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 지지체계와 문화정체성의 조절효과

        이승민,양은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1 No.1

        This study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family support, home friends support, foreign friends support) and cultural identity (home identity, foreign identity) on the relationships of reverse culture shock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were 157 returnees who left home-country prior to the age of 19 and resided in the foreign-country for more than three year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on two-way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verse culture shock and each hypothesized moderator (e.g., family support, home friends support, foreign friends support, home identity, foreign identity) indicated that reverse cultural shock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negatively related and their relationship was moderated only by family support.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reverse culture shock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weaker when the level of family support was higher. Subsequently, three-way interaction among reverse culture shock, one of the social support factors, and one of the cultural identity factors was investigat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way interaction among reverse culture shock, family support, and home identity was significant. The slope difference tests yield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verse culture shock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stronger when both levels of family support and home identity were lower compared to when either level of family support or home identity was higher. These results imply tha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amily support and intrapsychic factor such as home identity might function as a buffer against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reverse culture shock experience. 본 연구에서는 해외유학경험 후 귀국한 성인들의 재문화충격 경험과 주관적 안녕감을 알아보고, 지지체계(가족지지, 모국친구지지, 외국친구지지)와 문화정체성(모국정체성, 외국정체성)이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19세 이전에 한국을 떠나 해외에서 3년 이상 거주를 하고 한국으로 되돌아온 157명의 귀국성인이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재문화충격과 각각의 조절변인에 대해 이원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강도는 가족지지가 높을 때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재문화충격, 사회적 지지 중 한 요인, 문화정체성 중 한 요인을 대상으로 삼원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재문화충격, 가족지지, 모국정체성의 삼원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특히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강도는 가족지지와 문화정체성 중 한가지만 낮을 때 보다 모두 다 낮을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귀국성인들의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가 조절가능하며 재문화적응과정에서의 가족지지(환경적 요인)와 모국정체성(개인내적 요인)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역문화충격의 구조적 요인과 적응과정에서의 비교문화역량 연구

        이노미 ( No Mi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재입국자의 역문화 충격에 대한 구조적 요인을 규명하고 나아가 역문화 충격 적응과정에서의 비교문화역량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재입국자의 역문화충격 요인을 환경, 사회경제, 문화, 가치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5가지로 세분화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기오염과 소음, 난폭운전, 고물가, 폭음ㆍ만취문화를 비롯하여 집단주의, 경쟁의식, 배려부족의 가치관이 역문화충격의 주요 요인임이 밝혀졌다. 또한 주관적, 일방적, 권위적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신체접촉과 시선의 비언어에 대한 역문화 충격이 크게 두드러졌다. 역문화충격 적응과정에서의 비교문화역량은 `자문화 성찰과 타문화이해`는 물론 `문화의 보편성`을 추구함으로써 `문화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재입국자들이 역문화충격 과정에서 발생하기 쉬운 문화갈등을 최소화 함으로써 비교문화역량의 향상을 도모하고 역문화충격의 긍정적 요인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repeated experience of emigration and immigration over the cultural border improves the Cross Cultural Competence experience while it also produces problems of Reserve Culture Shock because of the psychological changes caused by an unfamiliar culture. It is because the prediction for different cultures is possible when anticipating a culture shock when you go abroad and it is relatively easy to adapt to Cross Cultural Competence. However, in the case of immigration back to your own country, this kind of prediction is never made. It can`t be emphasized enough that the importance of Reserve Culture Shock, an immigrating Korean, becoming an `alien in their own hometown` and having trouble with Reserve Culture Shock when you consider that the number of students and citizens abroad, and diplomats and other overseas professionals is increasing with globalization. Despite the effectiveness of Cross Cultural Competence during the adaptation of Reserve Culture Shock, there isn`t enough research concerning Reserve Culture Shock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promot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activating Reserve Culture Shock ability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Cross Cultural Competence during the re-immigration adaptation of Reserve Culture Shock. It is also expected that it will expand the horizon of improved awareness of Reserve Culture Shock, supported by the advances from existing research, and its educational value will be elevated by researching Reserve Culture Shock in an academic paradigm and the correlation with Cross Cultural Competence simultaneously.

