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과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성은모 ( Eun 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2

        21세기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핵심능력 중의 하나가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스마트미디어 활용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스마트교육환경을 구축하여 스마트미디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수업체제나 다양한 학습방식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적응력과 수용력의 민감도가 높은 시기이기 때문에 올바른 스마트미디어의 활용 능력을 갖추게 하는 일은 중요한 일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스마트미디어를 보다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이 요구되며, 이러한 능력이 초등학생의 학습효과성을 예측하는지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5, 6학년을 전체 모집단으로 하여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을 도출하고,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수준에 따라 어떠한 요인이 교과태도(국어, 수학, 과학)와 학성성취도를 예측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초등학생 1,188명(5학년 584명, 6학년 604명; 남 620, 여 5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은 스마트미디어 조작 및 앱 활용능력, 스마트미디어 활용의 긍정적 신념, 그리고 스마트미디어 활용 학습능력 등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수준에 따라 교과태도(수학 제외)와 학업성취도에 있어 중위, 하위수준 학생보다 높았다. 또한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에 있어 스마트미디어 활용 학습능력은 교과태도와 학업성취도는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마트미디어의 긍정적 신념은 부적관계에 있고, 특히 스마트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학생보다는 중간 또는 낮은 학생들에게 정적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교과태도, 학업성취도 신장을 위한 교육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of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SMLQ) through identifying the factors of smart media literacy(SML) for primary school student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ith a level of SML and learning effectiveness(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To address this goal, 1,188 primary school students(5 grade 584, 6 grade 604)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is male 620(52.2%) and female 568(47.8%). Mean age of Participants is 13.49(SD=.52). Three types of survey are administered regarding SMLQ as 18 items, students`` subject attitude(language, mathematic, and sc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in terms of normality, reliabilit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8.0. As a result, three factors are identified; operat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application,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and learning ability with suing smart media. According to the level of SML,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mart media literacy, subject attitude (except mathematic attitude), and achievement. Students, high level of SML, are more higher than students who are middle and low level of SML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Learning ability with using smart media in SML is a positive relationship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On the contrary to this,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in SML is a negative relationship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Especially, students who are middle and low level of SML are more positive relationship on learning effectiveness by learning ability with suing smart media and operat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SMLQ),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ML are discussed and proposed further research in detail.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에서의 미디어접근과 활용 교육 : 고등학교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김병련,강경숙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8 특수교육 Vol.7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 장애학생의 미디어접근과 활용에 대한 실태와 미디어교육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특수교육 현장에서 미디어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살펴보고, 일반고등학교에서의 일반학생과 특수학급에 입급된 장애학생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미디어 접근정도와 활용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미디어의 노출빈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실제 활용부분에서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미디어의 활용은 실생활과 관련되어 사회적응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특수학급에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1, 2학기 통합교과 형식으로 이론과 실습으로 구분하였는데, 이론에서는 미디어에 대해 이해하고 실습에서는 미디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내용, 즉 활용으로 구성하였다. 미디어교육을 특수교육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장애학생의 미디어 활용실태를 먼저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미디어 교육과정이 구성되고, 미디어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explore a method of media education and demonstrate how it should be used in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in regular high school. The questionnaire indicates that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media is similar for general and special students, but media access and use is little come out in th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dia that relates to everyday life is essential to the proper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o, in this study, a curriculum utilizing media education was developed and suggested to put into special classes in regular high school. Through the education of media understanding and us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ll be able to fre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via media. This study concludes that more research is needed to study the use of media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so that media education may be put to practical use in education for them. New media curriculum and class materials must be developed to better educat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소비자의 스마트미디어 활용수준의 질적 격차에 관한 연구 : 기술건너뛰기(Technology Leapfrogging) 현상을 중심으로

