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해상보험법의 체계 및 구조에 따른 문제점에 관한 고찰

        남도현 ( Nam Do-hyu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6 No.1

        세계무역 및 보험시장에서 미국이 관여하고 있는 규모가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음에 따라, 국제무역상 준거법으로 미국의 해상법을 채택하는 경우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서 기존의 영국 해상보험법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미국 해상법에 대한 검토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국은 연방체제하에서 연방법과 주법이 병존하는 법체계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연방법과 주법 사이에 적용법과 관할 재판지에 대한 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 헌법은 연방의 사법권이 해사에 미친다고 규정함으로써 해사법은 연방법의 관할하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해사법은 해사에 관한 계약 등을 규정하고 해상보험계약은 해사에 속하는 것으로 해사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전속관할권은 연방법원에 부여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해사사건에 대하여 원고가 해사법이 아닌 일반 민사소송을 통하여 주법원에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 주법원이 해상보험계약에 관한 소송에 대한 관할권이 인정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Wilburn Boat Co. 사건에서 연방대법원이 해상보험계약에 대하여 주법이 적용된다고 결정한 것은 이례적인 것으로 보인다. Wilburn Boar Co. 사건에서 연방법과 주법간의 선택의 기준은 연방해사법상 이미 성립된 판례법이 없다면 주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준은 해상보험법 뿐만 아니라 향후 해사법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는 미국과 국제거래의 상대방에게는 법의 일관성이나 통일성의 결여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분쟁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국 해상보험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미국 해상보험법이 속하여 있는 체계 및 그 구조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국제거래를 위한 실무상 대응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연방법제 하에서의 미국 해상보험법 체계 및 구조상의 문제점에 대한 실무상 영향으로는 해상보험 관련 사안에 대한 적용법으로 미국 주법을 채택할 경우 해상보험의 국제 공통성 및 일관성이 결여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른 법적 불확실성의 증가로 인한 국제적 신용 하락과 잠재적 소송의 유인 및 해상화물 등에 대한 보험자의 인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선 계약 당사자 간에 적용법 및 관할 재판지를 지정하는 유효한 약정을 체결하도록 하며, 미국 주법이나 주법원을 지정하기 보다는 보다 일관성이 있어 법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연방해사법과 연방법원을 적용법과 관할법원으로 지정하도록 하는 방안이 있다. As the scale of the US involvement in the global trade and insurance market is overwhelming, the adoption of maritime law in the United States as an international trade law is expanding.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US maritime law in addition to the existing maritime insurance law. Unlike Korea, the United States has a legal system in which federal and state laws coexist under the federal system. There is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controversy of choice of laws and jurisdiction between the federal and state laws. The US Constitution states that maritime law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federal law by stating that the federal judicial power shall extend to all cases of admiralty and maritime jurisdiction. It means that the exclusive jurisdiction is given to the federal court since contracts for maritime affairs are governed by maritime law and maritime insurance contracts are subject to maritime law as the maritime affair. However, in the case that a plaintiff files a civil lawsuit for the dispute on the maritime affair in a state court rather than maritime lawsuit, the state court may have jurisdiction over the lawsuits related to maritime insurance contracts. Especially in the case of Wilburn Boat Co., it is unprecedented that the Supreme Court to decide that state law applies to marine insurance contracts. In the case, the court stated that the case is governed by the appropriate state law if there was no federal admiralty law rule governing warranties in a marine insurance contract. These standards could affect cases related to the entire maritime law as well as the marine insurance law after the case of Wilburn Boat Co. This can be seen as increasing the uncertainty about the conflicts that may arise due to the lack of consistency of law for the counterparts of US on international trad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US marine insurance law,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ystem and structure of the US marine insurance law is require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practical measures for the international trade. The practical impact of the systemic and structural problems of maritime insurance law could lead to the lack of international commonality and consistency of maritime insurance if the state law is applied to maritime insurance matters. In other words, the increase in legal uncertainty could cause a decrease of the international credibility, an increase of the potential dispute, and the problem of insurer to undertake the marine insurance.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irst conclude a valid agreement between the contracting parties to specify the applicable law and jurisdiction, and select the federal maritime law and federal courts, rather than the state law and state courts, as the applicable law for the maritime contract to provide more consistent and legal stability.

