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김대희(Kim, Daehee)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8 No.-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 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태를 진단하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제적이고 거시적인 설계와 발전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고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미디어가 가진 언어적 성격 때문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도 수년 전부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실시해 왔으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지식 구조가 부재하고, 국어과 교육과정 내 미디어 텍스트의 수용 방식이 매우 지엽적인 양상을 띠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국어과 교육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방향으로 지식의 구조 정립을 제안하였다. 미디어와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지식 구조의 정립은 미디어를 둘러싼 언어적 정보와 사회적 정보 처리에 매우 유용하며, 미디어 생태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작동하는 원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식의 구조 정립은 미디어의 본질, 미디어 리터러시와 정보 처리, 미디어 콘텐츠의 세 측면에서 거시적인 내용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actual statu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with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o seek and propose directions to move forward for the practical and macroscopic design and developmen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Due to the linguistic nature of the media,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has been providing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years. However, when looking at the aspec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ubjects, the knowledge structure was absent, and the acceptance method of media text was very peripheral. In this study, as a way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knowledge structure for media literacy. If learners establish a knowledge structure about media literacy, they can process verbal and social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edia, and understand the principles that the phenomenon that occurs in the media ecosystem works. This study proposed macroscopic content in three aspects: the nature of media, media literacy and information processing, and media content as details for establish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about media literacy.

      • KCI등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권성호 ( Sung Ho Kwon ),박선희 ( Sun Hee Park ),유숙영 ( Sook Young Ry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은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더 나아가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우선, 창의성 및 미디어 교육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창의성 정의와 요인을 찾아내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 방법을 조사하였다. 유아들의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미디어 교육 방법은 미디어에 노출, 미디어 작품 감상, 미디어 내용 분석, 미디어 제작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창의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학습활동으로 언어 및 신체 표현, 그리기, 만들기, 역할놀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는 유치원 교사 2인이 참여하였다. 분석과 설계 단계에서는, 서울 S유치원 6~7세 유아 16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즐겨보는 비디오 프로그램과 주제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유아의 관심 주제에 따른 교수자료와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적용과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7세 20명에게 적용하여 관찰 결과에 따라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10개의 주제로 구성된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개발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하여 세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은 각각의 미디어가 갖고 있는 특성들을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심리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들이 직접 미디어 제작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이를 통해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media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Through examining literature we derived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and analyzed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media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learners. Second, we derived design principles of a media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creativity based on eight factors. Finally, we developed a media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based on the designed framework. The framework of this program is focused on drawing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that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lready have. The factors can be extracted when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re exposed to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and movement in the media. And children learn to appreciate media works, discuss their thought with friends, and produce thei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ccording to the diverse features of media that more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econd,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based on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Third, the media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allow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ir own media.

