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대표적인 학문분야는 인류학과 민속학이다. 두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화연구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인류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비교연구의 관점과 연구주제를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즉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인류학적 입장에서의 비교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러한 비교연구가 민속학(특히 비교민속학)에서의 비교연구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향후 비교민속학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는 초창기에는 문화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일방적인 측면에서의 문화 비교를 하면서 점차로 19세기 이후부터는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다양한 인류문화를 대등한 입장에서 바라보는 통문화적인 문화의 상호비교(cross-cultural studies)로 바뀌게 된다. 더욱이 anthropology at home과 같이 자신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의 경향은 비교연구의 방법을 더욱더 세분화하고 정밀하게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한편 초장기 한국민속학에서 비교민속학적인 접근을 취했던 20세기 초반의 민속학자들과 그들의 업적 중에서 민속학의 고유한 방법인 역사지리학적 방법은 인류학에서의 문화전파론적 방법과 만난다. 또한 1990년 전 세계적으로 사회주의가 본격적으로 약화되면서 한국민속학에서 아시아지역의 민속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 특히 중국과 몽골 그리고 구 소련연방(USSR)에 속했던 사할린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민속연구를 위한 현지조사가 가능해지면서 인류학의 통문화적 연구와 밀접한 연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21세기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 탈사회주의 사회(post-socialist society)1),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민족이 공유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 등 이제까지 인류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다양한 인류문화와 비교해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영역과 관심2)이 생겨나고 있어서 인류학과 비교민속학적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즉 아시아 인류학자에 의한 또 다른 아시아의 문화연구는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 아시아 민속의 비교와 관련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인 연구는 북한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이전 문화와 사회주의 문화 그리고 향후 탈사회주의 문화를 상호 비교해서 한국의 민속문화와 비교민속학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how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se studies from the standpoint of its perspectives and research subjects. It shows how anthropological comparative studies are closely linked to folklore studies and furthermore may have an impact on future comparative studies. Comparative studies in anthropology based on cultural evolutionism and therefore were focused on one-side direction. However when cultural relativism emerged, various human cultures were equally treated and valu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tudy of cross-cultural perspectives gradually developed and solidated to the realm of anthropology. Furthermore, some recent research trends in anthropology such as “anthropology at home” contributes to delicate and broaden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ical comparison. On the other hand, some efforts (i.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methods) of comparative folkloristic researches o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are connected to cultural diffusionism in anthropology. Since the decline of socialism in Asia and Eastern Europe in 1990, Korean folklorists could extend their research interests towards Asian regions. In particular, Korean folklorists started to carry out fieldwork in China, Mongolia and Korean minority communities in USSR, thus they contributed to the cross-cultural studies of anthropology. Today new cultural distinctions (such as multi-cultural society, post-socialist society, Asian values) stimulate further research topics and hence surely lead to a new paradigm of future anthropology and comparative folkloric studies.

