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세 치근단 수술의 성공과 실패

        송민주,김의성 大韓齒科保存學會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6

        최근의 근관치료학 분야에서 외과적 재치료는 수술현미경, 초음파기구, 미세수술기구 등의 도입으로 많은 변화가 있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치근단 수술법과 비교하여 미세 치근단 수술의 주요 술식을 알아보고 이미 출간된 논문에 근거 하여 미세 치근단 수술의 성공과 실패 그리고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수술현미경은 수술부위를 밝게 확대해서 봄으로써 치근단 부위의 미세한 형태를 조명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술식의 성공 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초음파 기구 또한 치근단 역충전을 위한 정확한 와동형성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따라서 미 세 치근단 수술은 기존방식의 문제점이었던 많은 골삭제, 경사진 치근절제, 부정확한 역충전 와동 형성, 치근단 미세구조 관찰 의 어려움 등을 극복함으로써 술식이 더욱 정확해지고, 성공가능성이 더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미세 치근단 수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전통방식의 치근단 수술보다 술식이 표준화 됨으로써 술식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환자와 치아에 관계되는 요소 중에서는 치주질환의 이환 여부와 치아위치(tooth position)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그 수가 부족한 상태로 앞으로 검증수준 (evidence level)이 높은 Randomized clinical trial 혹은 전향적 코호트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current endodontic practice, introduction of operating microscope, ultrasonic instruments, and microinstruments has induced a big change in the field of surgical retreatment. In this study, we aimed to offer key steps of endodontic microsurgery procedure compared with traditional root-end surgery, and to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success and failure based on published articles. Endodontic microsurgery is a surgical procedure performed with the aid of a microscope, ultrasonic instruments and modern microsurgical instruments. The microscope provides magnification and illumination - essential for identifying minute details of the apical anatomy. Ultrasonic instruments facilitate the precise root-end preparation that is within the anatomical space of the canal. Modern endodontics can therefore be performed with precision and predictability, thus eliminating the disadvantages inherent in traditional periapical surgery such as large osteotomy, beveled apicoectomy, inaccurate root-end preparation and the inability to observe isthmus.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s of endodontic microsurgery may be diverse, but standardization of procedures can minimize its range. Among patient and tooth-related factors, periodontal status and tooth position are known to be prognostic, but there are only few articles concerning this matter. High-evidence randomized clinical trials or prospective cohort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J Kor Acad Cons Dent 2011;36(6):465-476.]

      • KCI등재

        로봇재건수술을 위한 미세수술 훈련

        홍종원,신동우,이동원,이원재 대한수부외과학회 2019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4 No.4

        Purpose: Recent advances in robotic surgery have affected not only surgery for visceral organs but also head and neck cancer surgery and microsurgery. The authors intended to analyze and share experience gained from performing micro-anastomosis training in a new robotic surgery system.Methods: Robotic microanastomosis training was performed using Da Vinci Xi. The robot arm used two black diamond forceps, one Potts scissor, and one vision camera. First, basic robotic surgery skills were trained with Da Vinci Skill Sim-ulator training. Actual microanastomosis practice was performed using artificial blood vessel, chicken wing and porcine leg.Results: Three simulation training sessions were performed and five vessel anastomosis were performed. A total of 8 vas-cular anastomosis were performed, and anastomosis for one vessel took 31-57 minutes. The number of sutures used was more than one initially due to suture material damage, but one suture was used after four anastomosis. In the anastomosis time analysis with porcine legs, the actual anastomosis process took 2 minutes 15 seconds±41 seconds per stitch. The vascular anastomosis interval took more time than vascular anastomosis itself due to robot arm change and camera move-ment.Conclusion: Robotic microsurgery training was not difficult process for surgeons who had undergone conventional mi-crosurgery. However, more training was needed to replace the robot arm and move the camera. In the long term, mechani-cal improvements in diamond forceps and camera resolution were necessary. In order to master robotic microsurgery, surgeons must get used to robotic surgery system through simulation training. 목적: 최근 로봇수술(robotic surgery)의 발전으로 내장 장기수술뿐만 아니라 두경부암 수술 영역으로 발전하면서 두경부 재건을 시행하는 경우도 늘어났다. 저자들은 새로운 로봇수술 시스템에서 미세혈관문합 훈련을 시행하여 얻은 경험을 분석, 공유하고자 하였다.방법: Da Vinci Xi 모델로 로봇미세혈관문합 훈련을 시행하였다. 먼저 시뮬레이션 교육(Da Vinci Skill Simula-tor)으로 기본적인 로봇수술 술기를 익힌 후 실제 연습은 인조혈관, 닭 날개, 돼지 다리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결론: 시뮬레이션 훈련은 총 3회 시행하였고, 혈관문합 연습은 총 5회 시행하였다. 혈관문합 연습은 총 8개 시행하였으며, 1회 혈관문합 시간은 31-57분이 소요되었다. 돼지 다리로 연습한 혈관문합시간 분석에서 실제 문합 과정은 한 봉합 당 2분 15초±41초가 소요되었다. 혈관문합 간 과정은 2분 55초±1분 30초로 로봇 팔의 교환, 카메라 이동 등으로 혈관문합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결과: 로봇미세수술 훈련은 기존의 미세수술을 하던 수술자에게 어려운 과정은 아니었다. 그러나 로봇 팔의 교환, 카메라의 이동에 대해서는 좀 더 훈련이 필요하였다. 또한 기계적으로는 다이아몬드 포셉의 개선, 카메라 해상도의 개선이 장기적으로는 필요하였다.