      • KCI등재

        『탄소제로 보험동맹(NZIA)』가입 사업자의 미국 반독점법 위반 문제

        김원각 (사)한국보험법학회 2024 보험법연구 Vol.18 No.1

        ESG 경영은 모든 산업 분야에서 기업경영의 뚜렷한 흐름이 되고 있다. 그 가운데 환경 부문에서는 탄소배출을 줄여 기후 위기에 대비하여야 한다는 공감대가 세계적으로 형성되고 그 대응 방안이 매우 다양하게 제시·실행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의 「글라스고 탄소제로 금융동맹(GFANZ)」도 그중의 하나로서 금융산업의 전 분야에서 업권별로 대응하는 조직을 구성하고 개별기업이 공동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취할 행동지침을 제시하여 왔다. 보험 부문에서는 「탄소제로 보험동맹(NZIA)」이 창립되었다. NZIA는 2021. 7.에 8개 대형 보험회사를 회원으로 출발하였다. ESG 경영이 지속가능한 기업의 기본요건임을 의심치 않은 보험회사들이 속속 가입하면서 한때 회원 수가 30개 사에 이르렀다. 그러나 2023년 5월 미국 23개 주가 회원 보험회사가 NZIA 지침에 따라 보험사업을 영위할 경우 미국 반독점법에 위반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였다. 이에 회사들이 속속 동맹을 떠나 2024. 2. 10. 현재 11개 기업만 남게 되었다. 한국 보험회사는 삼성화재, 신한생명이 이미 탈퇴하였고, KB보험은 아직 남아 있다. 이 상황은 NZIA의 회원 회사 숫자가 늘고 주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예컨대 피보험자가 화재보험에 가입하고자 할 때 회원 보험회사들은 피보험자가 탄소배출회사라는 이유로 위험인수를 거부할 수 있는가? 보험회사는 미국 반독점법의 집단적 거래거절이나 부당한 공동행위자로 제재를 받을 것인가? 반독점법 시비는 보험 외에 은행업이나 자산운용업으로도 확산 될 것인가? 이 상황은 대선을 앞둔 미국 공화당의 정치적 공세인가 아니면 분명한 법적 판단에 따른 법집행의 예고인가? 파리기후변화협약에 탈퇴와 가입을 반복하고, 주에 따라 ESG에 반대하는 입법이 적지 않게 행하여지는 미국 상황의 일부인가? 매우 복잡한 요인들이 작동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 보험회사들이 반독점법 위반 가능성을 매우 심각한 법적 위험으로 느끼고 있는 점은 분명하다. 본고는 NZIA의 등장과 좌절, ESG 추세와 반발, 금융산업 중에도 유일하게 연방 반독점법의 적용에서 제외되고 있는 보험사업의 반독점법 위반 가능성을 짚어 본다. 반독점법의 역외적용 문제이지만 이번 미국 23개 주의 태도에 비판적인 EU경쟁법과 기능조약(TFEU)의 입장을 소개한다. 우리 보험업법의 상호협정이나, 공정거래법상 역외적용·국제효력·법령에 따른 정당행위 등의 조항을 갖고 지금의 사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 NZIA 회원 기업이 미국 반독점법 위반에 대한 다툼에 실제로 휘말리게 될지는 지금 누구도 단정할 수 없다. 미국의 대선 결과, 공화당측의 정책 방향, ESG를 중시하는 세계적 동향 등 큰 변수와 함께 개별 주에 의한 돌발적인 소송 가능성도 유의해 보아야 한다. 법리에 따른 소송의 승패와 관계없이 미국에서 반독점법 시비에 휩싸이는 것은 사업자에게 매우 힘든 일이다. 보험회사들의 탈퇴를 비난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보험산업 영역에서도 탄소제로는 매우 실현하기 어려운 과제임을 경험하게 되었다. ESG management is becoming a mainstream trend in corporate management in all industries. In the environmental sector of ESG, there is a global consensus on the need to reduce carbon emissions to fight the climate crisis, and a wide variety of initiatives have been proposed. The Glasgow Financial Alliance for Net Zero (GFANZ) of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is one such initiative that has formed sector-specific organizations across the financial industry and set out guidelines for action to achieve collective goals. In the insurance sector, the Net-Zero Insurance Alliance (NZIA) was launched. The NZIA started in July 2021 with eight large insurance companies as members. At one point, the number of members reached 30 as more and more insurers realized that ESG management