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와 중국어의 미각어 연구 : 의미 대조를 중심으로

        김부영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미각어란 신체내의 자극을 느끼고 인식하는 감각의 한 종류인 미각을 우리의 언어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기존 연구에서 미각어를 어떻게 분류하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와 중국어 미각어를 의미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미각어에 대해 기본 미각어를 설정하고, ‘맛의 평가’, ‘맛의 정도’의 의미 속성으로 미각어를 분류하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미각어를 대조분석하였다. Taste vocabularies refer to the words which put the sense of taste into our language. This study examined the classification of taste words in the existing studies and investigated the semantic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taste vocabularies. Taste vocabularies of Korean and Chines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mantic features such as ‘evaluation of taste’ and 'degrees of taste' and they were analyzed in a contrastive perspective in the study.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 교육방안 연구

        쉬야 ( Xu Ya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7 한국어와 문화 Vol.21 No.-

        본 논문은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기본 미각어 `달다, 쓰다, 짜다, 시다, 맵다`류의 고빈도 미각 고정표현을 가르치고자 한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제안하고, 또한 이러한 교육 방안을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되면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중 양 언어의 미각어에 대한 기본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달다/甛`류, `쓰다/苦`류, `시다/酸`류, `짜다/咸`류, `맵다/辣`류를 중심으로 한·중 미각어의 파생의미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그 파생의미로 구성된 한·중 미각 고정표현을 비교하여 서로 간의 대응관계도 밝혔다. 4장에서는 교재 분석을 통해 한국어 미가 고정표현의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았으며, 고빈도 미각 고정표현의 학습 목록을 추출하였고, 또한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였다. 그 후에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을 난이도별로 나누었다. 그 미각 고정표현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하여 한·중 대조를 토대로 공기 관계 교육방법 및 맵을 활용한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5장에서는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의 교육방법이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되면 효과가 있는지 검증한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6장은 결론 부분으로, 본 논문의 논의를 요약하고 본 논문의 의미와 한계점을 밝혔다. 한국어 교육에서 고정표현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게 강조된 것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파생의미 및 미각 고정표현에 대한 교육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한·중 미각 고정표현 간의 차이점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의 학습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본 논문을 시작하여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실용적 교육 방안을 모색했다는 데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그러나 실제 다양한 한국어 미각어들을 모두 다루지 못한 점과 제안된 교육방안은 실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과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을 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고 검증하였다. 앞으로 미각 고정표현에서 외국인 학습자에게 재미있고 효율성이 높은 자료를 구축하고 학습자에게 쉽게 배울 있고 잘 기억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방안을 많이 연구해야 할 것으로 바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An analysis is done in Chapter Ⅲ by centering about the extended meaning of five basic flavors "sweet", "bitter", "sour", "spicy", "salty" and focusing on contrastive analysis of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ive basic flavors in Korean and China. Chapter Ⅳ was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high frequency of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and about teaching methods. In ChapterⅤ, based on the observation done before, it does the search about education programs of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which is subjected to Chinese leaners. In the real educational class, educational effect is measured through a test in which Chinese learner were educated with the method of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Finally Chapter is the conclusion part, which concludes the argument of this research and points out the meaning and shortcomings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realizes the difficulties that Chinese learners will meet while learning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in South Korean and tries to solve these problems in practical teaching. This research is dedicated to find out the ways suitable for South korean education scenes in the process of contrasting. However, the research has shortcomings such as the teaching method had been used in practical education, be limited to five basic flavors, etc. which are expected to be studied in the future.

