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수채화물감을 사용한 비구조적 미술치료가 장애아동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이수진,김동연 한국미술치료학회 2006 美術治療硏究 Vol.13 No.4

        본 연구는 미술과 치료의 관계를 보는 견해 가운데 ‘Art as therapy’ 견해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아동의 수채화물감 사용에 의한 미술치료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된 매체연구이다. 특히 수채화물감의 이완성(Lanclgarten, 1987; 한국미술치료학회, 1997 재인용)이 장애 아동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 미술 · 언어 자기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1년 8윌 초부터 2002년 1윌 말까지 6개윌(전체 24회기, 40분)동안 안산시 B재활 클리닉에서 진행된 개인 미술치료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두 대상 아동은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 anual of Mental Disorders- N DSM - N, 1994)의 분류에 의해 장애로 진단된 아동으로서 두 아동 모두 난화기(Lowenfeld의 조형발달 기준) 이후의 그림이 가능하며 비구조적 미술치료 환경에서 수채화물감을 선호한 아동이다. J아동(Mild Mental Retardation : 여, CA 7 : 9, IQ 65, LA 5 : 11, SA 7.33)과 K아동(Developmental Disorder 남, CA 5 : 10, IQ 100.5, LA 3 : 11, SA 6.13, CARS 28.5점 )은 장애 문제 및 사회적 행동에 관한 문제로 유발되는 언어적 · 비언어적 자기표현의 부족과 위축된 행동 및 사회성 문제로 미술치료에 의뢰되었다. 두 대상 아동의 자가표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 도구는 미술자기표현능력 평가, 동적 집 · 나무 · 사람(KHTP) 그림 검사, 언어자기표현능력 평가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채화물감을 사용한 비구조적 미술치료는 장애아동의 자기표현 과정에 점진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두 아동이 수채화물감에 대한 예비활동, 무질서한 실험, 방어기제 기능의 미술활동, 그림문자, 형성화된 표현으로 일련의 미술활동 치료 적용 과정(Kramer, 1971)을 스스로 경험하면서 억압된 내면을 표출하고 미술자기표현 및 언어자기표현을 변화시키게 되었다. 둘째, 수채화물감을 사용한 비구조적 미술치료는 장애아동의 미술자기표현 변화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내면 심리를 쉽게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주제표현, 색채, 형태, 화면의 구성, 창의성으로 구성된 미술자기표현능력의 양적 · 질적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셋째 수채화물감을 사용한 비구조적 미술치료는 장애아동의 언어자기표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s of the non -structured art therapy by water color painting on the disabled children’s self- expression : art sel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al self-expression. This study had been practiced in a rehabilitation clinic for six months. This study consists of 24 sessions with each session being allocated 40 minutes. For this study, two children were involved. Two children were diagnosed as the disabled children by Diagnostic and Statistical M anual of M ental Disorders- N (DSM-N, 1994). Subject one is mild mental retardation(female, CA -7 : 9, IQ-65, SA-7.33, LA-5 : 11) and subject two is developmental disorder(male, CA-5 : 10, IQ - 1 00.5, SA - 6 : 13, LA-3 : 11) The instruments o f measurement used in this study were art self-expression ability assessment, Kinetic House Tree Person(KHTP) Test and communicational self-expression ability assessment. Art self-expression ability assessment can be analyzed twelve water colors and came into use qualitative analysi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KHTP Test was used for four step’s qualitative analysis of two children\'s art expressio n development(Lowenfeld. Voktor, 1987). Communicational self-expression ability assessment was used to measure two disabled children’s pragmatics according to this study progres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ly, the non-structured art therapy by water color painting made gradual progress on the disabled children’s self-expression changes. Two children experienced art therapeutic courses by water color painting precursory activities, chaotic discharge, art in the service of defense, pictographs, formed expression(Kramer, 1971). It meaned that art therapy by water color painting could give clients art self-expression changes and communicational self-expression changes. Secondly, the non-structured art therapy by water color paint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isabled children’s art sel

      • KCI등재

        미술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자기 표현력 증진과 눈-손협응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정민,김병철 한국예술치료학회 2015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5 No.2