      • KCI등재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목표 및 내용체계 개발 연구

        전세경,김유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goals and content system of media education in planning media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who guides their children to the correct and desirable applications of media at home, in order to enable the parents to b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media education and cultivate their own guiding skills in practice.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intended to establish the theory of media education for parents, which covers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and the development of its goals and content system in practice. For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media education and the realities of kids' media application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Actually, the parents' demands for media education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goals and content system of media education for parents were developed.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parents' demands for media educ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closely the necessity and contents of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including Internet and television broadcasting, and the parents' demands for such th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their demands were generally very high. The levels of their demands did not depend upon the gender of their children, but upon the age (school year). It was revealed that the parents with higher-grade children showed higher demands for media education concerning laying down the children's rules for using Internet and television broadcasting and helping their children to follow sincerely the rules so as to control their own behaviors by themselves; the parents' ability to use media; and, how to make the best use of Internet rather than absolute control.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and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he goals of media education for parents were set up, its content area and sub-area (topics) were composed and fixed, and finally, topic-specific goals and content elements were extracted, detailed and systematized. Specifically, centered on Internet and television broadcasting, respectively, middle areas such as ‘the impact of Internet and TV broadcasting’, ‘how to use’, ‘the diagnosis and resolution of familial conflicts’ and ‘cultivating the ability to make the best of them’ were selected, and for each middle area, two or three small areas were included. Small area-specific goals were presented, content elements were chosen, and educational contents were organized with the chosen content elements.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미디어 사용을 위하여 가정에서 이를 지도하고 있는 학부모들로 하여금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을 알게 하고 실제로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고자 학부모들을 위한 미디어 교육을 계획하는데 있어 그 목표와 내용체계를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는 학부모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그리고 실제로 학부모 미디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의 개발 등, 학부모 미디어 교육의 이론을 구축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의 과정은 미디어 교육의 의의와 초등학생 아동 미디어 활용의 실태를 문헌을 통해 고찰하고, 실제로 미디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도를 설문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부모용 미디어 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학부모의 미디어 교육을 위한 요구도 조사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과 TV 등, 자녀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과 내용 및 학부모 미디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요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들의 요구도는 자녀의 성별에 따른 미디어 교육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학년이 높은 학부모들은 아이들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도록 자녀의 인터넷과 TV 이용 규칙을 정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내용, 학부모 자신의 미디어 활용 능력, 무조건적인 억제보다는 인터넷을 유용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구도 조사 결과와 문헌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부모 미디어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학부모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내용 영역과 하위 영역(주제)을 구성, 설정한 뒤, 각 주제별 목표와 내용 요소를 추출, 상세화하여 이를 체계화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터넷과 TV를 중심으로 각각에 대하여 ‘인터넷 및 TV의 영향력’, ‘올바른 사용 방법’, ‘가족 간의 갈등 진단 및 해결 방법’, ‘사용 능력 함양’ 등의 중영역을 정하고 각 중영역에는 2-3개의 소영역을 정하였으며, 소영역별 목표를 제시하고 내용 요소를 정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 KCI등재

        미디어 비평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

        은지용,이윤정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1 다문화교육연구 Vol.14 No.3

        In recent years, the media's tendency to represent biased images of ethnic groups such as immigrants i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particular, students are vulnerable to media containing biased messages because they receive information on immigrants mainly through the media. Therefore, educational experience should be provided to develop the ability to criticize biased messages in the media.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research aims to design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model based on three media criticism activities—analysis of basic information of the media, interpretation of the represented image of the media, and evaluation and reconstruction of represented image of the media—to verify its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earch show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edia criticism is more effective in fostering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n lecture-style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expand the ba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schools. Based on this research, suggestions related to the design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media criticism were presented. 최근 이민자 등 에스닉 집단에 대한 편견이 담긴 이미지를 재현하는 미디어의 보도 경향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은 주로 미디어를 통해 이주민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 때문에 편견적 메시지가 담긴 미디어에 취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미디어 속에 담긴 편견적 메시지를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적 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미디어의 기초적인 정보에 대한 분석’, ‘미디어의 재현 이미지에 대한 해석’, ‘미디어의 재현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및 재구성’ 등 3가지 미디어 비평 활동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모델을 설계하고,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 비평에 기반한 다문화교육은 강의식 다문화교육에 비해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함양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저변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 비평에 기반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효과적 실행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참여의 차별적 효과 연구

        김용호(Kim, Yong Ho),정경순(Jung, Keong Soon),남연주(Nam, Yeon Ju)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연구 Vol.51 No.2