      • KCI등재

        초등교사의 미각교육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지도능력 및 교육요구도

        이경애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teaching ability and educational needs of sensory education. A survey of 23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B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from the second week of April to the first week of May,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not aware of sensory education well, and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the fact that sensory education was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it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nly 20% of them were interested in sensory education, and male teachers were less interested in it than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less than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were less interested in than those with more than 20 years. Only 15.4% of them were confident about senso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s with lower educational experience were less confident. More than 50% of them responded that the most necessary thing in applying sensory education to Practical Arts was practice materials and tools for sensory education. 85.5% of them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a sensory education training.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senso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adequacy of the introduction into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4 points for female teachers, and 3.5 to 3.6 points for male teachers. The perception was lower in teachers with less than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an those with more than 20 years.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sensory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with most of 12 items being 4 points or more.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lued each sensory learning element of elementary school more importantly, and female teachers gave more importance perception on them than the male teachers. Their teaching ability on sensory learning elements was 3.45 ~ 3.61 points on average, which was not high. Fourth, they have educational needs for all sensory learning elements, and female teachers showed to have higher needs than male teachers. The ranking of educational needs for each sensory learning elements differed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sensory edu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 particular, more education is needed for 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less than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in order to properly apply sensory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lessons.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미각교육에 대한 인지, 중요도 인식, 지도능력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B광역시 초등학교 소속 초등교사 235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2째주 부터 5월 첫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미각교육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특히 2015년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미각교육이 도입된 사실과 그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가 높지 않았다. 초등학교 미각교육에 대해 관심이 높은 초등교사는 약 20%에 불과했고,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교육경력 20년 미만인 교사가 20년 이상인 교사보다 관심이 낮았다. 초등학교 미각교육에 대해 자신이 있는 초등교사는 단지 15.4%에 불과하였고,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가 자신감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의 50% 이상이 실과에 미각교육을 적용할 때 가장 필요한 것은 미각교육 실습준비물이라고 응답하였고, 미각교육 연수에 조금이라도 참여의사가 있는 초등교사는 85.5%이었다. 둘째, 초등학교 미각교육의 필요성이나 초등 실과에의 도입 적정성에 대한 인식은 여교사는 4점 정도인데 반해 남교사는 3.5~3.6점 정도로 낮았으며, 교육경력이 20년 미만인 교사가 20년 이상인 교사보다 낮았다. 미각교육 효과에 대한 인식은 12개 항목 대부분 4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초등학교 미각교육의 각 학습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초등교사들의 초등학교 미각교육 학습요소에 대한 지도능력은 전체 평균 3.45~3.61점으로 높지 않았다. 넷째, 초등교사들은 미각교육의 모든 학습요소들에 대해 교육요구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미각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더 높았다. 미각교육의 각 학습요소에 대한 교육요구도 순위는 남녀 교사간에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초등 실과에 미각교육이 제대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초등교사 대상의 미각교육 연수가 필요하며, 특히 남교사와 교육경력이 20년 미만인 교사 대상의 교육이 더 필요하다.

      • KCI등재

        미각교육과 유아 식습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진희(Jung, Jin-Hee) 한국식공간학회 2016 식공간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가지고 있는 감각을 활용해 맛에 대한 민감성을 기르고 식품 자체의 맛을 긍정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식습관이 개선되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한 부문인 미각교육과 유아의 식습관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미각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미각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각교육과 유아의 식습관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문헌을 통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체계화하였다. 인간의 미각은 오감(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중의 하나로 좋은 식품을 인지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실천하는 기준이 되며, 미각은 유아기에 형성되어 청소년기에 정착, 평생의 입맛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미각교육과 유아의 식습관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미각교육을 통하여 유아가 가지고 있는 감각을 활용해 맛에 대한 민감성을 기르고 식품 자체의 맛을 긍정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식습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건강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궁극적으로 유아들이 자신의 식습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성찰하여 보다 현명하고 멋진 인간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미각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나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nsory education by understanding children's eating habits and sensory education, which is a part of dietary life education that enhances children's sensitivity of taste using the sensory system that they have and that improves eating habits with positive recognition of food's taste. The study also intends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formation of proper eating habits and sensory education. The theoretical base of this study was systematized through the existing research and literature about sensory education and children's eating habits. Human's sense of taste, which is one of the five senses-sight, hearing, touch, smell, and taste, functions as the standard in recognizing good food and practicing healthy eating habits. It starts to form at early childhood and get settled at adolescent period. These two periods are very important to decide lifelong taste. Thus,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of sensory program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children's sensitivity of taste should be fostered through sensory education by studying the relation between sensory education and eating habits. Second, the problems of their eating habits can be solved and their health can be improved by recognizing taste of food itself positively. Last, children should think about their eating habits seriously, so that they can grow up to be smart and good people.