        전반적 발달장애를 가진 유아는 정상적인 발달과정의 아동에 비해 눈-손협응력의 부족 및 신체적 발달의 지연으로 인하여 자기표현능력이 크게 뒤떨어지므로, 이로 인한 스트레스와 정서적 불안이 증대하기 때문에 이를 표출할 수 있는 심리적 중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에게 56회기 동안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미술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자기표현력 증진과 눈-손협응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4세, 전반적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유아며 S시 소재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미술치료를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약 8개월 동안 주 2회 회기당 35분으로 4회기의 사전·사후검사와 56회기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유아의 자기표현과 눈-손협응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았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은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신뢰감 및 친밀감 형성, 자기감정 인지와 감정단어 습득 및 눈-손협응력 발달, 자기표현력 향상을 각각 목표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은 HTP, 자기표현향상의 5가지 체크리스트, K-CDI 사전 사후결과를 제시하고, 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의 기록과 유아 행동 관찰, 작업을 토대로 사례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객관성을 위하여 아동의 초기 진단검사 및 부모와 어린이집교사와의 상담내용을 요약하여 결과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느끼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가 미술치료를 통해 자기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매체를 탐색하고 응용하며 세부적인 표현과 구체적 형상을 만들 수 있는 지적표현이 발달하였고, 작업도중 연구자에게 자기욕구와 의사표현 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사회적 표현이 발달하였다. 둘째, 눈-손협응력의 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가 미술치료를 통해 눈-손협응력이 발달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잘게 오리기나 고무줄 묶기, 그림 그리기를 능숙하게 하는 등 작업시 눈과 손의 협응이 이루어지며 그림에서 다양한 선과 형태, 균형감각 등이 나타나며 양 손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신체적 표현이 발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술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자기 표현력과 눈-손협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에게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Young children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lag behind their counterparts in a normal developmental process considerably in physical development and self-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nd experience increasing stress and emotional anxiety accordingly, thus needing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express them. This study thus set out to implement an art therapy program of various topics with a young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over total 56 session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eye-hand coordination of the child. The subject was a four-year-old child(56 months old) that was diagnose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and referred to an art therapy program by an inclusive childcare center for both normal children and disabled children. The research period lasted approximately eight months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4 with a 35-minute session twice per week. Four sessions of pre- and post-testing were followed by a 56-session art therapy program to examine changes to the self-expression and eye-hand coordination of the child. The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the early, middle, and late part, whose goals were establishing trust and intimacy, recognizing self-feeling, acquiring sentiment words, and developing eye-hand coordination, and improving self-expression, respectively. Methodologies employed in the study include HTP, a five-item checklist for improved self-expression, K-CDI pre- and post-test results, recording of each session of the art therapy program, observation of the child's behavior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ase process based on those works. The findings were supplemented by the initial diagnostic inventory applied to the child and the content of counseling with its parents and teachers at the childcare center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of research.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that used to have difficulties with self-expression improved in self-expression through art therapy. As the art therapy program progresses, the child developed its intellectual expression including exploring and applying media, making detailed expressions, and making concrete forms as seen in the reference data and also its social expression including actively expressing its desire and opinions to the investigator during a session. Secondly, the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that used to experience difficulties with eye-hand coordination development enhanced in eye-hand coordination through art therapy. With the art therapy program going on, the child showed eye-hand coordination during works including becoming accustomed to working with tools and skillful with cutting in small pieces, tying with a rubber band, and drawing, exhibited a variety of lines, forms, and sense of balance in its drawings, and developed in physical expressions requiring both hands. The findings clearly show that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xpression and eye-hand coordination of a young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and that an art therapy program can be helpful for such a child.

      • KCI등재

        다양한 표현방법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학생들의 동기유발에 미치는 영향 -교육대학교 1학년의 평면회화와 오브제 기법의 접목표현 중심으로-