      • KCI등재

        민속문화의 국제화 요구와 비교민속학의 대응

        주영하(Joo Young-Ha)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40 No.1

        1980년대 이후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화두가 유행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민속문화의 국제화 요구가 끊임없이 이어졌다. 특히 1993년 문민정부에서 내세운 세계화 전략은 전통문화, 특히 민속문화의 문화상품적 가치에 대해 범정부 차원에서 정책적 관심을 보인 것이기도 하다. 그 결과 전래 설화에 근거한 애니메이션 『오세암』이 2004년 안시페스티벌에서 대상을 받고, 〈사물놀이〉와 〈난타〉가 국제적 문화상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아울러 김치ㆍ불고기ㆍ냉면ㆍ비빔밥과 같은 민속음식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소비되는 민족음식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민속학과 비교민속학 차원에서 이 문제에 대해 전면적으로 논의한 바는 적었다. 본고는 19세기와 20세기 초반의 비교민속학이 식민지 본국 중심의 제국주의적 경향과 중심부 위주의 원형론ㆍ진화론ㆍ전파론, 그리고 자민족 중심주의의 입장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전제로 제시했다. 본론에서는 한국의 민속문화 중 몇 가지의 사례를 선정하며 국제화 요구에 비교민속학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서 살폈다. 우선 미국 〈월트 디즈니〉의 흥행성공과 〈오세암〉의 흥행실패에 담긴 의미를 통해 옛날이야기의 국제화에 대해 살폈다. 다음으로 민속놀이의 국제화와 국제적 축제 과정에서 〈사물놀이)ㆍ(난타), 그리고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사례로 하여 비교민속학의 대응에 대해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이미 국제화에 성공했다고 여겨지는 김치를 중심으로 민속음식의 국제화가 시사하는 점을 살폈다.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민속문화는 응용의 과정을 통해서 문화상품으로 변신하는 과정을 밟아 국제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때 개별의 민속문화는 각각의 조건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국제화할 수 있고, 여기에 비교민속학이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가령 옛날이야기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과정에서는 서유럽과 일본의 경우를 면밀하게 벤치마킹해야 하며, 이야기의 전이과정에 대한 비교민속학자의 세밀한 연구가 요구된다. 탈춤의 국제화에는 주제 중심의 민속학 연구가 필요하다. 탈춤 전문 연구자가 국내는 물론이고 국외와의 비교연구를 통해서 국제화를 위한 응용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즉 비교민속학 연구자는 특정한 외국을 주전공 지역으로 힐 것이 아니라, 주제 중심으로 가령 동아시아와 같은 지역공동체 중심의 연구를 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민속음식의 국제화에는 김치의 사례가 시사하는 점이 많다. 김치는 분명히 국제화에 성공했다고 할 수 있지만, 끼니음식이 아니기 때문에 밥을 주식으로 소비하는 지역에서 국제화가 가능했다. 끼니음식인 비빔밥과 같은 것은 특정지역이 아닌 전 세계에 걸쳐서 국제화가 가능한 한국음식이다. 따라서 비교민속학 연구는 비교연구의 대상이 되는 지역의 사회 시스템 속에서 현지 민속학자와의 공동연구를 통해서 그 방법론과 시선을 맞출 필요가 있다. 그러나 21세기 탈근대시대에 논의되는 민속문화의 국제화 요구는 국가주의적인 발상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많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탈근대적 시선을 가지고 비교민속학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국제화는 세계화 경향에서 더욱 치열해진 국제경쟁의 산물이다. 하지만 세계화는 또 다른 측면에서 국제간의 협력을 강조하기도 한다. 비교민속학 연구는 국제협력을 위한 상호 이해의 한 축으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방법론에 대해서는 실천적인 작업을 통해서 구체화시킬 수밖에 없다. Since 1980 when the topic of making Korean things global was being popular there was continuous demand of internationalization of folk culture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the strategy of globalization presented by democratic government in 1993 showed the political interest in making folk culture the article of commerce. As a result the “Oseam(五歲庵)” animation film based on the handed down legend got the prize on Ansi Festival in 2004, “Samulnori(四物놀이)” and “Nant'a(亂打)” were recognized as an international product. At the same time traditional dishes like kimch'i(김치), pulgogi(불고기), naengmyon(냉면), pibimpap(비빔밥) were introduced in other countries and even became a Korean Ethnic Food. However, there is scarce any discussion about this problem in the view of Folklore Studies and Comparative Folklore Studies. In this article the author presented that 19th and early 20th century's comparative ethnography is based on the beginning of imperialism trend that focuses on colony, archetype theory, evolutionism, diffusionism and nationalism, In the main part it was examined, giving some examples from Korean folk culture, how Comparative Folklore Studies confront the demand of internationalization. First of all, the author inquired in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old stories through the meaning of failure of “Oseam” animation film in the movie industry and great success of American “World Disney.” Afterwards the confrontation with Comparative Folklore Studies was discussed giving the examples of internalization of folk games like “Samulnori”, “Nant'a” and the International Festival like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Finally the author examined what the meaning is of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dish and it was done concentrating on kimch'i which is already considered as a success of internationalization. To say in conclusi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folk culture is possible through the gradual process of adaptation. During this process one's folk culture can be internationalized following individual conditions and in different aspects. And here it is reviled that Comparative Folklore Studies has its important role. There must be done careful benchmarking about the cases of Japan and Western Europe how they made animation from old folk stories and also there is a need of the minute research about the process of old stories' transformation done by Comparative Folklore Studies. And also there is a need for an ethnographical research about the internationalization of Mask Dances. The adaptive proposal for internationalization has to be presented through comparative study done by, of course, Korean researchers and foreign as well who major in mask dances. The author showed that Comparative Folklorist have to do research concentrating on regional community like East Asia, not concentrating on specified country, The best example of internationalized Ethnic Food is kimch'i. It is said that it succeeded to become international dish however kimch'i is not a daily meal, so the internalization was possible in countries where rice is chief foo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pibimpap and other dishes, which may be eaten as a daily meal, is possible not only in specified region but in the whole world. And that is why there is a need of comparing methodology and a need of focus through joint study in the social system done by field Folklorist. However, it is great possibility that the demand of internationalization of folk culture that is being discussed in post-modern era of 21 century has its origin in nationalism To confront this problem effectively Comparative Folklore Studies must be done with post-modernism ideology. The internationalization is a consequence of intense international competition corning from the globalization trend. But on the other side the globalization also emphasizes cooperation between counties. Comparative Folklore Studies plays a role of mutual understanding for international c