        본 연구는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이하 미디어센터)의 미디어교육에 참여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미디어체험 프로그램(뉴스/라디오/토론/드라마)의 유형과 청소년의 성격유형(외/내향/사고/감정)에 따른 미디어능력 향상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이를 위해 바아케(Baacke,1997)의 미디어능력 개념인 지각/지식, 비판/비평, 이용/상호작용, 제작/구성능력 등을 차용하여 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청소년의 외/내향성에 따른 미디어교육효과는 내향성 청소년이 외향성 청소년에 비해 미디어 교육 후의 미디어능력(지각/지식, 비판/비평, 이용/상호작용, 제작/구성능력)이 더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수동적이고 자발적이지 못한 내향성 청소년들이 미디어체험을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서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둘째, 청소년의 사고/감정성에 따라서는 교육 전에는 감정형의 미디어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교육 후에는 오히려 사고형 청소년들의 비판비평능력과 제작능력이 더욱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교육을 통해 감성적 측면이 다소 부족한 사고형의 청소년들에게 친구들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미디어에 대한 보다 조화로운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체험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미디어능력에서는 라디오프로그램에서 가장 높은 미디어교육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라디오 프로그램은 타 프로그램과는 달리 시사, 정보, 연예, 고민상담, 청취자 가상 연결 등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제한된 포맷이 없으므로, 라디오 프로그램의 수강만으로도 다양한 프로그램 장르의 제작형식을 체험해볼 수 있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체험 프로그램의 유형과 수용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차별적인 교육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는 미디어교육이 획일적이고 일괄적으로 운영되었다면, 향후 미디어교육은 세분화된 수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미디어교육 프로그램과 교육방식의 개발이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bout how teenager’s personalities(Extrovert, Introvert, Thinking, Emotional) are related on improving their media ability when participating the media experience program (News/ Radio / Discussion/ Drama) done in the Busan community center. To do so Baake(1997) media ability concept(perception/ knowledge, critique/criticism, use/ Interaction, configuration/ capability)much higher than the teenagers with extroverted personality.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 First, on the teenagers with introverted personality had improved their media ability(perception/ knowledge, critique/criticism, use/ Interaction, configuration/capability) much higher than the teenagers with extroverted personality. This is thought to be caused due to introverted teenagers having the chance to express their potentiality through media experience. Second, prior to the training emotional teenagers had higher media ability, but after the training teenagers with thinking ability had the higher media ability on critique/ criticism, and creation areas. Thinking teenagers who may be little lack of emotion have the chance to get more emotional through interaction among the others which gives them higher possibility to do harmonious thinking. Third, the radio program had the highest media program effect in the experience program. This is because, unlike other programs radio doesn’t have the restrict format and could give the experience on all kinds of production ways just by taking the training like virtual connection, current affairs, information, entertainment, counseling and etc. The study have especially focused in the personal characteristic. If the media training has been done in a standardized way, through the study we can conclude to develop media programs considering the trainee character so we can give customized trainings.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문제중심학습(PBL) 활용의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윤자(Lee, Yun-Ja)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끊임없이 쏟아지는 지식과 정보의 21세기 현대사회는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언어의 소통 방식도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사회문화적 영향 아래 진화해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특히 일반 목적 한국어의 고급과정이나 학문 목적 한국어의 교육에서도 체계적인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즉 미디어를 통해 소통하는 현실은 언어교육에 있어서도 체계적인 교육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주요 목적은 미디어에 대한 의미 해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더 나아가 스스로 미디어를 통해 창의적으로 의미를 구성하여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언어교육의 한정적이고 제한된 여건 속에서 이를 독립된 교과로 다루기가 쉽지는 않았다. 이에 본고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과정에서 접하는 여러 과목들 중에서 다양한 미디어 자료들을 접하여 미디어 리터러시의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지금까지 미디어 자료들이 한국어 학습의 보조 자료나 학습 활동으로 활용되어 온 측면이 아닌, 독립적 영역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학문 목적 한국어의 교수-학습으로 연계될 수 있는 교육적 방안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 특성상 교과 중심 교육 방법보다는 언어 기능의 통합적 접근이 용이하고 비교적 효과적이라고 보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PBL)의 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In moder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inundated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ways of communication in language have evolved alo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environments, being affected by the sociocultural influence of media. This reality suggests the necessity of systemized media literacy education in advanced Korean language courses for general purposes and in Korean courses for academic purposes. That is, well-planned educational shifts are required in language educ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communication is done through media. The main purpos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media, to understand them and to foster an ability to construct meanings in a creative way through media on one s own, to express oneself and to communicate. In the educational sector, however, it s not easy to deal with media literacy education as a separate subject due to the limited given conditions for language education, though the necessity of this education is well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lan to improve media literacy in various KAP(Korean for academic purposes) courses as part of media education by which learners are exposed to a wide variety of media materials. It s especially meant to examine the educational functions and roles of media literacy as an independent area, unlike existing practices that media materials have just used as auxiliary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or learning activities for the languag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plore how to link it with KAP teaching and learn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problem-based learning(PBL), which makes it easier to take an integrated approach to language functions and is considered to be relatively effective, was utilize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stead of subject-centered educational methods.