        황혜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2

        전통적으로 소비자정보격차는 정보기술에 대한 접근성의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으나, 이미 스마트미디어의 보편적 접근성이 확보된 현대의 정보사회에서는 접근성을 확보한 소비자들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활용수준의 질적 격차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게 되었다. 스마트미디어의 활용수준의 질적 격차는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함으로써 소비자가 얻을 수 있는 편익의 격차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는 미디어를 통해 정보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의 차이로 연결되어 소비자 간 사회적 격차를 고착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미디어 사용능력과 그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활용의 질적 격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미디어 활용격차를 정보생산 및 공유, 네트워킹, 사회적 참여활동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이전 기술을 충분히 접하지 못한 채 다음 기술의 단계를 접하게 되는 기술건너뛰기(technology leapfrogging) 현상이 장노년층 소비자들에게서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술건너뛰기 현상을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 활용격차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PC위주의 사용능력을 갖춘 기술지체집단, PC와 스마트미디어를 비슷한 수준으로 능숙하게 사용하는 균형집단, PC사용능력에 비해 스마트미디어 사용능력을 더 높게 가진 기술건너뛰기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미디어 사용능력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PC기반의 정보취약계층의 특성이 반영된 양상을 보였다. 기술건너뛰기를 경험한 집단은 PC와 스마트미디어 사용능력을 고르게 갖춘 균형집단에 비해 스마트미디어 네트워크 연결, 응용서비스 활용과 같은 심화된 사용능력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미디어 활용격차를 비교한 결과, 정보공유/생산, 사회적 참여활동 측면에서 기술건너뛰기집단의 활용수준이 기술지체집단과 차이가 없을 만큼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이 스마트미디어의 기능적 사용방법에는 능숙하지만 편익을 충분히 활용하지는 못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미디어 사용능력과 연령, 기술건너뛰기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활용의 질적 격차를 정보공유/생산, 네트워킹, 사회적 참여의 측면에서 각각 살펴본 결과, 기술건너뛰기의 조절효과가 모두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건너뛰기를 경험할 경우 스마트미디어의 활용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스마트미디어 활용수준에 기술건너뛰기 여부가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onsumer digital divide needs to be discussed as a multidimensional concept not as a dichotomy as smart media are prevalent in the current information society. Consumers’ usage divides of smart media became more important than digital divides based on accessibility or capability to use digital technology including digital media devices and the Internet. Consumers’ smart media usage divides not only lead to a gap in benefits of using smart media but also conclude in a disparity of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current information society through these media.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consumers’ smart media usage divides based on their capability to use smart media. Smart media usage divid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ree aspects: sharing and creating information, networking, and social participation. Also, this study focused on the technology leapfrogging that means jumping to the new technology without adoption of prior technology. Technology leapfrogging is observed among the middle-aged and older consumers. Consumers’ capability to use smart media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which shows that the smart divide reflects the tendency of PC-based digital divide. Technology leapfroggers had less capability to use smart media. Especially, they had less ability to connect to network services and to use application services. In terms of usage divides, technology leapfroggers had lower level of usage than the balanced group who have balanced capability to use both PC and smart media. Lastly, the effects of consumers’ capability to use smart media and age on consumers’ smart media usage divides and the moderate effect of technology leapfrogging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technology leapfrogging had significant moderate effect on smart media usage divides.

      • KCI등재

        소셜미디어 활용의 폐해유형과 사례분석

        서진완(徐鎭完),남기범(南基範) 한국국정관리학회 2012 현대사회와 행정 Vol.22 No.3

        공공기관에서도 소셜미디어를 통해 시민들이 다양한 이해와 활동, 그리고 정보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사회적 연계성을 강화하여 공공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그 활용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기관 차원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경우에 기능적인 측면 이외에 소셜미디어에 대한 적절하지 못한 대응 혹은 잘못된 대응으로 야기되는 소셜미디어 재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공공기관에서 소셜미디어의 활용이 잘못 사용되거나 적절하지 못한 대응으로 야기된 폐해 사례를 유형화하고 이에 해당하는 주요 사례를 정리해서 살펴봄으로써 향후 공공기관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함에 있어서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는 정책적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능력에 따른 온라인 활동 및 오프라인 활동 경향 차이

