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과 경험에 대한 비교 탐색

        권재희(BKwon, Jaehee),황성온(Hwang, Sungon)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0 교양학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서 비교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예비교사 10명, 미국의 예비교사 8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관해 인터뷰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나라의 예비유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다문화 교육을 상호 간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서로 공존하기 위한 교육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한국 예비교사들은 반편견 교육에 중점을 둔 반면 미국의 예비교사들은 문화, 종교, 지역 등 다양성을 포괄한 교육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두 나라의 예비유아교 사들은 대학 이전에 다문화 교육 관련 경험이 제한적이었으나, 한국 예비교사들은 교육 실습 중 다문화 가정 유아와의 경험이 다문화 교육에 관심을 갖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미국 예비교사들은 대학 내 교실 안, 밖으로 다양한 인종, 문화 경험이 다문화 교육 실행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다문화 시대에 발맞추어 두 나라의 예비유아교사들 모두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한국 예비교사들은 다문화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교사와 학부모의 편견을 없애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미국 예비교사들은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학교 차원의 지원, 교사의 노력, 그리고 교육과 정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두 나라의 예비교사들은 현재 대학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내 유아교육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들이 분석되고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Korean and America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hat experiences they have had. The participants were 18 pre-service teachers(10 Koreans and 8 Americans), who enrolled in a four-year undergraduate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and analyzed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perceiv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differences and respect others and to promote an equal society for all people. However, the Korean pre-service teachers mainly connected multicultural education to anti-biased curriculum while the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diverse factors, such as culture, religion, race, and reg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common, the participants had limite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before college. After they entered college, the Korean pre-service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ir field experiences helped them understand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mentioned their interactions with people from other cultures on and off campus helped them to be open-minded to children from different cultures in schools. All of the participants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global era. In order to pursu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Korean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reducing prejudice is prioritized while the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that the school’s support, teachers’ changed attitude, and curriculum change are necessar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Lastly,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two countries felt that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college does not adequately prepare pre-service teachers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서현아,천희영,위수정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This research examines how experiences related to multicultural issues influence the understanding, perception, attitudes, and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512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participated. Their multiculture-related experiences and their understanding, multiculture-related characteristics(perception, attitudes,and self-efficacy concerning multiculture)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re preservice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took multiculture-related courses, had experiences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raveled to other countries, and took courses wit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than their counterparts in Korea.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multiculture according to their multiculture-related experiences between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preservice teacher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On the contrary,Korean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classes wit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bette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Regarding self-efficacy, there were no differences with varying multiculture-related experiences in the United States, whereas Korean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multiculture-related courses exhibited higher degree of self-efficacy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