wa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corporate sustainability. However, in May 2023, 23 U.S. states warned NZIA member insurers that they would likely violate U.S. antitrust laws if they conducted business under NZIA guidelines. As of February 10, 2024, only 11 companies remained in the alliance. Korean insurers Samsung Fire and Maritime and Shinhan Life have already withdrawn, leaving K.B. Insurance as the only remaining member of the NZIA. This situation involves several complex issues and is more than just a matter of the number of NZIA member companies rising and falling. For example, if an insured seeks fire insurance, can member insurers refuse to underwrite the risk because the insured is a carbon-emitting company? Would an insurance company be sanctioned as a boycott or business entity of illegal cartel conduct under U.S. antitrust law? Will antitrust enforcement extend beyond insurance to banking and asset managers? Is this a political move by the U.S. Republican Party in the run-up to the presidential election or a solid legal judgment? Is it part of a U.S. context that has seen repeated withdrawals from and accessions to the Paris Agreement on Climate Change and anti-ESG legislation on a state-by-state basis? There are so many complex factors in these questions that it’s difficult to determine a definitive answer. However, leading global insurance companies see the potential for antitrust violations as a severe legal risk. This article examines the rise and fall of the NZIA, ESG trends and backlash, and the potential for antitrust violations in the insurance business, which is the only financial industry exempt from federal antitrust laws. This is an issue of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antitrust law, but it also introduces the position of E.U. Competition Law and the TFEU, which are critical of the attitude of the 23 U.S. states. Art.125 Mutual Agreement in the Korean Insurance Business Act and Art.3 Application to Acts Conducted Overseas, Art.56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Art.116 Legitimate Acts under Statutes or Regulations in Korea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do not solve the problem. The question of whether NZIA members would violate U.S. antitrust laws is currently unanswered. And significant variables such as the outcome of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the policies of the Republican Party, the global trend of pro-ESG, and the possibility of sudden litigation risk should be noted. Whether you win or lose on the merits, antitrust litigation in the U.S. is an arduous process that no business entities wants to go through.

