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 자음무리 단순화 연구

        김신효(Kim Shin Hyo)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자음무리 단순화 과정에서 탈락하는 자음은 유표성 서열이 낮은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음의 유표성 서열(markedness hierarchy)을 밝히는데 Archangeli (1984)에 의해 제시된 미명시이론(Underspecification Theory)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러시아어 자음의 유표성 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조음자 마디 미명시에 의한 유표성, 자질 값 미명시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공명도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등을 이용하였고 그 결과를 제약으로 만들어 최적성이론에 의해 자음무리 단순화를 분석하였다. 조음자 마디 미명시에 의한 유표성 서열에서는 [+anterior] 자질을 가지는 무표적 설정음(Unmarked Coronal)인 (/ t /, / d /, / s /, / z /, /n/, / l / / r /, / c /, / ?/)를 가장 무표적인 음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자질 값 미명시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서열에서는 완전명시에서 명시된 13개의 자질 중 미명시 도표에서 전혀 명시되지 않은 / t /를 가장 무표적인 자음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공명도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서열에서는 가장 공명도가 낮은 무성폐쇄음(voiceless stop)과 파찰음(affricates) 즉, / p /, / t /, / k /, / c /, / ?/ 등이 가장 무표적인 자음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3자음 무리 단순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묵음화 현상은 CLUSTER [UPF], CLUSTER [UAF]등 2가지 제약이 최적형을 결정하는데 대부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CCC, CLUSTER [OCP], CLUSTER [SONORITY]. MAX-IO 제약은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чувство와 같은 4자음 무리, безмолвствовать와 같은 5자음 무리는 CLUSTER [UAF]+ 라는 추가적인 제약을 통해 최적형을 도출 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동일한 환경에서 묵음화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 자음무리들과 형태소 경계에서 묵음이 되는 자음 무리와 통시적인 자음무리 단순화과정에 대해 본 논문에서 도입한 3가지 자음 유표성 서열 결정 기준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음절내 위치가 자음무리 단순화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자음 유표성을 결정하는 추가적인 기준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인가 제약에 의한 러시아어 /v/의 정체성 연구

        김신효(Kim Shin Hy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2

        러시아어의 대표적 자음관련 음운 현상 중 하나인 유무성 자음 동화는 자음이 인접한 환경에서만 발생 가능하고 원칙적으로 인접자음을 건너뛰고 동화 현상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sonorant] 자질 값을 가지는 공명자음 /m/,/n/, /l/, /r/, /j/와 환경에 따라 [+sonorant] 또는 [-sonorant] 값을 가지는 /v/는 규칙의 촉발음(trigger)과 대상음(target) 사이에 인접하더라도 음운 현상에 참여하지 않고 오히려 원거리에 있는 자음이 음운 현상에 참여하는 예가 발생한다. 미명시이론(Underspecification Theory)에 의한 분석에서는 공명자음들과 /v/가 장애음 무리 사이에 오는 경우 [voice] 자질 값을 미명시하고 투명성 효과(transparency effects)로 설명하여 양자 간의 차이를 알 수 없다. 그렇지만 환경에 따라 [+sonorant] 또는 [-sonorant] 값을 가지는 /v/의 정체성은 [+sonorant] 자질 값을 가지는 다른 공명자음과 차이가 있다. 인가제약(Licensing)에 의한 분석에서는 공명자음(/m, n, l, r, j/)들은 SonVOI와 LICENSE 제약의 위계, NasVOI와 LICENSE 제약의 위계에 따라 유성성([voice]) 미명시 여부가 달라지고 최적형이 상이하게 도출된다. 반면 /v/는 무성자음([-voice])+/v/의 자음무리인 /sverx/ → [sverx]의 경우에만 Son VOI ≫ LICENSE 제약 위계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즉, 유성자음([+voice])+/v/의 자음무리인/zver’/ → [zver’], 유성자음([+voice])+/v/+무성자음([-voice])의 자음무리인/bez vtoroj/ → [bes ftoroj], 무성자음([-voice])+/v/+유성자음([+voice])의 자음무리인 /s vdovoj/ → [z vdovoj]는 제약 위계가 LICENSE ≫ Son VOI 이든, Son VOI ≫ LICENSE 이든 옳은 형태를 도출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인가제약에 의한 분석을 통해 /v/는 다른 공명자음들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힐 수 있다. 또한 /v/가 어말이나 무성자음 앞에서 무성음화되는 장애음의 특성과 동화 현상을 촉발시키지는 못한다는 공명음적 특성 모두를 가진다는 정의에 설득력을 부가할 수 있다.

      • KCI등재

        러시아어 통화현상 분석에 나타난 미명사와 최적성

        김신효 ( Sin Hyo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ssimilation in Russian by the Underspecification theory and Optimality theory. Underspecification theory is rule-based that was proposed with feature minimization in underlying representation. In this theory. certain values for all features are supplied by redundancy rules. and underlying representations are simplified. In process of assimilation in Russian underlying segments (m. n. l. r. j) are underspecified for feature value of (voiced]. Optimality theory is constraint-based and output oriented that provide optimal candidates by constraints and their hierarchy. This theory successfully provides optimal representations in process of assimilation in Russian. But it is still difficult to explain exceptions of assimilation. involving the softening. This paper deals with assimilation within morphemes with underspecified segments in the frame of Optimality theory and proposes the base of under-specification of sonorants by LICENSING.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at underspecification is necessary for descriptive adequacy in Optimality theory

      • 러시아어 동화현상 분석에 나타난 미명시와 최적성

        김신효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ssimilation in Russian by the Underspecification theory and Optimality theory. Underspecification theory is rule-based that was proposed with feature minimization in underlying representation. In this theory, certain values for all features are supplied by redundancy rules, and underlying representations are simplified. In process of assimilation in Russian underlying segments [m, n. 1, r, j] are underspecified for feature value of [voiced]. Optimality theory is constraint-based and output oriented that provide optimal candidates by constraints and their hierarchy. This theory successfully provides optimal representations in process of assimilation in Russian. But it is still difficult to explain exceptions of assimilation, involving the softening. This paper deals with assimilation within morphemes with underspecified segments in the frame of Optimality theory and proposes the base of underspecification of sonorants by LICENSING.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at underspecification is necessary for descriptive adequacy in Optimality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