      • 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Treatment of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by Preoperative Embolization and Microsurgery

        김규홍,노명호,이운기,최정훈,이인창,배상도,Kim, Kyu Hong,Rho, Myung Ho,Lee, Woon Gi,Choi, Jeong Hoon,Lee, In Chang,Bae, Sang Do 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4

        Objective : To determine the role of preoperative embolization on postoperative neurological outcome in the treatment of cerebral AVM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an effectiveness of combining preoperative embolization and microsurgery for arteriovenous malformations(AVM) of the brain. Method : Two groups(10 patients who underwent preoperative superselective embolization and surgery versus 27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only) were compared and categorized by Spetzler-Martin grade, the size of AVM and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 using Glasgow Outcome Scale. The 37 patients included 23 males and 14 females, ranging in age from 11 to 74 years(mean 36 years). Results : The arteriovenous malformations in preoperative embolization and surgery group had a larger average greatest diameter(4.45cm versus 3.83cm) and were of higher Spetzler-Martin grade(80% versus 52% grade III through V). At 1 week after surgery, the preoperative embolization and surgery group represented a better outcome(60% versus 44% with Glasgow Outcome Scale score of 5). And over 6 months after surgery, the embolization and surgery group displayed more favorable clinical outcome(80% versus 63% with Glasgow Outcome Scale score of 5). Conclusion : Combined treatment with superselective preoperative embolization using N-butyl cyanoacrylate and direct surgery may help neurosurgeon treating the high grade AVMs thus improving the postsurgical outcome. 뇌동정맥기형의 치료에 있어 술 전 색전술과 미세뇌수술을 병합함으로서 얼마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를 알고자 후향적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군은 수술 전 초선택적 색전술후 수술을 시행하였던 10명의 뇌동정맥기형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술 전 색전술 없이 수술만으로 치료하였던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환자군은 Spetzler-Martin grade, 뇌동정맥기형의 크기 그리고 Glasgow Outcome Scale을 이용한 술 후 추적관찰 결과에 따라 나누어 비교하였다. 조사대상 37명의 환자중 남자가 23명, 여자가 14명이었으며 나이는 11세부터 74세(평균 36세)였다. 뇌동정맥기형의 크기는 술 전 색전술과 수술적 치료를 병합하였던 조사군에서 평균 4.45cm로 수술만 시행하였던 군의 3.83cm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Spetzler-Martin grade도 조사군에서는 3, 4, 5등급이 80%이었으나 대조군에서는 52%로 술 전 색전술과 수술을 병합한 군에서 높은 등급의 환자가 많았다. 수술 후 일주일째 평가한 Glasgow-Outcome Scale 점수는 조사군에서는 5점인 경우가 60%로 대조군의 44%보다 높았으며, 수술 후 6개월만에 평가한 점수도 조사군에서 5점인 경우가 80%이었고 대조군은 63%로 술 전 색전술과 수술을 병합하였던 환자에서 더 좋은 예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수술 전 N-butyl cyanoacrylate를 이용한 초선택적 색전술을 시행한 후 수술 적으로 뇌동정맥기형을 제거함으로서 비교적 등급이 높은 환자에서 치료가 용이하였으며 이전의 수술적 치료만 하였던 경우에 비해 더 좋은 예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최소 침습형 미세 수술에서 로봇의 위치 획득을 위한 3 차원 측정장비의 적용