      • KCI등재

        책임보험법 리스테이트먼트를 둘러싼 미국 보험계의 갈등에 관한 연구

        김원각 법무부 2023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101

        Through internal dealing between affiliated companies, business groups can reduce transaction costs. Also, internal dealing can make it easy for business groups, based on their reputation in markets, to enter into new businesses or to extend existing businesses. From internal dealing, business groups can achieve the entire groups' interests and efficiency. Internal dealing in business groups, however, can diffuse core competence of business groups. Internal dealing can also make it possible that healthy affiliated companies will become weakened. In addition, internal dealing can hinder fair competition in a market since internal dealing can unfairly give supported affiliated companies an advantage. Moreover, if unfair support among affiliated companies is rampant, a corporation that attempts to enter into a market should also consider the economic power of the business group behind a competing company in the market. Accordingly, market contestability will be reduced. If internal dealing is unfairly made, wealth transfer will arise in favor of a controlling shareholder and his family. This concern has been seen in cases where controlling families siphon private benefits of control. Since the extent of the market concentration of large business groups is large, it is likely to lead to the economic concentration. Internal dealing of a business group are naturally associated with both a positive aspect (i.e., enhancing efficiency in a business group) and a negative aspect (i.e., reducing the competition in a mark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issue with a more balanced perspective. Fair and efficient internal dealing should be allowed. On the other hand, unfair internal dealing for the purpose of private benefits in favor of a controlling family or inefficient internal dealing should be restrained. This Article reviews legal issues in relation to internal dealing in business groups under the Fair Trade Act. This Article also explores legislative issues of the aforementioned topics that have constantly been politically controversial in Korea. In addition, this Article proposes potential solutions to addressing proper regulations on internal dealing. 지난 1세기동안 리스테이트먼트 작업을 수행하여 온 미국법률협회는 2010년 시작한 ‘책임보험법원칙’작성 프로젝트를 2014년에 ‘리스테이트먼트’ 작성 프로젝트로 전환하였다. 리스테이트먼트는 2018년 5월 총회의 최종승인을 거쳐 2019년 출간되었다. 특정 산업을 겨냥하여 리스테이트먼트가 작성된 것은 처음이다. 리스테이트먼트는 책임보험계약에 대한 ‘해석원칙’과 ‘당사자의 권리·의무’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작업 과정에서 미국법률협회는 보험업계와 극단적으로 대립하였고, 사업자단체, 학계, 주 의회와 행정부가 주로 보험자측에 가세하면서 대립이 확산되었다. 완성된 리스테이트먼트에 대한 법원의 수용 여부도 아직 모호하다. 이런 사정으로 인하여 책임보험 시장은 불안한 처지에 직면하였다. 반대론자들은 법원이 수십만회 인용한 기존의 다른 리스테이트먼트와 미국법률협회에 대해서도 공격하고 있다. 미국법률협회는 1932년 불법행위리스테이트먼트, 1952년 이래 수차에 걸친 개정 통일상법전(UCC), 1994년의 「회사지배구조원리: 분석과 권고」(Principles of Corporate Governance: Analysis and Recommendations)와 같은 성과에서 보듯이 최근 100여년동안 미국법 발전에 가장 기여한 최고전문가집단으로 인정받아왔으나 평판에 흠을 입게 되었다. 현재의 갈등상황은 단지 리스테이트먼트라는 독특한 수단을 갖고 있는 미국에서 일어난 간단한 사건이 아니다. 우리나라도 2007년 법무부 상법 보험편 개정안이 이해관계자들의 갈등으로 2014년에 주요쟁점을 대부분 뺀 채 개정을 마무리한 전력이 있다. 한편 미국은 세계에서 최대의 책임보험시장을 형성하고 상품개발을 주도하며 각국의 보험제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도 책임보험계약에서 영문약관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나아가 책임보험은 배상의 법리와 상호작용하면서 불법행위와 계약의 법리에 서로 중대한 영향을 미쳐왔다는 점에서 사법(private law)의 확산과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책임보험법리스테이트먼트에는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을 매우 민감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현존하는 미국의 판례법을 50개 주 전체 차원에서 정리하는 기존의 리스테이트먼트 작성원칙에서 벗어나 책임보험법이 실현하여야 할 바(what the law ought to be)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책임보험법리스테이트먼트는 50개 조문에 불과하지만 각 조문의 내용은 책임보험계약의 해석과 입법에 각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 실무, 계약해석, 입법자료로 이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350쪽에 이르는 리스테이트먼트를 한편의 논문에 모두 담을 수는 없다. 본 연구는 각 조항의 본격적인 분석에 들어가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지난 1세기동안 리스테이트먼트 작성작업을 독점해 온 ALI와 리스테이트먼트 작성원칙과 작성과정, 리스테이트먼트의 기능, 책임보험법 주제선정의 배경, 이에 대한 주 의회와 행정부, 일부 학계와 보험업계의 격렬하고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전방위적 저항을 소개한다. 이 갈등의 끝은 어디일까? 미국법률협회가 8년간 공들여 온 성과물을 쉽게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다. 법원의 태도가 관건일 것이다. 그러나 미국에서 법원의 태도를 통일적으로 정리하기는 쉽지 않다. 그것이 바로 리스테이트먼트를 작성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장차 미국의 법원, 의회, 학계가 ...