      • KCI등재

        러시아어 미각어의 의미 확장 양상 연구 - ‘солёный, кислый, острый’를 중심으로

        최윤희 ( Choi Yun Hee ),이수진 ( Lee Su Jin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4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러시아어 미각어들 ‘солёный(짠맛), кислый(신맛), острый(매운맛)’를 중심으로 기본의미와 추상적으로 확장된 의미들을 살펴보고,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미각어의 의미 확장 양상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각어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개념화 및 의미 해석을 밝혀보고, 인간의 미각에 대한 신체적 경험이 언어의 의미 구조에 반영되는 사고와 개념화 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미각어는 해당하는 음식의 맛을 대표하는 언어적 표상으로서의 기본의미와 함께 다양한 인간의 심리적 상태와 상황, 주관적 판단 및 평가의 의미를 표현하는 의미로 확장된다. 이러한 의미 확장의 동기는 인간의 신체화에 기반하며, ‘음식 맛’에 대한 신체적 경험 및 인지를 바탕으로 보다 복잡하고 추상적인 개념을 구성하고 이해하는 개념적 구조를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러시아어 미각어의 개념 구조는 ‘신체화된 경험’으로부터 도출되었고, 의미 확장은 ‘감각 →지각→인지’의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러시아어 미각어의 의미 분석을 위해 러시아의 대표적인 주석 사전들 및 말뭉치 용례들을 통해 의미 활용 범주들을 확인하였고 분석자료들을 추출하였다. 국내 국어학 및 타 외국어 학계와 비교해볼 때 러시아 언어학계에서는 해당 러시아어 미각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맛의 범주는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미각은 인간 공동체의 가치 척도에 우선순위를 차지하고 인간 삶에 있어 다양하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인간과 밀접한 신체적 경험이자 세계를 인식하는 수단이고 해당 민족의 고유한 문화적 특수성을 지닌 표현 방식인 미각 및 감각 영역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basic meanings and abstractly expanded meanings of the Russian taste words ‘солёный, кислый, острый’, and analyzed the meaning expansion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aste words from a cognitive linguistics perspective.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reveal Russians' conceptualization and meaning interpretation of taste words, and look into the thinking and conceptualization process in which the physical experience of human taste is reflected in the semantic structure of language. Taste words have a basic meaning as a linguistic representation representing the taste of the corresponding food, and are expanded to express the meaning of various human psychological states and situations, subjective judgments, and evaluations. The motivation for this expansion of meaning is based on human somatiz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it forms a conceptual structure that constructs and understands more complex and abstract concepts based on physical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food taste.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Russian taste words was derived from ‘embodied experience’ and that the expansion of meaning was accomplished in the manner of ‘sensation → perception → cognition’. To analyze the meaning of Russian taste words, semantic utilization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rough representative Russian annotated dictionaries and corpus examples, and analysis data was extracted. Compared to domestic Korean linguistics and other foreign language linguistics,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Russian taste language in Russian linguistics. I think there is a need for active research into the area of taste and sensation, which is a physical experience closely related to humans, a means of perceiving the world, and a method of expression with the unique cultural specificity of the relevant people.

