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디에나 있는 미디어’의 이론을 향해 기술의 자동성과 제어 개념에 대한 비판적 탐색

        이희은 한국언론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8 No.3

        Inthemidstofachangeinthemediaenvironment,industrial discourseson‘technology’arebloatedwhilephilosophicaland conceptualdiscussionson‘media’havenotbeenconductedindepth. Byexaminingtheconceptsofmediaandtechnologyfromthe interdisciplinaryperspectivebetweenmediatheoryandotherrelated academicfields,thisarticlehasapurposeofexplorationtosuggesta mediatheoryatlarge.Themaindiscussionisdividedintofourparts. First,Iexamineso-calledSiliconValleyperspectivewhichleadspublic discourseaswellasresearchinacademiaintotechno-centricism. Second,Icriticallyexplorethemeaningoftheculturalimaginationof technologicalautonomythathasbeenbuiltaroundintelligentmedia suchasAI.Third,theimplicationoftechnologicalcontrol,symbolized bytheparadoxofhumanisticposthuman,iscriticallyexplored. Fourth,atheoryof‘mediathatareallaround’isproposedinlinewith overcomingtechnocentricautomatismandanthropocentrism.Thisis anefforttounderstandtheconceptofmediaas‘action-at-adistance’ andtounderstandmediaasarelationshipbeyondtechno-centrism andanthropocentrism.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술’에 대한 산업적 논의는 비대해지는 반면 ‘미디어’에 대한철학적이고개념적인논의는깊이이루어지지못하고있다. 이글은미디어와 기술의개념을미디어연구와인접학문의접점에서살핌으로써, 더욱확장된미디 어이론을제안하려는탐색적시론의목적을지닌다. 주요논의는네부분으로나뉜 다.첫째,미국실리콘밸리의소수빅테크기업이오늘날의미디어기술관련대중 담론과학술연구를주도해온과정과그의미를비판적으로검토한다. 둘째, 인공지 능 등 지능화 미디어를 둘러싸고 구축되어 온 ‘자동성’에 대한 문화적인 상상의 아이 러니를탐색한다. 셋째, ‘인간보다더인간다운기술’이라는역설로상징되는기술에 대한제어의의미를탐색한다. 넷째, 자동성이라는기술중심주의와제어가능성이라 는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어디에나 있는 미디어’의 개념을 제안한다. 이는 미디어의개념을‘먼거리작용’으로이해하는것이며, 기술중심주의와인간중심주의 를벗어나관계로서의미디어를파악하고자하는노력이다.

      • KCI우수등재

        센다이 미디어테크의 자유로운 평면구성에 의한 건축공간의 특징에 관한 연구

        김종성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3

        The free planar composition is one of five principles asserted by Le Corbusier, and the Domino structure allows the composition of the interior space to be free from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a building. To understand the free plan of the architectural space designed by Toyo Ito, it is necessary to analyze his architectural concept pursuits. His outlook is that today's society is constantly changing; these changes along with diversity are resultant phenomena caused by homogenization, and the homogeneity of cities and architecture creates diversity and novelty of space. The architectural space characteristics pertaining to the free layout of Sendai Mediatheque involves a visual sense of space that changes and expands from moment to moment by the element of light rather than a general sense of space. The void penetrated the standardized slab plate up to the roof floor and was irregularly arranged in a free planar composition. This flexible spatial composition of architecture is expressed by the movement of pedestrians, and the composition of the floor, wall, and ceiling; corresponding to these movements forms a free space. The boundary between spaces is weakened when blurring the boundary of internal space by free planar composition. The free plan creates an inhomogeneous space by tubes, which are irregularly arranged structures. Upon analyzing th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free plans, it provided a new way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space of Sendai Mediatheque, and also confirmed the evolution of the free plan argued by Le Corbusier. 자유로운 평면구성은 르 코르뷔지에가 주장한 5원칙 중의 하나이고, 도미노 구조에 의한 내부 공간의 구성이 건축물의 구조적 제한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평면구성이 가능케 되었다. 이러한 자유로운 평면의 구성은 센다이 미디어테크(Sendai Mediatheque)의 가장 큰 특징적인 요소 중의 하나이다. 센다이 미디어테크의 자유로운 평면구성을 분석하여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공간과 비교하였고, 토요이토 건축공간의 자유로운 평면구성의 특징 및 이와 연관된 현대건축이 시사하는 건축공간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미디어테크의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

        이경훈,김우영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11

        The mediatheque designed in the late 20th century which we can call the origin from the library being characterized by some distinctive trait, the term 'character' was introduced. To compare mediatheque with library using the architectural character as its analysis tool is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The concept of character which makes beings of every kind claim upon us, its theoretical interpretation frame with architectural meaning and the analysis of medithequ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interpretation frame suggested are done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character interpretation frame of architecture itself consists in two components with one related to function and another to its sociocultural symbolic meaning. Within this frame, the mediatheques distinguish themselves quite clearly from their predecessors, libraries and this applies both to their own programme and to their sociocultural contextual situation were analyzed. Also with this case study the character interpretation frame in terms of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library and sociocultural symbolic aspects is shown to be the effective way to interpret the special features of case architecture. The knowledge based programme was changed into the user-need based programme was clarified with the mediatheque's being broadened into the limitless information network of real information world in sociocultural character. Being suitable for these contemporary needs the meditheque has been conceptualizing as a growing public being with open spatial character.