        이승진(Seungjin Lee),송의정(Euijeong Song),장민호(Minho Chang) (사)한국CDE학회 2013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

        뇌수술의 경우 뇌심부에 발생하는 종양의 위치를 확인하여 최소한의 절개로 제거하는 최소 침습형 미세 수술법이 필요하다. 이 수술법은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활용하여 종양의 3 차원 정보를 확인하고 가늘고 긴 막대 형태의 수술 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시술 위치 선정이 요구된다. 최소 침습형 미세 수술법을 로봇 수술에 적용 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정확한 위치의 시술에 필요한 정밀도와 안전성이 부족한 면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획득한 수술 부위의 위치로부터 시술 전 수술 로봇의 3 차원 공간상 위치를 정밀하게 알아내기 위한 소형 3 차원 측정장비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 수술 후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미세전이 발견을 위한 면역 조직 화학적 검사의 임상적 의의

        김정식,이해혁,남계현,김희경,배동한 대한부인종양학회 2006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y immunohistochemistry, possible micrometastasis in the pelvic lymph nodes previously considered free by conventional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to assess their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patients(n=51) operated on between February 2001 and May 2004 for cervical cancer without histopathologic lymph node involvement. Lymph nodes(n=282) from 51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node-negative cervical cancer were evaluated for micrometastasis. These were submitted to immunohistochemical study using AE1/AE3 anti-cytokeratin monoclonal antibodies to identify neoplastic epithelial cells. RESULTS: Lymph node micrometastases were immunohistochemically detected in 3 of the 51 patients(5.9%), comprising 3 of 282(1.1%) pelvic lymph nodes examined. One patient(Ib2) had adenocarcinoma and others(Ib1,Ib2), squamous cell carcinoma. All of them had negative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In three patients, there were recurrences(66.7%,2/3), and one patient(Ib1) died from the pelvic recurrence. CONCLUSIONS: We recommend an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for lymph node micrometastases in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negative nodes. Micrometastasis could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further treatment strategies and follow up. Its clinical significance in cervical cancer warrants further study. 목적: 자궁 경부암으로 수술후 조직학적 검사에서 골반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 경우,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미세전이의 유무를 확인후 이에 대한 의미와 예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4년 5월 까지 본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골반 임파절 절제술을 받은 7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중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골반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51명의 골반 임파절들을 면역 조직화학적으로 검사하였으며, 총 282개의 골반 임파절 슬라이드를 anti-cytokeratin antibodies AE1/AE3 (DakoCytomation,California,USA)로 염색하였다. 결과: 자궁경부암 병기별 환자들의 분포는 1a1: 7 명,Ia2: 4명,Ib1: 29명,Ib2: 5명,IIa: 5명,IIb: 1명이며,환자들의 평균나이는 46.3세(27-64세)였다. 면역 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검사한 임파절들에서 미세전이는 51명중에서 3명(5.9%),전체 임파절 282개중 3개(1.1%)에서 발견되었다. 한명(Ib2)은 조직학적 유형으로 선암이었고, 나머지 2명(Ib1,Ib2)은 편평세포암이었다. 미세전이가 있는 3명 모두 임파혈관 침윤(lymph-vascular space invasion)은 없었다. 이들 3명중 2명에서만 재발이 되었고, 한 명(Ib1)은 재발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결론: 자궁 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미세전이 유무가 향후 재발 요인 및 예후에 대한 예측인자로서 가능성을 보이며, 수술 후 항암 방사선 요법등의 치료 방침 설정 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양성 후두 질환 환자의 후두미세 수술 전후 음성 장애 지수의 변화

        김지희,최효근,박범정,Kim, Ji Hee,Choi, Hyo Geun,Park, Bumjung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5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26 No.1