      • KCI등재

        미각형용사의 형태론

        송정근(Song, Jung-keun) 형태론 2005 형태론 Vol.7 No.2

        본고는 미각을 표현하는 어휘 특히 형용사의 형태론적 특징들을 검토하였다. 우선 미각과 관련된 다양한 형용사 가운데 미각형용사 형성과 관련된 특정 접사가 분석되거나 내적변화를 겪는 형용사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미각형용사들에서는 ‘-큼하-, -콤하-, -곰하-, -금하-, -음하-, -쩍지근하-, -짝지근하-, -척지근하-, -착지근하-’ 등이 비교적 생산적으로 분석되었다. 이들은 분석적인 차원에서 미각형용사와 관련된 접사이지만 미각형용사의 내적변화를 고려한 단어형성의 차원에서는 ‘-큼하-, -음하-, -척지근하-, -착지근하-’만이 생성에 참여하는 접사이며 그 외의 접사들은 내적변화를 겪은 어형에 대한 분석적인 차원에서만 확인되는 어형으로 파악하였다. 본고는 또한 이론적인 측면에서 내적변화를 파생의 일종으로 보았던 기존의 설명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내적변화를 파생법이나 합성법과 함께 독자적인 단어형성의 기제임을 밝히려 하였다. 이를 통해 미각형용사 형성에서 파생과 내적변화가 각각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가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aste-representing words -- especially adjectives (called 'taste-adjectives' in this paper). Our study focuses only on those adjectives that have either undergone internal change or else are analyzed as containing special affixes relevant to the formation of taste-adjectives. Those that have been most productively analyzed are ‘-khumha-, -khomha-, -komha-, -kumha-, -umha-, -ccekcikun-, -ccakcikunha-, -chekcikunha-, -chakcikunha-’, etc. From the analytical point of view, these are all affixes related to taste-adjectives, but from the perspectives of word formation and internal changes, only ‘-khumha-, -umha-, -chekcikunha-, and -chakcikunha-’ participate in word-formation. Thus, the analyzed suffixes for taste-adjective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suffixes which can only be analysed and the other is suffixes which play a role in generating words. In terms of word-formation, then, this study emphasizes the distinction between derivation and internal change. Typically, internal change in word formation has been considered a kind of derivation, but these two methods of word formation are fundamentally not similar at all; this paper explains how derivation and internal change are used separately in taste-adjective word formatio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KCI등재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현황과 새로운 가능성 탐색 -미각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김현주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외국의 식생활교육 사례 조사를 통해 미각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였다. 첫째,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현황 파악은 초등학교 2007 개정 실과 교육과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였다. 둘째,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새로운 가능성 탐색은 외국에서 주목받고 있는 식생활교육 사례 중 미각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미각교육의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미각교육의 기초적인 사례를 분석하고, 외국의 사례에서 얻은 시사점을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외국의 경우 일본은 식육기본법을 마련하여 법과 제도의 차원에서 변화를 시도하였고, 이탈리아에서는 슬로 푸드(slow food)와 스쿨 가든(school garden) 제도를 통해 식생활교육 개념의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식생활교육에서 제3의 길을 접목한 프랑스의 미각교육(sensory education)은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식생활교육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우리나라 미각교육은 지금까지는 정규 교육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텃밭 교육농장, 유기농 학교 급식, 미각교육 프로그램, 초등학생용 미각교육 교재 및 지도서 개발 등의 사례를 통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미각교육은 식재료 고유의 맛을 기억하게 하는 것으로 식재료가 처음 음식에 섞이기 이전의 맛에 대한 다양성을 경험하고 그 맛이 어떻게 변해가는 지를 알게 하는 것이다. 식재료의 고유한 맛, 자연이 내는 맛의 다양성에 대한 감각을 키워주는 것은 현재 조작된 재료와 중독된 입맛에 길들어져 있는 우리 아이들에게 스스로 식생활을 관리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방안이 된다. 정규 교육과정인 실과교육이 이론과 체험 중심의 식생활교육에서 가치와 감성 중심의 미각교육으로 전환될 때 다가치적, 인간 중심적 구조를 지향하는 실과교육 목표가 실현될 수 있으며, 통합 생활교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실과교과에서는 미각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무엇이며 어떤 내용, 범주, 위계와 방법에 따라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등 식생활교육 환경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unt dietar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analyze foreign cases of dietary education to lay the foundation for setting a new direction of Korean dietary education. For this purpose,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objectives of dietar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f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analyze the contents and present state of dietary education in regular curricula at primary and secondary levels. A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with foreign cases of dietary education to suggest a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and emphasize sensory education. As for overseas cases, Japan established the Dietary Education Basic Law in pursuit of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s, and Italy suggests another view of the concept of dietary education through slow food and the school garden system. Sensory education in France where educational practice has found the third way for dietary education is the par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n future dietary education. Sensory education is to make one remember the unique taste of ingredients, experience diverse tastes of those ingredients before they are first mixed into food, and understand how those tastes go through changes. The efforts to promote senses for the unique taste of ingredients and a variety of natural tastes can allow children currently accustomed to manipulated ingredients and addictive tastes to be more competent in dietary management. I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e regular curriculum makes a shift from theory- and experience-based dietary education to value- and sensitivity-based sensory education, it can attain the objectiv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at pursues a multi-value, human-centered structure, which will then be settled as an integrated living subject. To do this,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needs to make efforts to create dietary education environment in terms of the ultimate objective of sensory education and its contents, categories, hierarchy, and method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음식의 플롯, 미각의 미학: 음식과 미각의 시야로 다시 보는 영화 <기생충>