      • KCI등재

        귀국 직장인의 민족정체성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역문화충격을 통한 문화적응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승희,김보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해외 거주 경험 후 귀국하여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성인들의 변화된 민족정체성과 역문화충격,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2월22일~3월27일 간 최소 3년 이상의 해외 거주 경험 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직장을 다니고 있는 성인20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은 자료들을 제외한 19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는 SPSS 25.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민족정체성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역문화충격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또한 신뢰도의 문제로 인하여 문화적응전략의 하위 전략인 통합 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제한이 있었지만, 역문화충격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동화, 분리 전략의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후 민족정체성이 역문화충격을 매개하여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동화, 분리 전략의 조절수준에 따라 변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학인되었다. 결론 민족정체성과 역문화충격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동화, 낮은 수준의 분리 전략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위험요인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의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accultur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impact of changed ethnic identity on reverse cultural shock and psychological social adaption to adults who returned to work after living abroad.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February 22 and March 27, 2020 on 202 adults who returned to Korea and are working after living abroad for at least 3 years, and collected data that did not consent to the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excluding those, 199 copi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he mediation effect, the moderation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ere analyzed through SPSS 25.0 and SPSS Macro.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verse culture shock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thnic identity and psychological social adaption. Also the moderation effect of assimilation and separation strategies was verif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verse cultural shock and psychological social adaption even though there was a limitation in investiga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integration strategy, which is a sub-strategies of acculturation strategy due to the reliability problem. Lastly, assimilation and separation strategies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reverse cultural shock between internalized ethnic identity and psychological social adap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showed the impact of ethnic identity and reverse cultural shock on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and high level of assimilation and low level of separation strategies were expected to be risks for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인도네시아 무슬림 유학생의 문화충격을 통한 한국의 문화적 특성 이해

        허민(Hur Min),허창수(Hur Chang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이 논문은 크게 두 가지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하나는 인도네시아 무슬림 학생들이 한국의 지역 대학에서 유학을 하면서 겪는 문화충격과 관련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이다. 또 다른 연구 목적은 문화 충격과 문화 적응을 통하여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이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의 대학원에서 학업중인 2명의 인도네시아 무슬림 유학생이며 3개월간, 즉 2016년 8월까지 3차례의 면담을 시도하였다. 각 면담 시간은 1시간 정도였고 영어로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근거이론식 열린 코딩(open coding)으로 면담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인도네시아 무슬림 학생들이 어떻게 문화 다양성이 적은 한국의 지방대학에서 문화 충격을 경험하면서 문화적 동화보다는 문화적 차이로 인한 문화적 갈등을 드러낸다. 이러한 결과는 인도네시아 무슬림 문화와 한국 문화 간의 문화적 갈등이 집단주의, 종교교육 부재, 타문화에 대한 무관심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여 진다. This paper focuses on two main points. One is the experience of Indonesian Muslim students in relation to the cultural shock that they experience while studying at a local university in Korea. Another research purpose is how to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through cultural shock and cultural adaptation. Participants were two Indonesian Muslim students studying at a Korean graduate school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ree months, August 2016. Each interview was about 1 hour and was conducted in English.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open - coding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is study shows how Indonesian Muslim students experience the cultural contact and adaptation in the local university in Korea with less cultural diversity. That aspect reveals cultural conflict due to cultural differences rather than cultural assimil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Indonesian Muslim culture and Korean culture results from collectivism, religious incomprehension and ethnocentrism.

      • KCI등재

        국내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문화충격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민혜경(Min, Hae-Kyung),이영희(Lee, Yeong-Hu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6 No.-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이 한국 사회에서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 충격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문화 충격 사례를 범주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범주화된 질문 영역은 외연적인 요인에는 음주 문화, 음식 문화, 의복 문화로 구분하였으며, 내면적인 요인에는 예절 문화, 가치 문화, 정서 문화로 구분하였다. 범주화된 질문 영역을 통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의 결과 도출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이 한국 사회에서 경험한 문화 충격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외연적인 영역에서는 첫째, 한국 사람들이 술을 많이 마시는 것에 대한 의아함을 표현했다. 둘째, 돼지고기를 많이 먹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셋째, 한국 사람들은 지나치게 외모를 중시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다음으로 내면적인 영역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우즈벡 학생들은 한국 사람들이 웃어른을 공경하지 않는 것과 외부인에게는 불친절한 것에 대해 언급했다. 반면에 한국은 남성과 여성의 지위가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문화 충격의 사례를 실제 대상자들의 목소리를 통한 양상을 분석하였다는 것에는 의의가 있으나, 이것으로 인한 교육 방안이나 시사점을 도출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cultural shock that Uzbek students experience in adapting to Korean society. For this purpose,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1 Uzbek students to categorize their reported instances of culture shock.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categorized into drinking culture, food culture, and clothing culture for external factors, while the internal factors were divided into etiquette culture, value culture, and emotion culture.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based on the categorized question areas. The following aspects of culture shock experienced by Uzbek students in Korean society were deriv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First of all, in the external realm, the students expressed wonder at Koreans’ heavy drinking culture. Second,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avoiding the consumption of pork, a practice of their Muslim faith. Third, they felt that Koreans place too much emphasis on appearance. Next, on the negative side of the inner circle, Uzbek students mentioned that they felt Koreans do not respect their elders and that they are unfriendly to outsiders. On the other hand, they commented positively on the status of men and women in Korea, which they perceived to be equal. Althou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aspects of Uzbek students’ culture shock through the voices of the actual subjects, it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suggest educational methods or implications for education.