      • KCI등재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현선,장은주,김아미,윤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4

        이 연구는 유네스코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정책과 전략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주요 준거에 따라 시도교육청의 미디어교육 정책 실행 과정을 분석하고, 학교 미디어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안정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시도교육청별 미디어교육 관련 조례와 주요 정책을 분석하고,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초점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은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를 아우르는 융복합적인 성격을 갖고 추진되어야 하나, 현재 정책 문서에서는 학교 미디어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비전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중앙 부처와 시도교육청 간 협력 체계가 불명료하며 시도교육청 간 인적 및 물적 자원의 격차, 정보 교류 부족 등으로 인해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미디어 예술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호주와 미국의 미디어 예술(Media Art) 교육과정 분석 연구

        김시내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4 No.-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and structure of media arts education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and analyzes its characteristics to ge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media arts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media arts are independent subjects in arts areas, and specific goals and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s guidelines are presented in the media arts curriculum.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four findings as following. First, the media art specified in the curriculum of these two countries is not only referring to media art in the field of fine art, but encompasses a wide range of visual culture areas such as television, film, video, newspaper, radio, games, internet and mobile media. In addition, it encourages systematic education in media arts and enables more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to be acquired. Second, media arts education in both countries aims to improve multilateral media literacy, such as access to media, analysis, evaluation, and creative ability. Third, specific knowledge, skil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media arts within the curriculum are presented in detail by grade group, and by emphasizing the creative language with its own rul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grammar, syntax and metaphor system of the visual language of the media. Fourth, By Integrating the curriculum by developing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compose a class by linking artistic thinking and production process with interdisciplinary classroom contents centering on cross-curricular topics or big ideas. 이 연구에서는 미국과 호주의 국가 수준 미디어 예술 교육과정에 제시된 미디어 예술교육의 내용과 성취기준, 구성체계 등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분석하여 미디어 예술교육에 대한 방향성에 대해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미국과 호주는 예술 교과목 내에 미디어 예술이 미술 과목과 독립되어 있으며, 미디어 예술 교육과정에 구체적인 미디어 예술교육의 목표와 내용, 성취기준, 평가지침 등이 제시되어 있다. 이 두 나라 교육과정의 분석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두 나라의 교육과정에 명시된 미디어 예술은 순수예술 영역의 미디어 아트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텔레비전, 영화, 비디오, 신문, 라디오, 게임, 인터넷 및 모바일 미디어 등 광범위한 시각문화의 영역을 포괄하고 있고, 이러한 다양한 영역의 미디어 예술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장려하고 좀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둘째, 두 나라의 미디어 예술교육은 미디어에 대한 접근, 분석, 평가, 창조 능력 등 다각적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 내에서 구체적인 미디어 예술영역의 지식과 기능, 성취기준을 학년군별로 자세히 제시하고 있으며, 미디어 예술만의 창의적인 언어를 강조함으로써 미디어의 시각적 언어의 문법, 구문 및 은유 체계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넷째, 미디어 예술교육을 융합교육과 통합교과적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역사, 지리, 과학, 기술 및 예술을 통합하여 범교과적 주제나 빅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학제 간 교실 컨텐츠와 함께 예술적 사고와 제작 과정을 연결하여 수업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애니메이션 제작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향 연구

        박희현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제작을 통한 차세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목표 설정과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연계하여 총 4단 계의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첫 번째, 미디어 접근역량 강화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작 도구 습득 단계. 두 번째, 창의적 제작 역량 강화를 위한 애니메이션 제작 실습 단계. 세 번째, 비판적 이해력 함양을 위한 결과물 발표 및 토론 단계. 네 번째, 사회적 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적 공유 단계이다.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적용을 위해 한서 대학교 애니메이션 여름 캠프를 위한 교육 모형으로 제작되어 충청도 지역 79명의 중학생에게 교육되었다. 애니메 이션 제작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비판적 분석 능력이 향상되었고 능동적인 참여자로 바뀌는 것 을 볼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method of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based on animation production for the 21 century student. A total of four stages of educational programs were constructed by linking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goals and the animation production process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First, Acquisition of animation production tools for enhancing media access capability. Second, Animation production practice stage for strengthening creative production capacity. Third, the development of critical understanding stage for presentation and discussion the results. Forth, social sharing stage to strengthen social communication capacity.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it was produced as an educational model for Hanseo University animation summer camp, and was educated by 79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cheong province. Based on this research, students improve an analytical ability and help them become active participants by creating their own animations. In future, it will be needed a continu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using various media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헌법적 의의와 법제화 방안에 대한 소고