      • 보이드 공간과 산책적 동선을 적용한 미디어테크에 관한 연구 - 수직적 리모델링 기법과 페로의 공간개념을 활용하여 -

        김지호(Kim, Ji-Ho),임종엽(Lim, Jong-Yup)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1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plan through remodeling for the Mediatheque. Continuous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ransformation into an information-centric society require the new type of information storing and providing facilities. Therefore, in this work, we substitute Perrault"s "nothing" based on vertical remodel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site, the former American Cultural Center, summarizes the general concepts of vertical remodeling and Perrault"s "nothing", and derive the possibility to apply them. The elements of the plan proposed by this study are Void Space and Promenade Circuits, and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to spaces of thought through experience and creation of knowledge.

      • KCI등재후보

        디지털 뉴딜시대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에듀테크에 관한 연구

        유해영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0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4 No.4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비대면화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 시키며 전 산업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거대한 사회적 전환점에서 교육 분야는 홈스쿨링 수요가 급증하였고 ICT기술을 활용하여 교 육의 효과를 높이는 에듀테크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최근 정부가 발표한 디지털 뉴딜 정책 따라 디지털 대 전환이 예고되고 그 변화의 물결로 누구나 양질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본 논문은 날로 커지는 온라인 콘텐츠 시장에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제안을 통해 교육 기회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새로운 디지털콘텐츠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댐 구축에 따른 풍부한 공공데이 터 개방과 디지털 기술은 앞으로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ocial distancing caused by Corona 19 is affecting all industries and it’s accelerating non-face-to-face and digital transformation. At this huge social turning point, the demand for homeschool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increased and the edutech's interest i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using ICT technology is grow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gital New Deal policy announced by the government recently, a great digital transformation is foretold, and the wave of change is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nyone can use high-quality Open data. This paper aims to resolve the imbalanc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new digital contents by proposing an educational application platform using open data in the growing online content market. The openness of abundant open data and digital technology by the construction of a data dam is expected to become a priming water that anyone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rovide and use educational content services.

      • 포스트휴머니즘 표현특성을 적용한 미디어테크 실내공간에 관한 연구

        이효정(Lee, Hyo-Jung ),윤은경(Yun, Yean-Ky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Although we can acquire much information from anywhere in this information age, there is difficulty in obtaining practical and useful information and re-creating it. This indicates that the library of the future, unlike that of the past, must take into account not only access to information but also utilization. Meeting this requirement, libraries are seeing changes in concepts, more complex programs, and diversification of information media, which all help to transform libraries into a new place of culture. While such trend is surfacing in the form of mediatheque, Korea is still at a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such library spaces are called media libraries and digital libraries.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current study reviews the background in which mediatheque surfaced, as well as spatial programs,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new trend. Furthermore, the current study will focus on the expression attributes of post-humanism, a school of thought triggered by the reconstruction of the human concept after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result of various studies of cases in Korea and abroad, the study finds that Korea is at a stage in which it is beginning to accept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n the libraries, and while communication using cutting-edge media technologies is vibrant in Korea, other expressive attributes are more passively used compared to cases in other countries. In conclusion, such issues must be understood better, and there must be increased attempt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for mediatheque in preparation for a new era; as there is an increasing requirement for a more variegated spatial formation and complex spaces for various programs, more research must be conducted in this regard.