      • KCI등재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역사적 전개과정

        이용식(Lee Yong-shik)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7

        비교음악학(comparative musicology)은 비서구 음악문화에 대한 관심의 결과로 시작되었다. 현재에는 이 학문분야를 민족인류학(ethnomusicology) 또는 음악인류학(musical anthropology)이라고 하지만, 음악학자들이 자국의 음악문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웃 음악문화와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자국 음악문화의 특징을 설명하는 연구방법론이 성행하면서 비서구권에서는 비교음악학적 방법론이 여전히 유효한 실정이다. 이글은 주요 방법론을 살펴보고,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교음악학적 연구의 방법론의 성과와 한계를 규명하고 그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교음악학은 19세기 이후 태동한 이래 과학기술의 발명을 이용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이 대두되면서 본격적인 학문의 길을 걷는다. 유성기의 발명과 센트(cents) 측정법의 발명으로 소리의 녹음이 가능해지고 이를 토대로 정확한 채보와 분석이 가능해졌고 비서구음악의 음정 및 음계 체계에 대한 과학적 특정을 통해 문화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 시각이 정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비교음악학은 음악을 ‘비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지역의 음악을 비교하여 음악의 권역을 나누는 ‘음악권’ 이론이 비교음악학의 방법론으로 대두되었다. 또한 음악을 둘러싼 제반 현상에 대한 관계에서 음악을 ‘측정’ 하는 소리지표(cantometrics)와 같은 다양한 방법론의 발전으로 이어진다. 20세기 후반에는 ‘비교’ 자체가 음악학의 궁극적인 목적이 될 수 없다는 반성론이 대두된다. 이 결과로 장기간 현지조사에 근거한 음악문화의 심층구조(deep structure)를 파악해야 한다는 방법론적 전환이 이루어진다. 충실한 음악민족지(musical ethnography)를 작성해야 하고 이를 토대로 이론을 정립해야 한다는 인류학적 방법론이 적극 도입된다. 또한 타국의 음악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음악을 배워서 음악어법을 습득해야 한다는 이중음악성(bi-musicality) 개념이 강조된다. 그리고 외부인의 관찰자적 시각과 내부인의 시각이 변증법적으로 통일된 종합적인 시각을 강조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비교음악학은 방법론적 발전을 거듭하면서 단순히 음악이 아닌 음악을 둘러싼 문화맥락(cultural context)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음악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해야 한다는 방법론으로 성장했다. 음악은 그 음악을 만들고 향유하고 전승하는 공동체(community)의 사회문화적 산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음악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음악을 둘러싼 문화맥락 내에서의 음악문화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 음악의 ‘독특한’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이웃 음악문화와의 비교를 통한 우리 음악만이 가진 음악적 특징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비교음악학은 여전히 유효한 것이고, 비교음악학의 방법론은 한국음악학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The comparative musicology has begun due to the interest of the musical culture of ‘oth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a culture, the scholar has to analyze the music and to compare it with the music of the neighboring culture.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important methods of the comparative musicology, and will discuss the development of the comparative musicology in Korea. The comparative musicology became a ‘scientific disciplin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invention of the recording machine by Thomas Edis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ents system by Alexander Eliis made it possible to record the musical sound in field and the transcription and analysis. It was also possible to draw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of the musical system and to develop the cultural relativism. The musicologists kept to compare various musics and the developed methods of ‘musical area’ and ‘camtometrics’. They also tried to make a ‘thick discription’ of musical culture based on the long and exclusive field resear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sic of other people, the musicologists had to develop ‘bi-musicality’. They had to had both outsider’s and insider’s views in order to fullly understand the musical context and culture. Music is a cultural product of a community which makes, enjoys, and transmits the music.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sic, we have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ontext. When the distinguishable traits of music of a culture is explore, we can compare them with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other cultures. In this way, we will finally find the precious traits of a musical culture. For this reason, the comparative musicology is still useful in Korean musicology.