        김다솔(Dasol Kim),오한길(Hangil Oh)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4 교육발전 Vol.4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미디어 패널조사(2022)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PC 활용 능력과 스마트 기기 활용능력으로 구성된 미디어 활용능력 수준에 따라 배경요인 및 오프라인 활동과 온라인 활동 빈도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C 활용능력과 스마트 기기 활동능력 수준에 따라 각각 4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온라인 활동과 오프라인 활동의 빈도를 일원배치 분산 분석을 통해 그 차이를 알아봤다. 연구결과 PC 활용능력과 스마트 기기 활용능력 모두 오프라인 활동 빈도에 영향을 주었다. 스마트 기기 활용능력은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능력이 높아 오프라인 활동 빈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청소년들의 활동 빈도가 가장 높은 친교 활동 빈도에서 차이를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이 PC 활용능력과 스마트 기기 활용능력은 온라인 활동 빈도와 오프라인 활동 빈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이 온/오프라인 상에서 다양한 사회참여를 통해 건전하고 균형있는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활용 능력이 요구된다.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20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frequency of offline activities and online activities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media utilization ability consisting of adolescents' PC utilization ability and smart device utilization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requency of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PC utilization ability and smart device activity ability level, and the difference was investigated through one-way varianc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PC utilization ability and smart device utilization ability affected the frequency of offline activities. The ability to use smart devices is significant in that there was a relatively small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offline activities due to the high overall ability of adolescents,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social activitie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activities of adolescents. As such, PC utilization ability and smart device utilization ability were affecting the frequency of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for adolescents to lead a healthy and balanced life through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online/offline, the ability to use media is required.

      • KCI등재

        유치원에서의 영상미디어 활용 교육의 인식 현황과 요구 및 과제 분석

        박석규(Park Suk Ky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서 TV, 컴퓨터, 인터넷 등 영상미디어를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가, 유치원교사들은 영상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 영상미디어 활용에 대해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가, 그리고 과제는 무엇인가를 조사해야 할 필요성에 의하여 U시의 사립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첫째, 유치원교사들은 유아들이 컴퓨터를 비롯한 영상미디어에 대한 흥미와 활용수준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유치원교사들은 유치원 교실수업에서 영상미디어 활용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컴퓨터를 비롯한 영상미디어 활용교육을 경험한 교사뿐만 아니라 경험하지 않은 교사까지도 유아컴퓨터 교육활동에 대하여 높은 흥미를 가지고 있다. 넷째, 유치원교사들은 유아컴퓨터 교육활동에 있어서 유치원 교육과정 영역별 효과에 대하여 유아들이 컴퓨터에 대한 친근감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탐구영역, 언어영역, 표현영역에 대해서도 높은 효과를 가진다고 인식하고 있다. 다만 친사회적 영역과 건강영역에서는 교사들이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 유치원교사들의 유아컴퓨터 활용교육에 대한 활용현황은 컴퓨터 시간, 사용 순서, 컴퓨터 활용 유아 인원, 컴퓨터 사용시간, 컴퓨터 프로그램의 선택, 컴퓨터 활용수업에서의 교사의 활동 등 유치원 마다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들의 유아컴퓨터 활용방법은 운영계획, 프로그램 점검평가, 내용관련 활동, 질문해결, 사후활동 등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효율적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답했다. 여섯째, 유치원교사들은 컴퓨터를 비롯한 영상미디어에 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보급을 요구하고 있으며, 교사들이 주로 활용하고 있는 분야 및 활용하고 싶은 분야에 대한 참고자료 및 도서 그리고 전직교육인 대학에서 혹은 현직교육인 연수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Early-children"s the utilization ability and interest of the image media, the recogni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necessity of the image media utilization education, the utilization abi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of the image media, the effects of the domains of curriculum through the image media utilization education, the present condition and methods of the image media utilization education, the improvements and needs of the image media utilization education in kindergarten.<B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ellows ;<BR>  Firs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Early-children"s the utilization ability and interest of the image media were higher.<BR>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on the image media utilization education in kindergarten.<BR>  Third, both of experienced teachers and non-experienced teachers on the image media utilization education in kindergarten answered that their interests of the computer utilization education were higher.<BR>  Forth,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higher orders of the effects of the domains of curriculum through the computer utilization education in kindergarten were 1) the feeling of familiarity on the computer, 2) the discovery domains, 3) the language domains, 4) the expression domains, but the lower orders were 1) the prosocial domains, 2) the health domains.<BR>  Fifth, kindergarten teachers used various methods for the class of computer utilization, the orders of computer utilization, the number of participation children of computer utilization, the time of computer utilization, the selections of program, the activity of teachers on the image media utilization education in kindergarten. Kindergarten teachers were unskilled in the plan of management, the evaluation of programs, the activity for contents, the solving of questions, the post-activity on the image media utilization education in kindergarten.<BR>  Sixth, kindergarten teachers needs the hard-ware and soft-ware of the image media, the reference and books of the image media, the education on the image media utilization education in a college and a field training class.