      • KCI등재

        미국법상 변액보험에 관한 소고

        한기정(Han Ki Jeong) 한국보험법학회 2010 보험법연구 Vol.4 No.1

        이 글은 적합성 원칙을 투자성 있는 보험계약, 특히 변액보험(variable insurance)에 적용하는 문제를 다룬다. 우리나라 자본시장법은 투자상품에 적합성 원칙을 적용하고 있고, 보험업법은 보험상품에 적합성 원칙을 적용하고 있지 않다. 상기 문제에 대한 국내의 현재 주류적 견해는, 변액보험이란 사망보험금을 제외하고는 투자위험을 보험계약자가 부담하는 투자상품이므로, 변액보험의 권유시에도 적합성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보험 요소와 투자 요소가 결합된 특수한 측면이 있다고 평가되고 있는 변액보험의 경우에 그 특수성을 고려한 적합성 원칙의 그 구체적 내용 및 범위에 대한 논의가 우리나라의 학계에서 충분히 이루어져 있다고 보기 어렵다. 그 구체적 내용 및 범위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항이 깊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첫째, 조금이라도 투자 요소가 있는 보험계약이라면 투자상품으로 규제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둘째, 변액보험을 투자상품으로 규제하는 경우에도, 변액보험의 투자 요소에 대해서만 적합성 원칙을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변액보험 전체를 투자상품으로 보아서 투자요소인지 보험요소인지를 묻지 않고 변액보험 전체에 대해서 적합성 원칙을 적용할 것인지의 문제이다. 이 글은 변액보험에 적용할 적합성 원칙의 구체적 내용 및 범위라는 법적 과제를 탐구함에 있어서 미국법과의 비교법적 연구 방법을 취한다. 미국에는 변액보험의 일종인 변액연금을 중심으로 상기 두 가지 사항에 대한 법리가 축적되어 있기 때문이다. 미국법상 변액연금에 대한 적합성 원칙의 적용에 대한 관련규정 및 구체적 분쟁사례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투자 요소가 미미한 보험계약에 대해서는 투자상품으로 규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둘째, 변액보험을 전체로 투자상품으로 규제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변액보험의 보험 요소와 투자 요소를 구분하지 않고 투자상품에 적용되는 적합성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보험 요소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또는 도외시 하고, 투자적 시각에서만 적합성 원칙을 위한 규정을 제정하거나 적용하게 되면, 보험의 본질이 왜곡되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이 가해질 수 있다. 생각건대, 변액보험에 적합성 원칙을 적용함에 있어서, 보험 요소와 투자 요소를 구분하고, 각각에 부합하는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금융상품별 특성을 살리고, 그 결과 기능별 규제의 원칙이 준수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suitability rule to investment-related insurance, in particular variable insurance. The currently dominant position in Korea thereabout is that variable insurance should be subject to such a rule as it may be classified as an investment except for death benefit.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content and scope of the suitability rule have been substantially explored with the viewpoint of the special feature of variable insurance, that is a hybrid of insurance elements and in-vestment elements. This article discusses two material issues about the content and scope of the suitability rule. The one is whether variable insurance with a small investment element should be regulated as investment, and therefore the suitability rule should apply to such a variable insurance. The other is whether the suitability rule should be applicable to not only investment elements of variable insurance but also its insurance elements. This article adopts a comparative approach towards U.S. law. It is because the U.S. has accumulated abundant cases, corrective actions, and academic theories about the content and scope of the suitability rule by a special reference to variable annuity which is a kind of variable insurance.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U.S. law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variable insurance with a small investment element should not be subject to the suitability rule. Secondly, the suitability rule is applicable to not only investment elements of variable insurance but also its insurance elements. In other words, variable insurance as a whole is regarded as an investment. However, this position may be criticized as ignoring insurance elements with the result that the nature of variable insurance might be distorted. It is suggested that a distinction between investment elements and insurance elements should be made in the application of the suitability rule to variable insurance so that the functional regulatory approach may be secured.

      • KCI등재

        미국 해상보험법상 연방법과 주법의 적용에 대한 구조적 문제점에 관한 고찰

        박세현,한낙현 한국국제상학회 2022 國際商學 Vol.37 No.2

        Wilburn Boat 사건에 의해 해상보험 분쟁사건의 적용법에 주법의 선택을 시사한 판례법이 탄생한 이후 주법상의 비해상 판례법과 제정법도 상황에 따라 해상보험법을 충족할 수 있게되었다. Travelers v. Ocean Reef 사건에서 지방법원은 해상보험증권상 연방해사법을 엄격하게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보험증권하에서 요트의 손해에 대해 보험금을 지급할 책임이 없다고 판결하였다. 그런데 제11순회구 연방항소법원은 선장 또는 해원의 담보특약에 적용되는 해사법원칙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피보험자의 담보특약 위반의 영향을 결정함에 있어 결과적으로 플로리다법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하여 지방법원의 판결을 번복하였다. 이와 같이 미국은 복잡한 법원칙이나 독특한 소송관행이 있으며 해상보험법도 그 환경 하에 있다. 본 연구에서 는 미국 해상보험법에 내재하는 문제로서 해상보험계약에 관한 준거법 선택과 관련된 문제를 분석한다. 이와 관련하여 영미법의 일반적인 특징으로서 문제의 근원이 된 판례나 그 후의 판례법의 형성에 대한 분석을 한 후 이를 바탕으로 미국법의 독특한 구조상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분석한다.