      • 使行歌辭 「西行錄」을 통해 본 문화충격의 실상과 의미

        이동찬 경산대학교 경산문화연구소 2001 경산문화연구 Vol.5 No.1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상처가 아물고 조·청, 조·일관계가 한층 안정된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임병양란에 대한 객관적 인식이 가능하게 되었고, 또 서학(西學)의 전래로 일부 지식인들의 세계관과 인식에 대한 변화 내지 확대가 일어나게 되었다. 이는 특히 연행에 참여했던 지식인들에 의해 더욱 촉진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조선후기 사회에는 전통적 예의를 숭상하는 유가적(儒家的) 규범이 엄연히 존재함과 동시에 개방된 세계로부터 새로운 문물제도에 대한 호기심과 긍정적인 관심이 함께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하여 타인의 세계를 통해 자신의 삶을 깨우치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했고 진보된 사상과 문물을 도입·전달하는 계기도 되었다. 이 글은 이러한 시대 환경에서 창작된 김지수(金芝搜)의 「서행록(西行錄)」에 나타난 대청 사행체험의 문화충격의 실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행록」은 ① 청나라 보다 문화적으로 우월하다는 관념적 허세 ② 병자호란으로 인한 적대감·배타심에 기초한 호인과 그들의 풍속에 대한 비하와 멸시를 주된 정조로 하여 예의지국으로서의 자부심을 먼저 드러내고 있다. 계속되는 여행과 함께 청나라의 거대함과 문물의 번성함을 체험한 서술자는 고정된 사고의 틀에서 점차 이탈한다. 둘째, 연경에 도착한 서술자는 조선인으로서의 주체의식과 긍지, 반청의식의 약화라는 변화된 사고의 틀을 가지고 청나라에 대한 절대 부정이나 절대 긍정을 유보하면서, 볼거리·먹거리를 중심으로 내세우면서 관심을 물질적인 사항들로 돌리게 되었다. 셋째, 연경의 물화의 번성함에 대한 서술은 변화하는 세계의 기운을 조선에 전달하는데 일조 하였을 것이며, 그 결과 19세기 문화 예술에 대한 욕구를 증대시키기도 하고, 한양의 소비 향락적인 문화풍조를 형성하게 하는데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넷째, 「서행록」의 무거운 주제에 대한 회피와 물화를 중심으로 한 나열적이고 자세한 서술방식은 작자의 문화적 인식과 반청의식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문학적 형상화에 있어서는 뛰어남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지만, 다양한 견문을 사실적이면서도 일관되게 적극적으로 서술하고자 하는 서술태도는 나름의 장처로 인식할 만 하다. 물론 이것이 이후의 사행가사에 미친 영향도 상정해 볼 수 있겠다. 이상과 같이 사행가사 「서행록」에 나타난 19세기 대청 사행체험의 문화충격의 실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 글은 연행 혹은 통신사행의 체험을 기록한 여타의 사행가사에 나타난 서술자들의 세계관 및 문화체험의 양상을 아울러 살펴보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서행록」과 함께 연행체험을 한 작자미상의 한문 사행록 「부연일기(赴燕日記)」와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외국인 대학생의 상호문화 감수성과 문화 적응의 관계 연구