      • KCI등재

        일본 비교문학 연구 동향 - 도쿄대학 비교문학비교문화코스를 중심으로

        이병진 ( Lee Byungjin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70

        근대일본은 도쿄제국대학을 중심으로 일본 각지에 산재한 제국대학들은 선진 유럽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초빙해서 그들의 문화를 일본에 소개하고 현지화 했다. 당시 일본은 정부주도하의 전략적인 서구 문화를 수용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러시아의 철학자이자 음악가였던 라파엘 폰 케벨(Raphael von koeber, 1848-1923)은 메이지(明治)정부의 고용외국인 자격으로 1893년부터 도쿄제국대학에서 21년간 철학과 서양고전학을 강의하며 많은 일본인 학생들을 양성했다. 그로부터 미학, 철학, 그리스 사상 등의 폭넓은 지식을 교육받은 일본인 제자들은 후에 일본문단을 대표하는 문학가와 사상가로 자리를 잡는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구축은 서구 중심의 교양과 철학을 중시하고 섬세한 감수성을 중시하며 스스로 원전(原典)을 읽고 해독하려는 학문적 풍토에 이바지한다. 그 연장선에서 1930년대부터 일본은 자각적으로 비교문학연구를 시작하게 된다. 예를 들면 『세계문예대사전』(1935-37년)에서 시마다 긴지(島田謹二, 1901-1993, 비교문학연구자, 도쿄대교수, 비교문학연구 영역을 개척)가 집필한 「비교문학」, 「포우와 보들레르-비교문학사적 연구」 항을 보면 프랑스 비교문학의 변천과 현황 및 비교문학의 일본에서의 의미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아마도 자각적으로 서구의 비교문학을 일본에 소개하고 그 필요성을 강조한 최초의 언급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의 비교문학연구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대학 연구기관으로서는 1953년 도쿄대학 대학원에 비교문학비교문화과정이 처음으로 만들어지고 시마다 긴지가 강좌주임을 맡는다. 다음 해 東大比較文學會가 결성되어 기관지 『比較文學硏究』를 창간한다. 같은 해 도쿄여자대학에도 비교문화연구소가 창설되어 『比較文學』이 창간된다. 이후 1962년에는 와세다대학에도, 대비(對比)연구 노작인 『롤랑의 시와 헤이케(平家)이야기』를 집필한사토 데루오(佐藤輝夫, 1899-1994, 중세 프랑스문학연구자)를 실장으로 하는 비교문학연구실이 만들어지고 1965년 『比較文學年誌』를 창간한다. 이 밖에도 많은 대학에 비교문학 강좌가 개설되고 계몽활동적인 공개강좌와 강연회가 각지에서 개최되기에 이른다. 일본의 비교문학은 이처럼 종래의 문단적 문학을 대상으로 하는 틀에서 벗어나 비교문화사, 국제적 문화관계사와 같이 독창적인 새로운 영역에까지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러한 배경에는 일본의 근대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세계 속의 일본이라는 자국중심의 비교문학 비교문화의 논점이 강한 일본 중심의 성향과, 외래문화와 학문에 대한 개방적인 사회적 분위기와 학문적 풍토가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Japan is the starting point of comparative literature generally around 1890 Tsubouchi Shoyo (坪 內 逍遙, 1859-1935, novelist, critic) under the name "Treviso (比照) literature at the Tokyo College (now Waseda University) poses four ( looking into a river in the center of "comparative literature (comparative literature)" (1886) of HM Posnett). Bow River is a value used in the Japanese market spirit of the European City (詩歌) spirit, it recognized the need for a comparison of European and Japanese literature and literary history and comparative literary composition hayeotdago climate. It thus starting a comparison of Japanese literature gave vital help to reach a global awareness across the country of Japan can come up with the presence of foreign hydrologist (ohgeoseu Tuscan wood, Lafcadio one) who hold the teaching, etc. at the time of the University of Tokyo, they received training in earnest from a variety of disciplines such as systems of Western modern literature and art Ogai Mori (森鷗外, 1862-1922, writer), Natsume Soseki (夏目漱石, 1867-1916, English scholar and novelist), empty Ueda (上田敏, 1874-1916, is the emergence of the Japanese scholar of English literature, poet, etc.). At the time of the Imperial University in Japan it centered around the Tokyo Imperial University and had a role to introduce and localize the Japanese culture of the West actively by inviting experts in various fields of advanced Europe. At the time of Japan`s modernization was accepted under a government led by aggressive Western culture was performed at the same time faithfully serve to propagate Western culture, one is selected government agencies and Imperial College to the inside Japan. For example, the Russian-born philosopher, who was a musician Rafael kebel phones (Raphael von koeber, 1848-1923) has taught Meiji (明治) Foreign Employment Eligibility 21 years philosophy and classics at the Tokyo Imperial University since 1893 by the government and a number of Japanese students It was a positive. Kebel from aesthetics, philosophy, ensuring a wide field of view than a wide and deep range of knowledge transfer through the Japanese students, such as Greece will ever have after working as a literary and thinkers representing Japan paragraphs. The educational foundations of Western center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emission of intellectuals to the delicate sensitivity and importance and emphasis on reading their own nuclear power plants (原典) decrypts the culture and philosophy of the western center. Since its extension in 1930 Japan will begin a comparative study of literature as subjective. For example, each time in a comparative literary intentions strong in Japan, "Dictionary of World Literature" (1935-37) is long (島田謹二, 1901-1993,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er, University of Tokyo professor, pioneered the comparative literature study area), "who wrote the comparative literature "," Poe and Baudelaire - comparative literature and look at the historical study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term in Japan and in France compared to transition into literature and comparative literature wonderfully. This compares with the activation of the research institutes of the University of Literary Studies in Japan As a cross-cultural comparative literature courses are founded in 1953, The University of Tokyo Graduate School of Shimada is long is the course supervisor struggled to reverse development. The following year formed the 東大比較文學會 and will constitute the bulletin "比較文學硏究". And compared to the same cultural institute in Tokyo Woman`s Christian University is the creation of "比較文學" is launched. Since in 1962 in Waseda University, that is mounted against (對比) research nojak the "Kerala Hay and when Roland (平家) story," Sato, author of Teruel five (佐藤輝夫, 1899-1994, medieval French literature researchers) comparative literature lab has been created, and in 1965 founded the "比較文學年誌". In addition, it leads to the establishment comparative literature courses at many universities and enlightenment activities of public lectures and seminars held in the country. Comparison of Japanese literature is thus to advance in the prior paragraph of the enemy ingenious new areas such as comparative cultural history and international culture in the subsidiaries outside the framework to target the literature. Such a background would have been possible, with the modernization of Japan in the iteotgie always keep this in mind, the nationalist tendencies in the world, Japan, strong academic culture in Japan.