        양세욱(Yang, Se-Uk)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6

        이 글은 영화 <기생충>에서 짜파구리를 비롯한 음식들의 미각이 영화의 플롯과 미학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생충>이 이룬 영화적 성취를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화의 개봉부터 현재까지 1년 남짓 짧은 기간 동안 <기생충>에 대한 분석을 담은 많은 글들이 발표되었지만, 영화에 등장하는 음식들에 대한 진지한 분석이 없었다는 점은 다소 뜻밖이다. 미각은 미학과 밀접한 인접성을 갖는 영역이라는 점에서도 이런 공백은 아쉬움을 남긴다. 영화 <기생충>에는 많은 음식들이 등장한다. 기생충이 숙주로부터 원하는 것은 생존과 번식을 위한 음식이므로, ‘기생충’을 제목으로 삼은 영화에 음식이 쉼 없이 등장하는 일은 자연스럽다. 먹히는 자와 먹는 자의 혈투, 먹히는 자의 음식을 두고 벌이는 먹는 자들 사이의 혈투를 그린 계급 우화이자 공간 우화이며, 욕망 우화이자 가족 우화인 <기생충>에서 음식은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 사이의 이항 대립을 통해 계급의 위계를 보여주는 소재이면서 계급 갈등이라는 영화의 주제 의식을 드러내는 강력한 은유이기도 하다. <기생충>의 음식들은 무엇보다 사건과 사건을 이어주는 플롯 장치의 일부로, 그리스 고전 비극의 ‘데우스 엑스 마키나’ 역할을 대리하는 미장센의 하나이자 미각의 공감각을 통해 총체성의 감각을 활용하여 관객의 감정이입을 허락하는 중요한 영화적 장치이기도 하다. <기생충>이 낮지만 견고했던 ‘1인치의 장벽’을 넘어 세계의 관객들에게 호소력을 가질 수 있었던 이유는 이성의 논리가 아닌 감각의 연쇄로 연결되는 영화이고, 짜파구리를 비롯한 음식들을 매개로 한 미각 경험의 미적 경험으로의 상승 효과 및 미각 자체가 지닌 공감각의 잠재력이 대중들의 감정이입을 유도하는 영화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The article aims to explain the cinematic achievements of the film Parasite through an analysis of the role in the plot and aesthetics of the food, which is a powerful metaphor for the subject consciousness in Parasite and shows the prototype of Bong Joon-ho’s mise-en-scene. Many articles on Parasite have been published for a short period of about a year or so since the film’s release, but it is somewhat surprising that there has been no serious analysis of the food in the film. This gap is also regrettable in that taste is an area of close proximity to aesthetics. There is a lot of food in Parasite. Since what Parasite want from their hosts is food for survival and reproduction, it is natural for them to appear constantly in movies titled ‘Parasite’. In this film, a fable of class and space and also fable of desire and family about the blood struggle between the eaten and the eaters, and fight between the eaters and the eaters, food is a material that shows the hierarchy of classes through the binomial confrontation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s, and is also a powerful metaphor that reveals the sense of class conflict. The foods of Parasite are, among other things, part of the mise-en-scene acting as ‘deus ex machina’ and also an important cinematic device that allows empathy by using the sense of totality through synesthesia of taste. The conclusion of the article is that Parasite was able to appeal to audiences around the world beyond the low but solid ‘one-inch barrier’ because it is a movie that connects not only with the logic of reason but with a chain of senses, but also allows the public to empathize by using the taste of foods.

      • KCI등재

        맛의 철학적 의미: 흄과 칸트의 미학을 중심으로

        권오상 서양근대철학회 2023 근대철학 Vol.21 No.-

        본 논문은 미각적인 맛에 대한 철학적, 미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미각적인맛과 미학적 취미의 개념적 구분과, 맛의 취미로의 전환 가능성을 고찰한다. 미각적인 맛은 은유를 통해서 아름다움을 포착할 수 있는 감각으로 재구성된다. 이런 은유는 맛을 예술작품에 대해서 반응하는 취미 판단과 유사하게 만든다. 흄은 맛과 취미가 유비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았다. 맛은 미학적 취미로까지확장시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흄은 맛과 취미를 인간적 조건의 보편성에 비추어 보며, 그것은 맛과 취미의 표준 근거가 된다. 흄과 달리 칸트는맛과 취미를 엄격하게 구분한다. 칸트의 미학에서 미각은 순수한 미학적 판단에적합하지 못하다. 미각은 신체적 관여를 불러일으키고 주관과 객관 사이의 관계를 실제적인 것으로 만든다. 칸트는 순수한 미학적 판단과, 아름다움의 a priori 한 근거를 요구한다. 또한 비개입적이고 사심없는 태도를 요구한다. 흄과 같이 칸트도 미각적인 맛은 개인의 쾌락적 반응이나 선호도와 관계된다. 그런 미각적 즐거움이나 혐오감은 객관적 평가에 근거할 수 없다. 하지만 이런 칸트의 관점에서도 음식에 대한 욕구가 없이, 또는 음식에 대한 욕구가 충족된 뒤에 이루어지는 미각 경험은 관조적 즐거움이나 반성적 취미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미각적 경험은 보편타당성을 지시하는 객관적 판단에 근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