        김진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rt activities using various expression methods, oneof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expressions, can influence the motivation of the firstgrade students in art education curriculum activities from the education universities. First, thetheoretical exploration process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expansion of the concept of art,various expressions of contemporary art, expressions of various expressions, and educationalmeaning of artistic activities. Based on these, I used various expression methods to conduct artactivities. The theoretical approach of various expression methods focusing of expression methodcombining flat painting technique and objet technique, the aesthetic experience course throughexample of works of preceding artists, the whole class of regular class 27 students forminggroup and making works,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 finished work, the questionnairesurvey method for the whole students after the class, and the analysis of the recorded and thenarrative writing materials that performed the individual criticism of seven randomly selectedstudents among the 27 student a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As a result, the art activities ofvarious expression methods are centered around the students themselves and attached to theexpression activities, thereby forming the self-confidence and enhancing the interest and interest,thereby giving the opportunity to enjoy the are in a positive attitude and posture. It can besaidthat it has a positive influence of motivation induction improvement in students’ art activities thisprovides an opportunity to instill active awareness about overall art and expression activities. Inthe future, I hope that various programs of art expression activities can be centered on studentsthemselves that will be developed and utiliz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본 연구는 현대미술표현 특징 중의 하나인 다양한 표현방법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미술교육과정 표현활동 시 동기유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고자 시작되었다. 먼저 이론적 탐색과정은 미술 개념의 확대, 현대미술의 다양한 표현방법, 다양한 표현방법의 표현가능성 탐색과 미술활동의 교육적 의미의 세 부분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정규미술수업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표현방법을 활용한 미술활동을 진행하였다. 평면회화 기법과 오브제 기법을 접목한 표현방법 중심으로 다양한 표현방법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선행 작가들의 작품 예시를 통한 미적체험과정, 정규수업의 전체 27명 학생들이 모둠 조를 형성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 완성한 작품의 감상 및 비평과정과 수업 후 전체학생 대상의 설문지조사법, 수업에 참여 한 전체 학생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7명 학생들 대상의 개별적 심층면담을 실시한 녹취 자료와 서술형 글쓰기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표현방법의 미술활동은 학생 스스로 중심이 되어 표현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자신감이 형성되고 흥미와 관심도를 높여주어 미술 표현과정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와 자세로 미술을 향유하고 만끽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주고, 전반적인 미술과 표현활동에 대해 능동적인 인식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어, 학생들의 미술활동 시 동기유발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향후 학생들 스스로 중심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미술 표현활동 프로그램들이 계발되어 미술교육의 장에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현대 미술이 응용된 아트메이크업의 표현 특성 연구

