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적 학습 동기 향상을 고려한 일반물리 강의에 의한 공학계열 대학 신입생들의 물리 학습 동기 변화 연구

        김주인,유훈 한국물리학회 2024 새물리 Vol.74 No.2

        본 연구에서는 공학계열 대학교 신입생 74명을 대상으로 일반 물리학 역학 부분 강의에 의한 물리 학습 동기 변화를 살펴보았다. 내적 학습 동기 향상을 고려한 강의법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교과서와 판서를 통해 이론적 강의를 주로 진행하는 일반적 강의법을 적용한 통제 집단간의 한 학기 동안의 동기 변화를 측정한 결과 실험 집단에서 물리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 요인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동기 향상은 고등학교 물리2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주로 확인되었으며 과학 과목만을 이수한 학생들의 경우 일부 내적 동기가 반대로 저하되는 양극화 현상이 확인되어, 강의 이전의 학습 수준차이는 동기 증가를 위해 제공된 학습자료를 받아들이는 데 있어 차이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 집단에서 내적 동기와 성취도 수준 간에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내적 동기 향상이 학습 성취도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changes in motivation for learning physics through mechanics lectures were examined among 74 engineering freshmen. We compared the motivational changes over a semester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that was taught using a method considering the enhancement of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nd a control group that mainly received theoretical lectures through textbooks and chalkboard writing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factors for learning physics we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enhancement in motivation was primarily observed among students who had completed the high school ’Physics 2’ course, whereas students who only completed ’Science’ subjects exhibited divergent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with some experiencing a decrease. This indicates that prior physics learning levels can influence the reception of motivation-enhancing materials.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a higher correlation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levels, confirming that an increase in intrinsic motivation leads to improved learning achievement.

      • KCI등재

        고등학생의 물리 정체성과 이공계 진로 선택

        이나리,강남화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8

        In the near future, Korea's demand for science and engineering workforce is expected to exceed supply. The South Korean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cludes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objectives. Even though physics is a foundational subject for those who choose to work in the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 (STEM) field, the percentage of students choosing physics subjects keeps decreasing. This study developed a Physics Identity Survey (P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high-school students' physics identity and correlation between physics identity and physics-related career aspir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average PIS of high-school students was somewhat positive. The correlation between PIS and career aspiration showed a clear positive correlation ($r$ = 0.586, $p$ < 0.01). A t-test indicated that the PIS of 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p$ < 0.05). The results show that physic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enhance physics identity can increase physics-related career aspiration and suggest the need for qualitative research on the process of physics identity formation and the factors involved. 앞으로 우리나라의 이공계 분야의 인재 수요가 공급을 초월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 분야의 인재 양성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를 반영하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관련 진로 교육을 주요 목표로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공계 학습의 기초 교과인 물리를 선택하는 학생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생의 물리 정체성의 특징 및 물리 관련 진로의향과의 상관관계를 탐색하기 위하여 물리 정체성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물리 정체성의 타당한 구성요소로 '인정', '흥미', '물리효능감'이 확인되었고, 물리 교과를 선택한 고등학생 표본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물리 정체성은 다소 긍정적이며 물리 정체성과 진로의향 사이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물리 정체성을 비교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물리 정체성의 각 요인을 강화하는 물리교수 학습전략이 물리 관련 진로의향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추후 물리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과 영향을 주는 요인 등에 대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한 물리수업이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문상철,홍성욱 한국물리학회 2015 새물리 Vol.65 No.1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a smartphone in a physics class on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Stude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measured the acceleration of an object with a smartphone sensor while those from the comparison group performed the same task with a time rec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smartphone sensor, we measured the acceleration of the object on an inclined plane by using both the smartphone sensor and the time recorder. The acceleration due to gravity g was determined as 9.62 m/s2 and 9.28 m/s2 with the smartphone sensor and the time recorder, respectively. On Likert’s 5-point scale,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comparison group was found to have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3.67 before to 3.77 after the class. Notably, on the same scale,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3.67 before to 4.32 after the clas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was increased by the use of a smartphone sensor to measure the acceleration of an object in a physics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과학실험수업이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물체의 가속도 측정실험을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하는 실험반과 시간기록계를 활용하는 비교반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한 실험에서는 가속도 센서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경사면에서의 빗면 가속도 측정 실험을 통해 중력가속도를 측정하였다.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였을 때는 중력가속도 g = 9.62 m/s2나타났으며, 시간기록계를 활용하였을 때는 g = 9.28 m/s2로 나타났다. 리커르트 5단계 척도법으로 조사한 비교반의 수업 전·학습동기는 각각 3.62, 3.77로 나타난 반면에 실험반의 학습동기는 각각 3.67, 4.32로 수업 후의 학습동기가 수업 전보다 0.65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부터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서 가속도 측정 수업을 하였을 때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고등학교 물리에서 원격 응답기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

        정진선,전동렬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08 현장과학교육 Vol.2 No.2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 of using a remote answering machine (so called a cliker) in teaching physics concepts to high school students. 171 11th graders were asked conceptual problems after taking a lecture on 2 or 3 concepts on light and colo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use of clickers was useful in encouraging students to actively involve in discussion after which many students could reach the right answer. The clicker also helped the students get more motivation, particularly the ones in the middle level. 인문계 고등학교 자연계 남학생을 대상으로, 물리Ⅰ의「빛과 파동」단원을 가르치면서 원격 응답기 수업의 효과를 연구했다. 50분 수업을 도입 5분, 개념 수업 및 시범 실험 20분, 개념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시된 3~5개의 문제에 학생들이 원격 응답기로 답을 선택하는 수업 25분으로 진행했다. 학습자가 객관식 문제의 답을 원격 응답기로 선택하면, 스크린에는 통계만 나타나고 각 학생들이 선택한 답은 공개하지 않았다. 동료와의 토론 효과를 보기 위해 1차 응답이 끝나면 3~5명으로 구성된 소그룹의 동료들과 토론을 실시하고 나서 다시 답을 선택하게 하였다. 1차 응답과 2차 응답의 평균 정답률 g 값은 난이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0.3~0.9으로 나타나 원격 응답기 수업이 학생의 수업과 소그룹 토론에의 참여도를 증가시키고 물리 개념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것을 알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