      • KCI등재

        업무상 질병의 인과관계에 관한 일고찰-상당인과관계를 중심으로-

        김덕기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3

        The problem of acknowledging occupational disease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determining whether a disaster, which is a premise, in an insurance claim claim under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is an occupational disease. In particular, how to prove the existence of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disease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recognition of work disease. There is no question that workers are currently responsible for proof of causality in relation to occupational insurance law. However, if the company's process is complicated and workers exposed to the work environment where chemicals are released, such as chemicals, suffer from chronic illnesses rather than acute illness, the workers are exposed to harmful risks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not easy to recogni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disease because it occurs after a while. Occupational diseases, in particular, are similar to those of common diseases, making it difficult to detect early, and it is difficult for workers to personally prove causality. Demonstrating occupational diseases often requires a high degree of medical and natural science knowledge. Therefore, as in the case of modern lawsuits such as toxic substances, pollution and medical lawsuits, the workers' compensation liability claim is virtually shifted to mitigate the burden of proof of worker's causal relationship, or the burden of proof responsibility by law. It has been argued that it must be specified as a user.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and the limitations of remedies. Analyze the attitudes taken by the case. Finally, we will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factual causality, referring to the example of the United States, where many cases have been accumulated regarding recent European legislative trends and occupational diseases. 업무상질병의 인정 문제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보험법)상의 보험급여청구소송(이하 산재보험급여소송)에서 그 전제가 되는 재해가 업무상질병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업무와 질병사이의 인과관계의 존재에 대한 증명을 어떻게 하는지가 업무상 질병 인정 여부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현재 산재보험법의 업무상 질병에 대한 인과관계의 증명책임은 근로자에게 있다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해당 기업의 공정과정이 복잡하고 그 과정에서 화학약품 등 독성물질이 배출되는 근무환경에 노출된 근로자가 급성이 아닌 만성적 질병에 걸렸을 경우에는 근로자가 장기간 유해한 위험에 노출된 후 상당기간 잠복기간을 경유한 후에 발생하기 때문에 업무와 질병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직업병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질병의 증상과 비슷해 조기에 발견하기가 어렵고 근로자가 개인적으로 인과관계를 입증하기도 곤란하다. 업무상질병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의학적, 자연과학적 지식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유독물질 ,공해, 의학소송과 같은 현대형 소송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산재보험급여소송에서도 근로자의 인과관계 증명책임 부담을 사실상 전환시켜 근로자의 증명부담을 완화하거나 법률에 의하여 증명책임의 부담주체를 사용자로 명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 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을 기초로 먼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규정체계와 권리구제의 한계에 관하여 법적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고, 업무상질병의 인정기준으로서 유독물질에 의한 불법행위 및 반도체근로자의 상당인과관계에 대한 재 판례가 취하고 있는 태도를 분석한다. 끝으로 최근의 유럽의 입법동향이나 업무상 질병에 관하여 많은 판례가 축적되어 있는 미국의 예를 참고하여 사실적 인과관계의 적용가부를 검토하기로 한다.