        김민정(Min Jeong Kim),임지영(Ji Young L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아트 메이크업은 기존의 정형화된 메이크업과는 달리 자신의 생각이나 주제를 표현하거나 창의적으로 이미지화하는 작업으로 미술과 인간이 조화된 독창적 예술로서 조형예술의 한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트 메이크업이 현대 미술사조의 색채나 형태에 밀접한 관계를 갖고 공통된 기법을 나타내는 것에 주목하여 현대 미술사조의 경향이 나타난 메이크업의 조형적인 측면에서 표현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로써 예술적인 아트메이크업 표현 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 졌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로서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국내서적,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및 네트워크 검색 등을 통해 현대미술사조를 선정하였으며 각 미술사조별 대표작가의 작품 특징으로 미술사조의 표현경향을 정리하였다. 실증적 고찰을 위해 www.style.co.kr <http://www.style.co.kr>에 업로드 된 오뜨꾸띄르 컬렉션 사진의 정면 얼굴을 대상으로 미술사조의 표현경향이 나타난 메이크업 사진을 수집하였다. 사진을 분석하기 위해 선, 색채, 질감, 형태, 오브제의 조형적 측면에서 메이크업의 예술적 표현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은 20세기 이후에 나타난 현대 미술사조의 표현 경향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트메이크업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0년부터 최근 업로드 된 2011년까지의 컬렉션에 사용된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현대 미술이 응용된 아트메이크업의 표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대 미술사조는 야수파, 입체파, 표현주의, 미래파,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액션페인팅, 팝아트, 옵아트, 미니멀아트, 키네틱아트로 정리되었으며, 이들 미술사조 중 6개의 미술사조인 야수파, 입체파, 표현주의, 다다이즘, 팝아트, 미니멀아트의 표현 경향이 아트 메이크업에 응용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각 미술사조가 응용된 아트 메이크업은 선, 색채, 질감, 형태, 오브제의 조형적 측면에서 독특한 표현 특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아트 메이크업의 표현 방법에 관한 자료는 메이크업의 예술적, 미학적 가치를 높이고 메이크업의 창작영역의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As being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typical makeups, the art makeup is considered as a process which an artist expresses one`s own thoughts and topics, visualizing them in a creative manner. As an original art with the art and a human being harmonized, the art makeup is now settling itself down in the field of plastic arts. Considering that the art makeup is closely related to colors and forms of the comtemporary art trends and uses common methods, the study worked on a formative analysis on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a makeup in which the contemporary art trends were found.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f artistic art makeup expression. For a theoretical discussion, the trends of the contemporary art were selected while academic papers, including literature released in Korea and information from the on/offline network, were reviewed. Afterwards, to see how such art trends have been usually expressed, features of works by representative artists of each art trend were examined. For an empirical discussion, photographs of a full face from a Haute Couture collection, which were uploaded in www.style.co.kr were reviewed and among them, only the ones with makeup in which the expressions of the art trends were used were collected. The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artistic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keup from an aspect of lines, colors, textures, forms and objec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mmarize the expressions of the contemporary art trends since the 20th century and based on what the study came up with, to analyz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t makeup from the year of 2000 to 2011. For this process, makeups that were used in collections between 2000, when the art make started to get a spotlight, and 2011, were selected. The trends of the contemporary art were categorized into Fauvisme, Cubism, Expressionism, Futurism, Dadaism, Surrealism, Action painting, Pop art, Op art, Minimal art and Kinetic art and among these, the six trends which were expressional trends of Fauvisme, Cubism, Expressionism, Dadaism, Pop art and Minimal art were found to be applied to the art makeup. The art makeup in which each of these art trends was applied appeared to have uniqu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from an aspect of lines, colors, textures, forms and o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not only to improve artistic, aesthetic values of the makeup but also to expand a creative area of the makeup.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표현과 미술표상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하승민 ( Seung Min Ha ),고미옥 ( Mi Ok Go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1 아동복지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최근에 국제결혼의 증가로 다문화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학교현장에 새롭게 등장한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표현능력과 미술표상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W군에 위치한 B초등학교에 다니는 한국인 아버지와 아시아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다문화가정 자녀 11명을 선정하여 2010년 5월 1일부터 2010년 9월 25일까지 매주 1회 60분씩 20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자기표현척도, 미술적 자기표현능력 평가, HTP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객관적인 연구를 위해 교사에게 행동관찰 체크리스크를 사전에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측정도구로 자기표현능력 펑정척도는 1980년에Rakos와 Schroeder가 수정 개발한 자기표현능력 펑정척도를 기초로 김성희(1980)가 번안하여 수정 보완한 것을 활용하였으며, 미술표상능력 평정척도는 박수미(1999)가 수정하여 개발한 미술표상능력척도를 기초로 이수진(2005)이 수정 보완한 것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표현능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미술표상능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표현능력 발달과 미술표상능력 발달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으므로, 언어적 표현 능력이 소극적인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집단미술치료는 감정 표현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and Art Self-Expression Abilit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ri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has lately been concomitant with an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producing a new student group who are referred to a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lev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ttended B elementary school in w - gun, south Jeonju Province. They were born of Korean fathers and non-Korean Asian mothers. 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in 20 sessions, once a week, 60 minutes each, from May 1 through September 25, 2010. Before that, they took tests on an Assertiveness Scale, an Artistic Self-expression Skills Assessment and a HTP test. In order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is study, their teachers were asked to observe the children by utilizing a behavioral observation checklist.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lf-Expression was Kim-Sung hee`s(1980)` Adapted Version of Rakos & Schroeder`s(1980)` Modified Self-Expression Inventory. The other instrument used to evaluate Art Self-Expression was Lee su-jeng`s (2005)` Adapted Version of Bak su-mi`s(1999)` Modified Art Self-Expression Inventor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roup art therapy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f expression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The group art therapy had an effect on art self expression, representing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n effect on Developing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and Art Self-Expression Abilities Assessed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group art therapy could be said to be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media in stirring up the emotional display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usually unwilling to express themselves.