      • KCI등재

        한·중·일 차문화 비교연구의 동향과 과제

        정서경(Jung Seo-kyung)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7

        차문화 연구는 전통문화의 지향과 보존이라는 시대흐름과 더불어 1970년대를 전후해 가속화 되면서 활발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초 조사라 할 수 있는 諸岡 存?家入一雄의 『조선의 茶와 禪』은 日人에 의한 현장조사로 차문화 연구에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약차로써 음용되어 온 차문화의 전승과 역사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남도 지역의 약차 문화는 서민의 약용차 음용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차문화 연구는 특정계층의 향유물로 여겨져 수직사회의 차문화 고찰이 주가 되었다. 유학자와 선승들의 다도사상, 왕실의 다례고찰, 고위관직의 행력에 따른 차문화 인식, 사인의 풍기, 궁중 차예, 지식인의 차문화 공간, 조선개국 사대부의 구현세계 등 차문화 향유계층에 국한된 범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비교연구의 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시대적 공간적 비교우위의 국가적 연구를 비교연구라고 한다면 차문화 연구의 비교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며 그 방법론적 모색 또한 모호하다 하겠다. 차문화 연구가 기존의 정의와 분류가 다양하여 준거할 만한 기본 틀을 찾기가 매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일제강점기에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그간 원로 학자들에 의해서 다양한 논거와 담론을 가지고 연구되기 시작했지만 기존 연구의 답습과 양적인 팽창만 거듭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차문화는 다양한 계층에 의한 생산과 향유의 전승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전승계보의 형성과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동아시아의 사인이라고 할 만큼 차문화는 한?중?일 삼국이 각각의 독특한 차문화의 형성 곡선을 그리면서 발전해 왔다. 이제 차문화는 새로운 비교연구 방법론을 모색할 때다. A study of tea culture has been continuing a lively discussion since around 1970s with inclinat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with times. A good example of foundation research, Je-gang Jone?Ga Ip Il Woong’s Choseon’s Tea and Memorial service did a booster role of a study of tea culture with a field investigation by Japanese. This describes the history and transmission of the tea culture as medicine tea, and it also explains that the medicine tea culture of Namdo area is rooted in the common people’s medicine tea drinking. Nevertheless a study of Korean tea culture was seen as special layer’s enjoyment, and the tea culture investigations of a vertical society were the main parts. This has not gotten of the limit of special layer’s tea culture, the tea ceremony of Confucian scholars and Zen priests, the royal tea ceremony reflections, an understanding of tea culture according to the power of high-ranking officers, a tea manner of the royal court, Chos?n high officials’ embodiment of the world, etc. This is the same with the example of a comparative study. If we say that the comparative time and space advantage of national research is a comparative study, then the tea culture study is still inadequate, and the search of the methodology is vague. However, the tea culture shows the transmission of the production and the enjoyment according to the various layers, and it also shows the formation and the flow of the transmission. With this, the tea culture which can be called as the character of East Asia has been developed with unique tea cultures of Korea,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It is time that the tea culture has to search the new methodology of a comparative study.