      • KCI등재

        미국의 경제위기극복의 법률적 측면에 관한 연구

        박선욱(Park Seon-Uk) 한국법학회 2010 법학연구 Vol.40 No.-

        경제위기 극복의 징후가 보이고 있다고는 하나, 미국에 있어서 많은 중소규모 금융기관들과 가계들은 여전히 적자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실업과 서브프라임 모기지 론의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주태보유자들의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 2009년 2월 10일 버냉키 FRB의장이 금융위기 발생 후 처음으로 미국경제회복의 출발을 알리며 1) 유동성의 흡수, 2) 금리의 인상, 3) 주택모기지 담보부 자산 매각등의 점진적인 추진을 내용으로 하는 소위 출구전략을 발표하였으나, 결국 명백한 경제회복의 신호가 있은 후에, 출구전략의 본격적인 내용인 국채 및 정부보증 모기지 채권의 매각을 실시한다고 하였고, 동시에 상당 기간 저금리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하여 실질적인 출구전략의 운영은 시간을 요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오히려 최근 미국은 “월가 개혁 및 소비자보호법”을 통하여 기존의 금융기관들에 관한 규제를 엄격히 하고 감독대상 기관들을 확대하며,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기도 하다. 미국의 위기극복 전략은 크게 보아 경기부양정책과 금융시스템 개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글은 미국 정부가 진행하여온 경기부양정책과 금융시스템의 안정 및 개혁 프로그램들의 추진 내용들을 정책과 법안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다만 경기부양정책의 일부는 당연히 금융기관들의 정상화와 안정화 정책들을 포함하게 되며, 금융개혁정책은 주로 금융기관의 건전성 회복, 대출시장의 활성화, 금융규제 개혁, 소비자 보호 등을 포함한 금융안정화 및 활성화 정책으로, 부실채권 매입, 금융기관의 자본 건전성 확보, 재정지출을 통한 유동성 공급과 금융위기의 재발 방지를 위한 광범위한 금융규제 개혁을 포함한다. 미국의 변화가 우리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으로는 첫째, 월가 개혁 및 소비자보호법에 따라 국내금융시장에 투자한 미국의 은행, 은행계열사들의 투자비중 감소의 우려를 들 수 있다. 둘째로, 제도적인 측면에서, 금융감독기관들의 정보공유를 통한 공조시스템의 마련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에 대한 비밀과 감독목적 이외의 사용금지가 지켜진다는 전제하에, 감독기관 상호간에 적절히 정보가 교류되고 활용되는 것은 금융감독에 있어서 사각지대나 정보격차로 인한 부적절한 규제의 사용을 제한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셋째로, 비록 우리 시장의 금융기관들이 아직은 성장이 요구되는 것이 사실이어서 미국 류의 엄격하고 상세한 규제를 도입할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현 단계에서 적어도 미국의 제도변화를 주의깊게 분석하고 적용가능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Despite the signs of economic recovery in the U. S., numerous mid-to-small sized companies and households have not yet arisen from the agony of economic recess. The Federal reserve (Ben Bernanke) have identified some positive signals of recovery with a policy package of so-called exit strategy, it also clarified that it may take longer than expected for those policies to be actually put into play. The US Congress, and the President Obama, in contrast, have both passed and signed the wall street reform and the consumer protection act. The new legislation is mainly designed to bring more strict rules of regulation and supervision on the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ir business activities, while providing more detailed rules of regulation for the interest of financial consumers. Given that such legal reforms in the U.S. would eventually create impact for the Korean financial market, it would not be unreasonable to expect the outbound flow of the financial resources of US origin that had been originally put into the Korean market. Aside from possible minus effects in the Korean market, such lessons, among others, may be learned from the American reform policies as the establishment of the scheme of regulatory cooperation among financial supervisory institutions, and more flexible and strict regulatory policies upon the so-called systemat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for the Korean financial players would eventually grow substantial enough to pose significant threat and danger to themselves and the whole financial system itself as well.