      • KCI등재

        미술에서의 재현과 표현: 미술 교육과정에의 시사점

        조인성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3 미술과 교육 Vol.24 No.1

        이 연구는 미술에서의 재현과 표현의 차이를 미술 교육과정과 관련시켜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재현과 표현의 개념을 실제 미술작품과 관련 하여 개념 분석하였다. 재현은 한 대상을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나타내면서 자연과 사건을 모방하는 행위이다. 이에 비해 표현은 한 개인의 감정과 심리 상태를 안에서 바깥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근대의 고전주의 미술은 정해진 모델 또는 대상을 재현하고 있다. 반면 근대의 낭만주의에서 시작한 감각적 표현은 모더니즘 미술에 이르러 한 개인의 사상, 감정, 개성 등을 자유롭게 표출하여 발전되었다. 이처럼 재현과 표현은 미술 제작에서 엄연하게 구분되는 행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미술 교육과정에서는 이 둘이 혼합되어 하나의 표현 영역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미술교육에서 재현과 표현은 교수학습방법이 각기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구분해서 교육과정에서 기술되어 미술 수업에서는 실제로 구분되어 가르쳐야 될 필요성이 있다. 현행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이 재현과 조형 요소와 원리가 혼재된 양상에서 벗어나 표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즉 “체험을 통한 표현,” “감각적 표현”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홍현정,김선희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rt therapy on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especially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art self-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4th grade children of two-classes were selected as a participant group in Seoul. With the consent of the principal,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30 participants of one clas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EG) and 30 participants of the other clas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CG). Excluding the data of participants dropout, 42 data were obtained. 20 data of EG and 22 data of CG were examined for the final analysis. EG children were provided with the weekly class of art therapy (eight sessions over a two-month period; one session per 40 min.) instead of regular art-class. CG children were not provided with any art therapeutic activities. Both group were evaluated with the scales of emotional expressivity and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DAPR(Draw A Person in the Rain) assessment. In order to present the changes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the paired samples t-test was conducted. Also, ASEA(Art Self-Expression Assessment) was measured in EG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the art works. ASEA was conducted by selecting works of the 1st and 8th session of school art therapy. This study shows that the art therapy in school gives children a positive and meaningful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rt self-exp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at the school art therapy as a psychological servic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vides a supportive program, which is to prevent and reduce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N구에 소재한 사립 초등학교의 4학년 학급 아동을 대상으로교장, 담임교사와 논의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2개의 학급이 선정되었다. 실험집단 1개의 학급에는 2017년9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 주 1회 4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미술교과 수업시간에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 1개의 학급에는 동일한 기간 동안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의 측정도구로 자기보고식 설문지인 정서표현 척도,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 빗속사람그림(DAPR)검사를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학급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의 하위요인인 주제표현, 색채, 형태, 화면의 구성, 창의성 영역의 점수가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의빗속사람그림(DAPR)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점수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자원 점수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겪는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측면의 문제를 조기 발견하고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천명은,김소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 G보건소에 등록 관리중인 발병 후 5년 이내의 60대 이하 뇌졸중 환자 20명으로 이중 10명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10명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는 2010년 6월 14일부터 7월 23일까지 주 2회 50분씩 총1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전겸구의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를 사전․사후 검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분노표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분노표현의 하위영역인 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통제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뇌졸중환자의 분노표현의 긍정적 변화를 주었으며 뇌졸중환자의 심리재활에 효과적인 것으로 뇌졸중 환자가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받아들여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미술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화난 정서를 부정적으로 표출하거나 억지로 참지 않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미술매체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부적절한 분노표현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60대 이하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고 뇌졸중 환자의 분노표현에 효과적임을 제시한 것으로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anger expression of patients with strok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0 in the rehabilitation therapy room of G Health Center in D cit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consisted in ten of them become control group, and the other was made of the rest become experiment group. The study period was 6weeks(2session/week) from June 14, 2010 to July 23, 2010. Assessment methods was STAXI-K developed by Spielberger(1988) and translated by Chon, Hahn, & Lee (199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to anger expression of patients with stroke. Secondly, among the subordinate province of anger expression of patients with stroke, in 'anger exhibit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Group Art Therapy is a effective program to one's anger expression and researches about Group Art Therapy as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stroke has to be done for the future.