      • KCI등재

        경영학에서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탐구 - 한,불간 비교 분석 -

        이태식 프랑스학회 2005 프랑스학연구 Vol.31 No.-

        급격히 심화되어가는 세계화속에서 기업조직들은 물론 개인 행위자들도 쉽게 국경을 넘어 다른 문화와의 접촉과 갈등을 겪게 된다. ‘문화간 경영’은 비교경영학에 그 근원을 두고 발전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인적자원관리 및 조직행동론 분야를 비롯한 경영학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교경영연구에 있어서 발생하고 있는 어려움과 장애들 그리고 선행 연구들을 종합 정리함과 아울러 한국과 프랑스 회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경영연구에 있어 발생하고 있는 어려움 혹은 장애들은 1)이론 부재의 어려움, 2)문화에 대한 개념 및 정의의 다양성(국가간에도 그 함의가 다를 수 있다), 3)분석방법론상의 어려움 등 크게 3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비교연구의 접근들을 살펴보면, 첫째 단순한 비교연구의 접근방법이다. 이는 이론적 뒷받침이 거의 없으며, 국가마다 혹은 문화권에 따라 관리기능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단순히 비교하고 있는 연구들이다. 둘째로는 비교연구에 있어 차이에 대한 설명변수로 문화적 차이를 고려치 않는 접근방법이다. 이를 흔히 culture-free 접근방법이라 부른다. 이른바 ‘상황이론’이 주된 이론적 토대를 이루며 매우 공고하다. 셋째는 문화에 근거한 비교접근방법(culture-bound) 접근방법으로 필요한 이론들을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종합하여 이론적 틀을 만들고 있다. 한불간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가지고 실증적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6개의 인자(요인)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어서 변량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각 인자(요인)들마다 한국과 프랑스의 차이가 유의한지를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인적자원의 국내이동에 있어서의 개인주의성향: 차이 있음(한국<프랑스). ② 닫힌 사회: 차이없음(한국=프랑스). ③ 비결정론: 차이없음(한국=프랑스). ④ 인적자원의 국제 이동 성향: 차이있음(한국>프랑스). ⑤ 계층적 위계에 대한 성향: 차이있음(한국<프랑스). ⑥ 인간관계의 중요성: 차이없음(한국=프랑스). 과거 특정 부류의 행위자들에게만 국한되던 문화간 접촉이 오늘날에는 타국가문화에 속한 행위자와 접촉할 가능성을 갖게 하는 행위자들의 환경으로 일반화, 보편화되고 있다. 해외근무자들의 실패율은 일반적으로 30-40% 정도로 생각보다 높다는 사실이다. 또한 해외파견시 현지국가문화에 대한 교육도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어려움과 문제점들이 현존하는 게 사실이지만, 비교연구를 통한 문화간 경영의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많다.

      • KCI등재후보

        先祖祭祀研究方法論ノート -通文化的比較研究と宗教民俗学-

        이와타 시게노리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09 翰林日本學 Vol.0 No.15

        본고의 목적은 일본의 문화인류학・민속학에서 ‘비교민족학’, ‘비교민속학’ 등으로 일컬어져 온 통문화적 비교연구 방법론을 구체적인 민속사상(事象)을 통해 검토하는데 있다. 다른 민족-가령 일본과 한국-의 민속문화는 이질적이기 때문에, 이들을 비교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러한 비교를 행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기저가 동질적이지 않으면 비교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문화적 비교연구가 일정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예상할 때, 그 방법론적 가능성을 구체적인 민속사상을 통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기반연구로서 일본의 통문화적 비교연구의 대표작인 石田英一郎의『河童駒引考』(1948)와 鈴木満男의「盆にくる霊」(1972)을 예로 들어 이들의 방법론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두 저서 모두 복수(複數) 민속문화의 기저에는 동질성이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분석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다른 민족의 민속 문화가 이질적이라는 점을 전제로 하여, 일본 오본(お盆) 및 조상제사가 불교와의 습합(불교민속) 속에 존재하고 있는 점을 소개했다. 본고에서는 이점에 주목하여 통문화적 비교연구는 복수의 민족에 걸쳐있는 민속문화를, 동질성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질성을 전제로 하여 각각의 문화적 습합의 양상에 의해 비교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했다. 따라서 민간신앙의 경우에는, 그 종교민속의 비교를 통해 민속 문화의 특징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는 점을 결론으로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본 김동리 문학: 「까치소리」와 <쉘부르의 우산(Les Parapluies De Cherbourg)>을 중심으로