      • KCI등재

        미국의 자연재해 보상제도에 관한 법제분석 및 시사점

        나채준 韓國土地公法學會 2013 土地公法硏究 Vol.61 No.-

        기후변화 등 재난환경의 변화로 전 세계적으로 지진과 해일, 홍수와 가뭄, 폭염과 폭설 등 자연재해가 빈번해지고 강도에 있어서도 과거보다 강력해지고 있다. 그로인한 인적, 물적 경제적 손실도 증가하여 개인이나 한 지역의 문제가 아닌 전 국가적인 현안이 되고 있다. 복지국가의 이념에 따라 자연재해로 발생한 피해에 대한 국가나 자치단체로부터의 보상과 지원이 필요하고 현재 관련 제도가 실행되고 있으나 그 액수도 부족하고 절차도 까다로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관련법규를 보완해서 지원액과 절차를 현실화할 필요성이 있다. 자연재해보상은 개인과 지역을 넘어선 현안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국가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고, 특히 자연재해가 빈발한 미국의 정책과 법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자연재해의 발생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서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농업재해 복구비용 등을 지원하고 있고, 농어업재해대책법, 재해구호법, '재난구호 및 재난복구비용 부담기준' 등에 관한 규정 등의 관련법이 갖춰져 있으나 피해보상은 현실과 너무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일반적이다. 정부는 증가하는 재해를 주민 스스로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농작물재해보험법에 근거하여 2001년부터 제한된 범위 내에서 재해보험을 처음 실시하여왔고, 농어업재해로 발생한 피해보상을 보다 현실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풍수해보험법을 마련하고 2012년 농어업재해보험법을 재정하였으나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해보상의 현실화를 위한 정책과 제도의 개선을 위하여 미국의 재해보상제도를 검토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Under the changing conditions of disaster including climate change,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 and tsunami, floods and droughts, heat wave and heavy snow are everywhere and their frequency and intensity has grown substantially. Subsequent loss of human life, economic and material benefits is also increasing, making it a national issue beyond individual, regional level. Under the principle of welfare state, national or regional authorities are required to grant disaster relief for natural- disaster -incurred- damage and there are some implementations going on, however, they are not satisfactory due to insufficient amount of compensation and complicated administrative labyrinth.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mplement relevant laws to make compensation and procedure more realistic. Natural disaster is a national issue beyond individual or regional level, and it requires a national approach to combat the situation.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study the policy and legal framework of the U.S. that are suffering frequent natural disasters. In regard to the damage incurred by natural disasters, the Korean government is granting reconstruction relief for agricultural disasters in accordance with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In the mean time, there are laws in effect such as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Agricultural and Fisheries Disasters, Disaster Relief Act, Framework Act on Disaster Relief and Disaster Reconstruction Cost Support Criteria. However, many people point out the insufficiency of relief program claiming that it is unrealistic. From 2001 based on (old) crop disaster insurance law,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conducted the disaster insurance in limited extend in order to residents prepare increase disaster himselives. Storm and Flood Insurance Act enacted to compensation for damage caused as a result of agricultural and fishery disaster in a more realistic and efficient. and in 2012, Agricultural and fishery Accident Insurance Act was enacted. However, still have a lot of problems.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review the compensat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presented its implic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policies improvement and realization of the Accident Compensation.

      • KCI등재

        미국 상사법의 개별입법화 동향

        김순석(Soon-Suk Kim) 한국기업법학회 2009 企業法硏究 Vol.23 No.4

        Since the jurisdiction of US private laws belongs to each state, there basically exists no federal law with respect to private matters. Therefore the modernization and unification of commercial laws enacted by each state has become the major concern. The National Conference of Commissioners on Uniform State Laws and the American Law Institute, with the cooperation of the American Bar Association, enacted the Uniform Commercial Code(UCC) in 1952 and has revised it continuously thereafter. However, the UCC does not cover all corporate laws and its contents are only composed of some parts of Korean Civil Code and Commercial Code. Therefore, the Corporate Section of American Bar Association enacted the Model Business Corporation Act in 1950, which becomes the model law of state corporation laws. Regarding US insurance law, even though there is no model act, the New York Insurance Law and the California Insurance Law play major role in this field. As the jurisdiction of maritime law belongs to the federal government, several maritime laws are enacted as federal laws. This study analyzes US commercial laws in terms of general provision, corporation law, insurance law and maritime law by comparing Korean laws. It concludes that since the legal system of US commercial law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laws, it is not relevant to adopt US commercial law system to Korea.

      • KCI등재

        보험모집상 특별이익제공 금지에 관한 검토

        김선정 한국경영법률학회 2009 經營法律 Vol.20 No.1

        By the Insurance Business Act §.98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Insurance Business Act §.46, any person who is engaged in the conclusion of insurance contracts or the insurance solicitation shall be prohibited from providing any policy holder or the insured or promising to provide any policy holder or the insured with special interests as money and goods, discount of premium, promise of paying the amount of insurance money in excess of the amount of insurance money etc. The prohibition clause functioned as a resale price maintenance of the insurance production. Such clause originated from USA anti-rebate statutes and Japanese Insurance Business Act §300 and remained essentially unchanged. But according to the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of insurance industry, even in the such countries arise the questions whether still need anti-rebate statute. The writer introduce the debate and changes in USA and Japan, and review the reasons of anti-rebate laws include the relation between the Insurance Business Act §.98 and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 §.23 sec.1(3) as an act of unfairly coercing or inducing customers of competitors to deal with the enterpriser in question . The writer not conclude that what, if any, changes should be made Korea insurance anti-rebating clause. Possible legislative or regulatory changes was remained as a futur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