      •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 및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차이

        김선아 한국교육과학융합학회 2024 교육과학융합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 및 미디어리터러시 인식에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유아교사 130명, 초등교사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을 위한 통계방법은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 차이를 조사한 결과, 멀티미디어 사용 횟수, 활용 시간은 유아교사 보다 초등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교사는 도입단계, 초등교사는 동기유발 단계에서 수업 중 꼭 필요하다고 여겨질 때, 멀티미디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기기는 컴퓨터로 유아교사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대·소집단활동시간, 초등교사는 스스로 찾아 습득하며 수업 활동 중 가장 많이 활용하며, 유아교사 초등교사 모두 멀티미디어 교사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초등교사가 유의미하게 유아교사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미디어 특성 이해, 미디어 비판적 이해는 초등교사가 유아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교육 상황에서 멀티미디어 교육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의 수준을 높여, 우리 사회에서 유아교육에 활용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방향을 설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multimedia and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3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28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cated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sis wer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media use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rst, In terms of the number of multimedia uses and usage time,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d multimedia the most when it was deemed essential during class in the introductory stag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 the motivational stage. In multimedia devices, early childhood teachers use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through Internet sear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nd and learn on their own, and all early childhood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no experience in multimedia teacher training. Second, as a resulted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media literacy percep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understanding of sub-area media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ultimedia education is being used in various educational situations. To use multimedia, you need to be well aware of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and it suggests finding out the reality of multimedia us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ur society and designing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를 활용한한국의 한자, 한문교육 -디지털 媒體를 활용한 중등학교 교수ㆍ학습 자료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정동운 한국한문교육학회 2022 한문교육논집 Vol.58 No.-