        이채원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works by Kim, Dong-Lee, in the respect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The texts of analysis are The Chirrupper Of A Magpie and The Umbrellas Of Cherbourg. The Chirrupper Of A Magpie by Kim Dong-Lee has many archetypes, symbols and motives, so there are many aspects to see in the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First of all, the two texts share with the motives that are war, love, parting and meeting again, the force of destinies and so on. Also the two text share with the sympathy of a tragedy. But the feelings of tragedy of the two texts are fairly different. The Chirrupper Of A Magpie is related to the thought of shamanism which relates the chirrupper of a magpie with the drive of death. As a result, at the end of the text, actually a murder which is related to the chirrupper of a magpie had done by Bong-Soo, the main character. The murder is explained not by the logical cause and effect but by the thought of shamanism and character-narrator's narration. Otherwise, The Umbrellas Of Cherbourg doesn't pursue the zenith of a tragedy. It is ruled by real principle, also it pursues the esthetics of moderated grief. The Chirrupper Of A Magpie is a fiction which is narrated by a first person narrator, otherwise The Umbrellas Of Cherbourg is a musical film. So the differences of media make the difference of the esthetics and the heartstrings' horizon of readers and audiences. The external images have a large territory of uncertainty, so the analogical inference of the images' meanings are due to audiences. But every character of The Chirrupper Of A Magpie is represented by the narration of Bong-Soo, the first person narrator. It is not a real but a figure which is existed in a each notion. Kim Dong-Lee has known for not only Korean's features but also universality of the archetypal thoughts. But there are few studies to see the works by Kim Dong-Lee in the respect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So this thesis is the first step to see the works by Kim Dong-Lee in the respect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hat to see the literature as it is in the boundary of culture including history, philosophy, society and so on. Knowing the cultural differences of between the Korean War and The Battle Of Algeria enriches the meanings of the two texts. 김동리의 작품세계에서는 현실세계에 대한 절망적 인식과 초월적 힘 앞에서 패배하는 인간의 왜소함이 많이 드러난다. 김동리는, 인간의 힘을 과신하고 진보를 낙관한 근대적 사유의 반대편에 섰으며 또한 한국적 사유와 문화에 천착했다. 그리고 한국적 사유와 문화에 대한 천착은 세계문학 속에 한국 문학을 위치 짓고자 하는 열망으로 연결되었다. 김동리가 세계문학 속의 한국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증명해보고 싶어 했다면 여기서 필요한 것이 비교문학 그리고 비교문화 관점에서의 연구이다. 그리고 그의 작품들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신화적 상징과 원형들은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연구할 때 이전까지의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의미들을 풍부하게 드러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지금까지의 연구와는 다른 시각에서 김동리의 작품 세계를 분석하고자 하며, 분석 대상 텍스트는 김동리의 대표작 중 하나인 「까치소리」(1966)와 자크 드미 감독의 프랑스 영화 <쉘부르의 우산>(1964)이다. 두 텍스트는 동시대 다른 문화에서 배태된 작품들로서 유사한 모티프와 상징들을 공유한다. 또한 두 텍스트 모두 유사한 소재들을 통한 비극적인 정서를 담고 있으면서도 비극의 질감과 밀도가 매우 다르며 전혀 다른 결말을 향해 갔다. 본 논문에서는 소재와 모티프와 주제적 유사함 그리고 동시대라는 배경으로부터 이러한 차이를 만드는 텍스트 내적 요인들과 더불어 그 기반이 되는 문화적 차이를 고찰하려 했다.「까치소리」에서 주술적 속신으로 상징되는 초자연적 힘 앞에 패배하는 인간의 모습이 형상화 되어 신화적인 세계관을 구축했다면, <쉘부르의 우산>에서는 합리성에 근거한 타협이라는 현실적인 세계관을 형상화 했다. 그리고 이런 차이의 기반에 작가와 감독의 세계관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 세계관은 동시대 한국과 프랑스의 다른 문화적 맥락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본론의 2장에서는 모티프와 주제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했으며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점이 형성하는 각각의 텍스트의 세계관을 고찰했다. 또한 3장에서는 매체와 장르의 다름에 따른 서술기법의 차이와 그로 인해 파생되는 미학의 스펙트럼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텍스트의 내재적 차이뿐만 아니라 텍스트와 상호영향 관계에 있는 문화적 맥락을 보다 정치하게 드러낼 수 있었고, 김동리 문학을 비교문학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었다. 「까치소리」에서는 거대한 운명의 힘 앞에 처절하게 패배하는 인간상이 형상화 되었고 그 비극적인 결말을 이끌어낸 가장 시초의 근원은 한국적 속신에 있었다. 따라서 그것은 근대적 의미에서의 인과관계 논리와는 상관이 없다. 한국의 60년대는 근대화와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였으나 지나치게 빠른 근대화와 산업화는 문화지체현상을 가져왔으며, 사람들의 의식은 전근대와 근대의 과도기에 머물러 있었다. 작가 김동리는 의도적으로 근대성에 저항했으며 그것은 한국의 신화적 상상력을 찾아 고대로 회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반면 60년대 프랑스의 지성들은 자유주의의 물결 속에서 진보에 대한 낙관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표출하고 있었다. <쉘부르의 우산> 역시 전쟁이라는 시대적 배경에 의해 희생되는 인간 개인의 슬픔과 고통이 스며들듯이 형상화 되었지만 전반적인 분위기...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Multicultural and Multilingual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the U.S.