      • KCI등재

        자기표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경험과 의미 - 초등돌봄교실 저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

        윤라미,박윤미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아동 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 시 지역 연계형 초등돌봄교실 1, 2학년 아동 7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1 회, 총 12회에 걸쳐 60∼80분씩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했다. 연구 자료는 기관(원장, 담당 교사)과 학부모 면담자료, 전문가 3인의 자기표현 관찰목록에 따른 평가자료, 회기별 미술치료 일지와 녹취자료, 연구자 개인연구일지를 통해 수집했고, 자기표현 관찰목록 조작 적 정의에 따른 행동 변화 및 Krippendorff(2004) 분석 과정에 따른 결과로 경험의 의미를 도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자료를 통해 자기표현 변화과정을 분 석한 결과, 자기표현 경험에 대한 만족감 및 행복감을 확인했으며, 긍정적 자기표현 향상 과 부정적 자기표현 및 긍정적, 부정적 타인표현의 감소를 확인했다. 둘째, 초등돌봄교실 저 학년 아동의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낯선 환경 속에서 시작하는 미술 활동’, ‘호기심과 자기표현의 작은 시작들’, ‘그동안 표현하지 못했던 답답함을 고백함’, ‘함께 표현 하는 과정에서의 마찰과 수용’, ‘내가 가장 원하는 욕구를 마음껏 표현함’, ‘미술 활동 속 나 를 표현하는 즐거움’ 6개의 의미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심리적 지원을 위한 현실요법 미술치료 개입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and process of change of a care clas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expression on the reality therapeutic group art therapy. The participant were 7 in lower grade students in P city at a care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was carried out once a week for 12 sessions, 60~80 minutes each, from September and December in 2018. The data of this study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agency and parents, the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the self-expression observation list of 3 experts, the therapy note and recording data, and the personal research journal. It drew a experience and meaning base on behavioral vari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definition of self-expression observation list and results of Krippendorff (2004)'s content analysis proces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t confirmed th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children’s self-expression experience was confirmed and positive self-expressions were increased and negative expressions toward others were decreased. Second, experience and meaning of this study is categorized into six. 'Art activities that start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Small beginning of curiosity and self-expression', 'Confessed to the frustration I couldn't express', 'Friction and acceptance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ogether', 'Expressing the desires i want the most' and 'Pleasure to express myself in art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basis for intervention in reality therapeutic group art therapy for healthy growth of primary care classroom children and psychological support.

      • KCI등재

        소리의 그림 표현 능력에 대한 연구

        윤현정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8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6 No.-

        미술교육은 미술을 기능적으로 지도하는 것 뿐 만 아니라 미술을 통해 어린이들의 시각이 발달하면서 지적인 능력을 통해 종합적인 사고력을 길러 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이 청각능력을 통한 소리의 인지능력을 그림으로 어떻게 표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1세기는 정보와 문화의 사회로 다양한 영상과 음악 및 소리들을 통하여 시각적 표현과 연결성으로 예술에 적용이 되고 있다. 특히 미술은 해석 할 수 없는 감각적인 대상의 창조를 통해 개인 간의 주관적 지식에 관한 의사소통이 가능 하도록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어린이들은 미술을 통해 정서와 인식간의, 또는 감정과 사고간의 거리를 초월하게 되는 것이다. 본연구자는 소리를 인지 한 후 창조적 자기표현 방법을 통한 미술 표현을 통하여 어린이가 그가 속한 문화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상징적 매개물을 “듣고” 해독하는 법을 배울 수 있게 되며, 그가 속한 문화에 존재하는 다양한 상징적 형식을 “표현하는 법”을 배우게 되는 과정을 연구하여 창의적 미술 교수학습의 기저로 삼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하는 프로그램은 교육의 목표 설정, 학습경험의 선정, 학습경험의 조직 학습경험의 평가 과정을 거치는 Tyler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을 따른 창조적 자기표현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집단을 통한 실험 연구를 한다. 셋째, 실험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소리를 그림으로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하고, Gardner와 Eisner의 이론에 비추어 근거 이론을 탐색해 보도록한다. Art education teaches children art technically, and also develops children's general ability to think by enhancing visual ability. In this research we would like to find out how children epresent auditory material into visual material. In the 21st century, a century of information and culture, many artists are connecting visual and auditory senses as a new method of art. Especially art creates a object which cannot be translated, but allows individuals to communicate subjective knowledge. In this point of view children can surpass the emotional distance through art. Through this research we will find out how children "decode" auditory symbols and how children "illustrate" those symbols into visua material and use this as a basis of creative art education. Specific methods of research are,First, develop a creative self expression program based upon Tyler's education process development model. Second, use the developed program to experiment on student groups. Third, seek basis theory using Gardner and Eisner's theory with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Keyword : Art education, expression, auditory symb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