        엄진숙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3 No.-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cultural adaptation of foreign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questionary survey. The analysis of survey’s responses produc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religion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had an effect 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but nationality and gender affected the cultural adaptation. Vietnam students’ cultural adaptation was lower than the other and female had experience culture shock less than male but male’s emotional sense of stability was higher than female’s. In addition,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affected the culture shock. Secondly, there was a weak correlati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between the cultural adaptation. There was a definite correlati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between the culture shock and also the cultural adaptation between the embracing other cultures. Lastly,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contributed to the cultural adaptation. As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increased, so did the cultural adaptation. The embracing other cultures had an effect on the cultural adaptation and the worries about loss of own culture from an exchange of culture as inversely related to the cultural adaptation. 본고는 국내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상호문화 감수성과 한국문화 적응에 대해 통계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대학생의 상호문화 감수성은 종교 유무와 외국어 학습 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종교가 없고 외국어 학습 경험이 있는 경우 상호문화 감수성이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 대학생의 국적과 성별, 외국어 학습 경험은 문화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베트남 학생들의 경우 다른 국적의 학생들보다 문화 적응이 낮았고, 성별로는 여학생이 문화충격을 덜 받는 반면 남학생은 정서적 안정감이 더 높았으며 외국어 학습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문화충격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대학생의 상호문화 감수성과 문화 적응은 유의한 수준에서 낮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호문화 감수성 전체는 문화충격과, 문화 적응 전체는 타문화 수용과 유의한 수준에서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외국인 대학생의 상호문화 감수성은 문화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상호문화 감수성이 1 증가하면 문화 적응이 0.204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 하위 영역 중에는 타문화 수용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문항별로는 타문화권 교류로 인한 자문화 상실의 우려감과 타문화권에 관한 지식이 문화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문화적거리가 문화예술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 새터민 청소년의 문화충격을 중심으로

        안지언,김재범 한국문화교육학회 201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1 No.5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effect of culture education on the North Korean Youth Refugees from Multiculturalism Perspectives. The study is motivated by the recent changes in Korea with ever-growing culturally diverse immigrants, long-term and short-term. Notably, Refugees from North Korea and/or North Korean parent(s) are rapidly increasing in Korea. Yet, the Korean government has not properly dealt with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divides the above refugees into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3rd Country Refugees with North Korean Parent(s). This paper deals with the culture shock of the above groups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culture shcok between both groups. We also discuss how art and culture education be of assistance for both groups to cope with their life in culturally different countries. We then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government. 본 연구는 2007년 부터 급증하는 제3국 출신의 새터민 청소년의 문제가 새터민 청소년에 대한 범주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는 것에 착안 하였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다(多)문화 관점으로서 북한이탈 및 중도입국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는 무엇이며 두 집단의 비교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방법으로 정성적 진단연구 반 구조화 질문체계 토대로 북한이탈 및 중도입국 청소년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두 집단별 문화충격에 대한 차이점을 기술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로서 첫째로, 현 정부 역시 두 집단의 차이를 인식하고는 있지만, 두 집단의 세부적 특성과 차이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집단 모두 ‘새터민 청소년’이라 불리지만, 실제적으로 성장한 국가와 입국한 국가의 문화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화적거리가 입국 후 ‘문화충격’과 한국 사회 내 ‘진입태도’에 있어서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둘째로, 문화적거리를 가지는 새터민 청소년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역할 제고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북한이탈 및 중도입국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와 두 집단의 공통점․차이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어 문학교육의 가능성 모색

        신영지 ( Young Ji Shin ) 반교어문학회 2013 泮橋語文硏究 Vol.0 No.35

        최근 결혼 이주여성이 크게 늘고 있는데 이들은 이주 초기부터 한국 사회와 문화에 전면적으로 노출되어 문화충격이나 문화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 부적응 해소를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그 중 한 가지가 한국어 문학교육이다. 문학작품은 목표 언어가 지닌 가장 완결된 형태의 언어문화이다. 목표언어의 언어적 풍부함과 그 언어가 지닌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문학작품이 지닌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어 문학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결혼 이주여성들은 결혼을 통해 경험하는 문화 부적응 중에서 임신, 출산, 양육과 관계된 문화적 충격은 매우 크지만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현재 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과 문화교육과 같은 학습을 통해서 문화 부적응의 일정 부분은 해소할 수도 있으나 문화는 단순히 ‘안다’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경험하고 느끼는 과정에서 이해와 공감을 통해 적응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한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을 모색하기 위해 학습자에 집중하여 ‘임신’과 ‘출산’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화충격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선정한 작품은 박완서의 <해산바가지>이다. 박완서의 <해산바가지>는 임신과 출산에 연관된 다양한 양태를 통해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한국의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소설속의 모티프들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문화적 양상을 ‘이해’하고 자신의 경험을 비추어 ‘공감’하는 과정을 통해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적 부적응이 해소 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한다.

