contemporary society is pursuing newness by exchanging and converging different domains like arts and sciences. Scientific technologies, culture and arts are also being converged in fashion, and there are various attempts to follow such timely trend. Thom Browne is a designer who presents such convergence design. He has been trying to converge different areas such as convergence with Infinity Motor Company in 2014 and development of convergence design with a living design brand named KOE from 2016 to 2018. Since Thom Browne is bringing fresh ideas to the fields of arts and sciences through convergence, it would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art world of this designer who keeps up with the timely tre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grotesque characteristics in collections of Thom Browne and provide basic data on grotesqu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fashio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rotesque were examined. Second, grotesqu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fashion were investigated. Third, the art world of Thom Browne was reviewed to analyze aesthetic characteristics grotesque shown in his works while focusing on men’s and women’s collections in the last 7 years ever since the 2012 F/W col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layfulness of heterogeneous combinations was shown in ridiculous and odd forms by using heterogeneous species like human beings and animals or adding heterogeneous materials to clothes. Second, hatred toward physical expression appeared as anatomical expression of the body, deformation of the body or intentional and blatant expression of body parts. Third, death and evilness created anxiety and fear by using symbolic objet and motif or expressing bizarre things. As grotesque characteristics offer visual shock and diverse aesthetic pleasures, new materials can be introduced and the possibility of experimental silhouette can be expanded using grotesque as a source of inspirations for newness in fashion. 현대는 예술과 과학 등 서로 다른 영역의 상호 교 류를 통해 융합하여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에서도 과학기술과 문화 예술 분야의 융 합에 의한 결과가 도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 름에 맞추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는 것에서 시작 되었다. 톰 브라운은 이런 융복합 디자인을 다양하게 펼치는 디자이너로서 2014년 인피니티 자동차와의 융 복합,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전개한 생활 디자인 브 랜드 코에(KOE)와의 융복합 디자인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을 시도하고 있다. 이렇게 융복합 측면 에서 활동하고 있는 톰 브라운은 예술과 과학 분야에 신선한 아이디어를 전개하고 있으므로 이런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활동하고 있는 디자이너의 작품 세계 를 알아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사료 된다. 본 연구 의 목적은 톰 브라운의 컬렉션에 나타난 작품 중 그 로테스크의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패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의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그로테스크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고 둘째, 예술 분야와 패션에 표현된 그로테스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톰 브 라운의 작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의 미적 특성을 살 펴보기 위해 2012년 F/W 컬렉션 이후 최근 7년 동안 의 남성복,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질적 조 합의 유희성은 사람과 동물 같은 이종 간의 조합이나 한 의상 안에 서로 다른 이질적인 소재를 사용해 우스꽝스럽고 기묘한 형태로 연출되었다. 둘째, 신체 표 현에 따른 혐오성은 신체의 해부학적 표현이나 신체 의 변형, 의도적인 신체 일부의 노골적 표현으로 나타 났다. 셋째, 죽음과 악마성은 이를 상징하는 오브제나 모티브를 이용하거나 괴기스러운 것들을 표현하여 불 안과 공포감을 느끼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시각적 충격 감과 다양한 미적 쾌감을 주는 그로테스크의 특성을 통해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패 션의 영감의 원천으로 새로운 소재도입과 실험적 실 루엣의 가능성을 확대하여 폭넓게 발전되어지길 기대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