        김슬기 (사)한국언론법학회 2023 언론과 법 Vol.22 No.1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equal and free participation in the online space as they have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hysical isolation caused by blockade policies. Subsequently, with the rapid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across the economy and society, strengthening citizens' digital and media literacy capabilities has become the top priority policy task.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s being used interchangeably with digit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news literacy, internet literacy, AI literacy, etc.,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m are unclear, leading to confusion. Media literacy is a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literacy capabilities in digital technologies, as well as information and content provided through media. It is considered valid to view media literacy as a broad concept that includes all of these capabilities. Media education can be defined as “media education that aims to develop the capabilities and attitudes necessary to access, understand, utilize, communicate safely and ethically with media and the contents (information and content) circulated through media.”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ne of the basic rights most closely related to media literacy is the right to information. Access to media is a concrete foundation for realizing personality rights, freedom of expression, political and economic basic rights, and the right to education in specific areas of life. Guaranteeing access to media alone for access to information,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ing, information disparity resolution, and enjoyment of information culture rights is not effective. Therefore, the state needs to actively support capacity-building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the necessary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education. In addition, To obtain quality information required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filled with exaggeration, explicit distortions, and fake news, one needs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media, the ability to verify the source of the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judge the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based on evidence. Therefore,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aim to cultivate these abilities in individuals. It is believ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requires the relevant media department to establish educational and support policies in order to quickly reflect media technology and industry environments, policy issues, etc. into the educational content. When enacting the “Media Education Support Ac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following contents: ①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media education, ② the dutie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③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guardians, ④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media education plan, ⑤ the operation of a media education committee and local unit consultative council, ⑥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institutions, ⑦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local media education facilities, ⑧ the basis and role of support for media education in schools, ⑨ the basis and role of support for lifelong media education, and ⑩ the operation of a professional instructor training and qualification system. 세계 주요국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봉쇄정책으로 인한 물리적 단절 속에서 온라인 영역에의 동등하고 자유로운 참여 보장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후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디지털 기술이 급속하게 도입되는 것을 목도하면서 시민들의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최우선 정책 과제로 두게 되었다.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뉴스 리터러시, 인터넷 리터러시, AI 리터러시 등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경계가 불분명하여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지금까지 발의된 미디어교육 관련 법안을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넘어 접근, 소통, 참여능력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고, 이후 미디어 역기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보호능력 및 미디어 생태계의 구성원으로서 시민의식까지 포괄하는 매우 광범위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내용으로서의 정보와 미디어가 제공되는 기술방식인 디지털에 대한 리터러시 역량 등을 모두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지며, 미디어교육은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콘텐츠(정보 및 내용물)에 자유롭게 접근하여 올바르게 이해하고,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소통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으로 정의 가능하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헌법적 의의를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기본권 중 하나는 정보기본권이라 할 수 있다. 미디어 접근 능력은 디지털 기기 및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으로 미디어에 대한 접근 보장은 구체적인 생활 영역에서 인격권, 표현의 자유, 정치적 및 경제적 기본권, 교육받을 권리 등을 실현하는 기반이 된다. 정보에의 접근, 수집, 처리, 정보격차 해소 및 정보문화 향유권 보장은 디지털 기기 및 정보에의 접근 가능성을 보장해주는 것에 그쳐서는 실효성이 없으며, 국가가 적극적으로 국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및 교육에 필요한 인적・물적 기반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어떠한 사상과 견해가 옳고 그른지, 가치가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은 사상의 자유 시장에 맡겨져 있으며, 이를 판단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므로, 과장이나 명백한 왜곡, 허위조작정보가 넘쳐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양질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매우 중요하며, 국가는 국민들이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 이해, 평가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기술 발전과 그로 인한 사회문화 변동, 생애주기별 특성이 지속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교육 주제임에 비추어 평생교육이 필요성이 큰 분야라 할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어 기술 및 산업 환경, 정책 이슈 등을 빠르게 교육 내용에 반영할 수 있도록 미디어 소관 부처에서 관련 교육 및 지원 정책을 수립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인터넷 영역에서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해지고 있어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연계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력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향후 「미디어교육 지원법」 제정 시 ① 미디어교육의 정의와 목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