      • KCI등재

        중등 귀국 학생의 국어 교육 적응 및 한국어 사용 양상에 대한 자기 성찰적 고찰

        권순희 ( Soon Hee Kwon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4

        국제화 시대가 됨에 따라 한 해 출국하는 학생 수는 2만 명을 넘고있으며 우리나라에 귀국하는 학생 수 또한 2만 명을 웃돌기도 하고 현재는 1만 4천여 명이다.귀국 학생은 문화 충격 과정을 거친다. 모국을 떠나 외국에서 생활하는 시기에 (1)허니문 혹은 여행자 단계, (2)위기 혹은 문화적 쇼크단계, (3)적응, 재통합, 점진적인 회복 단계, (4)수용, 해결, 문화 친숙단계 등 4단계를 거치고, 외국에서 다시 모국으로 돌아와서 적응하는 시기에 3단계를 거친다. 그런데 엄밀하게 살펴보면 모국-외국-모국의 문화 충격 과정을 거치기도 하고, 외국-모국-외국 순으로 문화 충격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귀국 학생의 문화 충격의 과정을 학습 및 학교생활 차원에서 살펴보기 위해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중고등학교 시절 한국에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귀국 학생 중 현재 대학생, 대학원생과 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방치하는 한국, 제도 만드는 외국, 익숙하지 않은 선후배 문화, 언어 차이, 수업 차이, 평가관의 차이 면에서 문화 차이 및 적응 실태를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이중 언어 환경에서 생활하다가 온 귀국 학생이 스스로 한국어 사용 양상을 성찰할 수 있는 언어 인식 능력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과거에 잘못 썼다고 생각하는 한국어 사용 양상이나 현재 잘못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한국어 사용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중등 귀국학생 교육을 위한 국어교육 차원의 제안을 제시하였다. 다모드 교수학습법(multimodal instruction)이 필요하며, 귀국 학생 개인 학습자에 대한 면담 등으로 개인에 초점을 둔 연구보다 교실 상황과 같이 교육공동체 차원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또한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국어교육 접근이 필요하며, 학습자 개개인이 가진 문화적 정체성,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정체성을 받아들이며 상호작용을 하는 교육적 접근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 언어 정체성 면에서 성찰적 사회화가 이루어지도록 지도할 것을 제안하였다. Since Korea entered the era of globalization, over 20,000 Korean students have been leaving Korea for their study abroad every year and almost the same number of students is returning to Korea. According to the recent statistics, the number of returning students reached 14,000. Returning students are experiencing a culture shock again. They have already experienced the following stages of culture shock in a foreign country: (a) Honeymoon or Traveler’s Stage, (b) Culture Shock Stage, (c) Adjustment, Reintegration, or Progressive Recovery Stage, and (d) Acceptance, Resolution, or Celebration Stage. When returnees come back to Korea, they go through three stages of culture shock while they are readjusting themselves to their own culture. Strictly speaking it could be a domestic-foreign-domestic culture shock or a foreign-domestic-foreign culture shock, in that order.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returnees’ culture shock with respect to their learning and school life, a survey was conducted. The subjects were 4 undergraduates, 1 graduate, and their mother who had once attended a secondary school in Korea after they returned Korea. The results showed how they were coping with the following issues: laissez-faire education compared to systematized education in a foreign country, uncomfortable culture of seonhubae‘senior-junior relationship’; differences in language usage; differences in classroom atmosphere; and differences in evaluation criteria.Another survey of returnees’ reflections on their usage of the Korean language was also conducted to find whether they could recall their former errors or monitor their current misusages. Somesuggestions were made to propos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return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First, returnees need a multimodal instruction. Second, further study should focus on educational communities including classroom settings rather than on an individual learner’s case study. Third, a new approach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required;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ir learners’ culture shock. Finally, teachers’ instruction should be based on reflective socialization; language teachers should accept every individual learner’s cultural and linguistic ident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