        후두 미세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과 후 전체적인 음성 장애 지수를 비교했을 때 모두 호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기능적, 물리적 영역에서는 남녀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감성적 영역에서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수술 후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음성 장애 지수가 음성의 상태를 모두 대변할 수는 없지만 객관적인 음향, 공기역학적 검사로 평가할 수 없었던 음성 장애에 대한 환자의 인식 정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할 수 있는 편리한 도구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Voice Handicap Index (VHI) evaluates the patients perception of impact of voice disorder in term of functional, physical, emotional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patient's subjective voice handicap index before and after laryngeal microsurgery for benign vocal cord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We analyzed 55 patients who received laryngeal microsurgery for benign vocal cord disease from January 2011 to February 2013 retrospectively. There were 50 vocal nodules, 3 vocal polyps, 2 vocal cysts. VHI were analyzed before surgery and 3 months after surgery. Results:The VHI scor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postoperatively in functional and emotional VHI (p=0.01 and p=0.034). Also, Emotional VHI score after microsurgery was higher in female than male [adjusted odd ratio (AOR)=0.292 ; 95% confidence interval, CI=0.098-0.869, p=0.01]. Conclusion:In other words, males experience significant more emotional effects that are improved after microscopic surgery.

      • Gamma-Knife Radiosurgery of Cystic Brain Tumor : Is Microsurgery Indicated?

        Sim, Jae Hong,Kim, Moo Seong,Sim, Hong Bo,Lee, Sun Il,Jung, Yong Tae,Kim, Soo Chun 인제대학교 2000 仁濟醫學 Vol.21 No.1

        목적 : 낭종을 동반한 뇌종양은 흔히 볼수 있으며, 신경학적 장애를 동반하며, 뇌정위적 흡입술이 임상증상의 호전을 보이나, 낭종재발이 흔하여, 다발성 흡입술을 요한다. 방법 및 자료 : 본원에서는 낭종을 동반한 뇌종양 13례를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을 시행하고 정중 14개월(5-29개월) 주기적 관찰하였다. 종양의 진단은 두개인두종 3예, 뇌간성상세포종 2예, 소뇌성상세포종 2예, 소뇌 혈관모세포종 1예, 신경절교종 1예 뇌실종양 1예, 소뇌교각부 모양세포성상세포종 1예, 전이성 종양 1예, 교모세포종 1예 등이었다. 결과 : 감마나이프 시술시 주변부선량이 평균 15.5Gy(10-20.5Gy). 최대선량 32.3Gy(18-45Gy)가 조사되었고, 이중 11예에서는 종양의 고형성분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낭종이 재발하여 6예에서는 오미야저장소를 삽입하고, 2예에서는 뇌정위적 흡입술, 미세수술 요법이 2예에서 행해졌으며, 오미야저장소를 삽입하였던 환자중 2예에는 낭종이 커져 외래에서 주사기흡입을 여러번 시행하였다. 결론 : 낭종을 동반한 뇌종양의 감마나이프 시술시는 신중을 요하며, 신경학적 장애를 동반하였을 때는 수술적 요법을 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KCI등재

        후두미세수술의 기본 원칙

        진성민,Jin, Sung-Min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0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21 No.2

        The origin and growth of laryngology is inseparably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endoscopic surgery of the larynx. Phonomicrosurgery is a means of maximally preserving the layered microstructure of the vocal fold, that is, the epithelium and lamina propria. Phonomicrosurgery has developed from convergence of micro laryngoscopic surgical technique theory and the mucosal wave theory of laryngeal sound production. Improvements in technology (i.e., laryngoscopes, handled instruments, and lasers), which in part arise from developments in more frequently performed minimally invasive surgical procedures, will probably facilitate the next generation of procedural innovations. The best methods of optimizing phonosurgical outcomes include making an accurate diagnosis, completing a comprehensive voice evaluation, providing sufficient preoperative therapy, carefully selecting patients to undergo phonomicrosurgical procedures, and requiring sufficient postoperative rest and therapy. Phonomicrosurgery will continue to evolve as a result of the interdependent collaboration of surgeons with voice scientists, speech pathologist, and other voice professio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