        Yong-Jik Lee(이용직),Hyoung-Sook Cho(조형숙),Shuzhan Li(수잔 리)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한국은 문화 언어적으로 다양한 사회로 급변하고 있지만, 교육부의 다문화 교육 정책은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정착되지 못하였다. 제기된 주요 문제는 문화 언어적 다문화 학생에 대한 교사의 경험 부족, 역사적으로 순혈주의적인 관념에 의한 교실 내 차별의 일상화, 다문화 학생 내의 다양한 집단에 대한 교육 정책의 부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시급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교 교육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한국과 미국의 다문화 교사교육과 다중언어 교사교육을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Bereday의 기술, 설명, 병치 및 비교의 방법론적 과정을 거치면서,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적 관점과 다중언어 교육적 관점을 통하여 한국의 교사교육과 미국의 교사교육을 비교하였고, 다문화 학생을 위한 통합적 접근법을 탐색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다문화 교사교육 비교를 통하여, 국내출생 다문화 학생과 이민배경 다문화 학생을 위하여 문화 감응적 교수법과 언어 감응적 교수법으로부터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음을 덧붙였으며, 마지막으로 다양한 학습자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교육과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Although South Korea has rapidly changed into a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ociet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s policie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not been successful. Some problems include: a) lack of teacher experience in teaching diverse students; b) classroom-based discriminations formed on pure-blooded ideology; and c) lack of educational policies reflecting intra-group differences within multicultural children. In an effort to respond to this urgent need, this study utilized a comparative education method to contrast and compare multicultural and multilingual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the U.S. Throughout the steps of description, explanation, juxtaposition, and comparis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not only multicultural perspectives but also multilingual perspectives in order to shed light on a holistic approach in education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LD) students. This article suggests that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CRT) and linguistically responsive teaching (LRT) should be implemented in school, calling for more research to transform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a to effectively prepare preservice teachers to work with CLD students.

      • KCI등재

        사회비교와 행복의 관계에서 문화적 자기관의 역할

        한민,류승아,김경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9 No.4

        It has been known that it shows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mparison and happiness. Nevertheless, the correlation depends on self-concept and motivation of comparison which a person tak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ultural self-concept (interdependent self, subjective-objective self) on social comparison and 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tal 2000 among 30-69 years old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 found that, first, people with high interdependent self feel less happiness as they take more social comparison, but the people with low interdependent self do not show the relational pattern. Second, people with objective self show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and social comparison, but there is no correlation with happiness and social comparison among people with subjective self. The implication for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비교와 행복의 관계에 미치는 문화적 자기관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회비교와 행복은 부적관계에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회비교의 결과는 비교 당사자의 자기인식과 비교동기에 따라 달라진다는 견해 역시 존재한다. 본 연구는 문화적 자기관이 사회비교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전국 5대 권역(수도권, 강원, 충청, 전라, 경상)에서 표집한 권역 당 4개 연령대(30대, 40대, 50대, 60대) 각 100명씩, 총 2,000명을 대상으로 문화적 자기관(상호협조적 자기, 주체성-대상성 자기), 사회비교경향,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상호협조적 자기는 사회비교와 정적상관을, 행복과는 부적상관을 보였고, 둘째, 상호협조적 자기가 높은 사람들은 사회비교를 많이 할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낮았지만, 낮은 사람들은 사회비교가 행복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셋째, 대상성 자기가 높은 사람들은 사회비교를 많이 할수록 행복이 낮았지만, 주체성 자기가 높은 사람들은 사회비교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비교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관의 성격과 행복의 문화적 의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