        이 논문은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의 의미와 이를 활용한 한문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필자가 수업 실제에서 영상 매체를 활용한 교수ㆍ학습 자료를 共有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 사례들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기술(콘텐츠, 미디어)을 활용한 한국 한자, 한문교육 현황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나마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기술과의 접목으로 보다 한자, 한문교육 방법의 개선에 구체적인 논의와 개발이 활성화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진입 또는 통과 중이라고 여겨지는 현 시점에서 디지털 기술(콘텐츠, 미디어)을 활용한 한국의 한자, 한문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란 디지털 자료로 볼 수 있는 주로 대중매체 즉 영화, 드라마, 가요, 웹툰 만화, 광고, 뉴스 기사 등을 말하는데, 내용인 콘텐츠와 매체인 미디어를 포괄하여 ‘디지털 매체’라 하겠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수업 특히 영상 매체를 활용한 수업은 실생활과 연결된 영역에서 한자, 한문 학습이 삶에 유용하다는 점에 공감하게 하고 학생들에게 한자, 한문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 의의가 있다. 한문 학습 요소(한자, 한자 어휘, 고사성어, 한문 격언 명언, 한시, 한문 고전의 글 등)가 담겨 있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한자, 한문 교수ㆍ학습자료와 수업 사례를 매체의 종류별로 나누어 예시로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TV예능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한자, 한문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놀면 뭐하니?>한자 이름2) 한자 이름에 담긴 뜻-‘펭수’의 이름 뜻3) 한자의 짜임․유래․조자 원리에 대한 이해-<개그콘서트>한자의 달인4) 한자를 응용하여 재미있게 할 수 있는 학습 활동-<놀면 뭐하니?>음식재료 한자 명칭 학습2. 영화/드라마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영화 <자산어보>로 배우는 한자어휘ㆍ한문문장ㆍ한시ㆍ문화2) 드라마 <더 킹: 영원의 군주>로 배우는 단어의 짜임3. 만화(웹툰)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죽음에 관하여>20화4. 신문기사/방송뉴스/다큐멘터리 등을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안중근 의사 사진과 일본인의 헌시 / 김구의 한문 친필 사연과 사진5. 노래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슈가<대취타>/힙합곡<마법천자문> 6. 광고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애착용기>/<치어럽 캠페인> 7. 其他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디지털 기술로 실재화한 한문 고전 학습 자료2) 고전앱/고전 창작동화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기술과의 접목으로 보다 한자, 한문교육 방법의 개선에 구체적인 논의와 개발이 활성화되는데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본론에 사례로 제시하고 보고한 자료 이외에 한문수업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를 활용한 한자, 한문학습 자료를 목록으로 만들어 부록에 첨부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meaning of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and the meaning of Chinese language classes using them, and introduces class cases in which the author possesses teaching/learning materials using video media in class practice and applies them. Through this, we want to help to understand at least a part of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hinese character/Chinese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contents, media), and improve the Chinese character/Chinese education method by grafting it with new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detailed discussion and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haracter/Chinese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contents, media) at the present time, which is considered to be entering or pass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refers mainly to mass media that can be viewed as digital materials, such as movies, dramas, songs, webtoons, comics, advertisements, and news articles.' I'll say. Classes that use digital media, especially those that use video media, make them sympathize with the usefulness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in life in areas connected to real life, and give young students (secondary school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It is meaningful to motivate learning by inducing it. Chinese characters/Chines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class cases using digital media that contain Chinese characters learning elements (Chinese characters, Chinese vocabulary, ancient idioms, Chinese proverbs, Chinese poetry, classic Chinese texts, etc.) It is presented as follows. 1. Chinese character/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TV entertainment programs 1) Arouse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Chinese characters - <What do you do when you play?> Chinese name 2)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names - The meaning of the name ‘Pengsoo’ 3) Understanding the weave, origin, and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s - <Gag Concert> Master of Chinese characters 4)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be fun by applying Chinese characters -<What do you do when you play?> Learning Chinese characters for food ingredients 2.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movies/dramas 1) Learn Chinese vocabulary, Chinese sentences, Korean poetry, and culture through the movie <Janja Eobo> 2) Word structure learned through the drama <The King: Eternal Monarch> 3.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cartoons (webtoons) - <About Death> Episode 20 4. Chinese character/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newspaper articles/broadcast news/documentary, etc. - Ahn Jung-geun's photo and Japanese tribute / Kim Gu's handwritten story and photo 5.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songs - Sugar <Daechwita>/ Hip-hop song <Magic Thousand Characters> 6.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advertisements - <Courage of Attachment>/<Cheerup Campaign> 7. 其他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digital media 1) Classical Chinese learning materials made real with digital technology 2)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classic apps/ classical creative fairy tales It is hoped that the grafting with new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help to revitalize detailed discussion and development of the improvement of Chinese characters/Chinese education methods. In addition to the materials presented and reported as examples in the main body,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various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language classes are listed and attached to the appendix.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이 교사 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현지(Lee, Hyun Ji),강수경(Kang, Su Kyoung)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의 만 3­5세를 담당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멀티미디어 활용 시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평균 4.02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효과 인식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교사경력에 따라 1­3년 경력의 교사가 발달을 지원하는 상호작용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5년 이상 경력 교사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멀티미디어 활용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교사 경력이 5년 이상인 경우가 1년 미만인 경우에 비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담당유아연령이 만 4세인 경우 만 3세인 경우에 비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가 멀티미디어 활용의 효과를 높게 인식할수록 멀티미디어 활용 시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멀티미디어 활용 시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 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degree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when early childhood teachers use multimedia,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multimedia utiliza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73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in charge of ages 3 to 5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child interactions was high with an average of 4.02 points using multimedia.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effects on multimedia use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he teachers’ experiences of 1-3 yea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action that supports development, and the teacher who has more than 5 yea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action of the teacher. Third, in the effects of multimedia use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eacher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less than one year when teacher career was more than 5 years, and teacher interaction was lower than that of 3 years when teacher age was 4 years old. In addition, the highe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the effect of multimedia use, the higher the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en using multimedia. Based on this study, we could discuss the efficient ways to enhance teacher-child interactions when using multi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