      • KCI등재

        두 개의 세계상, 디지털의 테크네

        김선아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4 No.-

        본 논문은 디지털 기술이 영화에 도입된 이후의 세계에 대한 영화 미학적 태도와 특정한 경향성을 짚어내는 기술미학적인 접근을 통해 영화의 현재를 바라보는 또 다른 관점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논문은 세계 영화를 크게 두 가지 경향으로 나누어서 논하고 있다. 첫 번째 경향은 <거기 지금 몇 시인가(What Time Is It There?)>, <세계(The World)>, <열대병(Tropical Malaise)>, <히든(Hidden)>과 같은 개별 영화를 통해 드러나는 불가해한(uncanny)경향이 그것이다. 이들 영화는 세계를 환기시키기 위해 세계상이 꾸며 낸 스펙터클, 즉 위조, 변조, 거짓을 다시 한 번 위조, 변조, 거짓으로 꾸며내어 세계로 돌려보낸다. 그러면서 거짓의 거짓과 위조의 위조를 통해 세계상은 비로소 세계와 관계의 회복을 시도한다. 결국 반영된 현실로서의 영화는 현실이 온갖 허구의 이야기와 스펙터클로 꾸며져 있다고 폭로하기 위해 기꺼이 허구의 이야기와 스펙터클, 꿈, 영화 매체, 테마공원 등의 낯선 간섭과 기이한 침입을 허용한 또 다른 조작물이 되는 것이다. 논문에서 검토하고 있는 두 번째 경향은 애니매이션의 일종으로 실사 영화를 놓는 디지털 영화들이 보여주는 경이로움이다. 이들 영화에서는 인간의 시점에 사로잡혀 있었던 셀룰로이드 필름을 해방시켜 인간이 볼 수 없고 지각할 수 없는 순간적인 운동과 속도 자체를 영화 미학으로 만들어 버린다. 디지털 영화 테크네는 초물리학을 통해 스스로의 포이에시스를 성취한다. 디지털 테크네는 하이데거가 예술의 아우라를 불어넣으려 했던 테크네를 재현 기술의 압축과 증식을 통한 전례 없는 이미지의 출현으로 실현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도래 이후 등장한 이들 두 가지 경향은 결론적으로 세계를 세계상이라는 시각 이미지로 간주하고 이해하며 모든 것을 다 드러내고 심지어는 미래에 도래할 것도 그 이미지를 통해서만 출현할 것이라고 "세계상을 믿는 영화"와, 이와는 달리 "세계를 믿는 영화" 그래서 세계상인 영화 이미지는 세계의 일부라는 것을 인정하고 세계에 대한 이미지의 불가능성을 통해 세계 내 존재에게로 다시 이미지를 보존시켜 주는 영화들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향이 오늘날의 영화미학적 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new cinematic tendencies and aesthetic manners toward the world pictures represented on screen after the adv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attempts to outline two world pictures, in Heideggerian terms: the uncanny and the marvelous. The first tendency, the uncanny picture, appears in some transnational films: What Time Is It There?, The World, Tropical Malady and Hidden. These uncanny films are immanent of a certain tendency to consider cinema as a kind of malfunctioned memory-machine to reveal the incommensurability among the real, daydream, and memory; ancient myths; the past and the present; history and memory; media's memories and human's experiences; and so on. The second tendency, the marvelous picture, may be seen in the global films made in Hollywood along with a development of 3D animation: Toy Story, Matrix, Inception and Avatar. In these films traditional cinema becomes live-action film, one layer of the materials used for digital composition. Techne, in Heideggerian terms, is displaced in these digital films where meta-physics becomes physics itself as well as poiesis. Cinema is liberated from human's eye and body and makes the movement and speed vivid and marvelous. Techne of digital technology achieves its own singular poiesis, that is, not only meta-physics but also artistic aura through the compression and reproduction of digital datum. As a result, it is the unprecedented world pictures that appears into the digit technoculture and cinematic tendencies are diverged into the uncanny picture and the marvelous picture.

      • KCI등재

        복합문화기관으로서 도서관의 공간 구성 연구

        곽승진,노영희,신재민,Kwak, Seung-Jin,Noh, Younghee,Shin, Jae-Mi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3

        도서관의 공간에 관한 문제는 오래전부터 도서관계와 건축, 공간디자인 분야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첨단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의 복합공간의 개념 변화를 살펴보고 각각의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 도서관의 복합공간 구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서관 건축과 공간의 문제로 제시된 복합공간의 주요 이슈인 미디어테크, 인포메이션 커먼스, 라키비움과 최근에 도서관에 도입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등 모든 개념이 중요한 요소이다. 미래의 도서관은 이러한 개념을 반영하여 독서와 정보, 학습, 휴식, 커뮤니티 중심에서 문화와 창작, 창업과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와 사용자, 사용자와 사용자, 사용자와 미디어를 서로 연결하는 매개의 역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복합 공간 플랫폼으로 건립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oblem of library space has long been discuss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library relations, architecture, and spac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the complex space of the librar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and the social paradigm,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the complex space of the future library by analyzing each case. All concepts such as mediatheque, information commons, larchiveum, and the maker space that is recently introduced into the library are important elements of the complex space presented as a problem of library construction and space. The future library reflects these concepts and serves as a mediator between information and users, users and users, users and media to support reading, information, learning, rest, community-oriented culture and creation, start-up and collaboration. It should be constructed as a multi-space platform to create new value throu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